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227B1 - 전파흡수체 - Google Patents

전파흡수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227B1
KR101014227B1 KR1020090018318A KR20090018318A KR101014227B1 KR 101014227 B1 KR101014227 B1 KR 101014227B1 KR 1020090018318 A KR1020090018318 A KR 1020090018318A KR 20090018318 A KR20090018318 A KR 20090018318A KR 101014227 B1 KR101014227 B1 KR 1010142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xide
terms
radio wave
weight
wave absor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8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7113A (ko
Inventor
도모카즈 이시쿠라
요시히토 히라이
다츠야 시마자키
다쿠야 아오키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71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71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2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2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73Shielding materials
    • H05K9/0081Electromagnetic shielding materials, e.g. EMI, RFI shield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9/00Screening of apparatus or components against electric or magnetic fields
    • H05K9/0001Rooms or cha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Magnetic Ceramics (AREA)
  • Hard Magnetic Materials (AREA)
  • Soft Magnetic Materials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MnZn계 페라이트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전파흡수체는, 산화철이 Fe2O3 환산으로 45.0~49.0몰%, 산화아연이 ZnO 환산으로 19.0~23.0몰%, 및 산화망간이 MnO 환산으로 28.0~36.0%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가지고, 이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 산화규소, 산화바나듐, 산화칼슘, 및 산화니오브를 각각 소정량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조 비용의 현격한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퀴리온도, 정합두께, 전파 흡수 특성의 온도 특성 주파수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치핑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페라이트, 전파흡수체, 내치핑성

Description

전파흡수체{RADIO WAVE ABSORBENT}
본 발명은 Ni를 주성분 중에 포함하지 않는 MnZn계 페라이트 재료로 구성되는 전파흡수체에 관한 것으로, 전파암실이나 전파흡수벽 등에 사용되는 전파흡수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이나 다양한 전기기기의 보급에 수반되어, 불필요한 전자 노이즈가 정밀기기 관련 장치에 미치는 영향이 문제가 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자 노이즈의 측정에는 전자파의 반사가 없는 전파암실(전파무향실)이 필요하게 되며, 전파암실의 내벽에는 전파흡수체가 사용되고 있다.
또 텔레비젼의 전파가 고층 건축물 등에서 반사되어 발생하는 수신 장해를 방지하기 위해서 건축물 등의 외벽에 전파흡수체가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파흡수체는 전파암실의 내부나 외벽 등에 다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제품 비용이 낮을 것이 요구된다.
종래의 전파흡수체로서, 예를 들어 40MHz~45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반사 감쇠량이 20dB 이상의 특성을 가지는 전파흡수체로서, 마그네슘-아연계 페라이트를 소결시킨 전파흡수체, 니켈-아연계 페라이트를 소결시킨 전파흡수체, 망간-니켈-구 리-아연계 페라이트 등이 있다.
이들 중에서, 마그네슘-아연계 페라이트재는 비교적 원료 비용이 싸지만, 전파흡수체의 정합두께는 8mm정도로 커서 전파암실의 내벽이나 건축물 등의 외벽에 사용되는 전파흡수체의 총 중량을 저감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니켈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하는 페라이트는, 원하는 전파흡수체 특성을 얻기 위해서는 유리한 소재라고 할 수 있지만, 비용이 비싸져서, 비용 저감을 목적으로 하는 본원 발명의 취지에는 합치하지 않는다. 또한 정밀기기 관련 장치의 전자 노이즈를 측정하는 전파암실에서는 전자 노이즈를 평가하는 주파수 대역이 규격화되어, 30~1000MHz의 범위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상이 요구된다.
이와 같은 실상하에서, 본원 출원인은 이미 일본 특허 출원 2007-272587호 출원(일본 출원일 2007년 10월 19일)으로서, Mn-Zn계의 전파흡수체의 발명의 제안을 행하고 있다. 이 제안에 의하면, 요구되는 특성 레벨을 높은 레벨에 유지한 채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런데 전파흡수체를 타일형상으로 형성하고, 구조체의 외장, 또는 내장에 설치할 경우, 구조체의 형상, 규격 등에 맞추어 가공을 행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빌딩의 외벽에 사용하는 경우, 일정한 치수정밀도로 가공되어 있지 않으면 전파흡수체 패널 사이에 간극이 발생하거나, 정해진 설계대로의 위치에 설치할 수 없게 되어 버린다. 이 문제를 해소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전파흡수체를 사용하여 가공을 행하고자 하면, 기계적인 충격에 약하기 때문에, 가공시나 시공시에 깨짐이나, 크랙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수율이 저하되어, 비용 상승을 초래하는 요인이 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되고 있었다.
