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2572B1 -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 Google Patents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2572B1
KR101012572B1 KR1020067019114A KR20067019114A KR101012572B1 KR 101012572 B1 KR101012572 B1 KR 101012572B1 KR 1020067019114 A KR1020067019114 A KR 1020067019114A KR 20067019114 A KR20067019114 A KR 20067019114A KR 101012572 B1 KR101012572 B1 KR 1010125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baggage
steering wheel
wheel assembly
whee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7019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06779A (ko
Inventor
폴 티 후이 리
마크 티 후앙 리
Original Assignee
머더시우스, 비앙카 헬렌
마크 티 후앙 리
폴 티 후이 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머더시우스, 비앙카 헬렌, 마크 티 후앙 리, 폴 티 후이 리 filed Critical 머더시우스, 비앙카 헬렌
Publication of KR20070006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067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2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2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04Trunks; Travelling basket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38Luggage carriers
    • A45C13/385Luggage carriers with ro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1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the rolling means being formed by the trunk itself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26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 A45C13/262Special adaptations of handles for wheeled luggag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5/00Rigid or semi-rigid luggage
    • A45C5/14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 A45C5/146Rigid or semi-rigid luggage with built-in rolling means retractable

Landscapes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Handcart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하물 용기를 가지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를 제공한다. 상기 용기는 수하물 구획부를 형성하는 바닥벽, 상부벽, 대향된 단부벽 및 대향된 측벽 , 바닥 벽을 가진다. 상기 수하물 케이스는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I) 바닥 벽의 한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 휠
(II) 상기 지지휠로부터 이격되고 바닥벽에 위치한 격납식 스티어링 휠 조립체,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는 휠 조립체가 수하물 용기의 바닥벽아래로 연장되는 활성 위치와 수하물 용기의 형태내에 있는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III) 조종, 누름, 당김 및 상승을 위해 수하물 용기의 한 단부에 위치한 핸들수단.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활성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벽은 지면에 예각을 이룬다.
여행케이스

Description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WHEELED LUGGAGE CASE}
본 발명은 여행자의 수하물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 보도 또는 이와 유사한 곳을 따라 이동시키기 용이하도록 휠과 푸시-손잡이가 장착된 수하물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지난 수십년 동안, 사람들은 더 긴 기간 동안 더 긴 거리를 더 크고 무거운 여행가방을 가지고 여행하게 되었다. 공항, 철도역, 호텔 또는 다른 장소에서 들어 올리고, 수하물을 직접 운반하는 것은 여행자가 일반적으로 싫어하는 일이다.
임대용 수하물 카트를 상기와 같은 종류의 장소 사이트에서 이용할 수 있으나 임대 과정이 불편하고 상기와 같은 카트는 빌린 장소부근에서만 사용할 수 가 있다.
이와같은 문제점을 완화하기 위하여, 사용하지 않을 때 장치의 처리와 저장을 용이하게 하도록 경량이고 접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지는 휠달린 수하물 캐리어가 사용되어 왔고 이러한 장치의 예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는 본질적으로 수하물 케이스가 놓여지는 플랫폼, 플랫폼의 아래 한 변부 영역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휠 및 상기 변부 영역으로부터 상부로 연장되는 핸들을 가지는 타입의 작은 손수레이다.
사용자는 플랫폼과 수하물 케이스를 바닥 등에서 위로 올리기 위해 핸들을 잡고 기울이며 캐리어는 그후 케이스의 목적지로 당겨지거나 밀리게 된다. 이와 같은 캐리어는 도움이 되기는 하나 불편하다.
캐리어는 자체적으로 안정화되지는 않으며 전체적으로 이동하는 동안 자체적으로 지지되지 않는다. 상기 캐리어를 밀거나 당기는 사람은 캐리어가 바닥 또는 다른 표면을 따라 진행될 수 있도록 경사진 방향에서 캐리어를 고정하기 위해 추가적인 노력을 연속적으로 해야한다. 이러한 사용자의 노력이 없이는 중력의 작용으로 플랫폼 또는 핸들 자체가 바닥에 넘어지게 된다.
