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1119B1 -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 Google Patents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1119B1
KR101281119B1 KR1020110101106A KR20110101106A KR101281119B1 KR 101281119 B1 KR101281119 B1 KR 101281119B1 KR 1020110101106 A KR1020110101106 A KR 1020110101106A KR 20110101106 A KR20110101106 A KR 20110101106A KR 101281119 B1 KR101281119 B1 KR 10128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ston
pumping
engine
unit
combustio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11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36892A (ko
Inventor
김강출
표영덕
조종표
권오석
길범수
손병훈
Original Assignee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101011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1119B1/ko
Priority to PCT/KR2012/001727 priority patent/WO2013032083A1/ko
Publication of KR20130036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368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16Engines characterised by number of cylinders, e.g. single-cylinder engines
    • F02B75/18Multi-cylinder engines
    • F02B75/22Multi-cylinder engines with cylinders in V, fan, or star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5/00Engines characterised by using fresh charge for scavenging cylinders
    • F02B25/26Multi-cylinder engine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B25/02 - F02B25/24
    • F02B25/28Multi-cylinder engines other than tho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2B25/02 - F02B25/24 with V-, fan-, or star-arrangement of cylin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3/00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 F02B63/04Adaptations of engines for driving pumps, hand-held tools or electric generators; Portable combinations of engines with engine-driven devices for electric gen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5/00Other engines
    • F02B75/28Engines with two or more pistons reciprocating within same cylinder or within essentially coaxial cyl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Methods Of Internal-Combustion Engine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부의 양측에 펌핑실이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소실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이 발전부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전부의 출력이 상승되고, 발전부를 가운데 부분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배치하여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였으며, 기존 리니어 엔진의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하고, 상기 연소실의 피스톤 슬리브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가공성 향상 및 원가가 절감되고, 엔진피스톤의 피스톤축이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피스톤 및 슬리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상기 발전부의 코어가 상호 대응되는 면에 챔퍼링을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기 저항의 변화를 줄이고, 상기 발전부의 코깅력(디텐트력)이 저감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 주파수 상승의 효과가 있어 출력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Integrated Linear Engine System with Spring in Parallel Structure}
본 발명은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엔진부의 양측에 펌핑실이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소실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이 발전부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전부의 출력이 상승되고, 발전부를 가운데 부분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배치하여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였으며, 기존 리니어 엔진의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하고, 상기 연소실의 피스톤 슬리브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가공성 향상 및 원가가 절감되고, 엔진피스톤의 피스톤축이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피스톤 및 슬리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며, 상기 발전부의 코어가 상호 대응되는 면에 챔퍼링을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기 저항의 변화를 줄이고, 상기 발전부의 코깅력(디텐트력)이 저감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 주파수 상승의 효과가 있어 출력이 향상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존 소형 엔진의 경우에는 자동차 엔진(피스톤 및 크랭크 작동기구에 의한 4행정 또는 2행정 회전 왕복기관)을 축소시켜 만든다.
또한, 상기 엔진을 작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압축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고, 소기방식에 있어서 효율이 매우 우수한 유니플로우 소기 방식을 사용할 수 있으나 밸브 등의 주요 부품 증가로 인하여, 제작비용 및 구조적인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소형화가 어렵다.
그리하여, 일반적으로 아주 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는 4 행정 엔진보다는 비교적 구조가 간단한 2 행정 사이클(2 Stroke Cycle)을 채택하고 있으며, 2 행정 엔진의 경우에는 횡단 소기 및 루프 소기(Loop Scavenging) 방식을 적용하고 있다.
이런 방식의 리니어 엔진은 연료탱크에서 연료를 전달받아 작동하도록 상기 연료탱크에서 이송된 연료와 공기로 혼합된 혼합기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양끝단에 대응되어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 헤드와, 상기 실린더 블록 헤드의 일측에 적층되어 내부에 유입된 혼합기를 내부에 형성된 히터코일을 적열시켜 점화하는 실린더 헤드와, 상기 실린더 헤드에 의해 점화된 혼합기가 폭발하여 내부에 형성된 피스톤이 좌,우로 슬라이딩 되도록 안내하는 실린더 슬리브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리니어 엔진은 종래의 기화기 방식에 비하여 연료공급의 응답성과 연료량 제어의 정확도가 많이 향상됐다.
