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329B1 -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 Google Patents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16329B1 KR101016329B1 KR1020080032970A KR20080032970A KR101016329B1 KR 101016329 B1 KR101016329 B1 KR 101016329B1 KR 1020080032970 A KR1020080032970 A KR 1020080032970A KR 20080032970 A KR20080032970 A KR 20080032970A KR 101016329 B1 KR101016329 B1 KR 10101632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eight
- reservoir
- variable
- cover
- cover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02—Odour removal or prevention of malodou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ewage (AREA)
Abstract
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비(액체비료) 등을 저장하는 저장조의 지붕을 대체하도록 제공되는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가 제공된다.
상기 저장조 덮개장치는 그 구성 일예로서, 저장조 구조물에 채워진 저장물을 덮도록 저장조 구조물 내측에 제공되되 저장물의 레벨에 따라 높이 가변토록 구성된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저장조 구조물 설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저장조 고정부; 및,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구성된 높이 보상부;를 포함하여 높이 가변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 보상부는, 서로 겹쳐져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에서 일체로 신장되고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는 겹쳐진 신장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저장조의 지붕을 대체하여 간소화된 구조로 시공되면서 먼지 유입 등은 차단하여 시공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빗물의 배수도 원활하고 악취나 유해가스의 처리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특히 저장물의 저장조 레벨에 따라 덮개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어 저장용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여러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축산분뇨, 액비, 오수, 저장조, 탱크, 저장조 덮개
Description
본 발명은 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비(액체비료) 등을 저장하는 저장조의 지붕을 대체하도록 제공된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기존 저장조의 지붕을 대체하여 간소화된 구조로 시공되면서 먼지 유입 등은 차단하여 시공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빗물의 배수도 원활하고 악취나 유해가스의 처리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특히 저장물의 저장조 레벨에 따라 덮개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어 저장용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에 관한 것이다.
현재, 축사에서 발생하는 축산분뇨는 축산폐수처리장에서 정화하여 하천에 방류하거나, 해양에 투기하기도 하지만, 일부는 톱밥이나 부엽토를 섞어서 유기질비료를 만들고 대형탱크(저장조)에서 숙성시켜 액비(액체비료)로 만들어 사용하고 있다.
이와 같은 액비는 저장조 즉, 대형탱크에서 6개월에서 8개월 정도 숙성시켜 발효되면 초지나 농지에 살포된다.
또는, 축산분뇨의 여러 처리를 위하여 1차적으로 저장하는 저장조의 사용도 일반적이다.
또는, 간이식 오수 처리를 위하여 1차적으로 오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나 저장조의 사용도 일반적이다.
즉, 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비 등의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 즉, 저장조의 사용은 필수적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저장물을 저장하는 저장탱크는 콘크리트 구조물인 경우 그 상부에 지붕을 설치하여 빗물 유입을 차단하거나, 합성수지로 된 중,소형 탱크인 경우에는 처음부터 밀폐된 구조물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사용되는 저장조(탱크)의 대부분은 1차적으로 지붕을 대체하는 간단한 덮개를 구비하지 않았고, 내부에 저장되는 저장물의 레벨(수위)에 따라 대응하여 높이 가변되는 덮개 구조도 없었으며, 이는 저장조의 저장 용량을 가변시킬 수 있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 대부분의 저장조(탱크)는 그 저장 용량의 조정이 불가능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서, 본 건의 출원인은 저장조(탱크)의 덮개를 저장조에 채워지는 저장물의 레벨에 대응하여 높이 가변되도록 한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의 조장조 덮개장치를 제안하게 되었고, 이와 같은 저장조 덮개구조가 제안된 바는 없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 측면은, 기존 저장조의 지붕을 대체하여 간소화된 구조로 시공되면서 먼지 유입 등은 차단하여 시공비용을 낮추는 것은 물론, 빗물의 배수도 원활하고 악취나 유해가스의 처리도 용이하게 하는 한편, 특히 저장물의 저장조 레벨에 따라 덮개의 높낮이가 조정될 수 있어 저장용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저장조 구조물에 채워진 저장물을 덮도록 저장조 구조물 내측에 제공되되 저장물의 레벨에 따라 높이 가변토록 구성된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연결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저장조 구조물 설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저장조 고정부; 및,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구성된 높이 보상부;
를 포함하여 높이 가변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높이 보상부는, 서로 겹쳐져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에서 일체로 신장되고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는 겹쳐진 신장부로 구성된 저장조 덮개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높이 보상부는, 서로 겹쳐져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에서 일체로 신장되고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는 겹쳐진 신장부로 구성된 저장조 덮개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기술적인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 저장조 덮개장치; 및,
상기 덮개장치가 설치되는 저장조 구조물;
을 포함하여 구성된 덮개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조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에 의하면, 기존 오픈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장조에 설치되는 지붕을 대체할 수 있어 실질적인 저장조 시공비용을 줄이수 있게 한다.