수하물 케이스가 캐리어로부터 제거되면, 캐리어 자체는 본질적으로 아직도 여행자가 힘들게 운반해야하는 수하물의 또 다른 분리된 조각이 된다. 진행방향으로 경사질 때의 캐리어의 불안정성과 핸들이 해제될 때 발생하는 선회운동은 수하물 케이스를 따라 작은 어린이를 이송하는 것과 같이 특정목적에는 만족스럽지 못하다. 이에따라 분리된 캐리어의 도움 없이 자체적으로 휠이 달린 수하물 케이스를 만들게 되었다. 이것은 통상 케이스가 수직 위치에 있을 때 하부로 향하는 케이스의 표면에 휠을 다는 것으로 구성된다.
대부분의 케이스 디자인은 종래의 직사각형 박스-타입 여행 가방의 좁은 측면의 대향 코너에 위치한 휠을 가진다. 케이스의 휠이 구르는 상기 방향에서 케이스는 폭보다 상당히 높아진다. 상기 타입의 예시는 도 2에 도시된다.
상기 배치의 장점은 걸을 때 방해되지 않고 한측면으로 여행 가방이 구르고 운반되는 것이 쉽다는 점이다. 그러나 중요한 단점은 길고 좁은 베이스로 인해 조 작이 어렵고 안정성이 떨어지며 일반적으로 끌어당기는 사람이 어색한 자세로 상체로 구부려야만 한다는 것이다.
휠이 더욱 휴대성을 강화하도록 여행 가방에 부착되고 난 후, 또 다른 개선방향은 인간공학적인 케이스 물질 및 조작이 편리한 휠을 가지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의 이동이 용이하도록 격납식의 손잡이가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에 채용되게 되었다. 손잡이가 연장될 때 방비는 휠에 대해 경사지고 필수적으로 상술한 수하물 케이스 캐리어와 동일한 방법으로 동작하게된다.
상기와 같은 디자인의 장점은 인각공학적이고 조작성이 개선된 격납식의 손잡이에 있다. 그러나, 상기 디자인은 작고 가벼운 케이스를 위한 것이고 대형의 여행용 가방의 경우에는 상당한 크기와 중량 때문에 잡기가 힘들고 성가시며 종래의 캐리어의 모든 단점을 가진다. 종래의 모든 디자인에서, 케이스는 좁은 베이스와 높은 무게중심으로 인해 불안정하다.
1980년대로 돌아가면, 일부는 표면이 가장 넓은 여행 가방의 넓은 쪽에 휠을 부착하고, 트롤리와 같은 휠 위에 가장 넓은 측면에 있는 케이스가 공개된 바 있다.(미국 특허 제 6,041,900호, 아우테리거 인크 참조).
이것은 넓은 베이스와 낮은 무게 중심을 가짐에 따라 더 나은 안정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아이디어는 디자인에 있어 내재적인 몇 가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를들어, 비고정 여행가방을 이송 또는 보관 및 꾸리고 푸는동안 노출된 휠이 손상될 위험이 있어 실제적으로 불편하다.
사람들은 휠을 격납식으로 만들고, 일반적으로 휠을 사용시 연장된 위치로 고정하기 위해 예를들어 캐치 또는 래치와 같은 고정 메커니즘을 사용하는 시도를 해왔다. 상술한 바의 예는 Alper, Brad 및 Trevethick, Richard의 미국특허 제 5407039호이다. 다중 격납식의 휠은 작동 및 격납하는데 성가시고 불편하며, 또한, 전체 캐이스가 실제적인 목적을 위해서는 너무 무겁다. 또한, 고정 메커니즘은 상기 타입의 고정 메커니즘과 수하물이 종종 수리 또는 교체되어야 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사용시 종종 무거운 수하물을 항상 지지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한다.
