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2243Y1 -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 Google Patents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2243Y1
KR200482243Y1 KR2020120007339U KR20120007339U KR200482243Y1 KR 200482243 Y1 KR200482243 Y1 KR 200482243Y1 KR 2020120007339 U KR2020120007339 U KR 2020120007339U KR 20120007339 U KR20120007339 U KR 20120007339U KR 200482243 Y1 KR200482243 Y1 KR 20048224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iffener
steel plate
waterproof cloth
storage tank
sto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3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238U (ko
Inventor
갈원홍
Original Assignee
갈원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원홍 filed Critical 갈원홍
Priority to KR20201200073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224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12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22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22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4Linings
    • B65D90/041Rigid liners fixed to the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3/00Treating manure; Manuring
    • A01C3/02Storage places for manure, e.g. cisterns for liquid manure; Installations for fermenting manure
    • A01C3/028Covers, roofs or other structures for covering manure storage pl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90/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for large containers
    • B65D90/02Wall construction
    • B65D90/08Interconnections of wall parts; Seal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07/00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L2007/005Tarpaul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50/00Technologies for the production of fuel of non-fossil origin
    • Y02E50/30Fuel from waste, e.g. synthetic alcohol or dies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의 대용량 저장탱크는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결합되면 저장대상물을 저장하는 원통형의 저장공간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철판; 결합된 상기 복수 개의 철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위치되어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이 철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투입되는 저장대상물이 누출되지 않게 저장되도록 하는 방수천; 결합된 철판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 하로 연장된 형상의 제1보강재; 복수 개가 결합되어 링의 형태를 이루고 제1보강재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지지대를 통해 제1보강재와 연결되어 제1보강재를 지지함으로써 제1보강재와 철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보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고안의 대용량 저장탱크는, 저장공간의 직경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으로 제조하더라도 안전한 내구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THE MOVABLE STORETANK}
본 고안은 이동 가능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액체 등의 물질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탱크가 사용되고 있는데 대부분의 저장탱크는 이동이 불가능한 고정형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도 대용량인 저장탱크가 필요한 경우가 있다.
구체적인 예로 설명하면, 가축의 사육시 발생되는 분뇨로 인한 수질오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축사 로부터 발생되는 분뇨를 축사 주변의 소정 위치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저장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
또, 최근에는 이러한 축산분뇨를 발효시키는 등의 방법으로 비료화하여 농업에 이용하고 있다.
축산분뇨를 비료 화하는 방법에는 고온으로 축산분뇨를 가열하는 방법도 있지만 경제적인 부담이 커 대부분은 미생물을 사용하여 저장탱크에 저장된 분뇨를 발효시키고 이 발효된 액상의 분뇨를 농지에 살포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농지에 살포하는 용량은 벼의 경우 평당 17.3ℓ, 고추기준 26.7ℓ, 시설채소 32ℓ, 과수 20ℓ, 초지 26.7ℓ등으로 규정되어 있다.
따라서, 통상의 농지 면적에 해당하는 2,000평 내지 3,000평에 분뇨를 살포하기 위해서는 5톤 용량의 차량이 5 내지 39회를 왕복하여야 하므로 3,000평 크기의 농지에 분뇨를 살포할 경우 교통 흐름이 좋은 곳에서도 통상 4일 이상이 소요된다.
그런데, 분뇨를 살포하는 과정에서 악취가 심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악취는 4일 이상 계속 발생되고, 이로 인하여 민원이 제기되어 처벌을 받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분뇨가 살포될 농지 주변에도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267669호(분뇨 저장 및 발효 탱크, 2002. 11. 14.출원)와 같은 분뇨의 저장시설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시설물은 반영구적으로 설치되는 것이어서 농지의 면적을 줄 일 뿐아니라 농가에 큰 부담으로 작용하는 실정이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하여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6222호 등과 같이 필요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는 대용량의 저장탱크에 관한 기술이 본원고안의 출원인에 의해 안출된바 있다.
