KR101016736B1 -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736B1
KR101016736B1 KR1020030099240A KR20030099240A KR101016736B1 KR 101016736 B1 KR101016736 B1 KR 101016736B1 KR 1020030099240 A KR1020030099240 A KR 1020030099240A KR 20030099240 A KR20030099240 A KR 20030099240A KR 101016736 B1 KR101016736 B1 KR 1010167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p
liquid crystal
crystal display
lamps
group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99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0198A (ko
Inventor
김명훈
김현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99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736B1/ko
Publication of KR20050070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0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품의 생산비용 및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들과; 상기 램프들을 n(단, n은 2 이상의 정수) 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램프군들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구동부는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상기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램프 점멸신호를 생성한 후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상기 인버터부에 공급하는 스캔신호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상기 램프군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스캔신호 생성기에 생성된 램프 점멸신호를 인버터부에 인가하기 위한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와, 인버터부에 형성되는 버퍼용 트랜지스터의 수를 1/N로 줄여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에 공급되는 주파수를 낮추어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 기간을 중첩시켜 표시되는 화상을 휘도를 높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도 1은 음극선관의 임펄스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액정표시장치의 유지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은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는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램프 및 램프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에 의해 나타나는 액정표시장치의 준임펄스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램프 및 램프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버터부에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를 나타내는 파형 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에 의해 나타나는 액정표시장치의 준임펄스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면의 주요 영역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2 : 액정표시패널 4,104: 데이터 구동부
6,106 : 게이트 구동부 8,108 : 타이밍 컨트롤러
10,110 : 램프 12,112 : 램프 구동부
14,114 : 전원 발생부 16,116 : 감마 전압부
118 : 인버터부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생산비용 및 소비전력을 절감시킬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비디오 신호에 대응하여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통해 액정층의 광투과율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는 소형 및 박형화와 저 소비전력의 장점을 가지는 평판 표시장치로서, 노트북 PC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 사무 자동화 기기, 오디오/비디오 기기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 러한 구성을 가지는 액정표시장치는 박형, 저소비 전력이라는 특징에 의해, 음극선관(CRT)를 빠르게 대체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의 느린 응답특성과 액정의 유지특성에 의해서 동화상 구현시 화면이 흐릿하게 보이는 모션 블러링(Motion Bluring) 현상이나 화상의 윤곽이 끌리는 것처럼 보이는 테일링 현상이 나타난다. 이러한 동화상의 화질저하는 액정의 응답속도가 1 프레임기간(16,7ms)보다 빠른 경우에도 완전히 해소되기가 어렵다.
이에 비하여 음극선관(Cathod Ray Tube : CRT)은 데이터를 유지하지 않고 화상을 순간적으로 표시하는 임펄스타입의 표시장치로서 동화상 구현시 모션 블러링이나 테일링 현상이 거의 나타나지 않는다.
이를 도 1을 참조하여 자세히 설명하면, 음극선관(CRT)은 한 프레임 기간(1frame≒16.7ms) 중 매우 짧은 초기시간 동안만 형광체를 발광시켜 데이터를 표시하고 그 이외의 나머지 시간 동안 형광체를 발광시키지 않는다. 이 음극선관(CRT)의 임펄스특성에 의해 관람자는 음극선관(CRT)에 표시되는 동화상을 선명하게 볼 수 있다.
이러한 음극선관과는 달리 액정표시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프레임기간 동안 액정셀에 공급된 데이터전압을 유지하게 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유지특성은 관람자로 하여금 동화상에서 모션 블러링이나 테일링 현상을 느끼게 한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의 유지특성은 동화상의 표시품질을 저하시킨다.
액정표시장치의 유지특성에 의한 동화상의 표시품질 저하를 줄이기 위하여 '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Scanning Back Light Blinking System)'이 제안된 바 있다.
도 3은 일반적인 액정표시모듈의 구동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2)과, 액정표시패널(2)의 데이터라인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4)와, 데이터 구동부(4)에 감마 전압(GMA1∼GMAn)을 공급하기 위한 감마 전압부(16)와, 액정표시패널(2)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펄스를 공급하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6)와, 액정표시패널(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들(10)과,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램프들(10a∼10e)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부(12)와, 데이터 구동부(4), 게이트 구동부(6), 램프 구동부(12)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8)와, 액정표시패널(2), 데이터 구동부(4) 및 램프 구동부(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발생부(14)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2)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다. 액정표시패널(2)의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구동부(6)로부터의 스캐닝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액정셀에 공급하게 된다. 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에 접속된다.