수하물을 (1) 안정성있고 인간공학적으로 쉽게 조작할 수 있고 (2) 실제사용시 편리하도록 하는 것에 대한 오랜 요구가 있어왔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 중의 하나 이상을 극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첫 번째 특징에 따르면, 수하물 용기를 가지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가 제공되고 상기 용기는 두 대향된 주벽을 가지고 수하물 구획부를 형성하는 단부벽을 가진다. 상기 용기의 주벽은 휠을 사용하는동안 지면과 접하는 바닥벽으로 기능하며 상기 수하물 케이스는 또한 다음을 포함한다.: (i) 바닥 벽의 한 단부 끝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 휠; (ii) 지지휠로부터 이격된 바닥 벽에 위치하는 격납식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는 하나이상의 휠을 가지고 휠 조립체가 수하물 용기의 프로파일내에 있는 비활성 위치 또는 수하물 용기의 바닥 벽아래로 휠조립체가 연장되는 활성 위치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iii) 스티어링, 푸싱, 풀링 및 리프팅 목적으로 수하물 용기의 한 단부에 위치한 핸들 수단;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와 지지휠은 활성위치에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와 함께 베이스 벽이 지면에 대해 예각을 이루고 상기 예각은 지지휠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된다.
상기 케이스의 대향된 주벽은 가장 큰 표면 영역인 케이스의 대향 벽이다. 적절하게 상기 핸들 수단은 지지휠과 같이 수하물 용기의 동일한 단부에 위치한다.
활성 위치에서 핸들 조립체는 지지 휠보다 베이스 벽으로부터 더 연장된다. 상기 배치에 따라 수하물 용기가 지지휠을 향해 뒤로 기울여져서 사용자를 향해 중력의 중심이 이동하여 케이스를 누르게 되어 누르기가 쉬워진다. 상기 배치는 또한 중력의 중심이 스티어링 휠에서 벗어나도록 하여 오프로딩됨에 따라 조종하기 쉽게한다. 휠이달린 수하물은 삼륜 휠 형상에서 두 지지 휠과 하나의 격납식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 삼륜 형상은 총 수하물 중량을 최소로 하고, 휠링 시스템의 작동을 쉽게 최적화하고 편리하게 하는 조종능력을 더 부여한다. 상기 배치는 휠링 시스템의 총 수하물 중량을 최소로 하고, 작동편의성을 쉽게 편리하게 최적화하여 안정성과 더불어 조종능력을 최적화한다.
상기 지지 휠은 스티어링 휠이 연장되고, 케이스가 후방으로 기울어질 때만 '활성화된다'. 상기 배치는 휠링시스템의 활성 및 비활성화를 쉽고 편리하게 최적화하고 휠링시시템의 중량을 최소화한다.
상기 격납식 휠 조립체는 선회되도록 장착되거나 슬롯이 형성된 형태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하물 용기는 각각 비활성 및 활성 위치에서 휠조립체를 조정하도록 적용된 단부 벽 및 바닥 벽 양쪽의 리세스와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휠은 조립체내에 선회가능하게 조립되어 자신의 축 및 그에대해 수직인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치는 조종을 용이하게 한다. 활성위치일 때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케이스의 베이스 벽 상의 지지표면으로 지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 표면은 케이스의 베이스 벽내로 만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베이스 벽내의 휠 조립체를 위한지지 표면은 케이스의 전면과지지 휠 사이의 라인에 대해 케이스의 베이스 벽에 예각을 이루며 위치하여 지지표면은 지표면에 대해 거의 평행하다. 상기 배치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이 스티어링 휠이 장착되는 선회 수단에 부하되는 지점보다는 지지표면을 통하여 케이스의 베이스로 분산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와 지지 휠은 활성위치에서 스티어링 휠조립체와 함께 베이스 벽이 케이스가 머무는 표면에 대해 지지휠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예각을 형성하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배치는 지지 휠 및 핸들과 사용자를 향해 케이스 내용물의 중력 중심을 바꾸어 놓는다. 이것은 케이스를 더 밀기 더 쉽게 한다. 동시에, 상기 배치는 케이스 내용물의 중력 중심이 스티어링 휠로부터 이격되어 케이스를 쉽게 이동시키도록 한다.
