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801B1 -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801B1
KR101013801B1 KR1020090055150A KR20090055150A KR101013801B1 KR 101013801 B1 KR101013801 B1 KR 101013801B1 KR 1020090055150 A KR1020090055150 A KR 1020090055150A KR 20090055150 A KR20090055150 A KR 20090055150A KR 101013801 B1 KR101013801 B1 KR 101013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combustion chamber
hole
pressure
pist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5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6826A (ko
Inventor
김강출
이영재
표영덕
조종표
우영민
권오석
길범수
김남열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551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801B1/ko
Publication of KR20100136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6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28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2Other methods of op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40Other reciprocating-pist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플러그에 의해 초기 점화 폭발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배기가스가 배출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 상기 연소실의 하단부를 통해 공기가 연료와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니어 엔진 크기의 소형화,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는 특징이 있다.
리니어 엔진, 루프소기, 실린더 헤드, 연소실, 피스톤, 에어펌프

Description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Vaporization pressure a use Linear Engine and Control a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점화플러그에 의해 초기 점화 폭발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배기가스가 배출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 상기 연소실의 하단부를 통해 공기가 연료와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니어 엔진 크기의 소형화,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형 자동차 또는 모형 비행기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초소형 엔진의 경우에는 자동차 엔진(피스톤 및 크랭크 작동기구에 의한 4행정 또는 2행정 회전 왕복기관)을 축소시켜 만든다.
또한, 상기 엔진을 작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압축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고, 소기방식에 있어서 효율이 매우 우수한 유니플로우 소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밸브 등의 부품 증가로 인한 비용 및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극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4 행정 엔진보다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2 행정 사이클(2 Stroke Cycle)을 채택하고 있으며, 기존 2 행정 엔진의 경우에는 횡단 소기 및 루프 소기(Loop Scavenging)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의 리니어 엔진은 연료탱크에서 연료를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상기 연료탱크에서 이송된 연료와 공기로 혼합된 혼합기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양끝단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 헤드와, 상기 실린더 블록 헤드의 일측에 적층되어 내부에 유입된 혼합기를 내부에 형성된 히터코일을 적열시켜 점화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의해 점화된 혼합기가 폭발하여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실린더 슬리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엔진은 종래의 기화기식에 비하여 연료공급의 응답성과 연료량 제어의 정확도가 많이 향상되었다.
그러나, 상기 리니어 엔진 방식은 흡입 행정에서 연료와 공기가 예혼합되어 연소실로 유입되는데, 이때, 흡기 및 배기 포트가 동시에 열리기 때문에 배기 포트를 통해 연료의 손실이 발생하며, 이로 인해 배출가스 증가 및 효율이 저하되는 문 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점화플러그에 의해 초기 점화 폭발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배기가스가 배출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 상기 연소실의 하단부를 통해 공기가 연료와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니어 엔진 크기의 소형화,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되면서 양끝단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서 연료의 폭발이 이루어지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양끝단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이송된 연료가 유입되어 점화,폭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를 통한 폭발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있어 서,
연소실의 일측 내부 실린더 헤드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어 직분사 유입되는 단계(S100);
상기 연료 유입(S100) 후, 점화플러그에 전력이 공급되어 스파크에 의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200);
상기 연료 폭발(S200)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동시에 배기포트가 오픈되면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3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300)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400);
상기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S300) 후, 피스톤에 의해 연소실의 타측 내부가 압축 착화되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500);
상기 연료 폭발(S500) 후, 다시 피스톤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동시에 배기포트가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6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600)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700);
상기 피스톤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압축착화-폭발-팽창-배기-유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8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은 점화플러그에 의해 초기 점화 폭발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배기가스가 배출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 상기 연소실의 하단부를 통해 공기가 연료와 다른 공급라인을 통해 유입됨으로써, 연료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고, 그에 따라 리니어 엔진 크기의 소형화, 내구성 및 효율이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내부가 중공되면서 양끝단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에서 연료의 폭발이 이루어지는 연소실과;
상기 연소실의 양끝단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이송된 연료가 유입되어 점화,폭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연소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를 통한 폭발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소실의 일측 내부 실린더 헤드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을 통해 연료가 공급되어 직분사 유입되는 단계(S100);