더하여, 빗물의 배수도 이루어지고, 저장물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의 처리도 가능하여 전체적으로 매우 실용적인 저장조를 제공하게 된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장조 또는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체비료 등의 저장물 레벨에 따라 높이가 가변되면서 저장조를 덮기 때문에, 저장물 저장용량의 조정을 가능하게 하는 등의 여러 우수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도 1에서는 제1 실시예의 본 발명 저장조 덮개장치(1a)를 도시하고 잇고, 도 2 내지 도 5에서는 제2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의 본 발명 저장조 덮개장치(1b)를 도시하고 있고, 도 6에서는 변형된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1b)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 내지 도 4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1,2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1a)(1b)를 포함하는 저장조(1')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는 '1a'의 도면부호로 설명하고, 높이 가변형의 제2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는 '1b'의 도면부호로 나타내는 한편, 제1 실시예의 덮개부는 30'의 도면부호, 제2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 덮개부는 30의 도면부호로 각각 차별화하여 나타낸다.
먼저, 도 1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1a)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a)는, 크게 저장조 구조물(10)에 채워진 저장물(12)을 덮도록 저장조 구조물(10)의 내측에 배치되는 덮개부(30') 및, 상기 덮개부(30')와 연결되면서 저장조 구조물에 설치되는 저장조 고정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는 상기 저장조 구조물(10)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되 서로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 부재들이 연결 구성(도 5의 부재 연결수단 B,P,N,S 등 참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조 고정부(50)는, 저장조 구조물(10)의 오픈된 상단(10a)을 감싸는 형태로 그 단부(50a)가 고정(도 5의 고정부 고정수단 P,B,S등 참조)되고, 타단이 상기 덮개부(30')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부재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를 분리하여 설명하였지만, 이들이 일체로 하나의 합성수지 시트재로 제조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따라서 이들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는 하나의 덮개시트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1a)는 기존에 저장조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을 대체하면서 먼지 등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특히 구조를 간소화시키어 시공비용을 낮추게 할 것이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a)가 설치되는 저장조 구조물 (10)은 다음의 도 3 및 도 4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듯이, 도 3의 중,소형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체로 된 원통형 저장탱크 또는, 도 4의 사각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덮개부(30')는 도 3 및 도 4와 같이, 저장조 구조물(10)의 형태 즉, 원통형 또는 사각형 등의 형태에 맞추어 미리 형성시키면 된다.
그리고, 도 1에서 도시한 상기 저장물(12)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비 등일 수 있다. 물론,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a)에서 상기 덮개부(30')에는 저장물 공급관(90)이 연결되어 있다.
이때,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상기 공급관(90)이 통과하는 덮 개부(30')의 구멍 주변에는 합성수지를 융착 용접하여 빗물이 새거나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에는 하나 또는 그 이성의 빗물 배수관(11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빗물 배수관(110)은 덮개부(30')의 저면에서 저장조 구조물(10)의 바닥 부분에서 배출관(114)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1a)는 구조도 간단하지만 빗물 배수 처리도 용이하다.