스티어링 휠이 비활성위치 위치에서 격납될 때, 케이스의 넓은 베이스는 케이스 베이스의 한 단부에서 스톱퍼위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하고 다른 단부에서는 지지휠위의 지지면에 대해 평행하다. 전면 스티어링 휠이 활성위치에서 연장되면, 케이스는 경사지게 되고 자동으로 후방 지지휠이 활성화된다. 상기 배치에 따라 수하물 용기는 지지 휠쪽으로 경사져서 케이스를 누르는 사용자를 향해 중력중심이 이동하고 밀기 쉬워진다.
상기 배치에 따라 수하물 용기는 후방으로 기울어져 격납가능한 핸들이 수하물 용기의 후방 표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경사지게 되고 보행공간을 형성된다. 상기 배치에 따라 수하물 용기는 케이스의 상부로부터 후방으로 경사져서 다른 수하물이 떨어지지않도록 한다. 상기 배치에 따라 수하물 용기가 후방으로 경사져서 케이스가 푸시 프램(push pram)으로 전환될 수 있어 액세서리를 안전하게 부착하도록 한다.
핸들수단은 핸들이 수하물 용기로부터 외부로 연장하고 사용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는 활성위치와 수하물 용기내에 핸들이 포함되는 비활성위치사에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핸들과 손잡이가 격납될 때, 수하물 케이스는 보통의 운송 케이스처럼 긴 좁은 표면에 놓이는 핸들로 운반될 수 있다. 휠링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케이스가 후방으로 기울어졌을 때, 핸들은 또한 충분한 보행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후방 케이스 표면으로부터 뒤쪽으로 이격되어 기울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스의 후방의 표면은 추가적인 보행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만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케이스는 단지 내구성과 내용물의 보호를 위한 튼튼한 재료로 만들어질뿐만 아니라, 상부에 적재되는 다른 수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티어링 휠과 핸들이 활성위치에 있을 때, 케이스는 다른 수하물을 운반하기 위한 카트/트롤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아기를 위한 적절한 악세사리의 안전한 부착을 위한 푸시 프램으로 편리하게 전환될 수 있다. 단순한 제동 시스템이 안전과 편의 목적을 위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이제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로 설명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휠이 달린 수하물 캐리어를 도시한다.
도 2는 종래기술의 휠이달린 수하물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a는 핸들을 가진 종래기술의 휠이달린 수하물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b는 종래기술의 격납식 휠의 확대도.
도 4는 스티어링 휠과 핸들이 활성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수하물 케이스의 측면도.
도 4a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확대도.
도 5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비활성위치를 향해 움직이는 도 4의 수하물 케이스의 측면도.
도 6은 활성 및 비활성 위치사이에 있는 도 4의 수하물 케이스의 측면도.
도 7은 비활성위치에서의 도 4의 수하물 케이스의 측면도.
도 8은 제 1 실시예의 수하물 케이스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도 10-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도 16-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
본 실시예는 발명을 실행하는데 있어 최선의 방법을 나타내나 이것이 달성될 수 있는 유일한 길이 아니며, 오직 예시적인 목적으로 도시되고 서술된다.
도 1-3은 수하물 케이스를 휠에 설치하기 여러 가지 종래 기술의 설계를 도시한다.
도 1은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수하물이 위치되는 접을 수 있는 프레임을 도시된다. 도 2는 좁은 변부 표면의 한 단부에 장착되는 휠을 가지는 케이스를 도시한다. 도 3a는 움직임을 용이하게 하도록 격납식 핸들을 가진 선택적인 휠 장착 케이스를 도시한다. 이 모든 설계는 상술한 결점을 가진다.
대부분의 케이스는 휠을 격납식으로 하는 수단을 가지고 있지 않다. 이것은 명백한 장점이 있는데, 휠을 사용하지 않을 때 휠은 다양한 항목을 고정하거나 얹을 수 있다. 또한 포장하고, 포장을 풀 때 움직이지 않는 용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형적인 격납 수단의 예는 도 3b에 나타난다.