본원 발명은 기본적으로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안된 것이지만, 본원과 관련된다고 생각되는 선행 기술로서, JP 특허 제32783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1-53483 공보, 일본 특허 공개 2005-213115 공보를 들 수 있다.
JP 특허 제3278373호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NiCuZn계 페라이트에서, MoO3를 부성분으로서 첨가하여 내치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공개 2001-53483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NiCuZn계 페라이트에서, V2O3를 부성분으로서 첨가하여 내치핑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또 일본 특허 공개 2005-213115 공보에 개시된 기술은, NiCuZn계 페라이트에서, 부성분으로서 W의 산화물, Mo의 산화물, Bi의 산화물, Pb의 산화물, Mg의 산화물, Si의 산화물, V의 산화물 및 Nb의 산화물을 적당히 선정하여 첨가함으로써 내치핑성 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선행 기술은, 모두 NiCuZn계 페라이트에 관한 것이며, 본원 발명과는 주성분 조성이 근본적으로 상이하다. 또 이들 선행 기술은, 모두 본원 발명과는 첨가해야 할 부성분의 조성의 구성 및 첨가량도 상이하다.
이와 같은 실상하에서 본 발명은 창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요구되는 특성 레벨을 높은 레벨에 유지한 채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는 MnZn계 페라이트의 전파흡수체를 제공하는 것은 물론, 염가의 계인 MnZn계 페라이트의 내치핑성을 향상시키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MnZn계 페라이트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전파흡수체로서,
이 전파흡수체는,
산화철이 Fe2O3 환산으로 45.0~49.0몰%,
산화아연이 ZnO 환산으로 19.0~23.0몰%, 및
산화망간이 MnO 환산으로 28.0~36.0%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가지고,
이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를 CoO 환산으로 1000~7000중량ppm, 산화규소를 SiO2 환산으로 10~200중량ppm, 산화바나듐을 V2O5 환산으로 50~1000중량ppm, 산화칼슘을 CaO 환산으로 200~2500중량ppm, 및 산화니오브를 Nb2O5 환산으로 50~500중량ppm 함유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상기 산화코발트는 CoO 환 산으로 3500~6500중량ppm이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퀴리온도가 80℃ 이상인 특성, 소결 밀도가 4.7(g/㎤)을 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유전율 실수부인 ε'의 값이 10<ε'<30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투자율 실수부인 μ'의 값이 μ'<80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투자율 허수부인 μ''의 값이 μ''>260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성, 정합두께가 6mm 이하가 되는 특성, 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상인 특성, 및 래틀러값이 0.5% 이하가 되는 특성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또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의 바람직한 태양으로서, 당해 전파흡수체의 형상이 판형상의 타일형상을 이루고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MnZn계 페라이트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전파흡수체는 제조 비용의 현격한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퀴리온도, 정합두께, 전파 흡수 특성의 온도 특성 주파수 특성이 우수하고, 또한 내치핑성이 현격히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를 구성하는 주성분의 설명)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는 산화철, 산화아연, 및 산화망간으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산화철은 Fe2O3 환산으로 45.0~49.0몰%(바람직하게는 46.0~48.0몰%), 산화아연은 ZnO 환산으로 19.0~23.0몰%(바람직하게는 20.5~22.5몰%), 및 산화망간은 MnO 환산으로 28.0~34.5몰%이 함유된다.
상기한 범위를 벗어난 조성 영역에서는, 전파 흡수 특성에 필요하게 되는 복소비투자율의 주파수 특성, 복소비유전율의 주파수 특성이 만족되지 않거나, 전파흡수체의 정합두께가 6.0mm을 넘거나, 전파흡수체로서 적당한 퀴리점이 얻어지지 않거나 한다.
여기서 전파 흡수 특성은 하기의 식 (1)로 나타내며, 복소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지면 저주파수 대역으로부터의 양호한 전파 흡수 특성이 얻어지지 않게 되어 버린다. 또 복소투자율의 허수부 μ''가 낮은 경우 정합두께의 증대를 초래하게 된다.