다만, 도면에서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덮개부(30')에 경사를 주어 빗물 배수관(110)이 연결되는 부위를 가장 오목하게 하면 빗물 배수를 더 용이하게 할 것이다.
다음,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덮개부(30')에는 가스 배출관(13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관(130)을 알려진 가스 처리 설비인 실포트(132)에 연결시키면, 실포트(132)내의 물(W)을 가스가 통과하면서 배출되기 때문에, 가스에 포함된 악취 또는 유해성분이 제거된후 실포트 배출관(134)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저장조에 지붕이 있는 경우에는 가스나 악취가 그대로 외부 누출되는 경우도 많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1과 같이, 저장물(12)을 완전하게 밀폐 형태로 덮는 덮개부(30')에 가스 배출관(130)이 연결되기 때문에, 가스 또는 악취가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실포트(132)는 알려져 있다.
이에 따라서, 지금까지 설명한 제1 실시예의 본 발명 저장조 덮개장치(1a)는 기존의 저장조 지붕을 대체하여 사용되면서 전체적으로 저장조 덮개 구조를 간단하게 하는 한편, 빗물 배수 처리나 가스 처리도 구현되는 것이다.
특히, 덮개장치의 교체 등도 용이할 것이고, 저장조 크기에 대응하는 것도 간편하게 하는 이점을 제공할 것이다.
다음, 도 2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제 2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1')의 전체 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b)도, 도 3 및 도 4과 같이 중,소형의 합성수지 또는 금속체로 된 원통형 저장탱크 또는 사각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의 저장조 구조물(10)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사각형태의 콘크리트 구조물(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인 경우 에는, 도 4과 같이 부재들의 모서리부분을 합성수지 용접재로 융착 용접(W) 하고, 별도의 연결부재(51)를 사용하는 차이는 있을 수 있으나, 원통형이든 사각 형태이든 높이 가변형으로 덮개장치(1b)를 구성하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인 제2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는, 오픈된 저장조 구조물(10)에 채워진 저장물(12)을 덮도록 구조물 내측에 배치되되 상기 저장물(12)의 레벨(12a)에 따라 높이 가변되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30) 및,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연결되면서 상기 저장조 구조물(10)에 고정되는 저장조 고정부(50) 및,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면서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제공되는 높이 보상부를 포함하여 일 실시예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b)는, 오픈된 저장조 구조물(10), 예를 들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합성수지 탱크이든 사각 콘크리트 구조물이든 오픈된 형태에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에서, 저장조 구조물(10)에 채워지는 저장물(12) 즉, 축산분뇨, 오수 도는 액비 등의 저장물(12)이 저장조 구조물에 채워지면, 저장물(12)의 표면(12a)에 놓이는(떠있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는 저장물 레벨(12a)의 변화에 따라 높이 가변되는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다.
이때, 저장조 고정부(50)와 연계된 상기 높이 보상부(70)는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 폭을 보상하도록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가 상승되면 수축되고 하강하면 펼쳐지(전개되)는 주름부 형태로서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결국,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b)는, 기존에 저장조 구조물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붕 대체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상기 저장조 구조물(10)에 채워지는 저 장물(12)의 레벨에 대응하여 높이 가변되기 때문에, 저장조에 설정된 레벨 이상으로 저장물이 채워져도 이를 보상할 수 있다.
특히, 저장물의 표면(12a)에 거의 떠 있는 형태로 높이 가변형 덮개부(30)가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오픈된 저장조 구조물에 저장물이 어느 정도 채워져 있는 가도 쉽게 파악하는 데에도 도움을 준다.
다음,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b)의 주요 구성부인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 및 높이 보상부(70)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본다.