휠(20)은 용기(22)의 프레임내에 형성된 반침(21)에 부분적으로 위치한다. 휠(20)의 액슬(23)은 프레임(27)의 두꺼운 부분에서 수직 통로(26)로 위로 넓어지는 섕크(25)를 가지는 포크(24)를 연결한다. 섕크와 통로는 휠의 하부변부가 용기의 하부레벨위에 있는 지점으로 휠을 상승시킬 수 있는 충분한 길이로 형성된다. 휠을 상승 또는 하강 위치중 하나에 고정하기 위해 격납 수단은 프레임내의 통로를 통하여 연장되고 상승 또는 하강된 위치중 하나에 해당하는 보어쌍중 하나로 들어가는 핀(28)을 포함한다. 고정 메커니즘을 가진 다중 격납식의 휠은 활성화 및 격 납에 불편하다. 특히 이들은 전체 케이스를 실제 사용하기에 너무 무겁게 한다.
수하물 케이스는 종종 무거운 하중을 포함하고 사용시 오랜시간동안 휠을 고정하는 큰 응력을 주게된다. 예를들어 도 3b에서 섕크를 통하여 작용하는 모든 힘은 하강된 위치에서 휠을 고정하는 핀(28)에 가해지게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짧은 시간 사용후 고정 메커니즘이 제대로 작동하지 못하게 한다.
도 4-10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30)를 도시한다. 도 4는 수하물 용기(31), 지지 휠 조립체(32a)(32b는 도시되지 않음), 스티어링 휠 조립체(33) 및 격납식 핸들(39)을 포함하는 수하물 케이스의 측면도이다.
수하물 용기(31)는 수하물 구획부를 형성하는 베이스(34), 전면 단부 벽(35), 후방 벽(36)(다른 측벽은 도시되지 않음)으로 한정된다. 리드(38)는 케이스가 닫힐 때 구획부의 상부에 미친다. 용기(31)와 리드(38)는 하기하는 특수한 구조적 특징을 제외하고 전형적인 여행자의 여행 가방의 일반 형상과 구성을 공동으로 가질 수 있다.
상기 특별한 예에서, 용기(31)와 리드(38)는 일반적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공동으로 가지고 상기 구성요소들은 내구성이 있는 물질로 형성된다. 케이스(30)는 물론 다른 형태를 가질 수 있고, 다른 물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어어떤 크기의 수하물 케이스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비록 모든 케이스에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수하물 용기(31)와 리드(38)는 안정성을 최대로 하기 위해 이들의 높이를 초과하는 길이와 폭을 공동으로 가진다.
상기 리드는 당업자에게 알려진 여러 가지 수단에 의해 수하물 용기에 고정 될 수 있고 리드가 지프, 자물쇠, 걸쇠 또는 다른 고정수단에 제한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여 고정할 수 있는 여러 가지 방법을 가진다.
케이스(30)는 바닥, 보도 또는 그 종류의 다른 것을 따라 굴러가도록 설계되었으나 짧은 거리를 움직일 때는 운반할 수 있는 종래의 핸드 그립(도시되지 않음)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다른 형태의 힌지, 클로저, 래칭수단 및 케이스를 운반하기 위한 설비를 가지는 수하물 케이스에 동일하게 적용가능하다.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격납식 핸들(39)은 보통의 수직의 자세로 걷는 동안 여행자가 케이스를 밀 수 있도록 한다. 핸들은 챔버(41)내로 격납될 수 있는 한쌍의 동일 평면상의 평행한 암(40)을 가지게 되어 핸들의 상부가 비사용중일 때 리드(38)로 튀어나오지 않고 제한된 공간내의 케이스의 수납공간과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암의 반대쪽 단부는 케이스가 이동하는 동안 사용자가 쥐게 되는 단면수단(42)에 의해 연결된다.
각 암이 멤버에게 텔레스코핑 수단으로 형성됨에 따라 핸들(34)이 연장가능하고 격납가능하다. 여행자가 연장되는 정도를 선택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동안 암을 적절한 위치에 잠그는 수단이 제공된다.