종래의 상기 이동 가능한 저장탱크는 복수 개의 철판을 연결하여 이루어진 형태로서 먼거리를 이동하려 할때는 복수 개의 철판을 분리 후 말아서 부피를 줄이고, 이동 후에는 철판을 펼쳐 복수 개를 연결하는 방식으로 다시 시공하는 구조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이동 가능한 저장탱크는 그 크기를 키우는데 한계가 있어 직경 15미터 이상의 대형으로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것은 철판이 너무 두꺼우면 분리된 철판의 이동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고, 설치된 후 바람의 영향 등으로 인해 찌그러지는 등 형태가 변형되면서 저장탱크 내의 내용물에 파도가 발생되는 등의 이유로 안전상에 문제가 발생되는 것이 주요 원인이었다.
한국 실용신안등록 제0326222호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려는 것으로서 복수 개의 철판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직경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으로 구현하더라도 안전한 이동 가능한 대형 저장탱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의 저장탱크는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결합되면 저장대상물을 저장하는 원통형의 저장공간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철판을 갖는다.
또, 결합된 상기 복수 개의 철판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위치되어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이 철판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투입되는 저장대삳물이 누출되지 않게 저장되도록 하는 방수천을 갖는다.
또, 복수 개의 철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원주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철판의 하단부 외측에 각각 접촉되며, 복수 개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이루어 철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재를 갖는다.
또, 결합된 철판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 하로 연장된 형상의 제1보강재를 갖는다.
또, 복수 개가 결합되어 링의 형태를 이루고 제1보강재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지지대를 통해 제1보강재와 연결되어 제1보강재를 지지함으로써 제1보강재와 철판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보강재를 갖는다.
즉, 본 고안에서는 분리, 결합 가능한 복수 개의 철판과 그 내측에 위치되는 방수천을 통해 저장대상물을 저장 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하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철판의 외측을 변형방지재, 제1보강재, 제2보강재를 통해 보강하되 변형방지재와 제2보강재가 링의 형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결합된 철판의 변형을 방지하여 직경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으로 제조하더라도 안전한 내구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대형 저장탱크는, 분리, 결합 가능한 복수 개의 철판과 그 내측에 위치되는 방수천을 통해 저장대상물을 저장 가능한 형태가 되도록 할 수 있고, 저장공간을 형성하는 철판의 외측을 변형방지재, 제1보강재, 제2보강재를 통해 보강하되 변형방지재와 제2보강재가 링의 형태로 결합되어 결합된 철판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구조이므로 저장공간의 직경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으로 제조하더라도 안전한 내구성을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빗물 등을 받어 두는 초대형의 저수조를 만들 수도 있고, 농지 주변의 소규모 저수지와 같은 저수조를 만들 수도 있다.
제2보강재는 저장공간의 외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사이에 복수 개 위치되어 있고, 상부의 제2보강재와 하부의 제2보강재를 연결하는 연결보강재를 구비하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보강재, 지지대, 연결보강재가 일체화되어 모듈화됨으로써 이동을 위해 분리되더라도 모듈화된 제1보강재, 지지대, 연결보강재는 모듈화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저장탱크의 분리하여 이동 후 재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또,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 구조에서 연결보강재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고, 점용접으로 일부 지점이 용접되어 있되 용접된 부분을 그라인더를 사용해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면서도 용접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또, 철판에서 방수천 방향으로 돌출된 물체를 덮어 방수천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부재가 위치되어 있는 경우 방수천의 내구성도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 개략도
도 2는 도 1의 A-A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구성요소인 변형방지재, 제1보강재, 지지대, 제2보강재, 연결보강재를 설명하기 위해 본 고안의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일부만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4는 채움재와 둑을 갖는 본 고안의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를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 개략도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해서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겠다.
첨부된 도면은 본 고안의 더욱 구체적인 설명을 위하여 예를 도시한 것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의 기재가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밝힌다.
본 고안은 이동을 위해 구성요소를 분리하고 이동 후 다시 결합하여 설치 가능한 저장탱크에 관한 것이다.
물론, 분리와 결합이 용이하고 원가가 저렴하도록 하려는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해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결합되면 저장대상물을 저장하는 원통형의 저장공간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철판(10)을 갖는다.
또, 결합된 상기 복수 개의 철판(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위치되어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이 철판(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투입되는 저장대상물이 누출되지 않게 저장되도록 하는 방수천(20)을 갖는다.
