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2045U -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 Google Patents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2045U
KR19990022045U KR2019990002460U KR19990002460U KR19990022045U KR 19990022045 U KR19990022045 U KR 19990022045U KR 2019990002460 U KR2019990002460 U KR 2019990002460U KR 19990002460 U KR19990002460 U KR 19990002460U KR 19990022045 U KR19990022045 U KR 1999002204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water
floating
synthetic resin
plate
storage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246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석
박성덕
Original Assignee
박용석
박성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석, 박성덕 filed Critical 박용석
Priority to KR2019990002460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2045U/ko
Publication of KR1999002204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2045U/ko

Links

Landscapes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제조하는 석유제품 제조공장이나 도료제조공장등 각종 산업시설에서 배출하는 폐수의 상면에 접촉식으로 부상시켜 폐수에서 발산되는 가스의 발생과 휘발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폐수저장조의 접촉식 부상형 덮개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은 중공부를 내부에 형성한 양단에 C 자 형상의 계합구와 이에 계합되는 삽입관을 각각 성형한 합성수지재 연결판 다수개를 계합구와 삽입관의 계합으로 연결시켜 폐수저장조의 크기와 일치되는 형상의 부상판, 이의 외주연 둘레와 상면의 적정위치에 설치한 우레탄 등의 수밀패킹과 투시창 및 부상판의 상·하면에 일정간격으로 설치한 보강용 강관과 합성수지의 부력상승관, 그리고 연결판에 우수배출관과 연결되는 우수공을 다수개 뚫어 설치하여서 된 것에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폐수저장조의 접촉식 부상형 덮개{Contacting and Floating cover of waste water reservoir}
본 고안은 휘발성 유기화합물질을 제조하는 석유제품 제조공장이나 도료제조공장 등 각종 산업시설에서 배출하는 폐수의 상면에 접촉식으로 부상시켜 폐수에서 발산되는 가스의 발생과 휘발을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폐수저장조의 접촉식 부상형 덮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 각종 산업공장에서 배출하는 폐수는 폐수저장조에 저장시켜 정화시켜 배출하게 되는 데 휘발성 유기화합물을 제조하는 석유제품공장은 물론 각종 산업공장에서 배출되는 폐수에는 기름등이 포함되어 폐수저장조에 저장하게 되면 가스가 발생하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폐수저장조에는 상부에 밀폐형 지붕을 설치하여 가스가 대기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폐수저장조에 밀폐형 지붕을 설치하게 되면 폐수에서 발산되는 대량의 가스가 내부에 충만되므로 별도의 배출관으로 페수저장조의 밖으로 빼내어 처리해야 하는 시설이 필요하고 이로 인한 경비부담이 과중할 뿐 아니라 처리작업에 필요한 인건비가 많이 소요되는 등 여러가지의 많은 폐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같은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폐수저장조에 종래와 같이 밀폐형 지붕을 설치하지 않고 폐수에 접촉식으로 부상시켜 폐수의 저수위에 따라 승강하면서 폐수로 부터 휘발성 가스가 발생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가스의 대기중 휘발을 방지코자 한 데 본 고안의 특징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예시사시도
도 2는 도 1의 "A-A" 선 단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C-C" 선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사용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중공부 2 : 계합구 3 : 삽입관
4,4' : 연결판 5 : 폐수저장조 6 : 부상판
7 : 수밀패킹 8 : 투시창 9 : 강관
10 : 부력상승관 11 : 고정링 12 : U볼트
13 : 우수배출관 14,14' : 우수공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중공부(1)를 내부에 형성한 양단에 C 자 형상의 계합구(2)와 이에 계합되는 삽입관(3)을 각각 성형한 합성수지재 연결판(4)(4') 다수개를 계합구(2)와 삽입관 (3)의 계합으로 연결시켜 폐수저장조(5)의 크기와 일치되는 형상의 부상판(6)을 구성하고 이의 외주연 둘레에 우레탄등의 수밀패킹(7)과 상면의 적정위치에 투시창 (8)을 설치한 부상판(6)의 상·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보강용 강관(9)과 합성수지의 부력상승관(10)을 고정링(11)과 U볼트(12)로서 고정 설치하며 부상판(6)을 구성하는 연결판(4)(4')에는 우수배출관(13)과 연결되는 우수공(14)(14')을 다수개 뚫어 설치하여서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고안의 부상판(6)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수저장조(5)의 폐수 수면에 접촉되게 덮어 놓게 되는 데 부상판(6)의 외주연 둘레에는 우레탄등의 수밀패킹(7)이 부착되어 있으므로 수밀패킹(7)이 폐수저장조(5)의 내벽에 밀착되어 기밀과 수밀이 유지되므로서 폐수에서 발생되는 가스는 대기로 방출되지 않게 되고 이러한 부상판(6)은 폐수의 저수위를 따라 상하로 승강하면서 폐수를 완전히 밀폐하게 되므로 폐수에서 가스의 발생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서 부상판(6)은 내부에 중공부(1)가 형성된 합성수지재 연결판(4) (4')으로서 계합구(2)와 삽입관(3)을 매개로 조립 연결되어 있고 또 상면에 보강용 강관(9)이 고정링(11)에 의해 일정간격으로 설치되어 있으므로 연결판(4)(4')은 강관(9)에 의해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결합되어 있게 되며 또한 저부에 부착된 합성수지의 부력상승관(10)에 의해 부력이 상승되어 부상판(6)의 상면에 작업자가 올라가 작업을 하여도 가라않지 않게 되며 작업자는 투시창(8)에 의해 폐수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부상판(6)을 구성하는 연결판(4)(4')에는 다수개의 우수공(14)이 뚫리고 저부에 우수배출관(13)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우천시 우수는 우수공(14)으로 빠져 우수배출관(13)을 통해 폐수와 혼합되므로 강수량에 관계없이 부상판(6)은 폐수의 상부에 항상 부상되어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폐수저장조(5)의 폐수에 접촉식으로 부상시켜 폐수에 포함된 가스의 발생을 완전히 차단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별도의 가스 처리시설을 필요로 하지 않아 경비가 절감되고 또한 제작이 매우 쉽고 간단하여 저렴한 가격으로 공급할 수 있어 매우 실용적이며 경제적인 잇점이 있는 우수한 고안이다.

