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4119B1 -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4119B1
KR101014119B1 KR1020040098310A KR20040098310A KR101014119B1 KR 101014119 B1 KR101014119 B1 KR 101014119B1 KR 1020040098310 A KR1020040098310 A KR 1020040098310A KR 20040098310 A KR20040098310 A KR 20040098310A KR 101014119 B1 KR101014119 B1 KR 10101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frame
case
loading box
si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983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59122A (ko
Inventor
김태운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983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4119B1/ko
Publication of KR20060059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591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4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a tipping movement of load-transporting element
    • B60P1/045Levelling or stabilising systems for t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04Wound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Buffer Packag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면의 조건에 상관없이 적재함을 항시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차량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의 양측부와 그에 대향되는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양측부를 서로 연결시키되, 압축신장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감쇄하지 못한 2차 충격을 감쇄시키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중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함과 프레임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한다.
Figure R1020040098310
차량, 선회, 노면, 쏠림, 회전, 적재함

Description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Apparatus for adjusting horizontality of loading box of cars}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적재함의 하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구조에 따른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채 채용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
도 5는 도 3의 회전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3의 구성에 따른 수평 조절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량의 적재함 3 : 프레임
10 : 받침판 12 : 지지대
14 : 케이스 16 : 구멍
18 : 브라켓 20 : 돌기
22 : 관통공 24 : 핀
26 : 너트 28 : 상부 브라켓
30 : 하부 브라켓 32 : 쇽업소바
34 : 스프링 36 : 힌지축
본 발명은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재함과 차량의 프레임과의 결합을 완전히 독립 회전 구조로 한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적재함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함(1) 하부에 부착된 적재함 마운팅 브라켓(2)과 프레임(3)의 측면에 부착된 프레임 마운팅 브라켓(4)이 장착 볼트(5)와 너트(6)에 의해 고정되어서, 섀시(chassis)와 일체로 움직이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는, 차량의 선회시에는 차량의 무게 중심에 작용하는 원심력에 의해 적재함(1)의 기울어짐이 발생하고, 이로 인해 적재함(1)내의 적재물이 한쪽으로 쏠리게 되어 차량의 선회 안전성을 감소시킨다. 그에 따라, 차량의 선회 안전성 감소로 인해 사고가 유발되기도 한다.
그리고, 직진주행중에 노면의 굴곡에 의해 차량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적재함(1)내의 적재물 역시 동일 방향으로 쏠리게 되어 차량 전복의 위험이 있다.
특히, 적재함(1) 내부에 중량이 큰 화물을 적재하는 경우에는 그 위험도가 심각하게 증대된다.
또한, 화물의 특성상 충격에 민감한 물건일수록 도 2에서와 같이 돌기물(7) 또는 웅덩이(8)를 지날 때에는 덜컹거림에 의해 파손의 우려가 커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노면의 조건에 상관없이 적재함을 항시 수평상태로 유지하여 차량의 쏠림현상을 방지하도록 한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는, 프레임의 양측부와 그에 대향되는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양측부를 서로 연결시키되, 압축신장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감쇄하지 못한 2차 충격을 감쇄시키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중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함과 프레임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A의 확대도이며, 도 5는 도 3의 회전체의 구성을 상세하게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는, 차량의 적재함(1)의 저면 양측부와 프레임(3) 양측부 사이에 상하방향으로 압축신장가능하게 설치되고,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감쇄하지 못한 2차 충격을 감쇄시켜 상기 차량의 적재함(1)의 수평을 유지시키는 충격흡수수단; 및 상기 차량의 적재함(1)의 저면과 상기 프레임(3)의 상부 사이에 설치되어 차량의 좌우로의 기울짐에 따라 상기 차량의 적재함(1)과 프레임(3)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차량의 적재함(1)의 저면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브라켓(28); 상기 프레임(3)의 양측부의 프레임 마우팅 브라켓(4)상에 각각 설치된 하부 브라켓(30); 양측 끝단이 힌지축(36)에 의해 상기 상부 브라켓(28)과 하부 브라켓(30)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쇽업소바(shock absorber)(32); 및 상기 쇽업소바(32)를 감싸는 탄성부재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34)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프레임(3)상에 설치시킨 받침판(10)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대(12); 상호 이격된 상기 지지대(12)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호 대향하는 양 측부에 구멍(16)이 형성된 케이스(14); 상기 차량의 적재함(1)의 저면 중앙부에 설치된 브라켓(18); 상기 브라켓(18)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케이스(14)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14)에 수납되고 중앙부에 관통공(2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20); 및 상기 케이스(14)의 구멍(16) 및 상기 돌기(20)의 관통공(22)에 끼워져서 상기 케이스(14)와 돌기(20)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24, 2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부재(24, 26)는 다리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핀(24) 및 상기 나사산에 끼워지는 너트(26)로 이루어진다. 상기 핀(24)은 상기 케이스(14)와 돌기(20)가 회전가능하도록 하는 축역할을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상기 받침판(10)은 상기 상호 이격된 하부 브라켓(30)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브라켓(18)은 상기 상호 이격된 상부 브라켓(28) 사이에 설치된다.