또 복소유전율의 실수부 ε'가 적절한 값이 아니면 반사 감쇠량의 저하를 초래해 버린다.
Figure 112009013220966-pat00001
또 퀴리점이 현저히 낮은 경우, 변환된 열에 의해 전파흡수체 그 자체의 온도가 용이하게 퀴리점을 넘어 버려, 자성을 잃고 전파흡수체로서 기능하지 않게 되 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상기 산화철의 함유량이 45.0몰% 미만이 되면 복소비투자율의 허수부 μ''의 저하에 의해 정합두께가 6mm 이상이 되고, 게다가 퀴리온도가 80℃ 이하가 된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또 상기 산화철의 함유량이 49.0몰%을 넘으면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져, 30MHz의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실온(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하가 되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또 상기 산화아연의 함유량이 19.0몰% 미만이 되면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져, 30MHz의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실온(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하가 되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또 상기 산화아연의 함유량이 23.0몰%을 넘으면 정합두께가 6mm 이상이 되고, 게다가 퀴리온도가 80℃ 이하가 된다는 불합리가 발생되어 버린다.
(주성분에 첨가되는 부성분의 설명)
(1)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의 첨가
상기한 MnZn계 페라이트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가 CoO 환산으로 1000~70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3500~6500중량ppm 함유된다.
적당한 코발트의 첨가는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감쇠를 저주파측으로 시프트시키는 효과를 초래하고, 상기 산화코발트의 함유량이 1000중량ppm 미만이 되면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져 버린다. 그 결과, 30MHz의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실온(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하가 되고, 또한 마이너스 20℃(-20℃)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15dB 이하가 되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 산화코발트의 함유량이 7000중량ppm을 넘으면 반대로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져, 30MHz의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실온(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하가 되고, 또한 마이너스 20℃(-20℃)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15dB 이하가 되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 1000~7000중량ppm의 산화코발트의 첨가는 산화바나듐, 산화칼슘, 및 산화니오브의 첨가와 더불어, 내치핑성 향상의 상승 효과를 만들어 낸다.
(2) 부성분으로서 산화규소(SiO2)의 첨가
상기한 MnZn계 페라이트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규소가 SiO2 환산으로 10~2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30~150중량ppm 함유된다. 산화규소의 함유량이 10중량ppm 미만이면 소결 밀도가 현저히 저하되어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또 산화규소의 함유량이 200중량ppm을 넘으면 이상 입성장이 나타나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3) 부성분으로서의 산화바나듐(V2O5)의 첨가
상기한 MnZn계 페라이트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바나듐이 V2O5 환산으로 50~10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500중량ppm 함유된다. 산화바나듐의 함유량이 50중량ppm 미만이면 래틀러값이 증대한다는 불합리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 산화바나듐의 함유량이 1000중량ppm을 넘으면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저하를 발생시키는 주파수가 높아져, 30MHz의 저주파 영역에 있어서의, 실온(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하가 된다. 정합두께도 두꺼워진다.
또 50~1000중량ppm의 산화바나듐의 첨가는 산화코발트, 산화칼슘, 및 산화니오브의 첨가와 더불어, 내치핑성 향상의 상승 효과를 만들어 낸다.
(4) 부성분으로서 산화칼슘(CaO)의 첨가
상기한 MnZn계 페라이트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칼슘이 CaO 환산으로 200~30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500~1500중량ppm 함유된다. 산화칼슘의 함유량이 200중량ppm 미만이면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가 커져 버려(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감쇠가 고주파측으로 시프트해 버려), 20dB 이상의 반사 감쇠량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불합리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 산화칼슘의 함유량이 3000중량ppm을 넘으면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비투자율의 허수부 μ''가 작아져 버리고, 정합두께가 두꺼워져 버린다는 불합리가 발생한다.
또 200~3000중량ppm의 산화칼슘의 첨가는 산화바나듐, 산화코발트, 및 산화니오브의 첨가와 더불어, 내치핑성 향상의 상승 효과를 만들어 낸다.
