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6018B1 -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 Google Patents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6018B1
KR101016018B1 KR1020100014695A KR20100014695A KR101016018B1 KR 101016018 B1 KR101016018 B1 KR 101016018B1 KR 1020100014695 A KR1020100014695 A KR 1020100014695A KR 20100014695 A KR20100014695 A KR 20100014695A KR 101016018 B1 KR101016018 B1 KR 1010160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es
focal length
array
refractive p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희중
이영훈
황성훈
홍승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코닉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코닉스
Priority to KR102010001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6018B1/ko
Priority to EP10157804A priority patent/EP2365370A1/en
Priority to US12/748,676 priority patent/US8284493B2/en
Priority to JP2010096947A priority patent/JP2011170309A/ja
Priority to CN201010216171XA priority patent/CN102162901B/zh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60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60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6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for use in conjunction with image converters or intensifiers, or for use with projectors, e.g. objectives for projection TV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5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 G02B13/006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employing a special optical element at least one element being a compound optical element, e.g. cemented el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es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렌즈 어레이, 합성 프리즘, 커버 글래스 및 이미지 패널로 이루어진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배치된 제1 내지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이 구경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광선의 스톱면(STO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제6 렌즈를 지나는 광선은 구경 조리개를 기준으로 하여 렌즈면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되며, 광선이 지나지 않는 렌즈면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렌즈 어레이의 전체 높이가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PROJECTION LENS UNIT FOR PICO PROJECTOR}
본 발명은 생성된 화상을 스크린 등에 확대 투영하기 위한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휴대폰 등의 소형 휴대기기 등에 장착되고, 렌즈 어레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는 피코 프로젝터용의 투사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자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휴대폰, PDA 등의 개인 휴대기기가 급증하고 있으며, 또한 MP3, PMP, 카메라 등의 각종 기능을 구비한 휴대기기가 출시되고 있다.
또한, 이런 다기능 추세에 맞추어, 최근에는 소위 피코 프로젝터 또는 나노 프로젝터로 알려진 초소형의 프로젝터 기능을 탑재한 휴대기기가 선보이고 있다.
이런 소형의 프로젝터용 렌즈를 설계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것은 최소의 크기를 갖으면서 고성능의 기능을 구현해 내는 것이다. 또한, 경제성을 고려하여 저비용이어야 하며, 경량이면서, 왜곡 및 배율 색수차는 적어야하며, 상대적으로 긴 백포커스를 길이를 충족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일례로, 도 1은 종래 전장의 길이가 60mm 정도인 종래의 미니 프로젝트용 렌즈 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니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1)는 7매의 렌즈로 구성된 렌즈 어레이(10), 색합성을 위한 프리즘(20), 커버 글래스(30), 및 이미지 패널(40)을 포함하고, 렌즈 어레이(10)의 제1 렌즈(11)로부터 제7 렌즈(17)까지의 길이가 소위 전장 길이라고 불리고, 제7 렌즈(17)(최종 배치된 렌즈)로부터 이미지 패널(40)까지의 길이를 백포커스 길이(BFL)라고 불린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예의 미니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1)은 통상적으로 전장의 길이가 60mm 정도이고, 백포커스 길이의 경우 32mm 정도를 갖지만, BFL의 길이는 앞선 렌즈 어레이(10)의 설계에 따라 변경가능할 수 있다.
상기 도 1에 도시한 종래예에 사용된 전장길이가 60mm 정도인 미니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1)을 전장길이가 10mm인 피코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상기 미니 프로젝터 렌즈 유닛(1)을 상대적으로 1/10 정도의 비율로 축소하는 것을 고려해 볼 수 있다.