이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이 주행하던 중에 도 6에서와 같이 좌측 바퀴부분이 돌기물(7)상을 지나고 우측 바퀴부분이 웅덩이(8)부분을 지나가게 되면 차량의 우측부분이 순간적으로 좌측부분보다 낮아지게 되어 차량이 우측으로 쏠리게 된다.
이때, 차량의 적재함(1)과 프레임(3) 사이에 설치된 충격흡수수단 및 회전체가 동작하여 차량의 적재함(1)을 수평으로 유지시켜 주고, 그로 인해 차량의 쏠림을 완화시켜 준다.
즉, 차량의 우측부분이 순간적으로 낮아지게 되면 케이스(14)와 돌기(20)가 핀(24)에 의해 상호 연결된 상태에서 케이스(14)의 우측부분이 소정치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하게 된다. 그에 따라, 회전체의 좌측에 설치된 쇽업소바(32) 및 스프링(34)은 압축되고, 회전체의 우측에 설치된 쇽업소바(32) 및 스프링(34)은 소정치 신장된다. 여기서, 상기 쇽업소바(32)는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감쇄하지 못한 비 교적 큰 충격(2차 충격)을 막아주고, 상기 스프링(34)는 차량의 현가장치를 통해 미처 감쇄되지 못한 충격중에서 잔진동을 감쇄시켜 준다. 그리고, 상기 좌측 및 우측의 쇽업소바(32)의 양 끝단은 각각 힌지축(36)에 의해 상부 브라켓(28) 및 하부 브라켓(30)에 힌지되어 있으므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차량이 우측부분으로 쏠리게 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차량이 좌측으로 쏠리는 경우에도 상술한 동작과 유사하게 행해진다. 즉, 차량이 좌측으로 쏠리는 경우에는 우측으로 쏠리는 경우와 반대되게 동작한다.
이와 같이 하여, 차량이 돌기물(7)과 웅덩이(8) 부분을 통과하여 평탄한 도로를 주행하게 되면 이전에 우측부분이 소정치 하방향으로 향하도록 회전된 케이스(14)가 원래의 위치(즉, 수평을 유지하는 위치)로 복귀되고, 그 케이스(14)의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어 압축 및 신장되었던 쇽업소바(32) 및 스프링(34)는 초기상태(즉, 압축 또는 신장이 되기 전의 상태)로 복귀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기술사상 역시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노면상태에 따라 차량의 하부 프레임이 비틀어 지더라도 차량의 적재함은 항시 수평유지가 되므로, 차량의 선회시 발생되는 차체의 쏠림 등을 막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화학물 또는 유류 등 액체의 좌우 출렁임 등을 방지하여 안전 운전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충격에 약한 정밀기기 등의 수송에도 탁월한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적재함과 차량의 프레임과의 결합방법을 완전한 독립 회전구조로 하고 적재함의 저면에 충격흡수수단을 구성시킴으로써. 바퀴를 통해 전달되는 노면의 충격을 차량의 현가장치만으로만 감쇄시키는 구조가 아닌 이중의 감쇄장치로 효과적으로 차단시키게 된다.