(5) 부성분으로서 산화니오브(Nb2O5)의 첨가
상기한 MnZn계 페라이트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니오브가 Nb2O5 환산으로 50~500중량ppm, 바람직하게는 100~400중량ppm 함유된다. 산화 니오브의 함유량이 50중량ppm 미만이면 내치핑성 향상의 효과가 저하된다는 불합리가 발생되어 버린다. 또 산화니오브의 함유량이 500중량ppm을 넘으면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가 커져 버려(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의 감쇠가 고주파측으로 시프트함), 20dB 이상의 반사 감쇠량이 얻어지지 않는다는 불합리가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또 50~500중량ppm의 산화니오브의 첨가는 산화바나듐, 산화코발트, 및 산화칼슘의 첨가와 더불어, 내치핑성 향상의 상승 효과를 만들어 낸다.
(6) 그 밖의 부성분
그 밖의 부성분으로서, SnO2, TiO2, NiO, Ta2O5, ZrO2, HfO2, GeO2, MoO3, WO3, Bi2O3, In2O3, Cr2O3, Al2O3 등의 각종 부성분을 본원 발명의 작용 효과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함유시키도록 해도 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전파흡수체는 소결 후의 조성이 상기한 범위 내가 되도록 배합된 MnZn계 페라이트 재료를, 예를 들어 판형상의 타일형상으로 성형한 후, 1100℃~1350℃정도의 온도에서 소결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에서의 실험예를 참고하면 된다. 또한 타일형상의 크기로서는 세로 치수가 50~200mm정도, 가로 치수가 50~200mm정도, 두께 치수가 3~10mm정도의 판형상체를 예시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소성 후의 조성이,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조성이 되도록 각 원료 성분을 칭량하고, 강철제 볼밀로 16시간 습식 혼합했다.
그 다음에 이 혼합분을 대기 중 900℃에서 2시간 가소성했다. 얻어진 가소성물에 부성분을, 소성 후의 조성이 하기 표 1에 나타나는 조성이 되도록 첨가하고, 강철제 볼밀로 16시간 습식 분쇄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MnZn계 페라이트분에 폴리비닐알코올 수용액을 10중량%첨가하여 조립(造粒)하고, 1ton/㎠의 압력으로 하기의 전파흡수체의 특성 테스트가 가능할 것 같은 소정의 형상으로 성형했다.
이렇게 하여 형성한 성형물을 소성했다. 소성 조건으로서, 소성 온도 1300℃(1300℃까지 공기 중)로 하고, 그 후의 냉각 대역에서 1000℃까지 산소분압을 제어하며, 1000℃ 이하에서는 질소(N2) 분위기에서의 소성을 행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전파흡수체의 샘플에 대해서, 하기의 요령으로, (1) 퀴리점, (2) 전파흡수체의 정합두께, (3)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25℃에서의 반사 감쇠량, (4)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 복소비투자율의 허수부 μ'', 복소유전율의 실수부 ε'의 값(모두 25℃, 주파수 30MHz로 측정), (5) 소결 밀도 ρ(g/㎤), (6) 래틀러값을 각각 측정했다.
(1) 퀴리점(Tc)의 측정 방법
시료를 고온층 중에 넣고, 각 온도에서 충분히 안정될 때까지 유지한 후, LCR 미터를 사용하여 초투자율 μi의 온도 특성을 측정했다. 초투자율의 최대값을 넘은 하강부에서 최대값의 80%의 점과 20%의 점을 연결하는 연장선이 μi=1의 선과 교차하는 점을 구하여 퀴리온도 Tc로 했다. 또한 측정 주파수는 1kHz로 했다.
또한 퀴리온도 Tc의 목표값은 80℃ 이상이다.
(2) 전파흡수체의 정합두께(d)
전파흡수체의 전파 흡수 특성은 외경 19.8mm, 내경 8.6mm로 가공된 링형상의 샘플을 사용하여, 동축관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네트워크·애널라이저로 반사계수를 측정했다.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반사 감쇠량 및 전파흡수체 전면의 규격화 임피던스를 산출했다.
규격화 임피던스(Z)와 반사계수(S)의 관계는 이하와 같다.
Z=(1+S)/(1-S)
S=(Z-1)/(Z+1)
S=(Ssample/Smetal)
-20log|S|=dB
각각의 두께의 규격화 임피던스를 스미스 차트에 플롯하고, 스미스 차트의 중심을 통과하는 두께를 계산에 의해 구하여 그 두께를 정합두께(d)로 했다.
또한 정합두께(d)의 목표값은 6mm 이하이다.
(3)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25℃에서의 반사 감쇠량(RD 25 )
상기 계산한 정합두께의 링을 실제로 제작하고, 상기한 동축관법에 의해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25℃에서의 반사 감쇠량(RD25)을 측정했다. RD25의 목표값은 20dB 이상이다.