그러나, 전장길이가 60mm 정도인 미니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1)을 전장길이가 10mm 정도인 피코 프로젝터용 렌즈 유닛으로 축소하는 경우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의 축소는 설계상으로 변경할 수 있지만, 렌즈의 직경, 즉, 높이를 줄이는데 있어서는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렌즈 매수를 줄여 전장 길이를 짧게함과 동시에 렌즈의 높이까지 줄일 수 있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은, 렌즈 어레이, 합성 프리즘, 커버 글래스 및 이미지 패널로 이루어진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배치된 제1 내지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이 구경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광선의 스톱면(STO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제6 렌즈를 지나는 광선은 구경 조리개를 기준으로 하여 렌즈면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되며, 광선이 지나지 않는 렌즈측이 절단되어 렌즈 어레이의 전체 높이가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정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게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6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며,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하나의 접합 렌즈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6 렌즈의 제2 면까지의 전장 길이가 13mm이하이며,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2개의 렌즈는 비구면 렌즈이며, 상기 제1 렌즈 및 제5 렌즈는 비구면 렌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4, f5 및 f6라고 할 때,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1-2와 상기 제3 렌즈 내지 제6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3-6는 다음의 관계식; 1 <|f1-2/f3-6|< 2를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 f2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 f6는 다음의 관계식; 1< |f2/f6| <2를 만족하도록 설계된다. 이 때, 합성 초점거리 f1-2는 12mm 내지 15mm 사이이고, 상기 합성 초점거리 f3-6는 9mm 내지 10mm 사이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는 렌즈어레이를 구성하는 구성 요소 중 하나인 구경 조리계를 제1 렌즈의 제1 면에 위치시킴에 따라 상을 투영함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의 모든 면을 필요로 하지 않고 렌즈면의 일부만 사용함에 따라 렌즈 어레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미니 프로젝터에 사용되는 투사 렌즈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의 일부를 절단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10A)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투사 렌즈 유닛(10A)은 6매로 이루어진 렌즈 어레이(100), 커버 글래스(200), 색합성 프리즘(300) 및 이미지 패널(400)로 이루어진다.
렌즈 어레이(100)는 투사 렌즈의 전장 길이를 형성하며, 전장 길이는 13mm 이내인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어레이(100)는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측으로부터 제1 내지 제6 렌즈(110~150)가 차례대로 배치된다.
제1 렌즈(110)의 제1 면은 렌즈 어레이의 중심 축상에서 광선이 지나간 광학계에서의 광선 높이와 광학계 구성물의 크기의 비가 1에 가까운 구경 조리개의 역할을 수행하는 면으로 설정되고 제2 면과 함께 스크린에 대해 정(+)의 곡률을 갖고, 스크린측이 볼록면인 매니스커스 형태인 1매의 렌즈가 사용된다. 즉, 제1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다.
또 제2 렌즈(120)의 제3 면과 제4 면도 스크린에 대해 정의 곡률을 갖고, 스크린측이 볼록면인 매니스커스 형태인 1매의 렌즈가 사용된다. 즉,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스크린(150) 측으로부터 제2 렌즈(120)의 후방에는 제3 렌즈(130a)와 제4 렌즈(130b)가 하나의 접합 렌즈(130)로서 제공되며, 제3 렌즈(120)의 스크린측을 향한 표면이 제5 면으로서 기능하고, 제3 렌즈(130a)와 제4 렌즈(130b)의 접합면이 제6 면으로서 기능하며, 제4 렌즈(130b)의 스크린측 반대면이 제7 면으로서 기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3 렌즈(130a)와 제4 렌즈(130b)를 접합렌즈로서 구현하는 것은 캠코더, 디지털 카메라, 프로젝터를 포함하는 줌 렌즈 광학계에서는 고분산 렌즈(제3 렌즈(130a))와 저분산 렌즈(제4 렌즈(130b))를 접합렌즈로 이용함으로써 배율색수차 중 고차색수차와 같은 비축상에서 발생되는 수차를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실시예에서 고분산 렌즈로 사용된 제3 렌즈(130a)는 아베수(아베수는 분산값의 역수임) Vd = 28.32인 렌즈가 사용되었고, 제4 렌즈(130b)는 Vd = 60.34인 것이 사용되었으며, 이들 렌즈의 아베수는 30 이상의 차이가 나도록 설계되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 렌즈(130a)의 제5 면은 부(-)의 곡률을 갖고, 접합면인 제6 면은 정의 곡률을 가지며, 제4 렌즈(130b)의 제7 면은 부의 곡률로 이루어진다. 즉, 제3 렌즈와 제4 렌즈로 이루어진 제3 렌즈군은 부의 굴절능을 갖는다.