다만, 다른 변형예의 높이 보상부(170)는 도 6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는, 저장물 구조물(10)에 채워지는 저장물 표면(12a)에 놓이면서(떠 있으면서) 저장물 레벨에 따라 위치 가변되되 저장조 구조물 형태에 대응하여 원형 또는 사각형태로 제공되는 합성수지 시트재(3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도면에서는 다음에 설명하는 부유재(34)가 합성수지 시트재(32)에 내장되는 형태(또는 합성수지 시트재로 부유재를 감싸는 형태도 가능할 것이다)로 도시하였지만, 합성수지 시트재(32)가 두께를 갖고 평탄함을 유지하는 강도를 구비하면 부유재(34)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
또는, 부유재(34) 대신에, 합성수지 시트재(32)의 내부에 공기가 채워지는 공간(미도시)를 형성시키면 합성수지 시트재(32)는 저장물(12)의 표면(12a)에서 부유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물론, 상기 합성수지 시트재(32)는 어느 정도 넓이를 갖기 때문에, 저장물 레벨이 낮아지면 자체 무게로 높이 보상부(50)의 주름부를 펴지게 하면서 하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저장물(12)이 축산분뇨인 경우에는 점성이 있어 합성수지 시트재(32)만으로도 쉽게 침지되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합성수지 시트재(32) 내부에 부유를 용이하게 하는 스티로폼(styrofoam), 나무 또는 발포 합성수지 폼(foam) 등으로 된 하나 이상의 부유재(34)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이와 같은 부유재(34)는, 합성수지 시트재(32)의 내부에 일체로 성형되어 내장되거나 또는 시트재로서 감싸지는 형태로 제작하면 될 것이다.
물론, 가장 바람직하게는 부유재(34)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합성수지 시트재(32)를 성형 제작할 때, 그 내부에 일체로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부유재(34)는 길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태가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한편, 상기 합성수지 시트재(32)는 구체적으로는 부유재(34)가 구비된 부분은 볼록하게 튀어나오므로 자연스럽게 도 5와 같이 오목한 통로부분(32a)이 형성되고, 따라서 이와 같은 오목한 통로부분(32a)은 다음에 설명하듯이 우천시 빗물이 모여서 배수되는 통로로 이용될 수 있다.
다음, 도 2 및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에서 상기 높이 보상부(70)는,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사이에 연결되되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시 전개 및 수축되면서 높이를 보상하는 주름부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도 5와 같이, 상기 저장조 고정부(50)와 높이 보상부(70)는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면서,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 및 높이 보상부(70)들이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의 연결수단을 통하여 각각의 부재들이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저장조 고정부(50)는 저장조 구조물(10)의 상단(10a)에 거치되어 고정되도록 절곡단부(50a)를 포함하고, 이 절곡단부(50a)는 고정판(P)을 통하여 볼트(B)로서 실링재(S)를 포함하여 저장조 상단부에 거치형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저장조 고정부(50)와 높이 보상부(70) 및, 높이 보상부(70)와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합성수지 시트재(32)의 연결부위는 일체로 합성수지 시트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5에서와 같이, 양측에 고정판(P)을 데고 실링재(S)를 개재하여 볼트(B)와 너트(N)로서 체결되는 각각의 부재들을 따로 제작하여 연결하는 형태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도 5에서 'W'는 용접부위를 나타낸다.