(4) 복소비투자율의 실수부 μ', 복소비투자율의 허수부 μ'', 복소유전율의 실수부 ε'의 값(모두 25℃, 주파수 30MHz에서 측정)
상기 (2)의 수법에 준하여, 외경 19.8mm, 내경 8.6mm로 가공된 링형상의 샘플을 사용하여, 동축관 내에 삽입한 상태에서 네트워크·애널라이저로 반사계수를 측정하고, 얻어진 측정 결과로부터 μ', μ'', 및 ε'를 도출했다.
또한 ε'의 목표값은 10<ε'<30의 범위 내이다.
또 μ'의 목표값은 μ'<80이다.
또 μ''의 목표값은 μ''>260이다.
(5) 소결 밀도ρ(g/㎤)
아르키메데스법에 의해 측정했다.
또한 소결 밀도 ρ의 목표값은 4.7(g/㎤)을 넘는 것이다.
(6) 래틀러값(Rattler Value)
소결체 시료를 직경 20mm, 높이 15mm의 원기둥형상으로 가공하고, 가공된 소결체 시료에 대해서 래틀러 시험을 행하여 래틀러값을 구했다.
래틀러 시험은 이하의 요령으로 행했다.
우선, 시험에 사용하는 3개의 소결체 시료의 시험 전의 중량(W1)을 측정했다. 그 다음에, 3개의 소결체 시료를 내부에 방해봉을 가지는 직경 약10cm의 포트(래틀러 시험기)에 넣고, 회전수 100rpm, 회전 시간 5분의 조건에서 3개의 소결체 시료를 포트 내에서 분쇄했다. 그 후, 3개의 소결체 시료의 시험 종료 후의 중 량(W2)을 측정했다. 3개의 소결체 시료의 시험 전후의 중량의 감소율을 구하여 이것을 래틀러값으로 했다. 즉, 래틀러값은 하기 식 (2)에 의해 산출된다.
래틀러값 (%) = 100 × (W1-W2) / W1
본 발명에서의 래틀러값의 목표값은 0.5% 이하이다.
이들 각 항목의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112009013220966-pat00002
Figure 112009013220966-pat00003
이상의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효과는 명확하다. 즉, 본 발명은 MnZn계 페라이트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전파흡수체로서, 상기 전파흡수체는 산화철이 Fe2O3 환산으로 45.0~49.0몰%, 산화아연이 ZnO 환산으로 19.0~23.0몰%, 및 산화망간이 MnO 환산으로 28.0~36.0%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가지고, 이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 산화규소, 산화바나듐, 산화칼슘, 및 산화니오브를 각각 소정량을 함유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요구되는 특성 레벨을 높은 레벨에 유지한 채 제조 비용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고, 또한 내치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MnZn계 페라이트의 제조 방법은 폭넓게 각종 전기부품산업에 이용할 수 있다.

Claims (4)

  1. MnZn계 페라이트 소결체로 이루어지는 전파흡수체로서,
    이 전파흡수체는,
    산화철이 Fe2O3 환산으로 45.0~49.0몰%,
    산화아연이 ZnO 환산으로 19.0~23.0몰%, 및
    산화망간이 MnO 환산으로 28.0~36.0%로 이루어지는 주성분을 가지고,
    이 주성분 100중량부에 대해서 부성분으로서,
    산화코발트를 CoO 환산으로 1000~7000중량ppm, 산화규소를 SiO2 환산으로 10~200중량ppm, 산화바나듐을 V2O5 환산으로 50~1000중량ppm, 산화칼슘을 CaO 환산으로 200~2500중량ppm, 및 산화니오브를 Nb2O5 환산으로 50~500중량ppm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코발트는 CoO 환산으로 3500~6500중량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3. 제1항에 있어서, 퀴리온도가 80℃ 이상인 특성,
    소결 밀도가 4.7(g/㎤)을 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유전율 실수부인 ε'의 값이 10<ε'<30의 조건 을 만족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투자율 실수부인 μ'의 값이 μ'<80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성,
    주파수 30MHz에 있어서의 복소투자율 허수부인 μ''의 값이 μ''>260의 조건을 만족하는 특성,
    정합두께가 6mm 이하가 되는 특성,
    25℃에서의 반사 감쇠량이 20dB 이상인 특성, 및
    래틀러값이 0.5% 이하가 되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4. 제1항에 있어서, 판형상의 타일형상을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파흡수체.
