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439B1 -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 Google Patents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439B1
KR101014439B1 KR1020080097592A KR20080097592A KR101014439B1 KR 101014439 B1 KR101014439 B1 KR 101014439B1 KR 1020080097592 A KR1020080097592 A KR 1020080097592A KR 20080097592 A KR20080097592 A KR 20080097592A KR 101014439 B1 KR101014439 B1 KR 1010144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uction pipe
oil pan
hole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8572A (ko
Inventor
최수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7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439B1/ko
Publication of KR201000385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85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4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4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00Pressure lubrication
    • F01M1/02Pressure lubrication using lubricating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004Oilsumps
    • F01M2011/0062Gas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MLUBRICATING OF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LUBRICAT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RANKCASE VENTILATING
    • F01M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M1/00 - F01M9/00
    • F01M11/04Filling or draining lubricant of or from machines or engines
    • F01M11/0408Sump drainage devices, e.g. valves, plugs
    • F01M2011/0416Plu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ubrication Details And Ventilation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인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는 엔진에 마련된 오일팬(100)의 바닥에 형성되며, 관통공(112)이 마련된 오일흡입관(110)과;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112)을 통하여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일부분이 관성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마련된 이동식흡입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이 회전시에 상기 오일팬(100) 내부에 마련된 오일이 관성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의 일부분은 오일에 둘러싸이도록 이동식흡입관(120)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경우에 이동식흡입관에는 언제나 오일만 유입되어 스크린에 의하여 필터링된 후에 오일펌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에어래이션(Aeration)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흡입관, 관통공