그런데, 이와 같은 별도의 연결수단(B,N,P)을 통하여 저장조 고정부(50)와 높이 보상부(70) 및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를 별도 부재들로 연결하는 구조는 덮개장치의 전체 크기가 커지는 대형의 콘크리트 구조물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저장조 고정부(50)와 저장조 구조물(10)사이 및 부재들의 연결부위인 고정판(P)사이의 각각의 실링재(S)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 내측에서 발생되는 가스가 누출되지 않게 하는 역할도 하면서, 외부의 수분이나 빗물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따라서, 도 2 및 도 5와 같이, 본 발명의 저장조 덮개장치(1b)는, 저장조에 채워지는 저장물의 레벨이 변하면 이에 연동하여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이 구현되고, 이는 기존의 지붕을 대체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면서 지붕에 비하여 시공비용을 사실상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이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에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저장물 공급관(9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도 2과 같이,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가 가변되므로 딱딱한 공급관(90)은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를 관통하여 수직하게 설치되고, 높이차를 보상하는 플렉시블한 공급관 호스(92)가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공급관(90)이 통과하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30) 부분에는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용접 등을 통하여 빗물이 새거나 가스가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별도의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저장물 공급관(90)을 저장조 구조물(10)에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높이 가변형의 높이 가변형 덮개부(30)가 저 장물 레벨에 따라 하강할 수 있어 가능한 저장물 최소 레벨 보다는 낮게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2 및 도 5와 같이,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에는 도 1에서 설명한 빗물 배수관(110)이 연결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빗물 배수관(110)도 저장물 공급관과 마찬가지로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보상하도록 플렉시블한 호스(112)가 연결되고, 이와 같은 호스(112)는 빗물 배수관(90)이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저부에 연결되므로 저장조 구조물(10)의 하부로 배출관(114)과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이와 같은 빗물 배수관(110)은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합성수지 시트재(32)에서 부유재(34)가 설치되지 않은 가운데의 오목한 통로부분(32a)(도 5,5 참조)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도 5 및 도 6과 같이, 상기 빗물 배수관(90)은 높이 가변형 덮개부 통로부분(32a)에 맞추어 여러 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면에서 구체적으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높이 가변형 덮개부 통로부분(32a)은 빗물 배수관(90)이 연결되는 부분을 가장 오목하게 하여 빗물이 모이면서 배수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다.
다음,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 또는 저장조 고정부(50)에는 도 1에서 설명한 가스 배출관(130)이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가스 배출관(130)이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에 연결되는 경우에 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보상하는 플레시블한 관이 연결되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가스 배출관(130)은 실포트(132)와 연결되어 악취 또는 유해성분이 제거된후 실포트 배출관(134)을 통하여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에는 지붕이 있는 경우 가스나 악취가 그대로 외부 누출되지만, 본 발명의 경우에는 도 2과 같이, 저장물(12)의 표면(12a)에서 부유되는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가 일체로 또는 실링 상태로 연결되기 때문에, 가스는 실포트(132)를 통과하여 처리되므로 실용적이다.
다음, 도 6에서는 본 발명인 제2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의 저장조 덮개장치(1b)의 다른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다.
즉, 도 2 및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다른 변형예의 경우에 상기 높이 보상부는 서로 겹쳐져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에서 일체로 신장된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는 겹쳐진 신장부(170)로 제공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에서 각각 일체로 신장되면서 서로 겹쳐져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을 가능하게 하는 상기 높이 보상부(170)는 서로 겹쳐지는 부분이 판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형태 유지를 위한 심부재(172)가 심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저장물의 레벨이 변하면 높이 가변형의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는 저장물 레벨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되면,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조장조 고정부(50)에서 일체로 신장되거나 도 5와 같이 연결수단(P,N,B)을 통하여 연결되는 높이 보상부(170)는 서로 겹쳐지면서 높이 가변형 덮개부 유동을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겹쳐지는 부분에는 마모를 줄이면서 가스 누출을 방지하는 라이너부재(L)들이 부착되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실제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은 저장조 구조물(10)에 유입되는 축산분뇨, 오수 또는 액비 등의 레벨이 급격하게 변하지 않고 점진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서로 겹쳐지는 높이 보상부(170)간의 마모는 거의 발생하지 않기 쉽고,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라이너부재(L)는 실링재 역할을 주로 할 것이다.
이와 같은 라이너부재는 고무 패드 등을 사용하면 될 것인데, 도면에서는 개략적으로 도시하였지만, 나사 체결 등을 통하여 쉽게 교체 가능할 것이다.