그런데, 상기 리니어 엔진의 구조는 자동차 엔진(피스톤 및 크랭크 작동기구에 의한 4행정 또는 2행정 회전 왕복기관)을 축소시켜 만들기 때문에 소형으로 제작하는 데 어려움이 많고, 또한 내구성 및 효율이 매우 좋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엔진을 작게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압축비를 높이는 데 한계가 있어 대부분 글로우 플로그(glow plug)를 사용하여 저압축비에 연소를 시키고 있기 때문에 열손실 등이 증가하여 엔진의 효율 및 성능이 매우 낮아지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그리고, 상기 리니어 엔진에 제너레이터가 중앙에 오도록 설계하여 리니어 엔진의 커넥팅로드가 길어져서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 등으로 인한 측면 하중이 증가하고, 그로 인한 마찰이 커져 효율 및 내구성이 악화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엔진부의 양측에 펌핑실이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소실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이 발전부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전부의 출력이 상승되고, 발전부를 가운데 부분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배치하여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였으며, 기존 리니어 엔진의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한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연소실의 피스톤 슬리브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가공성 향상 및 원가가 절감되고, 엔진피스톤의 피스톤축이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피스톤 및 슬리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의 코어가 상호 대응되는 면에 챔퍼링을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기 저항의 변화를 줄이고, 상기 발전부의 코깅력(디텐트력)이 저감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 주파수 상승의 효과가 있어 출력이 향상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전달받아 작동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양측에 이격되어 병렬로 구비되고,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엔진부에 이송하는 펌핑부와;
상기 엔진부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와 외부의 공기를 펌핑부에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펌핑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엔진부와 연결되고, 상기 엔진부의 작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는 엔진부의 양측에 펌핑실이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연소실의 연소시, 발생되는 고열이 발전부에 전도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발전부의 출력이 상승되고, 발전부를 가운데 부분이 아닌 양쪽 측면으로 배치하여 길이 방향의 크기를 줄였으며, 기존 리니어 엔진의 좌굴 및 진동에 의한 편심을 줄여 내구성을 증대한 효과가 있다.
또한, 연소실의 피스톤 슬리브가 양측으로 분할되어 형성됨으로써, 가공성 향상 및 원가가 절감되고, 엔진피스톤의 피스톤축이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됨으로써, 엔진피스톤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동시에 피스톤 및 슬리브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발전부의 코어가 상호 대응되는 면에 챔퍼링을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기 저항의 변화를 줄이고, 상기 발전부의 코깅력(디텐트력)이 저감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 주파수 상승의 효과가 있어 출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피스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전달받아 작동하는 엔진부와;
상기 엔진부의 양측에 이격되어 병렬로 구비되고, 공급부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엔진부에 이송하는 펌핑부와;
상기 엔진부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와 외부의 공기를 펌핑부에 공급하는 공급부와;
상기 펌핑부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엔진부와 연결되고, 상기 엔진부의 작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발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엔진피스톤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는 리니어 엔진과, 리니어 제너레이터와, 에어펌프로 이루어진 시스템인데, 본 발명에서는 기술작성의 명확성을 위해 연료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전달받아 작동하는 엔진부(100)와, 펌핑부(200)와, 발전부(300)와, 공급부(400)로 구성된다.