또한, 제5 렌즈(140)는 제8 면 및 제9 면을 포함하는 1매의 렌즈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8 면은 부의 곡률, 제9 면도 부의 곡률을 가지며, 상기 제4 렌즈(140)는 상측이 볼록한 매니스커스 형태를 갖는다. 즉,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다.
또한, 제6 렌즈(150)는 제10 면 및 제11 면을 포함하는 1매의 렌즈로 이루어지며, 여기서 제10 면은 정의 곡률, 제11 면은 부의 곡률을 갖고, 제6 렌즈(150)는 스크린측과 상측이 모두 볼록형태를 갖는다. 즉, 제6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다. 이때 제6 렌즈(160)의 초점 거리는 f6<12인 것으로 렌즈 어레이(100) 중 가장 높은 파워(power)를 갖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어레이의 구조에서는 제1 렌즈의 제1 면은 렌즈 어레이의 중심 축상에서 광선이 지나간 광학계에서의 광선 높이와 광학계 구성물의 크기의 비가 1에 가까운 구경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구경 조리개를 통과한 광선 다발이 제2 렌즈에서 제6 렌즈를 통과함에 있어서 렌즈 어레이를 구성하는 모든면의 한쪽 방향으로만 광선이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도 2에서 선분 X-X'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3 렌즈 내지 제6 렌즈에 있어서 광선다발이 지나지 않는 X-X' 하측의 렌즈들을 절단하여 가공하는 것이 가능하여,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광선이 지나지 않는 렌즈 부분을 절단해 냄으로써 렌즈 어레이(100)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 어레이(100)는 제1 내지 제6 렌즈가 텔레센트릭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졌으며, 제1 내지 제6 렌즈는 차례대로 정, 정, 부, 정, 정, 정의 순서로 배열된다. 렌즈의 굴절능에 대해서는 이하의 표를 참조하여 별도로 설명한다.
표 1은 본 발명에 이용된 렌즈 어레이(100)의 제1 내지 제6 렌즈(110~150)의 초점거리를 나타낸 표이다. 아래의 표에서 제3 렌즈(130a)와 제4 렌즈(130b)는 2매의 렌즈가 하나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기 때문에 3군 렌즈로서 표기될 수도 있다.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 렌즈(150)는 f6<12인 것으로 렌즈 어레이(100) 중 가장 높은 파워(power)(굴절능)를 갖는 것으로 설계되었다.
(표 1)
Figure 112010010730961-pat00001

아래의 표 2은 본 발명에 이용된 렌즈 어레이(100)의 제1 내지 제6 렌즈(110~150)의 굴절능을 나타낸다. 아래의 표에서 제3 렌즈(130a)와 제4 렌즈(130b)는 2매의 렌즈가 하나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기 때문에 3군 렌즈로서 표기하였다.
(표 2)
Figure 112010010730961-pat00002
여기서, 렌즈의 굴절능은 렌즈 또는 굴절면의 초점 거리의 역수를 뜻하며, 그 값은 하기의 식으로 구해진다.
K = (n'-n)(1/R1-1/R2):
여기서 n' = 렌즈의 굴절률, n = 공기의 굴절률, R1 = 렌즈 첫번째 면의 곡률, R2 = 렌즈 두번째 면의 곡률이다. 또한, 렌즈 어레이(100)의 총 굴절능은 K=1/EFL (EFL = 유효초점거리)의 관계가 있다.
이미지 패널(15) 등에 형성된 이미지는, 도시하지 않은 프로젝터의 분광 시스템을 통해 R, G, B로 분광된 후, 조명계의 색합성부를 통해 색합성이 완료되고 나서 이미지 패널(15)에 이미지가 형성된다. 이후, 광경로를 짧게해주는 프리즘(300)을 지나 제6 렌즈(150)의 제11 면 및 제10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6 렌즈(150)는, 아베수가 60.3이며, 초점거리 f6가 11.98mm인 렌즈가 사용되었다.
또한, 제6 렌즈(150)로부터 수속된 광은 제5 렌즈(140)의 제9 면 및 제8 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5 렌즈(140)는 아베수가 55.8이며, 초점거리 f5가 55.99mm인 렌즈가 사용되었다.