상기 연료 유입(S100) 후, 점화플러그에 전력이 공급되어 스파크에 의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200);
상기 연료 폭발(S200) 후,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동시에 배기포트가 오픈되면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3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300)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400);
상기 피스톤이 일측으로 슬라이딩(S300) 후, 피스톤에 의해 연소실의 타측 내부가 압축 착화되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500);
상기 연료 폭발(S500) 후, 다시 피스톤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동시에 배기포트가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6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600) 후, 실린더 헤드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의 압력차를 이용하 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에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700);
상기 피스톤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압축착화-폭발-팽창-배기-유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8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40)은 내부에서 연료의 폭발이 이루어지는 연소실(10)과, 상기 연소 실(1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는 실린더 헤드(20)와, 상기 연소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피스톤(30)으로 구성된다.
상기 연소실(10)은 도 1을 참고하여, 내부에 연료가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중공된 내부와 양끝단부를 연통하는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의 내부에는 결합되는 피스톤(30)을 잡아주기 위해 피스톤 슬리브(미도시)가 더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10)의 양끝단부 상부면에는 도 4를 참고하여, 연료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사각형 형태의 배기포트(12)가 형성되고, 상기 배기포트(12)는 연소실(10) 내부의 관통홀(11)과 90도 각도로 관통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소실(10)의 양끝단부 하단면에는 도 5를 참고하여, 배기가스가 배출된 후, 외부에서 연소용 공기가 관통홀(11)에 유입되도록 흡기포트(13)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흡기포트(13)는 공기가 연소실(10)의 관통홀(11)에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때, 상기 배기포트(12)와 흡기포트(13)는 피스톤 슬리브에도 각각 관통 형성되고, 상기 배기포트(12)와 흡기포트(13)는 연료의 폭발에 의해 팽창되어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배출에 의해 내부 압력이 낮아져 공기가 유입되고, 연료도 실린더 헤드(20)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24)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20)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25)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10)에 직접 분사를 통해 연소실(10)의 내부에 유입된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0)의 양측부에는 흡기포트(13)와 연결되어 흡기포트(13)를 통해 유입시킬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 펌프(미도시)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실린더 헤드(20)는 도 3을 참고하여, 연소실(1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이송된 연료가 유입되어 점화,폭발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써, 상기 실린더 헤드(20)는 연소실(10)의 끝단부에 결합되는데, 상기 관통홀(11)에 삽입되도록 일단면에 삽입부(21)가 돌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삽입부(21)의 중앙부에는 연료를 폭발시키는 점화플러그(22)가 삽입 설치되도록 삽입홀(23)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의 반대측 일단부에 외부의 연료가 유입되도록 연료유입홈(24)이 형성되며, 상기 연료유입홈(24)을 통해 유입된 연료가 연소실(10)의 관통홀(11) 내부에 이송되도록 연료유입홈(24)의 일단면과 연통되는 연료이송홀(25)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점화플러그(22)는 초기점화를 위해 외부의 전기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스파크를 발생시킨다.
또한, 상기 연료이송홀(25)은 연료유입홈(24)의 일단면과 연통되는데, 타측이 삽입부(21)의 일단면과 관통 형성되어 연료를 관통홀(11)의 내부까지 이송시키고, 상기 연료이송홀(25)은 연료유입홈(2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연료가 기화되어 관통홀(11)의 내부에 분사되며, 상기 연료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피스톤(30)은 피스톤 슬리브(미도시)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20)에 의한 폭발로 좌,우로 슬라이딩 되고, 상기 피스톤(30)은 중앙부에 축(31)이 형성되고, 상기 축의 양끝단부에 원통형의 피스톤 헤드(32)가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과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40)의 제어방법은 연소실(10)의 일측 내부에 실린더 헤드(20)를 통해 연료가 유입상태에서(S100), 점화플러그(22)에 전력이 공급되어 점화플러그(22)에서 스파크가 발생되면서 연료가 폭발한다.(S200)
그러면,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동시에 배기포트(12)가 오픈되면서 연료의 폭발에 발생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며(S300), 후에 실린더 헤드(20) 외부에 위치한 연료유입홈(24)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20)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25)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기화된 가스연료를 엔진 연소실(10)에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된다.(S400)
그리고, 상기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후, 피스톤(30)에 의해 연소실(10)의 타측 내부가 압축 착화되어 연료가 폭발한다.(S500) 이때, 상기 연소실(10)의 타측도 미리 연료가 유입되어 있는 상태이다.
그런 다음, 다시 피스톤(30)이 타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동시에 배기포트(12)가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된 후(S600), 연료유입홈(24)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20)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25)의 압력차를 이 용하여 연소실(10)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된다.(S700)
이렇듯, 상기 피스톤(3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연소실(10)의 내부를 압축착화-폭발-팽창-배기-유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피스톤(30)을 양측으로 반복 슬라이딩하는 것이다.(S800)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의 작동을 나타낸 부분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리니어 엔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연소실 11 : 관통홀
12 : 배기포트 13 : 흡기포트
20 : 실린더 헤드 21 : 삽입부
22 : 점화플러그 23 : 삽입홀
24 : 연료유입홈 25 : 연료이송홀
30 : 피스톤 31 : 축
32 : 피스톤 헤드 40 : 리니어 엔진

Claims (10)

