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0037534A -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 Google Patents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0037534A
KR20030037534A KR1020010068759A KR20010068759A KR20030037534A KR 20030037534 A KR20030037534 A KR 20030037534A KR 1020010068759 A KR1020010068759 A KR 1020010068759A KR 20010068759 A KR20010068759 A KR 20010068759A KR 20030037534 A KR20030037534 A KR 20030037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meter
compartment
sewage
hol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68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성석
Original Assignee
류성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성석 filed Critical 류성석
Priority to KR1020010068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0037534A/ko
Publication of KR20030037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0037534A/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9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E03B7/095Component holders or housings, e.g. boundary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2Arrangement of flowmeter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8Arrangement of draining devices, e.g. manual shut-off val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지하로 매설되는 수도 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한 수도 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보호통에 자연배수수단을 강구하여 청결유지와 집수되는 오수 등에 의하여 겨울철에 수도계량기의 동파 등을 방지토록 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 수도 계량기의 보호통은 상면이 개방된 매몰되어지는 본체와 외부로 노출되어지는 뚜껑으로 구성되어 열려지거나 파손되는 뚜껑으로 인하여 내부에 빗물등이 유입되고, 또한 보호통의 바닥면에 배수구멍을 천공할 경우에는 배수구멍을 통하여 침출수가 유입되어짐으로 보호통의 불결함과 동파의 우려가 있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계량기 통의 밑면에 배수구멍을 천공하고, 배수구멍의 직하방으로는 격실을 형성하고 격실의 내부에는 부구가 수용토록 하여 부구의 부력으로 배수구멍으로 유입되는 침출수는 차단하고 자연배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수도계량기 보호통

Description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A protective box of a sewage-meter formed a discharge-device of a sewage auto matically}
본 발명은 지하로 매설되는 수도 계량기를 보호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수도 계량기 보호통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보호통의 상부에서 스며드는 오수 등은 자연 배수토록 하고, 보호통의 바닥면에서 유입되는 오수 등은 차단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도 계량기 보호통은 지반에 매몰된 상태에서 개방되어진 상면을 뚜껑으로 개폐토록 되는 구성이고, 보호통의 내부에는 외부의 지하 배관을 인입시키기 위한 인입관과 집안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토수관 사이에 수도 계량기가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뚜껑이 외력에 의하여 열리게 되거나 파손될 경우에는 보호통의 내부로 각종 오물이 유입되어짐은 물론, 보호통의 내부에는 인입관과 토수관을 배관토록 하기 위하여 보호통의 하부 측면 또는 바닥면으로 구멍을 관통함으로 이러한 부분으로 침출수 또는 오수등이 유입될 경우 빠져나가지 못하게 됨으로 보호통의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하기가 곤란하고, 특히 겨울철에는 이러한 오수등이 얼게 됨으로 보호통의 동파의 우려가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근래에는 본체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공을 체결볼트를 이용하여 착탈시키면서 보호통 내로 유입된 오수를 배출토록 한 수도계량기 보호통(등록번호 실1996-00038710)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반듯이 체결볼트를 작업자가 일일이 조이고 해체토록 함으로서 작동시켜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계량기 보호통의 밑면에 배수구멍을 천공하고, 배수구멍의 직하방으로는 일정공간의 격실을 형성하고, 상기 격실에도 보호통의 배수구멍을 통하여 배수된 오수 등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구멍을 갖고, 상기 격실의 내부에는 부구가 수용토록 하여 부구의 부력으로 보호통의 배수구멍과 격실의 배수구멍을 선택적으로 차단토록 함으로서 외부에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면서 자연배수가 가능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요부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확대 단면도.
도 3은 격실내에 부구가 하강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격실내에 부구가 상승된 상태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격실의 바닥면의 일실시 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격실의 격벽에 요철돌기기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 배수구멍2 : 격실
3 : 부구 4 : 배수공
5 : 가이드날개 6 : 돌출테
7 : 캡 8 : 패킹
9 : 지지축 10: 밀착돌기
11: 요철돌기 12: 받침돌조
13: 가이드날개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상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규격을 같는 보호통(100)과 상기 보호통(100)의 개구되어진 상면을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100)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구멍(1)이 천공되고 상기 구멍(1)의 직하방 즉 보호통의 바닥면 이면으로는 일정공간이 점유토록 되는 격실(2)이 구비되고, 상기 격실(2)의 바닥면은 배수구멍(1a)이 형성되며 격실의 내부에는 부력을 받는 부구(3)가 수납되어지는 구성이다.