Description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Oilpan Assembly Device}
본 발명은 에어래이션을 방지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내연기관에서 엔진의 윤활장치는 기관의 작동이 원할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해 기관의 마찰부분에 엔진 오일을 공급하는 장치이다.
기관에는 실린더와 피스톤처럼 접동(摺動)을 하는 부분이나, 크랭크샤프트 및 캠샤프트와 같이 회전운동을 하는 부분이 있으며, 이러한 부분들에서 윤활유 없이 금속끼리 직접 접촉되면 마찰열이 발생되고, 마찰면이 거칠어져 빨리 마모되거나 눌어붙는 등의 고장이 발생되어 기관이 운전될 수 없게 된다.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금속의 마찰면에 윤활유로 오일이 주입되어 그 사이에 유막(oil film)을 형성하고 고체마찰이 오일의 유체마찰로 바뀐다. 따라서 마찰저항이 적어져 마모가 적고 마찰열로 인한 온도 상승이 방지된다.
이러한 오일은 엔진의 운전상태 및 도로조건에 따라 그 수명이 결정되며, 오일팬 내의 오일이 부족할 경우 각종 윤활부분의 마모와 엔진 과열을 가져와 엔진의 수명 및 내구성에 악영향을 주게 된다.
도 1은 종래 엔진 오일순환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으로, 오일팬(10) 내에 들어있는 오일은 오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스크린(Screen)(20)을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다음, 오일펌프(30)의 배출구로 뿜어 올려 진다.
그리고 상기 뿜어 올려진 오일은 오일통로(40)를 통하여 회전하는 피스톤(55)과 연결된 크랭크샤프트(50)와, 상기 크랭크샤프트(50)의 상방에 위치된 캠샤프트(60)에 유입되어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스크린(20)과 오일팬(10)으로 이루어진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는 상기 오일펌프(30)에서 오일팬(10)의 바닥 방향으로 이어진 오일이동관(22)의 하단에 마련된 상기 스크린(20)이 오일팬(10)과 별도로 제작되어 오일팬(10)의 내부 바닥 부근에 볼팅 등으로 고정 장착된다.
상기 스크린(20)은 그 주위가 오일팬(10)의 내부에 차 있는 오일로 둘러싸여 있어서, 상기 오일펌프(30)에 의해서 빨려 올려지는 오일이 스크린(20)을 통과하면 불순물이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는 상기 스크린(20)이 오일팬(10)의 내부 바닥 부근의 한 지점에 고정 장착되어 있어서, 차량이 좌회전하거나 우회전 할 때에 오일팬 내부에 위치된 오일이 관성력에 의해 한쪽으로 쏠릴 경우에 스크린(20)이 오일과 접촉되지 않고 공기와 접촉되게 되어 오일 기포가 발생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 기포가 오일통로(40)를 따라서 이동되면서 기존에 오일에 의하여 마찰이 방지되었던 엔진 내부에 마찰이 발생되는 에어레이션(Aeration) 현상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에어레이션이 방지되는 구조를 가지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엔진에 마련된 오일팬(100)의 바닥에 형성되며, 관통공(112)이 마련된 오일흡입관(110)과;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112)을 통하여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일부분이 관성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마련된 이동식흡입관(12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이 회전시에 상기 오일팬(100) 내부에 마련된 오일이 관성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의 일부분은 오일에 둘러싸이도록 이동식흡입관(120)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오일흡입관(110)에는 스크린(134)이 일체로 형성된 오일드레인플러그(130)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벽과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드레인플러그(130)의 스크린(134) 부분 둘레 사이에는 실링장치가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에는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걸림부(122) 가 마련될 수 있고, 상기 오일흡입관(110)은 오일펌프(300)에서 연결된 오일이동관(140)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오일흡입관(110)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경우에 이동식흡입관에는 언제나 오일만 유입되어 스크린에 의하여 필터링된 후에 오일펌프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에어래이션(Aeration)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인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오일드레인플러그 주위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는 엔진의 하부에 마련된 오일팬(100)과, 상 기 오일팬(100)의 바닥에 형성되는 오일흡입관(110)과, 관성에 의하여 상기 오일흡입관(110)에 마련된 관통공(112)을 통하여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일부분이 이동되도록 마련된 이동식흡입관(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차량의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상기 오일흡입관(110)은 오일펌프(300)에서 연결된 오일이동관(140)과 연결되며, 오일흡입관(110)으로 유입되는 오일은 오일펌프(300)에 압력에 의하여 오일이동관(140)을 거쳐 이동된다.
상기 오일펌프(300)에서 수직하방으로 형성된 오일이동관(140)은 오일팬(100)의 내부측벽에 형성되고, 상기 오일이동관(140)의 하단과 연결된 오일흡입관(110)은 오일팬(100)의 내측바닥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오일흡입관(110)에는 상기 관통공(112)의 반대편에 오일배출공(114)이 마련되고, 상기 오일배출공(114)에는 스크린(134)이 일체로 형성된 오일드레인플러그(130)가 결합된다.
이를 좀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오일배출공(114)의 둘레에는 암나사부(116)가 형성되고, 상기 오일드레인플러그(130)에는 상기 암나사부(116)에 결합되는 수나사부(132)와 오일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스크린(134)이 고정되는 스크린고정용프레임(13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스크린고정용프레임(136)에 스크린(134)이 고착된 후에, 상기 오일드레인플러그(130)는 그의 수나사부(132)가 상기 암나사부(116)에 결합됨을 통하여 상기 오일흡입관(110)에 결합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오일드레인플러그(130)가 오일흡입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스크린(134)은 상기 이동식흡입관(120)과 오일이동관(140)의 중간에 위치되어 이동식흡입관(120)을 통하여 유입된 후 오일이동관(140)으로 이동되는 오일 중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게 된다.
한편, 도 3과 같이 상기 오일드레인플러그(130)가 오일흡입관(1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벽과 상기 스크린고정용프레임(136) 부분의 선단 둘레 사이에는 오링(O-Ring) 등의 제 1 실링부재(152)가 마련되어 이동식흡입관(1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이 스크린(134)만을 통하여 이동되도록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이동식흡입관(120)을 통하여 유입되는 오일이 스크린고정용프레임(136) 둘레와 오일흡입관(110)의 내벽 사이를 통하여 이동되지 않게 되어 이물질이 제거되지 않은 오일이 오일펌프(300)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상기 수나사부(132)와 암나사부(116)의 주위에도 오링(O-Ring) 등의 제 2 실링부재(154)가 마련되어, 스크린(134)을 통과하는 오일이 오일드레인플러그(130)가 결합된 오일배출공(114)을 통하여 오일팬(100)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한편,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에는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걸림부(122)가 오일흡입관(110)의 내측에 위치된 이동식흡입관(120)의 끝단에 마련되며, 이동식흡입관(120)에는 내부에 오일이동공(126)이 마련된다.
상기 걸림부(122)의 둘레는 오일흡입관(110)의 내부 둘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고, 이동식흡입관(120)의 몸체(124) 둘레는 상기 관통공(112)의 내측 둘레 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접하여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은 오일흡입관(110) 내부에서 슬라이딩 되면서 관성에 따라서 이동 가능한 구조를 갖는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차량 좌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차량의 우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인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는 차량이 회전시에 상기 오일팬(100) 내부에 마련된 오일이 관성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의 끝단 둘레는 오일에 둘러싸이도록 이동식흡입관(120)이 관성에 의해 이동된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차량이 좌회전하는 경우에는 오일팬(100)의 오일이 우측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이동식흡입관(120)도 관성에 의하여 오일흡입관(110)의 외부로 많이 노출되도록 이동되면서 이동식흡입관(120)의 끝단 둘레가 오일에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상기 오일은 상기 오일이동공(126)을 따라서 이동식흡입관(120)을 관통하여 오일흡입관(110) 내부로 유입된 후에 오일에 섞여 있는 이물질을 걸러내는 역할을 하는 스크린(134)(Screen)을 거쳐 불순물이 제거된 다음, 오일펌프(300)의 방향으로 뿜어 올려 진다.
상기 뿜어 올려진 오일은 종래 기술과 같이 오일통로(400)를 통하여 회전하는 피스톤과 연결된 크랭크샤프트(500)와, 상기 크랭크샤프트(500)의 상방에 위치된 캠샤프트(600)에 유입되어 윤활작용을 하게 된다.
한편, 도 5와 같이 차량이 우회전하는 경우에는 오일팬(100)의 오일이 좌측 방향으로 쏠리게 되는데, 이때 이동식흡입관(120)이 오일흡입관(110)의 내부로 많이 이동되어 이동식흡입관(120)의 끝단 둘레가 역시 오일에 둘러싸이게 된다.
그리고 오일은 오일이동공(126)을 따라서 이동식흡입관(120)을 관통하여 오일흡입관(110) 내부로 유입되며, 다음 과정은 상기 차량이 좌회전하는 경우와 같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차량이 좌회전하거나 우회전하는 경우에 이동식흡입관(120)에는 언제나 오일만 유입되어 스크린(134)에 의하여 필터링된 후에 오일펌프(300) 방향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공기의 유입으로 인한 에어래이션(Aeration)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엔진 오일순환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인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오일드레인플러그 주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차량 좌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차량의 우회전시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오일팬 110: 오일흡입관
112: 관통공 120: 이동식흡입관
134: 스크린 140: 오일이동관
152: 제 1 실링부재 154: 제 2 실링부재
300: 오일펌프