Claims (1)

  1. 중공부(1)를 내부에 형성한 양단에 C 자 형상의 계합구(2)와 이에 계합되는 삽입관(3)을 각각 성형한 합성수지재 연결판(4)(4') 다수개를 계합구(2)와 삽입관 (3)의 계합으로 연결시켜 폐수저장조(5)의 크기와 일치되는 형상의 부상판(6)을 구성하고 이의 외주연 둘레에 우레탄등의 수밀패킹(7)과 상면의 적정위치에 투시창 (8)을 설치한 부상판(6)의 상하면에는 일정간격으로 보강용 강관(9)과 합성수지의 부력상승관(10)을 고정링(11)과 U볼트(12)로서 고정 설치하며 부상판(6)을 구성하는 연결판(4)(4')에는 우수배출관(13)과 연결되는 우수공(14)(14')을 다수개 뚫어 설치하여서 되는 폐수저장조의 접촉식 부상형 덮개.
KR2019990002460U 1999-02-18 1999-02-18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KR1999002204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460U KR19990022045U (ko) 1999-02-18 1999-02-18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2460U KR19990022045U (ko) 1999-02-18 1999-02-18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2045U true KR19990022045U (ko) 1999-06-25

Family

ID=5475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2460U KR19990022045U (ko) 1999-02-18 1999-02-18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2045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3B1 (ko) * 2007-08-02 2008-08-19 주식회사 파비노 부유커버
KR100960002B1 (ko) * 2010-01-07 2010-05-28 (주)디엔에스테크 승하강 가능한 슬러지 혼합조용 지붕유닛
KR101016329B1 (ko) * 2008-04-10 2011-02-22 주식회사 젠트로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KR102567752B1 (ko) * 2022-07-13 2023-08-1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해충의 산란 및 우화 억제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52723B1 (ko) * 2007-08-02 2008-08-19 주식회사 파비노 부유커버
KR101016329B1 (ko) * 2008-04-10 2011-02-22 주식회사 젠트로 저장조 덮개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조
KR100960002B1 (ko) * 2010-01-07 2010-05-28 (주)디엔에스테크 승하강 가능한 슬러지 혼합조용 지붕유닛
KR102567752B1 (ko) * 2022-07-13 2023-08-16 삼육대학교산학협력단 조립식 해충의 산란 및 우화 억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47754T3 (es) Disposicion para eliminar iones de metales pesados de aguas de desague de tejados.
US4254885A (en) Subterranean plastic tank
KR19990022045U (ko) 폐수저장조의접촉식부상형덮개
US10907340B1 (en) Wastewater basin
KR100681956B1 (ko) 다중구조를 갖는 맨홀
US6986226B2 (en) Manhole water seal-cap/diverter
KR200404731Y1 (ko) 콘크리트 구조물의 부식방지용 시트
KR200424087Y1 (ko) 콘크리트 정화조
KR200419099Y1 (ko) 콘크리트 오수처리시설
US5092482A (en) Sludge digesters with separate liquid chambers to buoy ballast members
JP2005139625A (ja) 貯水タンク及び貯水槽
KR200402141Y1 (ko) 맨홀 뚜껑 구조물
JP5315045B2 (ja) 雨水貯溜及び流出抑制のためのタンク
RU209999U1 (ru) Септик
KR200176659Y1 (ko) 제수변 보호통
KR100677904B1 (ko) 환경 친화적인 연약지반 하수로용 암거구조
CN214832910U (zh) 一种阀门井
KR20030039111A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0354623B1 (ko) 구배 및 설치깊이 조절이 용이한 맨홀세트
CN214883894U (zh) 一种防水且承重大的检修口
KR20130032972A (ko) 이중구조를 갖는 파형 강관의 연결구조
KR200304091Y1 (ko) 지하수 심정 청소를 위한 덮개장치
KR100509953B1 (ko) 우수침투용 우수받이
KR20030037534A (ko)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CN2548001Y (zh) 钢制混凝土地下防护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