한편, 도 6과 같은 겹쳐지는 구조의 높이 보상부(170)는, 도 5와 같은 주름부 형태의 높이 보상부(70) 보다는 높이 보상부와 이에 연결된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상하 유동을 보다 자유롭게 하기 때문에, 저장물의 유입 및 배출량이 많고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상하 유동이 빈번한 오수가 저장되는 저장조에 적용하면 바람직할 것이고, 도 2,4의 높이 보상부(70)를 갖는 경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이 점진적으로 발생하는 축산분뇨 저장조 등에 사용하면 바람직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심부재(172)들은 겹쳐지는 높이 보상부(170)부분의 형태를 일정하게 유지시키어 높이 보상부(170)사이에서 틈이 발생되지 않게 할 것이고, 겹쳐지는 높이 보상부의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역할도 할 것이다.
이와 같은 심부재(172)들은 저장조 고정부(50)와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에서 신장되고 겹쳐지는 높이 보상부(170)를 합성수지 시트재로 제작할 때, 일체로 내장시키는 금속판 또는 경질의 플라스틱 사출물 등을 이용하면 될 것이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높이 보상부 표면에 부착하여도 높이 보상부 형태를 유지하는 한 무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지금까지 특정한 실시 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의 저장조 덮개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높이 가변형 덮개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원통 형태의 저장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콘크리트 구조물 형태의 저장조를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상세 구조도
도 6은 도 5의 본 발명 덮개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상세 구조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a,1b.... 저장조 덮개장치 1'.... 저장조
10.... 저장조 구조물 12.... 저장물
30'.... 덮개부 30.... 높이 가변형 덮개부
34.... 부유재 50.... 저장조 고정부
70,170.... 높이 보상부 90.... 저장물 공급관
110.... 빗물 배수관 130.... 가스 배출관
132.... 실포트 172.... 심부재
L.... 라이너부재
Claims (1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저장조 구조물(10)에 채워진 저장물(12)을 덮도록 저장조 구조물 내측에 제공되되 저장물의 레벨에 따라 높이 가변토록 구성된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연결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저장조 구조물 설치를 가능토록 제공되는 저장조 고정부(50); 및,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와 저장조 고정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연계되면서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구성된 높이 보상부;를 포함하여 높이 가변형으로 구성되되,상기 높이 보상부는, 서로 겹쳐져 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높이 가변을 가능토록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에서 일체로 신장되고 합성수지 시트재로 형성되는 겹쳐진 신장부(170)로 구성된 저장조 덮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는, 상기 저장물(12)의 표면상에 저장물의 레벨에 따라 높이 가변토록 배치되되 저장조 구조물의 형태에 대응하여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재(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제7항에 있어서,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의 합성수지 시트재(32)에는 스티로폼, 나무 및 발포 합성수지 폼 중 선택된 하나로 된 하나 이상의 부유재(34)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삭제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저장조 고정부(50)는, 저장조 구조물(10)의 오픈된 상단(10a)에 고정되면서 상기 높이 보상부(17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삭제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에 구비된 신장부(170)의 높이 보상부에는 형태 유지를 위한 심부재(17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높이 가변형 덮개부(30)와 저장조 고정부(50)에 구비된 겹쳐지는 신장부(170)의 높이 보상부에는 마모방지와 실링을 위한 라이너부재(L)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제6항에 있어서,상기 저장조 구조물(10), 높이 가변형 덮개부(30) 및 저장조 고정부(50)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저장물 공급관(90), 빗물 배수관(110) 및 가스 배출관(130) 중 적 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제15항에 있어서,상기 가스 배출관(130)은 가스에 포함된 수분이나 악취를 제거토록 저장조 구조물 외부에 배치된 실포트(13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장조 덮개장치.