상기 엔진부(10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전달받아 작동하는 장치로써, 상기 연소실(110)과, 연결부(130)와, 연소실 헤드(1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110)의 상부면에는 상기 관통홀(113)과 연통되어 연료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다수개의 배기포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연소실(110)의 양측면에는 관통홀(113)과 연통되어 공기 및 연료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다수개의 흡기구(112)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흡기구(112)는 연소실(110)의 양끝단부에 형성되는 연소실 헤드(120) 부위 근처 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유입된 공기와 연료가 연소실 헤드(120)의 점화플러그(121)에 의해 점화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연소실(110)의 내부에는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어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3) 내에는 피스톤 슬리브(140)가 설치되며, 상기 피스톤 슬리브(14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연소실(110)의 양측에 분리되어 형성되어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홀(14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피스톤 슬리브(140)는 세라믹 재질로써, 상기 연소실(110)의 배기포트(111)와 흡기구(112)의 위치에 맞춰 다수개의 연결홀(142)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홀(142)은 피스톤 슬리브(140)의 상부면과 양측면에 각각 형성된다.
한편, 상기 양측으로 분리된 피스톤 슬리브(140)의 피스톤홀(141)에는 세라믹 재질의 엔진피스톤(150)이 삽입되어 연소실(110)의 폭발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된다.
여기서, 상기 엔진피스톤(150)은 도 5에서처럼, 상기 양측으로 분리된 피스톤 슬리브(140)의 피스톤홀(141)에 각각 삽입되는 피스톤헤드(151)와, 상기 피스톤헤드(151)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되어 엔진피스톤(150)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피스톤축(152)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피스톤축(152)에는 마그네트(330)를 상호 연결해주는 링크(340)가 관통되어 연결되도록 링크홀(153)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홀(153)은 상호 결합되는 두 개의 피스톤축(152)에 형성되되,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링크홀(153)은 링크(340)보다 크게 형성되어 엔진피스톤(150)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해준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12)는 펌핑실 헤드(220)의 이송구(222)와 연결부재(미도시)에 의해 연결되는데, 상기 흡기구(112)가 다수개 형성되어 있어 리니어엔진의 상단부를 통해 이송구(222)와 연결되면 연결부재가 상호 겹쳐지거나 간섭하기에 일부 흡기구(112)는 도 1에서처럼 아래 방향 즉, 리니어엔진의 하단부로 형성되고, 그와 동일하게 펌핑실 헤드(220)의 이송구(222)도 하단부 또는 측면부 방향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연결부(13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110)의 양측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끝단부가 펌핑부(200)의 펌핑실(210) 외부면에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구조이다. 즉, 상기 연결부(130)에 의해 엔진부(100)와 펌핑부(200)의 평면 형태는 도 3과 도 4에서처럼, "王" 형태로 형성되어 엔진부(100)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였다.
또한, 상기 연소실 헤드(12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소실(110)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연소실(110)의 관통홀(113)을 차단하고, 상기 연소실(110) 내의 연료를 폭발시키도록 점화플러그(121)가 중앙부에 관통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연소실 헤드(120)의 상단부에는 연소실(110) 내의 압력을 측정하는 압력센서(122)가 더 형성된다.
상기 펌핑부(2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부(100)의 양측에 이격되어 병렬로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4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엔진부(100)에 이송하는 장치로써, 펌핑실(210)과, 펌핑실 헤드(22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펌핑실(210)은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외부면이 연결부(13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데, 상기 펌핑실(210)은 연결부(130)와 연결되는 부위를 기준으로 두 개로 분리되어 상호 이격되고, 상기 분리된 부위에 발전부(30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펌핑실(210)의 내부에는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공기홀(151)에 삽입 설치되도록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되,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펌핑피스톤홀(231)이 형성되는 세라믹 재질의 펌핑피스톤 슬리브(230)와, 상기 펌핑피스톤 슬리브(230)의 펌핑피스톤홀(231)에 삽입되어 연소실(110)의 폭발에 맞춰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펌핑피스톤헤드(241)와 펌핑피스톤축(242)으로 이루어지는 세라믹 재질의 펌핑피스톤(240)과, 상기 펌핑피스톤헤드(241)의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펌핑피스톤(240)의 좌, 우 슬라이딩 시, 탄성력으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동시에 반동을 주어 일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25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펌핑피스톤(240)은 발전부(300)에 의해 엔진피스톤(150)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피스톤(150)의 구동에 맞춰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데, 상기 발전부(300)와의 연결구조는 이하의 발전부(300)를 기술할 때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 펌핑실 헤드(220)는 도 1 내지 도 4에서처럼, 펌핑실(210)의 양끝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400)와 연결되어 공기와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홀(221)이 일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가 펌핑피스톤(240)의 구동에 의해 연소실(110) 내에 이송되도록 이송구(222)가 일단부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펌핑실 헤드(220)의 내부에는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하도록 리드밸브(REED VALVE,223)가 더 형성되고, 상기 리드밸브(223)는 일측으로 공기와 연료가 유입되는 것은 허용되지만, 반대측으로 이송되는 것을 차단하는 밸브이다.