  1. 내부가 중공되면서 양끝단부와 연통되도록 관통홀(11)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에서 연료의 폭발이 이루어지는 연소실(10)과;
    상기 연소실(10)의 양끝단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이송된 연료가 유입되어 점화,폭발이 이루어지는 실린더 헤드(20)와;
    상기 연소실(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실린더 헤드(20)를 통한 폭발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 되는 피스톤(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실린더 헤드(20)는 연소실(10)의 끝단부에 결합되되, 상기 관통홀(11)에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일단면에 삽입부(21)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삽입부(21)에 연료를 폭발시키는 점화플러그(22)가 삽입 설치되도록 삽입홀(23)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21)의 반대측 일단부에 외부의 연료가 유입되도록 연료유입홈(24)이 형성되고, 상기 연료유입홈(24)을 통해 유입된 연료가 연소실의 관통홀(11) 내부에 이송되도록 연료유입홈(24)의 일단면과 연통되는 연료이송홀(25)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의 양끝단부 상부면에는 연료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배기포트(12)가 관통홀(11)과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의 양끝단부 하단면에는 배기가스가 배출된 후, 외부에서 연 소용 공기가 관통홀(11)에 유입되도록 흡기포트(13)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포트(13)는 공기가 연소실(10)의 관통홀(11)에 원활하게 유입되도록 45도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의 배기포트(12)와 흡기포트(13)는 연료의 폭발에 의해 팽창되어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배출되고, 상기 배기가스의 배출에 의해 내부 압력이 낮아져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이송홀(25)은 연료유입홈(24)의 일단면과 연통되되, 타측이 삽입부(21)의 일단면과 관통 형성되어 연료를 관통홀(11)의 내부에 이송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7. 제 1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이송홀(25)은 연료유입홈(24)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어 연료가 기화되어 관통홀(11)의 내부에 분사되고, 상기 연료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실(10)의 양측부에는 흡기포트(13)를 통해 유입시킬 공기를 발생시키는 에어펌프가 각각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9.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40)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연소실(10)의 일측 내부에 실린더 헤드(20)에 위치한 연료유입홈를 통해 연료가 유입되는 단계(S100);
    상기 연료 유입(S100) 후, 점화플러그(22)에 전력이 공급되어 스파크에 의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200);
    상기 연료 폭발(S200) 후,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 되고, 동시에 배기포트(12)가 오픈되면서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3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300) 후, 연료유입홈(24)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20)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25)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소실(10)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400);
    상기 피스톤(30)이 일측으로 슬라이딩(S300) 후, 피스톤(30)에 의해 연소실(10)의 타측 내부가 압축 착화되어 연료가 폭발하는 단계(S500);
    상기 연료 폭발(S500) 후, 다시 피스톤(30)을 타측으로 슬라이딩시키고, 동시에 배기포트(12)가 오픈되어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는 단계(S600);
    상기 배기가스 배출(S600) 후, 연료유입홈(24)으로 연료를 공급하는 압력과 실린더 헤드(20) 내부에 위치한 연료이송홀(25)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연소실(10)에 연료를 직접 분사하며, 에어펌프(미도시)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단계(S700);
    상기 피스톤(30)의 양측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압축-착화-폭발-팽창-배기-유입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단계(S8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10. 삭제
KR1020090055150A 2009-06-19 2009-06-19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KR101013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0A KR101013801B1 (ko) 2009-06-19 2009-06-19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5150A KR101013801B1 (ko) 2009-06-19 2009-06-19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26A KR20100136826A (ko) 2010-12-29
KR101013801B1 true KR101013801B1 (ko) 2011-02-14

Family

ID=43510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5150A KR101013801B1 (ko) 2009-06-19 2009-06-19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80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843A1 (en) 2000-11-20 2002-05-23 Jaakko Larjola Two-stroke engine
US20060196456A1 (en) 2005-03-03 2006-09-07 Hallenbeck Samuel R Energy efficient clean burning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0843A1 (en) 2000-11-20 2002-05-23 Jaakko Larjola Two-stroke engine
US20060196456A1 (en) 2005-03-03 2006-09-07 Hallenbeck Samuel R Energy efficient clean burning two-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6826A (ko) 2010-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94944B2 (en) Rapid compression prechamber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50701705A (ko) 개선된 내연기관 및 작동방법(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2009108778A (ja) 圧縮着火式内燃機関の燃料噴射装置
US20110017170A1 (en) 8-stroke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013802B1 (ko) 병렬구조식 리니어 엔진 시스템 및 제어방법
EP1283336A3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CN112065568A (zh) 具有液压致动活塞的预燃室点火系统
JP5608175B2 (ja) 圧縮行程のない独立したガス供給系を有する内燃機関
KR101013801B1 (ko)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JP5065168B2 (ja) エンジン
US20030056749A1 (en) Hybrid air engine
US6234120B1 (en) Two-stroke engine
JP2002266643A (ja) エンジン及びその運転方法及び副室機構
JP2002266644A (ja) エンジン及び副室機構
JPH03134262A (ja) 筒内噴射式内燃機関
JPH11324805A (ja) 予燃焼室方式ガスエンジン
US20050217616A1 (en) Engine
JPH10325321A (ja) 2サイクル内燃機関
EP1770257A2 (en) Fuel injec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7354482B1 (ja) レシプロ式内燃機関の吸気または排気の弁機構
KR101215404B1 (ko) 병렬분할구조식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JP2013234596A (ja) 2サイクル副室式ガスエンジン
KR101946745B1 (ko) 엔진
KR101281119B1 (ko)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KR100848054B1 (ko) 유니플로우 소기방식의 초소형 엔진 및 엔진의 작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0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