상기와 같은 철판(10)과 방수천(20)을 통해 저장탱크를 구현하는 기술은 본 출원의 고안자에 의해 선출원된 기술을 통해서도 이미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본 고안은 복수 개의 철판(10)을 연결하는 구조를 통해 필요에 따라 이동 가능하면서도 내구성이 우수하여 직경이 수십미터에 이르는 대형으로 구현하더라도 안전한 이동형 대형 저장탱크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갖는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는, 복수 개의 철판(1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원주의 일부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저장공간(101)의 하단부에 해당하는 철판(10)의 하단부 외측에 각각 접촉되며, 복수 개가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링의 형태를 이루어 철판(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재(30)를 갖는다.
또, 결합된 철판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 하로 연장된 형상의 제1보강재(60)를 갖는다.
또, 복수 개가 결합되어 링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1보강재(6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지지대(40)를 통해 제1보강재(60)와 연결되어 제1보강재(60)를 지지함으로써 제1보강재(60)와 철판(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보강재(50)를 갖는다.
이동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철판(10)은 비교적 얇은 형태로 구현되어야 한다.
재질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통상 3mm 이하의 얇은 철판(10)은 두루마리 형태로 말아서 부피를 줄여 이동 가능한 등의 장정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저장공간의 형성을 위한 철판(10)이 얇기 때문에 단순히 철판(10)의 외측을 지지해 주는 것만으로는 복수 개의 철판(10)이 결합된 형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고안에서는 수압을 가장 많이 받으며 구조적으로 취약한 저장공간(101) 하단부에 해당하는 부분 외측을 복수 개의 변형방지재(30)를 통해 지지해 주는 것이다.
또, 철판(10)은 횡방향으로 연결되는 것이므로 제1보강재(60)는 횡방향이 아닌 수직방향으로 연장되어 철판(10)에 접촉되고 이러한 제1보강재를 링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된 제2보강재(50)의 결합체를 통해 지지해 주도록 하는 것이다.
제2보강재(50)가 링의 형태가 되어야 하는 이유는 어느 한쪽으로 힘이 쏠려 힘의 균형이 깨져 철판(1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내구성과 조립의 용이성 등을 고려할 때 변형방지재(30)와 제2보강재(50)는 'ㄱ'자 형상을 이루는 앵글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의 제2보강재(50)는 저장공간의 외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사이에 복수 개 위치되어 있고, 상부의 제2보강재(50)와 하부의 제2보강재(50)를 연결하는 연결보강재(70)가 더 구비된 형태로 구현하여 내구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제1보강재(60), 지지대(40), 연결보강재(70)가 하나로 일체화되어 각각의 분리결합모듈(120)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리결합모듈(120)이 제2보강재(50)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저장탱크의 분리하여 이동 후 재설치하는 것이 용이하다.
즉, 이동을 위해 저장탱크를 분리할 때 제1보강재(60), 지지대(40), 연결보강재(70)가 각각 연결된 상태로 각각 분리하여 이동하고, 각각 모듈화된 부분을 제2보강재(50)를 통해 연결하여 일체화되게 설치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모듈화된 구조에서 제2보강재(50)와 연결보강재(70)가 볼트(81)에 의해 결합되고, 점용접으로 일부 지점이 용접되어 있되 용접된 부분을 그라인더를 사용해서 제거할 수 있도록 된 경우 내구성이 더욱 우수하면서도 용접 부위를 용이하게 제거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본 고안과 같은 구조에서는 철판(10)에서 방수천(20) 방향으로 돌출된 물체가 존재할 수 있다.
즉, 철판(10)과 철판(10)의 연결을 위한 볼트(82)나 너트가 철판(10)에서 방수천(20)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 볼트(82)나 너트 등의 돌출된 물체가 방수천(20)을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할 필요성이 있다.