KR1020090018318A 2008-03-10 2009-03-04 전파흡수체 KR1010142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8059056A JP4488078B2 (ja) 2008-03-10 2008-03-10 電波吸収体
JPJP-P-2008-059056 2008-03-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7113A KR20090097113A (ko) 2009-09-15
KR101014227B1 true KR101014227B1 (ko) 2011-02-14

Family

ID=41102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8318A KR101014227B1 (ko) 2008-03-10 2009-03-04 전파흡수체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488078B2 (ko)
KR (1) KR101014227B1 (ko)
CN (1) CN1015315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240312B2 (ja) * 2011-03-25 2013-07-17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フェライト組成物および電波吸収体用フェライトコア
JP5742358B2 (ja) * 2011-03-25 2015-07-01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フェライト組成物および電波吸収体用フェライトコア
JP2016060656A (ja) * 2014-09-17 2016-04-25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のフェライト組成物および電波吸収体
JP6488602B2 (ja) * 2014-09-17 2019-03-27 Tdk株式会社 電波吸収体用のフェライト組成物および電波吸収体
JP7082931B2 (ja) * 2018-09-03 2022-06-09 株式会社Ihi 石炭焚ボイラ灰付着予測方法及び装置、石炭焚ボイラ灰付着防止方法及び装置、並びに石炭焚ボイラ運用方法及び装置
CN109705807A (zh) * 2018-12-17 2019-05-03 安徽华林磁电科技有限公司 一种电磁吸收体复合材料
CN110845228B (zh) * 2019-11-15 2022-07-19 苏州天源磁业股份有限公司 一种贫铁软磁铁氧体、电磁波吸收材料及其制备方法
CN113956032B (zh) * 2021-11-26 2023-06-02 横店集团东磁股份有限公司 一种宽温低损耗高强度MnZn功率铁氧体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5286376B (zh) * 2022-07-01 2023-06-20 信丰天科磁业有限公司 一种掺杂型锰锌软磁铁氧体磁芯及其制造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582A (ja) * 1997-09-25 1999-06-18 Tdk Corp 電波吸収体
JP2000169217A (ja) * 1998-12-04 2000-06-20 Tdk Corp 電波吸収体
JP2001053483A (ja) * 1999-08-04 2001-02-23 Fuji Elelctrochem Co Ltd ニッケル−亜鉛系フェライト電波吸収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63582A (ja) * 1997-09-25 1999-06-18 Tdk Corp 電波吸収体
JP2000169217A (ja) * 1998-12-04 2000-06-20 Tdk Corp 電波吸収体
KR20000047782A (ko) * 1998-12-04 2000-07-25 사토 히로시 전파흡수체
JP2001053483A (ja) * 1999-08-04 2001-02-23 Fuji Elelctrochem Co Ltd ニッケル−亜鉛系フェライト電波吸収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488078B2 (ja) 2010-06-23
KR20090097113A (ko) 2009-09-15
JP2009218314A (ja) 2009-09-24
CN101531504A (zh) 2009-09-16
CN101531504B (zh) 201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227B1 (ko) 전파흡수체
KR100982163B1 (ko) 전파 흡수체
KR101121554B1 (ko) 전파 흡수 재료 및 전파 흡수체
EP1006610B1 (en) Radio wave absorbent
JP4752934B2 (ja) 電波吸収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60033037A (ko) 전파 흡수체용 페라이트 조성물 및 전파 흡수체
US7108799B2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formed of Mn-Zn ferrite
US6210597B1 (en) Radio wave absorbent
KR101714895B1 (ko) 전파 흡수체용 페라이트 조성물 및 전파 흡수체
EP1447393A1 (en) Electromagnetic wave absorber formed of Mn-Zn ferrite
JP6732159B1 (ja) MnCoZn系フェラ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17276B2 (ja) 電波吸収体
TWI761757B (zh) 錳鈷鋅系肥粒鐵及其製造的方法
JP2001053483A (ja) ニッケル−亜鉛系フェライト電波吸収体
WO2020189037A1 (ja) MnZn系フェラ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189037A1 (ja) MnZn系フェライ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20083752A (ja) NiCuZn系フェライトおよびNiCuZn系フェライト用造粒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