또한 보호통(100)의 바닥면에 천공된 배수구멍(1)의 외측 테두리에는돌출테(6)를 형성하여 그 상부를 별도의 캡(7)으로 막아줌으로서 오수와 동시에 유입되어지는 슬러지에 의하여 구멍(1)이 막히게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고 이때 캡(7)은 탈착을 요할 경우에는 나사식이나 가압에 의한 끼움방식 등을 채용하고, 탈착이 불필요할 경우에는 융착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돌출테(6)와 캡(7)에는 배수를 위한 배수공(4,4a)이 천공되어 지는 것이고, 상기 배수공(4a)은 캡(7)의 상면에도 형성되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격실(2)에 수납되어지는 부구(3)의 상면은 외측으로 경사지게 형성함으로서 구멍(1)을 통하여 배수된 오수 등이 흘러내림이 용이한 것이고, 이때 부구(3)의 중앙 즉 배수구멍(1)을 막게 되는 부분에는 유연한 재질의 패킹(8)을 장착함으로서 배수구멍(1)의 밀폐상태를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패킹(8)의 중앙에는 지지축(9)을 형성하여 지지축(9)에 의하여 부구(3)의 유동에도 패킹(8)이 구멍(1)의 직하방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한 것이다.
또한 부구(3)가 상승하면서 패킹(8)이 밀착되는 배수구멍(1)의 직하방에는 밀착돌기(10)를 형성하여 슬러지등에 의하여 상승되는 부구(3)가 구멍(1)을 막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을 해소한 것이다.
또한 격실(2)의 내측 격벽(2a)에는 다수개의 요철돌기(11)를 형성하여 요철돌기(11)의 요부(11a)로 오수등이 배수토록 하거나 또는 요철돌기의 돌부(11b)로 오수등이 배수토록 하고, 이러한 요철돌기(11)에 의하여 부구(3)와 격실(2)의 마찰력을 최소화하여 부력의 작용을 향상토록 한 것이다.
또한 평상시에 부구(3)의 자중에 의하여 하강되어 있는 부구(3)가 밀착되어지는 격실(2)의 바닥면(2b)은 다공판으로 형성토록 함으로서 슬러지등에 의하여 어느 한 개의 배수구멍(1a)이 막혔을 경우에도 또 다른 배수구멍(1a)으로 배수토록 한 것이고, 상기한 바닥면(2b)의 상측으로는 하강되어진 부구(3)가 평상시에도 배수구멍(1a)을 막지 않토록 받침돌조(13)를 형성함으로서 부구(3)가 항상 격실(2)의 바닥면(2b)에서 떠있도록 한 것이다.
또한 격실(2)의 바닥면(2b)의 이면 외측으로는 가이드날개(5)를 돌출 형성하여 보호통(100)이 매설된 상태에서 매립되는 토사 등이 보호통(100)의 바닥면(100a)까지 매립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서 배수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때 격실(2)을 형성함에 있어서, 바닥면(2b)을 갖는 일체형으로 한 후 보호통의 하단에 결합시키거나 또는 격실(2)을 보호통(100)과 격벽(2a)이 일체로 형성토록 한 후 별도의 마개(13)를 이용하여 결합토록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격실의 구성이 본 발명의 목적이 아니다.
따라서 격실의 구성은 다양한 방식이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상태에서 보호통(100)의 상부로 유입되는 오수등은 격실(2)에 수납되어진 부구(3)가 자중에 의하여 격실(2)의 바닥면(2b)에 형성된 배수구멍(2a)을 막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보호통(100)의 바닥면(100a)에 천공된 배수구멍(1)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 자연배수가 되어 격실(2)로 빠져나가게 되고, 격실(2)로 빠져나간 오수 등은 격실(2)내에 수납되어진 부구(3)에 부력을 갖도록 하여 부구(3)의 자중에 의하여 막혀 있던 격실(2)의 배수구멍(2a)이 열리게 되면서외부로 배수토록 디는 것이다.