방수천(20)에 작은 구멍이라도 발생되면 철판(10)의 부식 등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철판(10)과 방수천(20)의 사이에는 철판(10)에서 방수천(20) 방향으로 돌출된 볼트(82) 등의 물체를 덮어 방수천(20)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부재(83)를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손상방지부재(83)는 부직포나 통상의 두꺼운 천일 수 있으며, 본드 등을 통해 철판(10)에 부착하여 철판(10)과 방수천(20) 사이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철판(10)에 의해 형성되는 저장공간(101)의 직경이 커질수록 변형되려는 힘은 더욱 강해지므로 더욱 강한 힘으로 지지해줄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제2보강재(5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링의 형태를 이루도록 결합되어 제2보강재를 지지해주는 복수 개의 추가보강재(제2보강재(50)와 같은 형태의 보강재가 됨)를 구비할 수 있다.(도시하지 않음)
그러나 이러한 구조는 추가보강재(84)로 인해 보강부(철판의 외측에서 철판을 지지하는 부분)의 크기가 너무 과도하게 커지면서도 내구성의 향상 효과는 크기가 커지는 것에 비해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 해소를 위해 철판(10)과 제2보강재(50) 사이는 석분, 흙, 모래, 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채움재(90)를 통해 채워져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채움재(90)가 철판(10)을 전체적으로 지지해주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저장공간(101)의 직경이 수십미터 및 그 이상이 되더라도 철판(10)의 변형이 방지된다.
철판(10)과 제2보강재(50) 사이에 채움채(90)를 채우기 위해서는 제2보강재(50)의 외측에 벽이 형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벽은 또 다른 철판(10)을 결합하여 형성할 수도 있고, 제2보강재(5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의 둑(95)이 형성됨으로써 벽이 형성된 형태일 수도 있다.
상기 둑(95)이 형성되는 구조에서는 반드시 둑(95)을 먼저 형성하고 채움재(90)를 채워야 하는 것은 아니다.
철판(10)과 제2보강재(50) 사이에 채움재(90)를 투입할 때 흘러나온 채움재(90)로 둑(95)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물론, 상기 2가지 형태가 혼용된 구조로 구현할 수도 있다.
상기 둑(95)의 상단부로 차량이 이동 가능할 정도로 넓게 구현할 수도 있다.
본 고안에서 저장공간(101)에 채워진 저장대상물을 덮는 덮개용 방수천(85)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저장된 저장대상물이 액체라고하더라도 저장대상물이 출렁이는 것이 방지되므로 내구성이 더욱 향상되다.
이러한 구조에서 방수천(85)의 상부에 채워지는 빗물 등을 제거하기 위한 배수관(86)과 밸브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고안에서 저장공간(101)으로 저장대상물을 투입하기 위한 저장대상물투입관(87)을 저장공간(101)으로 연결하고, 저장대상물을 배출하는 저장대상물배출관(88)도 구비할 수 있다.
전술한 본 고안의 변형방지재(30)를 저장공간(101)의 상단부를 형성하는 철판(10)의 상단부에도 구비하여 저장공간(101)의 상단부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방수천(20) 등을 고정시키는 것이 용이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고안의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바닥면은 콘크리트 등으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석분과 소석회 등을 뿌리고 다져서 두더지 등이 서식하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미설명 부호 89는 점용접을 실시한 용접부이고, 110은 제2보강재(50)가 링의 형태가 되도록 제2보강재(50) 간을 결합하는 제2보강재결합수단이다.
10. 철판
20. 방수천
30. 변형방지재
40. 지지대
50. 제2보강재
60. 제1보강재
70. 연결보강재
81. 볼트
82. 볼트(철판연결용)
83. 손상방지부재
84. 추가보강재
85. 덮개용 방수천
90. 채움재
95. 둑
86. 배수관
87. 저장대상물투입관
88. 저장대상물배출관
89. 용접부
101. 저장공간
110. 제2보강재결합수단
120. 분리결합모듈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저장탱크에 있어서,
    분리, 결합 가능하도록 되어 있고 결합되면 저장대상물을 저장하는 원통형의 저장공간(101) 내벽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철판(10);
    결합된 상기 복수 개의 철판(1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의 안쪽에 위치되어 저장되는 저장대상물이 철판(10)에 접촉되지 않도록 하면서 투입되는 저장대상물이 누출되지 않게 저장되도록 하는 방수천(20);
    결합된 철판의 외측에 접촉되고 상, 하로 연장된 형상의 제1보강재(60);
    복수 개가 결합되어 링의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1보강재(60)의 외측에 간격을 두고 위치되며 지지대(40)를 통해 제1보강재(60)와 연결되어 제1보강재(60)를 지지함으로써 제1보강재(60)와 철판(10)의 변형을 방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보강재(50); 및