타이밍 컨트롤러(8)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카드로부터 공급되는 디 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적색(R), 녹색(G) 및 청색(B)별로 재정렬하게 된다. 타이밍 컨트롤러(8)에 의해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데이터 구동부(4)에 공급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와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발생시킨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를 램프 구동부(112)에 공급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DC)는 도트클럭(Dclk), 소스쉬프트클럭(SSC), 소스인에이블신호(SOE), 극성반전신호(POL)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 구동부(4)에 공급된다. 게이트 제어신호(GDC)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쉬프트클럭(GSC), 게이트출력인에이블(GOE) 등을 포함하여 게이트 구동부(6)에 공급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8)는 액정표시패널(2)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들(10a∼10e)이 순차적으로 점멸되도록 램프 구동부(12)를 제어한다.
감마 전압부(16)는 감마전압(GMA1∼GMAn)을 발생시켜 데이트 구동부(4)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4)는 타이밍 컨트롤러(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샘플링된 데이터를 1 라인분식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 전압부(16)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GMA1∼GMAn)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한다.
게이트 구동부(6)는 타이밍 컨트롤러(8)의 제어하에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게이트펄스의 전압을 액정셀의 구동에 적합한 전 압레벨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를 포함한다.
전원 발생부(14)는 액정표시패널(2)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10)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전압(Vinv)을 발생시켜 램프 구동부(12)에 공급하고, 공통 전압(Vcom)을 발생시켜 액정표시패널(2)의 액정셀에 공급한다.
램프 구동부(12)는 타이밍 컨트롤러(8)의 제어하에 전원 발생부(14)로부터 공급되는 램프 구동전압(Vinv)을 이용하여 다수의 램프들(10a∼10e)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킨다. 도 5를 참조하여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램프가 16개인 경우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은 램프 구동부(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면 점등(On)되고, 램프 구동부(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면 소등(Off)된다. 이러한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을 순차적으로 점멸(On-Off)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12)는 스캔(Scan)신호 생성기와 인버터부(18)를 구비한다.
램프 구동부(12)의 스캔신호 생성기는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수평동기신호(Hsync) 및 수직동기신호(Vsync)를 공급받아 다수의 램프들 (Lamp1∼Lamp16)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램프 점멸(Lapm On-Off)신호를 생성하고, 이러한 램프 점멸신호를 각각의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램프 인버터부(18)로 공급한다.
램프 인버터부(18)에는 각각의 램프(Lamp1∼Lamp16)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 인버터가 실장된다. 램프 인버터부(18)는 각각의 전송 라인을 통해 자신에게 인가된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램프 구동전압을 각각의 램프(Lamp1∼Lamp16) 에 공급시킴으로써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을 한 프레임(1frame) 동안에 순차적으로 점멸시켜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시킨다.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은 스캔방향을 따라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을 점멸(On, Off)시키는 방식이다. 예컨데, 도 4에서 화면의 중앙 일부영역 즉, 제 3 램프(10c)와 대응되는 영역은 제 3 램프(10c)의 점등에 의해 빛이 방출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반면, 다른 영역 즉, 제1, 제2, 제4 및 제5 램프(10a,10b,10d,10e)들과 대응되는 영역은 제1, 제2, 제4 및 제5 램프(10a,10b,10d,10e)들이 소등되어 해당 영역의 액정셀들에 데이터가 유지되어도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을 적용하면, 액정표시장치(1)는 다수의 램프들이 스캔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프레임기간 중 일부기간 동안에는 빛을 방출하고 나머지 기간에 빛을 차단함으로써 준 임펄스방식으로 구동하게 된다. 따라서,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의 적용에 의하여 액정표시장치에서 동화상의 표시품질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장치(1)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스캔신호 생성기에서 다수의 램프(Lamp1∼Lamp16)의 수 만큼의 램프 점멸신호를 생성하고, 이 램프 점멸신호를 각각의 전송라인을 통해 램프 인버터부(18)로 전송해야 한다. 램프 인버터부(18)는 각각의 전송 라인을 통해 자신에게 인가된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램프 구동전압을 각각의 램프(Lamp1∼Lamp16)에 공급시킴으로써 스캔신호 생성기와 램프 인버터부(18)를 연결하는 라인 및 컨넥터의 수가 램 프의 수와 동일한 수 만큼 필요하게 된다. 또한,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를 받기 위해 인버터부(18)에 램프 수 만큼의 버퍼용 트랜지스터가 필요하게 되어 제품의 생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다. 