이때, 상기 펌핑실 헤드(220)의 이송구(222)는 연소실(110)의 흡기구(112)와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공기와 연료가 연소실(110) 내에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공급부(400)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진부(100)의 외부면(상부면)에 볼트 등의 고정부재(미도시)에 의해 고정되어 연료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와 외부의 공기를 펌핑부(200)에 공급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상기 공급부(400)는 도 1에서처럼, 연료탱크(미도시)와 연결되어 전달된 연료를 내부에 분사하도록 인젝터(410)가 상부측에 관통 형성되고, 상기 공급부(400)의 상측 일단부에는 외부의 공기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공기유입홀(221)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공급부(400)의 측면부에는 상기 인젝터(410)와 공기유입홀(221)을 통해 내부에 유입된 공기와 연료가 공급부(400)의 내부에서 혼합되어 펌핑부(200)에 전달되도록 다수개의 연결구(4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구(430)는 펌핑실 헤드(220)의 유입홀(221)과 연결부재에 의해 상호 연결되어 공기와 연료가 펌핑실(210)에 이송된다.
상기 발전부(30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펌핑부(2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엔진부(100)와 연결되고, 상기 엔진부(100)의 작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장치로써, 펌핑실(210)이 분리된 부위에 수평상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코어(310)와, 상기 코어(310)에 감겨 부착되는 코일(320)과, 상기 상,하로 이격된 코어(31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펌핑피스톤(240)이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펌핑피스톤(240)과 동일하게 슬라이딩되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330)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마그네트(330)는 펌핑부(200)에 맞춰 두 개가 형성되는데, 상기 두 개의 마그네트(330)는 도 2 내지 도 4에서처럼, 링크(340)에 의해 상호 연결되고, 상기 링크(340)는 엔진피스톤(150)과 연결되어 상기 엔진피스톤(150)의 구동에 맞춰 마그네트(330)도 동일하게 구동된다. 이때, 상기 링크(340)는 엔진피스톤(150)의 링크홀(153)에 관통 형성되어 엔진피스톤(150)의 구동에 맞춰 마그네트(330)도 동일한 방향으로 구동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330)의 구동에 의해 양측에 고정된 펌핑피스톤(240)도 동일하게 구동됨으로써, 상기 엔진피스톤(150)의 구동방향과 펌핑피스톤(240)의 구동방향이 동일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코어(310)가 상호 대응되는 면에는 챔퍼링(모따기)을 함으로써, 공극에서의 자기 저항의 변화를 줄이고, 상기 발전부(300)의 코깅력(디텐트력)이 저감되며, 이를 통해 피스톤 주파수 상승의 효과가 있다.