Claims (6)

  1. 삭제
  2. 엔진에 마련된 오일팬(100)의 바닥에 형성되며, 관통공(112)이 마련된 오일흡입관(110)과;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부에 마련되며, 상기 관통공(112)을 통하여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일부분이 관성에 의하여 이동되도록 마련된 이동식흡입관(120); 및
    상기 오일흡입관(110)에 마련되는 스크린(134)이 일체로 형성된 오일드레인플러그(130)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차량이 회전시에 상기 오일팬(100) 내부에 마련된 오일이 관성에 의해 한쪽으로 쏠리더라도 오일흡입관(110) 외부로 노출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의 일부분은 오일에 둘러싸이도록 이동식흡입관(120)이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110)의 내벽과 오일이 유입되는 오일드레인플러그(130)의 스크린(134) 부분 둘레 사이에는 실링장치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4.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흡입관(120)에는 상기 관통공(112)에 걸리는 걸림부(122)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5.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110)은 오일펌프(300)에서 연결된 오일이동관(140)과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6.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오일흡입관(110)은 차량의 횡방향으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KR1020080097592A 2008-10-06 2008-10-06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KR1010144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92A KR101014439B1 (ko) 2008-10-06 2008-10-06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592A KR101014439B1 (ko) 2008-10-06 2008-10-06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72A KR20100038572A (ko) 2010-04-15
KR101014439B1 true KR101014439B1 (ko) 2011-02-14

Family

ID=42215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592A KR101014439B1 (ko) 2008-10-06 2008-10-06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43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821U (ja) * 1992-05-12 1993-12-0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ストレーナ装置
JPH0842319A (ja) * 1994-07-29 1996-02-13 Kubota Corp 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9980027497U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자동변속기의 가변형 오일 흡입관
JP2002533611A (ja) * 1998-12-28 2002-10-08 モートレンファブリーク ハッ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特に単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等の内燃機関のオイル吸引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89821U (ja) * 1992-05-12 1993-12-07 日産ディーゼル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オイルストレーナ装置
JPH0842319A (ja) * 1994-07-29 1996-02-13 Kubota Corp エンジンの潤滑装置
KR19980027497U (ko) * 1996-11-16 1998-08-05 박병재 자동변속기의 가변형 오일 흡입관
JP2002533611A (ja) * 1998-12-28 2002-10-08 モートレンファブリーク ハッツ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ウント コンパニー コマンデイトゲゼルシャフト 特に単気筒ディーゼルエンジン等の内燃機関のオイル吸引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8572A (ko) 201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12539A (ko) 오일 섬프 조립체
US11499452B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oil treatment apparatus for use with the same
CN105221208B (zh) 发动机润滑系统
CN201671797U (zh) 汽车水冷空气压缩机
KR101014439B1 (ko) 오일팬 어셈블리 장치
RU2617531C2 (ru) Ящичный насосный лубрикатор
EP3201458B1 (en) Reciprocating machine with cylinder having collector groove
RU2499898C2 (ru) Способ смазки двигателя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CN104454075A (zh) 新型通用汽油机润滑系统
JP2008101594A (ja) ピストンの潤滑油供給構造及びピストンリング
CN212479558U (zh) 一种高压油泵挺柱润滑系统
CN2916143Y (zh) 发动机的喷淋润滑油的装置
CN103899430B (zh) 一种汽车发动机的前罩壳
CN204253125U (zh) 新型通用汽油机自润滑系统
DE19952097B4 (de) Brennkraftmaschine
KR19980047174A (ko) 엔진오일 교환시기 알림장치
KR101283025B1 (ko) 오일 레벨 게이지 유닛
CN102691543B (zh) 柴油机的润滑油路及其工作方法
KR960005513Y1 (ko) 엔진의 윤활장치
RU2695394C1 (ru) Устройство гидравлической защиты электродвигателя для погружных установок поддержания пластового давления (варианты)
CN106337707A (zh) 用于发动机的油再循环系统
US2014425A (en) Rear bearing cap
CN106593729A (zh) 一种单体泵的防内漏结构以及带有该防内漏结构的单体泵
US1923387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04948254A (zh) 立式单缸风冷柴油机的润滑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