또한, 다수의 램프들을 고속으로 점멸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12)에 높은 구동 주파수가 공급되어야 함으로 이로인해 소비전력이 큰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제품의 생산비용 및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와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들과; 상기 램프들을 n(단, n은 2 이상의 정수) 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램프군들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구동부는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상기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램프 점멸신호를 생성한 후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상기 인버터부에 공급하는 스캔신호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상기 램프군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램프 구동부는, 상기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의 램프 점멸신호를 상기 인버터부에 인가시키기 위한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전송라인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컨넥터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버퍼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버퍼용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램프 구동부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상기 램프 구동부는,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램프들로부터의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의 구동방법은, 상기 램프들을 n(단, n은 2 이상의 정수) 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스캔신호 생성기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램프 점멸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램프군들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부에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상기 램프 점멸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램프군들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상기 램프군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상기 램프군들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스캔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 외에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한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하게 드러나게 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 7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이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대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데이터라인과 게이트라인이 교차되며 그 교차부에 박막트랜지스터(TFT)가 형성된 액정표시패널(102)과, 액정표시패널(102)의 데이터라인에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한 데이터 구동부(104)와, 데이터 구동부(104)에 감마 전압(GMA1∼GMAn)을 공급하기 위한 감마 전압부(116)와, 액정표시패널(102)의 게이트라인에 게이트펄스를 공급하 기 위한 게이트 구동부(106)와, 액정표시패널(102)에 광을 조사하기 위한 다수의 램프들(110)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램프들(110a∼110n)을 순차적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부(112)와, 데이터 구동부(114), 게이트 구동부(106), 램프 구동부(112)를 제어하기 위한 타이밍 컨트롤러(108)와, 액정표시패널(102), 데이터 구동부(104) 및 램프 구동부(112)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발생부(114)를 구비한다.
액정표시패널(102)은 두 장의 유리기판 사이에 액정이 주입된다. 액정표시패널(102)의 데이터라인들과 게이트라인들의 교차부에 형성된 박막트랜지스터(TFT)는 게이트 구동부(106)로부터의 스캐닝 펄스에 응답하여 데이터라인들 상의 데이터를 액정셀에 공급하게 된다. 이 박막트랜지스터(TFT)의 소스전극은 데이터라인에 접속되며, 드레인전극은 액정셀의 화소전극에 접속된다. 그리고 박막트랜지스터(TFT)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에 접속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비디오 카드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를 적색(R), 녹색(G) 및 청색(B)별로 재정렬하게 된다. 타이밍 컨트롤러(108)에 의해 재정렬된 디지털 비디오 데이터(R,G,B)는 데이터 구동부(104)에 공급된다. 또한, 타이밍 컨트롤러(108)는 자신에게 입력되는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와 클럭신호(CLK)를 이용하여 데이터 제어신호(DDC)와 게이트 제어신호(GDC)를 발생시킨다. 또한, 수평 및 수직 동기신호(H,V)를 램프 구동부(112)에 공급한다.
데이터 제어신호(DDC)는 도트클럭(Dclk), 소스쉬프트클럭(SSC), 소스인에이 블신호(SOE), 극성반전신호(POL) 등을 포함하여 데이터 구동부(104)에 공급된다. 게이트 제어신호(GDC)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 게이트쉬프트클럭(GSC), 게이트출력인에이블(GOE) 등을 포함하여 게이트 구동부(106)에 공급된다.
감마 전압부(116)는 감마전압(GMA1∼GMAn)을 발생시켜 데이트 구동부(104)에 공급한다.
데이터 구동부(104)는 타이밍 컨트롤러(108)로부터의 데이터 제어신호(DDC)에 따라 데이터를 샘플링한 후에, 샘플링된 데이터를 1 라인분식 래치하고 래치된 데이터를 감마 전압부(116)로부터 공급되는 감마전압(GMA1∼GMAn)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감마전압으로 변환한다.