100 : 엔진부 110 : 연소실
111 : 배기포트 112 : 흡기구
113 : 관통홀 120 : 연소실 헤드
121 : 점화플러그 122 : 압력센서
130 : 연결부 140 : 피스톤 슬리브
141 : 피스톤홀 142 : 연결홀
150 : 엔진피스톤 151 : 피스톤 헤드
152 : 피스톤 축 153 : 링크홀
200 : 펌핑부 210 : 펌핑실
220 : 펌핑실 헤드 221 : 유입홀
222 : 이송구 223 : 리드밸브
230 : 펌핑 피스톤 슬리브 231 : 펌핑 피스톤홀
240 : 펌핑 피스톤 241 : 펌핑 피스톤 헤드
242 : 펌핑 피스톤 축 250 : 스프링
300 : 발전부 310 : 코어
320 : 코일 330 : 마그네트
340 : 링크 400 : 공급부
410 : 인젝터 420 : 공기유입홀
430 : 연결구

Claims (8)

  1.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전달받아 작동하는 엔진부(100)와;
    상기 엔진부(100)의 양측에 이격되어 병렬로 구비되고, 공급부(400)를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를 엔진부(100)에 이송하는 펌핑부(200)와;
    상기 엔진부(100)의 외부면에 구비되어 연료탱크에서 전달되는 연료와 외부의 공기를 펌핑부(200)에 공급하는 공급부(400)와;
    상기 펌핑부(200)의 일단부에 구비되어 엔진부(100)와 연결되고, 상기 엔진부(100)의 작동에 의해 전기가 발생되는 발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엔진부(100)는, 내부에 연료와 공기가 유입되어 폭발이 이루어지도록 길이방향으로 관통홀(113)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3)과 연통되어 연료의 폭발에 의해 발생하는 배기가스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상부면에 다수개의 배기포트(111)가 형성되고, 상기 관통홀(113)과 연통되어 공기 및 연료가 내부에 유입되도록 양측면부에 다수개의 흡기구(112)가 형성되는 연소실(110)과;
    상기 연소실(110)의 양측부에 일체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펌핑부(20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는 연결부(130)와;
    상기 연소실(110)의 양측 끝단부에 구비되어 연소실(110)의 관통홀을 차단하고, 상기 연소실(110) 내의 연료를 폭발시키도록 점화플러그(121)가 중앙부에 관통 설치되는 연소실 헤드(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소실(110)에는, 관통홀(113)에 삽입 설치되되, 상기 연소실(110)의 양측에 분리되어 형성되고, 내부의 길이방향으로 피스톤홀(141)이 형성되며, 상기 연소실(110)의 배기포트(111)와 흡기구(112)의 위치에 맞춰 다수개의 연결홀(142)이 형성되는 세라믹 재질의 피스톤 슬리브(140)와;
    상기 양측으로 분리된 피스톤 슬리브(140)의 피스톤홀(141)에 삽입되어 연소실(110)의 폭발에 의해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세라믹 재질의 엔진피스톤(1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피스톤(150)은,
    상기 양측으로 분리된 피스톤 슬리브(140)의 피스톤홀(141)에 각각 삽입되는 피스톤헤드(151)와;
    상기 피스톤헤드(151)의 사이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되, 상호 분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타측의 내부에 결합되어 엔진피스톤(150)의 동적 자유도를 크게 하여 구동시, 측면하중을 최소화하여 마찰손실을 줄이는 피스톤축(152);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부(200)는,
    외부면이 연결부(130)와 일체형으로 연결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공기홀(211)이 형성되어 상기 공급부(400)의 연료와 공기를 내부에 유입시키며, 중앙부에 발전부(300)가 구비되도록 형성되는 펌핑실(210)과;
    상기 펌핑실(210)의 양끝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공급부(400)와 연결되어 공기와 연료가 유입되는 유입홀(221)이 일단면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된 공기와 연료가 펌핑피스톤에 의해 연소실(110) 내에 이송되도록 이송구(222)가 일단부에 형성되는 펌핑실 헤드(22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실(210)에는,
    공기홀(151)에 삽입 설치되도록 양측으로 분리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펌핑피스톤홀(231)이 형성되는 세라믹 재질의 펌핑피스톤 슬리브(230)와;
    상기 펌핑피스톤 슬리브(230)의 펌핑피스톤홀(231)에 삽입되어 연소실(110)의 폭발에 맞춰 좌,우로 슬라이딩되도록 펌핑피스톤헤드(241)와 펌핑피스톤축(24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펌핑피스톤축(242)은 발전부(300) 사이에서 슬라이딩되는 세라믹 재질의 펌핑피스톤(240)과;
    상기 펌핑피스톤헤드(241)의 끝단부에 각각 설치되어 펌핑피스톤(240)의 좌, 우 슬라이딩 시, 탄성력으로 충격을 완화시켜주는 동시에 반동을 주어 일측으로 밀어주는 스프링(250);
    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펌핑실 헤드(220)의 내부에는 유입홀(221)을 통해 유입되는 공기와 연료의 압력차에 의해 개폐하도록 리드밸브(REED VALVE,223)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발전부(300)는,