제5 렌즈(140) 및 제6 렌즈(150)의 배열로부터 알 수 있듯이, 제5 렌즈는 곡률반경의 절대값이 작은측이 프리즘 방향을 향해 있으며, 제6 렌즈는 두 면의 곡률반경이 똑같이 배열되어 있으며, 광은 제6 렌즈(150) 및 제5 렌즈(140)를 통해 제3 렌즈군(130)로 수속된다.
제3 렌즈군(130)는 제1 요소 렌즈(130a)와 제2 요소 렌즈(130b)로 이루어지며, 제5 면, 제6 면, 제7 면의 3개의 렌즈 면을 갖는다. 여기서, 제3 렌즈군의 초점거리 f3은 -13.51mm인 접합렌즈가 사용된다. 제3 렌즈군(130)에서는 곡률반경의 절대값이 큰 제7 면이 프리즘(300)을 향해 있고, 곡률반경의 절대값이 작은 제5 면이 스크린 방향을 향하도록 설계되는게 바람직하며, 광은 제7 면 내지 제5 면을 통해 제2 렌즈(120)로 수속된다.
또한, 제3 렌즈군(130)로부터 수속된 광은 제2 렌즈(120)의 제4 면 및 제3 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2 렌즈(120)는, 아베수가 29.5이며, 초점거리 f2가 15.66mm인 렌즈가 사용되었으며, 제4 면 및 제3 면을 통과한 광은 확산되어 제1 렌즈(110)으로 투사된다.
이어서, 제2 렌즈(120)로부터 확산되어 입사된 광은 제1 렌즈(110)의 제2 면 및 제1 면을 통과하게 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제1 렌즈(110)는, 아베수가 55.8이며, 초점거리 f1이 45.00mm인 렌즈가 사용되었으며, 제2 면 및 제1 면을 통과한 광은 스크린으로 확대 투사된다. 여기서, 제1 렌즈(110)의 제1 면은 구경 조리개로서 기능을 수행하도록 렌즈의 제1 면이 스톱(STOP)면으로서 작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렌즈의 제1 면이 스톱면으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로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렌즈의 제2면 또는 제1 렌즈와 제2 렌즈 사이에 스톱면이 형성되어도 설계에 따라 렌즈 어레이의 전반적인 높이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에서는 렌즈 어레이의 전체적인 높이를 줄이기 위해 렌즈의 스톱면이 스크린 측에 가깝게 위치할 수록 좋다.
또한, 상기 실시 예에서 광학 렌즈의 수차나 왜곡 등을 포함한 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3 렌즈군(130)을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였지만, 상기 제1 내지 제 6 렌즈 중 어느 하나를 비구면 렌즈 또는 접합렌즈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6매의 렌즈로 이루어진 렌즈를 설계하는 경우, 제1 렌즈(110) 및 제6 렌즈(150)는 렌즈 표면의 스크레치 발생 등을 고려하여 표면 경도가 높은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제1 렌즈(110)와 제5 렌즈(140)를 비구면 렌즈로 하여 투사렌즈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구면 렌즈는 다음의 식1을 사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112010010730961-pat00003
(식 1)
여기서 X와 Y는 방향을 뜻하는 것으로 광축방향을 X축, 광축과 직교하는 방향을 Y측으로 설정한다. 비구면은 (식1)에 의해 얻어지는 곡선을 공축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얻어지는 곡선이다. 이 때 R은 렌즈의 곡률반경, K는 코닉상수, A, B, C, D, E, F는 비구면 계수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렌즈 어레이(100)는 제1 렌즈 내지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4, f5 및 f6라고 할 때, 전체 초점 길이 f는 10mm 내지 11mm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코 프로젝터용 렌즈 어레이(100)는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1-2와 상기 제3 렌즈 내지 제5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3-6는 다음의 관계식, 1 < |f1-2/f3-6| < 2를 만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 |f1-2/f3-6| = 1.27961mm이다.