- 제6항 내지 제8항, 제11항 및 제13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서 기재된 저장조 덮개장치; 및,상기 덮개장치가 설치되는 저장조 구조물(10);을 포함하여 구성된 덮개장치를 포함하는 저장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2970A KR101016329B1 (ko) | 2008-04-10 | 2008-04-10 |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80032970A KR101016329B1 (ko) | 2008-04-10 | 2008-04-10 |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616A KR20090107616A (ko) | 2009-10-14 |
KR101016329B1 true KR101016329B1 (ko) | 2011-02-22 |
Family
ID=41551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80032970A KR101016329B1 (ko) | 2008-04-10 | 2008-04-10 |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016329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60002B1 (ko) * | 2010-01-07 | 2010-05-28 | (주)디엔에스테크 | 승하강 가능한 슬러지 혼합조용 지붕유닛 |
KR200482243Y1 (ko) * | 2012-08-20 | 2017-01-04 | 갈원홍 |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1694A (ja) * | 1992-12-02 | 1994-06-21 | Hitachi Zosen Corp | 純水貯留槽における水質保持装置 |
JPH09290247A (ja) * | 1996-04-30 | 1997-11-11 | Takiron Co Ltd | 防藻用カバー |
KR19990022045U (ko) * | 1999-02-18 | 1999-06-25 | 박용석 |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
KR20000024124A (ko) * | 2000-01-24 | 2000-05-06 | 이태용 | 저장조의 덮개 시스템 |
-
2008
- 2008-04-10 KR KR1020080032970A patent/KR101016329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171694A (ja) * | 1992-12-02 | 1994-06-21 | Hitachi Zosen Corp | 純水貯留槽における水質保持装置 |
JPH09290247A (ja) * | 1996-04-30 | 1997-11-11 | Takiron Co Ltd | 防藻用カバー |
KR19990022045U (ko) * | 1999-02-18 | 1999-06-25 | 박용석 |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
KR20000024124A (ko) * | 2000-01-24 | 2000-05-06 | 이태용 | 저장조의 덮개 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07616A (ko) | 2009-10-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768328B1 (ko) | 지하 저수조 | |
GB2266647A (en) | Drainage box | |
KR101016329B1 (ko) |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 |
EA030265B1 (ru) | Чаша для плавательных бассейнов или для искусственных прудов и способ сооружения чаши | |
PL122032U1 (pl) | Zielony dach, zwlaszcza spadzisty | |
JP5252199B2 (ja) | 浮体ビオトープ | |
CN112323863A (zh) | 一种便于排水的市政工程用窨井盖 | |
CN105780907B (zh) | 一种雨水储存渗漏罐 | |
CN102079548A (zh) | 垃圾填埋场污水调节池的覆盖系统 | |
JP2021179150A5 (ko) | ||
CN110886379A (zh) | 井盖及溢流井 | |
JP5234748B2 (ja) | 配管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用いた地下灌漑用枡システム | |
US20130272793A1 (en) | Containment device, method and system | |
CN201907978U (zh) | 垃圾填埋场污水调节池的覆盖系统 | |
KR101842406B1 (ko) | 소화가스 저장조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소화가스 저장조 | |
JP6549343B1 (ja) | 水循環用浸透・貯留槽 | |
KR200433085Y1 (ko) | 송배전용 철탑 우수받이 | |
CN216787369U (zh) | 一种海绵城市道路排水结构 | |
CN202000466U (zh) | 一种液体池上的隔水人行通道 | |
CN212884134U (zh) | 垃圾填埋场土壤污染物生态修复系统 | |
CN214116895U (zh) | 一种雨污管网排水装置 | |
CN213296562U (zh) | 一种屋面雨水进入周边生物滞留池的排水装置 | |
CN201245857Y (zh) | 一种温室蓄水装置 | |
JP2012001949A (ja) |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 |
JP2005076365A (ja) | 水路構成工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214 Year of fee payment: 4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