게이트 구동부(106)는 타이밍 컨트롤러(108)의 제어하에 게이트펄스를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쉬프트 레지스터와, 게이트펄스의 전압을 액정셀의 구동에 적합한 전압레벨로 쉬프트시키기 위한 레벨 쉬프터를 포함한다.
전원 발생부(114)는 액정표시패널(102)에 광을 조사하는 램프(110)를 점등시키기 위한 램프 구동전압(Vinv)을 발생시켜 램프 구동부(112)에 공급하고, 공통 전압(Vcom)을 발생시켜 액정표시패널(102)의 액정셀에 공급한다.
램프 구동부(112)는 타이밍 컨트롤의 제어하에 전원 발생부(114)로부터 공급되는 램프 구동전압(Vinv)을 이용하여 다수의 램프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킨다. 램프 구동부(112)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직류전원을 고압의 교류파형으로 변환하여 다수의 램프들(L1∼L16)의 고압전극(HIGH)에 공급한다. 즉, 램프 구동부(112)는 고압의 교류파형을 생성하고, 생성된 고압의 교류파형을 도시되지 않은 커넥터 를 통해 다수의 램프들(L1∼L16)의 고압전극(HIGH)에 공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하기 위한 램프 및 램프 구동부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인버터부에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를 나타내는 파형도이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백라이트 유니트의 램프가 16개인 경우,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은 램프 구동부(1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점등(On)되고, 램프 구동부(112)로부터 전원이 공급되지 않으면 소등(Off)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들(Lamp1∼Lamp16)을 N(단, N은 2이상의 정수)개식 묶어 다수의 램프군을 형성한다. 예컨데, 2개의 램프를 하나의 램프군으로 형성할 경우, 16개의 램프들(Lamp1∼Lamp16)은 8개의 램프군(K∼K+7)으로 형성되고, 이 8개의 램프군(K∼K+7)이 순차적으로 점멸(On-Off)된다. 이러한 램프군(K∼K+7)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112)는 스캔(Scan)신호 생성기와 인버터부(118)를 구비한다.
램프 구동부(112)의 스캔신호 생성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밍 컨트롤러로부터 수평동기신호(Hsync) 및 수직동기신호(Vsync)를 공급받아 다수의 램프군(K∼K+7)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램프 점멸(Lamp On-Off)신호를 생성하고, 이 램프 점멸신호를 각각의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램프 인버터부(118)로 공급한다. 이때,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의 램프 점멸신호를 램프 인버터부(118)에 공급하기 위해 필요한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램프군(K∼K+7) 의 수와 동일하다.
램프 인버터부(118)에는 각각의 램그군(K∼K+7)에 구동전압을 공급하기 위한 램프 인버터가 실장된다. 램프 인버터부(118)는 각각의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자신에게 인가된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램프 구동전압을 생성하고, 이 램프 구동전압을 한 프레임(1 Frame) 동안에 순차적으로 각각의 램프군(K∼K+7)에 공급하여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시킨다.
다수의 램프들을(L1∼L16) N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K∼K+7)을 형성하고, 이 램프군들(K∼K+7)을 스캔방향을 따라 점멸(On, Off)시켜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으로 구동시키면 램프가 점등되는 일부영역에서는 빛이 방출되어 화상이 표시되는 반면, 다른 영역 즉, 램프가 점등되지 않는 영역에서는 해당 영역의 액정셀들에 데이터가 유지되어도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다. 이러한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을 적용하면,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들이 스캔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됨에 따라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 프레임기간 중 일부기간 동안에는 빛을 방출하고 나머지 기간에 빛을 차단함으로써 준 임펄스방식으로 구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들을 N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이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킴과 아울러,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 기간을 중첩시켜 표시되는 화상을 휘도를 높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일반적인 액정표시장치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스캐닝 백라이트 블링킹 방식 으로 구동시키기 위해서는 스캔신호 생성기에 생성된 램프 점멸신호를 인버터부에 인가하기 위해 램프의 수와 동일한 수 만큼의 전송라인 및 컨넥터가 필요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스캔신호 생성기에 생성된 램프 점멸신호를 인버터부에 인가하기 위한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를 1/N로(N은 하나의 램프군을 형성하는 램프의 개수) 줄일 수 있다. 또한,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를 받기 위해 인버터부(118)에 형성되는 버퍼용 트랜지스터의 수를 1/N로 줄여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인부터부(118)에 공급되는 램프 점멸신호의 개수가 줄어듬으로 인해, 다수의 램프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118)에 공급되는 주파수를 낮추어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스캔신호 생성기에 생성된 램프 점멸신호를 인버터부에 인가하기 위한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와, 인버터부에 형성되는 버퍼용 트랜지스터의 수를 1/N로 줄여 제품의 생산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다수의 램프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해 램프 구동부에 공급되는 주파수를 낮추어 액정표시장치의 구동시 소비되는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 기간을 중첩시켜 표 시되는 화상을 휘도를 높여 액정표시장치의 표시품질을 향상 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Claims (14)

  1. 액정표시패널과;
    상기 액정표시패널에 광을 조사하는 다수의 램프들과;