    상부의 제2보강재(50)와 하부의 제2보강재(50)를 연결하는 연결보강재(70);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보강재(50)는 저장공간(101)의 외측 상단부에서 하단부 사이에 복수 개 위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1보강재(60), 지지대(40), 연결보강재(70)가 하나로 일체화되어 각각의 분리결합모듈(120)이 형성되고, 각각의 분리결합모듈(120)이 제2보강재(50)에 의해 하나로 연결되는 형태로 설치가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제2보강재(50)와 연결보강재(70)는 볼트(81)에 의해 결합되고, 점용접으로 일부 지점이 용접되어 있되 용접된 부분은 그라인더를 사용해서 제거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상기 철판(10)과 제2보강재(50) 사이는 석분, 흙, 모래, 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채움재(90)로 채워지도록 된,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철판(10)과 방수천(20)의 사이에는 철판(10)에서 방수천(20) 방향으로 돌출된 물체를 덮어 방수천(20)의 손상을 방지하는 손상방지부재(83)가 위치되어 있는,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6. 삭제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공간에 채워진 저장대상물을 덮는 덮개용 방수천(85)이 더 구비된,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KR2020120007339U 2012-08-20 2012-08-20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KR2004822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39U KR200482243Y1 (ko) 2012-08-20 2012-08-20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339U KR200482243Y1 (ko) 2012-08-20 2012-08-20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38U KR20140001238U (ko) 2014-03-04
KR200482243Y1 true KR200482243Y1 (ko) 2017-01-04

Family

ID=52441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339U KR200482243Y1 (ko) 2012-08-20 2012-08-20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2243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969Y2 (ja) * 1990-08-02 1997-05-28 株式会社大林組 円筒シェル構造物用補強材
JP2003072883A (ja) * 2001-08-31 2003-03-12 Ishii Iron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製貯槽
JP2003147989A (ja) * 2001-11-16 2003-05-21 Morimatsu Research Institution Co Ltd ライニングパネル付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壁を用いたタン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17258B2 (ja) 1998-07-29 2007-12-0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装置
KR101016329B1 (ko) * 2008-04-10 2011-02-22 주식회사 젠트로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6969Y2 (ja) * 1990-08-02 1997-05-28 株式会社大林組 円筒シェル構造物用補強材
JP2003072883A (ja) * 2001-08-31 2003-03-12 Ishii Iron Works Co Ltd コンクリート製貯槽
JP2003147989A (ja) * 2001-11-16 2003-05-21 Morimatsu Research Institution Co Ltd ライニングパネル付コンクリート壁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コンクリート壁を用いたタ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38U (ko) 2014-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4201B2 (en) Tank base
KR200482243Y1 (ko)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저장탱크
KR101391267B1 (ko) 이동 가능한 대용량의 분뇨 저장탱크
DE202006011483U1 (de) Erdtank
CN102407980A (zh) 一种双壁金属罐
CN102060337B (zh) 垃圾渗滤液或其浓缩液的回灌单元
CN101586412B (zh) 一种动态升高筒仓体增强竖向刚度的方法
US20140048475A1 (en) Vessels for Contaminated Liquids
KR101597496B1 (ko) 대용량 우수저장용 물탱크 및 그 시공 방법
CN106431533A (zh) 一种农废的腐熟方法及筒仓
AU2010101417B4 (en) A fluid storage tank
CN203834564U (zh) 一种箱泵一体化无浮泵站
CN105089105B (zh) 一种箱泵一体化无浮泵站
KR20110097331A (ko) 매립형 저장탱크
RU2761355C1 (ru) Способ утилизации жидкого навоза и устройства для его реализации
CN102140421A (zh) 多功能大型组合式沼气池
KR20090107616A (ko)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US20150329811A1 (en) Method of Using A Process Vessel
KR101721600B1 (ko) Pc부재 조립식 강화 저류조
CN206916916U (zh) 纤维增强树脂基复合材料储水池、水窖
EP4305250A1 (de) Flüssigkeitstank aus einem modifizierten seecontainer, zisternensystem, niederschlagssammelsystem, herstellungsverfahren und verwendungen
CN201964140U (zh) 一种气体收集管
CN201907979U (zh) 一种浮球和带有这种浮球的浮球串装置
CN201660623U (zh) 一种组合沼气池
JPH01288398A (ja) 嫌気性廃水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