또한, 제2 렌즈의 초점거리 f2와 상기 제5 렌즈의 초점거리 f6는 다음의 관계식 1<|f2/f6|<2를 만족하고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 |f2/f6| = 1.31mm 이다. 합성 초점거리 f1-2는 12mm 내지 15mm 사이이고, 상기 합성 초점거리 f3-6는 9mm 내지 10mm 사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렌즈 어레이 200: 커버 글래스
300: 색합성 프리즘 400: 이미지 패널
110: 제1렌즈 120: 제2렌즈
130a: 제3 렌즈 130b: 제3 렌즈
140: 제5렌즈 150: 제6 렌즈

Claims (7)

  1. 렌즈 어레이, 색합성 프리즘, 커버 글래스 및 이미지 패널로 이루어진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에 있어서,
    상기 렌즈 어레이는 화상이 투영되는 스크린 측으로부터 차례대로 배치된 제1 내지 제6 렌즈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이 렌즈 어레이의 중심축상에서 광선이 지나간 높이와 제1 렌즈의 크기의 비가 1 근방인 구경 조리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광선의 스톱면(STOP)이 형성되며, 상기 제1 렌즈로부터 제6 렌즈를 지나는 광선은 구경 조리개를 기준으로 하여 렌즈면의 어느 한쪽 방향으로만 진행되며, 광선이 지나지 않는 렌즈면의 일부분이 절단되어 렌즈 어레이의 전체 높이가 축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는 정(+)의 굴정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2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3 렌즈는 부(-)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게 제4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5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고,
    상기 제6 렌즈는 정(+)의 굴절능을 갖는 렌즈이며,
    상기 제3 렌즈 및 상기 제4 렌즈는 하나의 접합 렌즈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의 제1 면으로부터 상기 제6 렌즈의 제2 면까지의 전장 길이가 13mm이하이며,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 중 2개의 렌즈는 비구면 렌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및 제6 렌즈는 표면 스크레치 발생을 방지하는 표면 경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 내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를 각각 f1, f2, f3-4, f5 및 f6라고 할 때,
    상기 제1 렌즈 및 제2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1-2와 상기 제3 렌즈 내지 제6 렌즈의 합성 초점거리 f3-6는 다음의 관계식;
    1 <|f1-2/f3-6|<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렌즈의 초점거리 f2와 상기 제6 렌즈의 초점거리 f6는 다음의 관계식;
    1< |f2/f6| <2를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 초점거리 f1-2는 12mm 내지 15mm 사이이고, 상기 합성 초점거리 f3-6는 9mm 내지 10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KR1020100014695A 2010-02-18 2010-02-18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KR1010160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95A KR101016018B1 (ko) 2010-02-18 2010-02-18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EP10157804A EP2365370A1 (en) 2010-02-18 2010-03-25 Projection lens unit for pico-projector
US12/748,676 US8284493B2 (en) 2010-02-18 2010-03-29 Projection lens unit for pico-projector
JP2010096947A JP2011170309A (ja) 2010-02-18 2010-04-20 ピコプロジェクター用投射レンズユニット
CN201010216171XA CN102162901B (zh) 2010-02-18 2010-06-18 微型投影机的投影透镜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4695A KR101016018B1 (ko) 2010-02-18 2010-02-18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6018B1 true KR101016018B1 (ko) 2011-02-23

Family

ID=43713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4695A KR101016018B1 (ko) 2010-02-18 2010-02-18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284493B2 (ko)
EP (1) EP2365370A1 (ko)
JP (1) JP2011170309A (ko)
KR (1) KR101016018B1 (ko)
CN (1) CN102162901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950A (zh) * 2017-12-27 2019-07-05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120180B2 (en) * 2012-07-12 2015-09-01 Electro Scientific Industries, Inc Interactive control system, methods of making the same, and devices incorporating the same
KR102180476B1 (ko) 2013-12-17 2020-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JP2018180238A (ja) 2017-04-12 2018-11-15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光学系および画像投射装置
JP7135298B2 (ja) 2017-10-27 2022-09-13 株式会社リコー 投射光学系、画像投射装置