    상기 램프들을 n(단, n은 2 이상의 정수) 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상기 램프군들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램프 구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램프 구동부는 램프 점멸신호에 맞춰 상기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인버터부와, 상기 램프 점멸신호를 생성한 후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상기 인버터부에 공급하는 스캔신호 생성기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상기 램프군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군들은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스캔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라인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넥터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버터부는,
    상기 스캔신호 생성기로부터 인가되는 램프 점멸신호가 인가되는 다수의 버퍼용 트랜지스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버퍼용 트랜지스터의 개수는 상기 램프군을 구성하는 램프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 수가 감소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부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 구동부는,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1. 램프들로부터의 광을 변조하여 영상을 표시하는 액정표시패널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램프들을 n(단, n은 2 이상의 정수) 개씩 묶어 다수의 램프군들을 형성하고, 스캔신호 생성기를 이용하여 상기 램프군들을 순차적으로 점멸시키기 위한 램프 점멸신호를 발생하는 단계와;
    상기 램프군들 각각을 구동하기 위한 인버터부에 전송라인 및 컨넥터를 통해 상기 램프 점멸신호를 공급하여 상기 램프군들을 점등 및 소등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각 전송라인 및 컨넥터의 수는 상기 램프군들의 수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군들을 상기 액정표시패널의 스캔방향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멸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4. 제 13 항에 있어서,
    이웃하는 램프군들의 점등기간을 중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KR1020030099240A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1016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40A KR101016736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99240A KR101016736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198A KR20050070198A (ko) 2005-07-07
KR101016736B1 true KR101016736B1 (ko) 2011-02-25

Family

ID=37260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99240A KR101016736B1 (ko) 2003-12-29 2003-12-29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673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340A (ko) * 1999-06-11 2001-01-26 가네꼬 히사시 액정 표시 장치
JP2001125067A (ja) * 1999-10-25 2001-05-1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39878A (ko) * 1999-10-04 2001-05-1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7340A (ko) * 1999-06-11 2001-01-26 가네꼬 히사시 액정 표시 장치
KR20010039878A (ko) * 1999-10-04 2001-05-1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JP2001125067A (ja) * 1999-10-25 2001-05-11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KR20010040174A (ko) * 1999-10-25 2001-05-15 가나이 쓰토무 액정 표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0198A (ko) 200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56552B2 (ja)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及び駆動方法
JP4501525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方法
US20070152951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JP2007041548A (ja) データ供給方法、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5662960B2 (ja) 液晶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US2009023136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driving device and driving method
KR102279280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933112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4938831B2 (ja) 発光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314212B1 (ko) 스캐닝 백라이트 방식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10800038A (zh) 基于时分数据输出的显示驱动电路、显示设备和显示方法
JP2011039474A (ja) 発光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JP2001296838A (ja) 液晶表示装置
JP2004240428A (ja) 液晶表示装置、液晶表示装置の駆動装置及び方法
KR10162155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010036308A (ko) 이종 반전 구동법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101016736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1159329B1 (ko) 액정표시장치 구동회로 및 구동방법
KR100389026B1 (ko) 액정표시소자의 백라이트 구동장치 및 방법
JP2013020269A (ja) 液晶表示装置、該液晶表示装置に用いられる駆動制御回路及び駆動方法
KR101608636B1 (ko) 액정 표시장치의 구동장치 및 구동방법
JP2006301213A (ja) 液晶表示装置
JP2002287112A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その駆動方法
KR101687804B1 (ko) 액정 표시장치 및 구동방법
KR20070115537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