특히, 차축식 현가장치의 근원적인 문제점인 노면 형태에 따른 차량과 적재함의 비틀림을 막아 노면의 조건에 상관없이 항시 적재함을 수평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5)

  1. 프레임의 양측부와 그에 대향되는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양측부를 서로 연결시키되 압축신장가능하게 상하로 설치되고, 차량의 현가장치에서 감쇄하지 못한 2차 충격을 감쇄시키는 충격흡수수단과;
    상기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중앙부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 중앙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차량의 적재함과 프레임을 독립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데;
    상기 회전체는, 상기 프레임상에 설치시킨 받침판상에 상호 이격되게 설치된 지지대와;
    상호 이격된 상기 지지대 사이에 고정설치되고 상부가 개구되며 상호 대향하는 양 측부에 구멍이 형성된 케이스와;
    상기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중앙부에 설치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의 하부에 고정설치되되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케이스에 수납되고 중앙부에 관통공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돌기와;
    상기 케이스의 구멍 및 상기 돌기의 관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케이스와 돌기를 회전가능하게 연결시키는 연결부재로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수단은, 상기 차량의 적재함의 저면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상부 브라켓; 상기 프레임의 양측부에 각각 설치된 하부 브라켓; 양측 끝단이 상기 상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에 회동가능하게 힌지된 쇽업소바; 및 상기 쇽업소바를 감싸는 탄성부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스프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다리부에 소정 길이의 나사산이 형성된 핀 및 상기 나사산에 끼워지는 너트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KR1020040098310A 2004-11-27 2004-11-27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KR101014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10A KR101014119B1 (ko) 2004-11-27 2004-11-27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98310A KR101014119B1 (ko) 2004-11-27 2004-11-27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122A KR20060059122A (ko) 2006-06-01
KR101014119B1 true KR101014119B1 (ko) 2011-02-14

Family

ID=371564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98310A KR101014119B1 (ko) 2004-11-27 2004-11-27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4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717B1 (ko) * 1997-12-31 2001-11-22 이계안 자동차의뒤2축식고무서스펜션
US20040036528A1 (en) * 2002-06-27 2004-02-26 Gerrit Smit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domain semi-coherent demodul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00717B1 (ko) * 1997-12-31 2001-11-22 이계안 자동차의뒤2축식고무서스펜션
US20040036528A1 (en) * 2002-06-27 2004-02-26 Gerrit Smit Method and apparatus for phase-domain semi-coherent demodul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59122A (ko) 2006-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58294B2 (en) Laterally damped panhard rod cab suspension
KR100723581B1 (ko) 중장비 운전실의 하중지지장치
WO2000047455A1 (en) Arrangement for cabs for vehicles
JP5057034B2 (ja) トラックの荷台防振構造
KR101014119B1 (ko) 차량의 적재함 수평 조절장치
JP2975974B2 (ja) 車両用ローリング減殺装置
KR101959816B1 (ko) 후부안전판 구조 시스템
KR101630182B1 (ko) 트레일러용 현가장치
FR2718700A1 (fr) Dispositif pour fixer les paliers de basculement de cabine de camions.
JPS6112301Y2 (ko)
KR200291950Y1 (ko) 화물자동차의 에어서스펜션장치
CN217171389U (zh) 一种公路运输安全防护装置
CN216833042U (zh) 一种减震万向轮机构、移动底盘及智能机器人
KR102382844B1 (ko) 차량용 휠 베이스 조절장치
JP2014104860A (ja) トラックの荷台架装構造
KR102647327B1 (ko) 서스펜션 방식의 캐빈 마운트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캐빈 작업차
JP5504733B2 (ja) 荷台防振構造
KR100784630B1 (ko) 화물차량의 공기 현가장치
KR920004848Y1 (ko) 자동차용 휭치리이프 스테이빌라이저
KR0145605B1 (ko) 화물 차량의 캡 현가장치
KR200358728Y1 (ko) 자동차의 에어서스펜션장치
KR200140934Y1 (ko) 거친도로에 적합한 현가장치
KR100302714B1 (ko) 차량의차축식현가장치
KR100448790B1 (ko) 트럭의 리어서스펜션 헬퍼스프링의 차체지지구조
KR100452428B1 (ko) 후방현가장치의 팬하드 로드 보강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