CN108681183B (zh) * 2018-06-07 2024-05-14 玉环市环宇光学仪器股份有限公司 一种反向渐变镜
WO2022078025A1 (zh) * 2020-10-14 2022-04-2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镜头、投影光机以及近眼显示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164B1 (ko) * 1995-03-14 1998-08-17 이대원 프로젝터용 투영광학계
KR20050057556A (ko) * 2002-09-25 2005-06-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대칭 애퍼처 조리개
KR20080008244A (ko) * 2006-07-19 2008-01-2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프로젝터 광학계
KR20100023179A (ko) * 2008-08-21 2010-03-04 주식회사 세코닉스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604013A (en) * 1951-08-08 1952-07-22 Eastman Kodak Co Ultrahigh-aperture five component objectives
JPS57190917A (en) * 1981-05-20 1982-11-24 Canon Inc Superwide-angle zoom lens
JP2679016B2 (ja) * 1986-12-08 1997-11-19 ミノルタ株式会社 有限距離用ズームレンズ系
JPH01123207A (ja) * 1987-11-06 1989-05-16 Minolta Camera Co Ltd マイクロフィルム投影レンズ系
JP2787457B2 (ja) * 1989-01-11 1998-08-20 旭光学工業株式会社 前絞りテレセントリック投影レンズ
JPH03114016A (ja) * 1989-09-28 1991-05-15 Minolta Camera Co Ltd 投影レンズ系
JPH09304694A (ja) * 1995-11-07 1997-11-28 Nikon Corp 投射レンズ系及びそれを備えた投射装置
US5822139A (en) * 1996-05-10 1998-10-13 Hitachi Electronics Engineering Co., Ltd. Method of detecting thermal asperity error of MR head and magnetic disk certifier using the same method
US6188523B1 (en) * 1999-11-16 2001-02-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jection lens unit for projector
CN1823518A (zh) * 2003-07-14 2006-08-23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投影设备
JP2006023361A (ja) * 2004-07-06 2006-01-26 Fujinon Corp 投映表示装置
ES2393768T3 (es) 2005-05-26 2012-12-27 Neuron Systems, Inc Derivado de quinolina para el tratamiento de enfermedades retinianas
TWI355507B (en) * 2007-07-27 2012-01-01 Young Optics Inc Fixed-focus len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41164B1 (ko) * 1995-03-14 1998-08-17 이대원 프로젝터용 투영광학계
KR20050057556A (ko) * 2002-09-25 2005-06-16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비-대칭 애퍼처 조리개
KR20080008244A (ko) * 2006-07-19 2008-01-23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프로젝터 광학계
KR20100023179A (ko) * 2008-08-21 2010-03-04 주식회사 세코닉스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75950A (zh) * 2017-12-27 2019-07-05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CN109975950B (zh) * 2017-12-27 2021-06-04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光学镜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365370A1 (en) 2011-09-14
CN102162901A (zh) 2011-08-24
US8284493B2 (en) 2012-10-09
US20110199690A1 (en) 2011-08-18
CN102162901B (zh) 2013-06-12
JP2011170309A (ja) 201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6018B1 (ko)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TWI665487B (zh) 定焦鏡頭
TWI447426B (zh) 取像鏡頭
JP2008116915A (ja) ズームレンズ
TWM471592U (zh) 攝像鏡頭以及具備該攝像鏡頭的攝像裝置
KR20160000759A (ko) 소형 망원 렌즈 시스템
JP2010145648A (ja) 3群構成の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KR101802036B1 (ko)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KR101017086B1 (ko)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JP6573438B1 (ja) 撮像光学システム
JP2013145330A (ja) 撮像レンズ
US10877250B2 (en) Lens assembly
TW201723562A (zh) 光學成像鏡頭
CN117761874A (zh) 定焦镜头
TWM494923U (zh) 攝影透鏡以及具備攝影透鏡的攝影裝置
CN111830684B (zh) 紧凑型长焦镜头
JP2023538323A (ja) 光学系
KR100992259B1 (ko) 고선명 촬상 광학계
KR101005757B1 (ko) 피코 프로젝터용 투사 렌즈 유닛
JP2007156417A (ja) ズームレンズおよびデジタルカメラおよび携帯情報機器
KR102017795B1 (ko) 광각 촬상 광학계
KR20150012571A (ko)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JP2012220590A (ja)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モジュール
CN114859504B (zh) 光学镜头及电子设备
CN210982892U (zh) 一种外置于手机的广角镜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