이때 외부에서 격실(2)의 배수구멍(2a)을 통하여 오수 등이 유입되고자 할 경우에는 격실(2)의 배수구멍(2a)을 통하여 유입된 오수 등은 부구(3)에 부럭을 갖도록 하여 부구(3)는 들어올려지면서 보호통(100)의 바닥면(100a)에 형성된 배수구멍(1)을 막게 됨으로 격실(2)내부로 유입되어진 오수 등이 보호통(100)의 내부로 유입되어지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도계량기 보호통 본체 내로 유입되어진 오수를 자동으로 배출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 오수의 유입을 방지하여 수도계량기의 동파 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0)

  1. 상면이 개방되고 소정의 규격을 같는 보호통(100)과 상기 보호통(100)의 개구되어진 상면을 덮는 뚜껑(200)으로 이루어진 수도계량기 보호통에 있어서, 상기 보호통(100)의 바닥면에 배수를 위한 배수구멍이 천공되고 상기 배수구멍의 직하방 즉 보호통의 바닥면 이면으로는 일정공간이 점유토록 되는 배수구멍을 갖는 격실이 구비되고, 상기 격실에는 부력을 받는 부구가 수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2. 제 1항에 있어서 보호통의 바닥면에 천공된 배수구멍은 그의 외측 테두리에는 배수공을 갖는 돌출테와 상기 돌출테에 결합되는 배수공을 갖는 캡으로 막아주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3. 제 1항에 있어서, 격실에 수납되어지는 부구의 상면은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형성됨을 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4. 제 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부구의 중앙에는 패킹을 장착하여 배수구멍의 밀폐상태를 강화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5. 제 4항에 있어서, 패킹의 중앙에는 지지축을 형성하여 패킹이 배수구멍의 직하방에 정확하게 위치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6. 제 1항에 있어서, 상승되는 부구의 패킹이 밀착되는 배수구멍의 직하방에는 밀착돌기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7. 제 1항에 있어서, 격실의 격벽내측에는 다수개의 요철돌기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8. 제 1항에 있어서, 부구가 밀착되어지는 격실의 바닥면은 다공판으로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9. 제1항에 있어서, 격실의 바닥면에는 부구가 배수구멍을 막지 않토록 받침돌조를 형성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10. 제1항에 있어서, 격실의 바닥면 이면 외측으로는 가이드날개를 돌출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20010068759A 2001-11-06 2001-11-06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20030037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9A KR20030037534A (ko) 2001-11-06 2001-11-06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68759A KR20030037534A (ko) 2001-11-06 2001-11-06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0037534A true KR20030037534A (ko) 2003-05-14

Family

ID=29568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68759A KR20030037534A (ko) 2001-11-06 2001-11-06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0037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16B1 (ko) * 2006-04-26 2007-02-12 (주)석탑엔지니어링 부력조절장치가 설치된 지하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1816B1 (ko) * 2006-04-26 2007-02-12 (주)석탑엔지니어링 부력조절장치가 설치된 지하 구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00632B2 (en) Sump liner
US4650365A (en) Watertight manhole insert
CA2347416A1 (en) Wide area water collection type underground water tank
US10907340B1 (en) Wastewater basin
KR200485881Y1 (ko) 하수구용 악취방지장치
JPH10102573A (ja) 貯留槽を兼ねる浸透桝
US6986226B2 (en) Manhole water seal-cap/diverter
KR20030037534A (ko) 오수의 자동배출수단이 형성된 수도계량기 보호통
KR100528615B1 (ko) 하수관의 역류방지를 위한 구조
KR20030039111A (ko) 수도계량기 보호통
CN108755465B (zh) 下水道结构
KR100403447B1 (ko) 무퇴수 부동전
JP2018062780A (ja)
KR200250520Y1 (ko) 인공풀
KR101392193B1 (ko) 맨홀에서 역류 감지 및 이의 방지장치
CN213268122U (zh) 一种集蓄水池功能和潜水泵集水池功能的新型水池
KR101028694B1 (ko) 악취차단장치가 설치된 맨홀
WO2004018788A1 (en) The apparatus for preventing of drainage reverse flow
JPH06336744A (ja) 地下構造物の自然排水装置
JP4569164B2 (ja) 制御機器の地下設置構造
JP2005060942A (ja) 排水トラップ
KR200294876Y1 (ko) 맨홀
KR200173528Y1 (ko) 배수조 조립체
JPH08158417A (ja) 雨水貯水装置
KR200294875Y1 (ko) 맨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