    펌핑실(210)에 수평상 상,하로 상호 이격되어 고정설치되는 코어(310)와;
    상기 코어(310)에 감겨 부착되는 코일(320)과;
    상기 상,하로 이격된 코어(310) 사이에 구비되고, 펌핑피스톤(240)이 양측에 고정 설치되어 펌핑피스톤(240)과 동일하게 슬라이딩되는 영구자석인 마그네트(330);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10101106A 2011-08-30 2011-10-05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KR10128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06A KR101281119B1 (ko) 2011-10-05 2011-10-05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PCT/KR2012/001727 WO2013032083A1 (ko) 2011-08-30 2012-03-09 병렬구조식 일체형 리니어엔진 제너레이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1106A KR101281119B1 (ko) 2011-10-05 2011-10-05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92A KR20130036892A (ko) 2013-04-15
KR101281119B1 true KR101281119B1 (ko) 2013-07-02

Family

ID=4843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1106A KR101281119B1 (ko) 2011-08-30 2011-10-05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1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02B1 (ko) 2009-06-19 2011-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병렬구조식 리니어 엔진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10072595A (ko) * 2009-12-23 2011-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니어 엔진의 배열 및 기화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3802B1 (ko) 2009-06-19 2011-02-14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병렬구조식 리니어 엔진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110072595A (ko) * 2009-12-23 2011-06-29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리니어 엔진의 배열 및 기화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36892A (ko) 2013-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94198B2 (en) Free piston engine
RU2695174C2 (ru) Двигатель внутреннего сгорания (варианты)
US9010287B2 (en) Multi-fuel engine
KR101013802B1 (ko) 병렬구조식 리니어 엔진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101097877B1 (ko) 리니어 엔진의 배열 및 기화열을 이용한 열전발전 시스템
WO2004046521A3 (de) Zweitakt-freiflug-gegenkolben-brennkraftmaschine
KR101281119B1 (ko) 병렬분할구조식으로 스프링이 설치된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KR101215404B1 (ko) 병렬분할구조식 일체형 리니어엔진장치
US20080264375A1 (en) Dual connecting rod piston
KR101246097B1 (ko) 피스톤 밸브 형태의 과급장치가 형성된 리니어 엔진
US7293534B2 (en) Premixed charg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nd reciprocating generator having the same
US20080289598A1 (en) Large displacement engine
US7210446B2 (en) V-twin configuration having rotary mechanical field assembly
KR101306898B1 (ko) 폐열을 이용한 연료기화 및 단열장치가 형성된 리니어 엔진
CN105317542A (zh) 并排对称自由活塞永磁直线发电机
KR101088136B1 (ko) 리니어 엔진의 병렬구조식 리니어 제너레이터
US7188598B2 (en) Rotary mechanical field assembly
KR101224577B1 (ko) 포토센서를 이용한 일체형 리니어 엔진장치 및 이에 따른 구동제어방법
US11118456B2 (en) Methods and related systems for generating pressurized air within an opposed piston engine
EP3622166B1 (en) Assembly for producing electric power
SK500032022U1 (sk) Lineárny spaľovací motor s voľným piestom
KR101013801B1 (ko) 기화압력을 이용한 직분사 리니어 엔진 및 리니어 엔진의 제어방법
CN116163835A (zh) 一种可变燃料、可变冲程高效直线内燃发电机及工作方法
JP2003129858A (ja) 2サイクルエンジン
WO2004090302A1 (en) Premixed charge compression ignition engine and reciprocating generator hav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