케이스가 사용되거나 사용되지 않을 때 핸들이 사용하는 동안 위치될 수 있고 후에 이격되어 저장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핸들은 일반적으로 U자 형태의 선회되거나 접히는 핸들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핸들은 최신의 경량 및 견고한 물질의 다양한 설계로 쉽게 제작될 수 있고 본 발명은 어떤 핸들 설계에도 적용가능하다.
각각 이격된 지지휠 조립체(32a, 32b)(도시되지 않음)는 용기(31)의 후방 단부 벽(36)에 근접한 수하물 용기(31)의 반대쪽 영역에 배치되고, 지지 표면에 연결되도록 하부로 연장된다. 이것은 도 8에 명확히 도시된다.
지지표면으로부터의 케이스 베이스의 경사는 보행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후방 표면과 케이스의 후방 하부 변부로부터 후방으로 이격된 핸들바를 경사지도록 한다. 케이스의 후방 표면의 부분은 추가적인 보행 공간(도면 참조)을 제공하기 위해 선택적으로 만입된다. 스티어링 휠 조립체 (33)는 도 4에 도시되고 스티어링 휠의 확대도는 도 4a에 도시된다. 휠(44)의 액슬(43)은 고정 브라켓(45)에 연결되고 차례로, 여행 케이스의 통로에서 회전을 스스로 조정하기 위해 수직축에 대해 선회할 수 잇는 회전요소(45a)에 연결된다. 상기 회전 요소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33)가 수하물 용기 34의 바닥 벽 아래로 연장되는 활성 위치와 수하물 용기내에 포함되는 비활성위치사이에서 스티어링휠이 움직이도록 하는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섹션(46)에 연결되나 전방 벽(35)위로 돌출하지는 않으며 제한된 공간내의 케이스의 저장공간을 방해하지 않는다.
수하물 용기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33)를 수용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형성된 리세스 또는 개구부(47)을 가진다. 도시된 예시에서, 휠과 회전 요소는 저장되는 동안 일렬로 배치되나 경사진생타에서도 사용될 수 있다. 피벗(48)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섹션이 활성 및 비활성 위치사에에서 회전하도록 한다. 활성 위치에서는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섹션(46)의 상부(49)는 수하물 용기(31) 베이스(34)에 부착되는 지지 표면의 부분(50)에 연결된다. 상기 예시에서 부분(50)은 약간 만입된다. 선회 가능하게 장착된 섹션의 전체 상부가 수하물 용기의 베이스에서 지지 표면과 연결되기 때문에 스티어링 휠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은 회전요소와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섹션을 통과하고 지지표면과 수하물 용기 자체로 분산된다. 이것은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어떤 한 섹션에 가해지는 응력을 상당히 감소시키고 내구성 및 강도를 증가시킨다.
도 4a에 도시된 배치의 중요한 특징 중의 하나는 케이스의 베이스에 대한 부분 (50)의 각도이다. 부분(50)은 케이스의 베이스로부터 이격된 피벗 지점으로부터 케이스의 몸체와 약 15도의 각을 이룬다. 상기와 같은 설계에 따라 케이스의 전방 동작시 스티어링 휠 조립체에 걸리는 하중은 이전의 격납식 휠 조립체 설계에서와 같이 피벗 지점을 통해 전체적으로 전달되기보다 스티어링 휠과 접촉하는 부분(50)의 표면에 걸린다.
케이스 베이스에 대한 부분(50)의 각도는 임계적인 것이 아니며 예를들어 45도의 각이 사용되고 일반적으로 15도±10도의 각이 바람직하다.
표면(50)은 케이스가 위치하는 표면에 평행 또는 약간 경사지는 방법으로 형성되어 활성화된 스티어링 휠 조립체에 작용하는 힘이 압축되고 실제적으로 가하지는 응력이 수축되도록 조립체상의 물질(및 중량)의 사용을 줄이거나 조립체에 여분에 힘이 가해지도록 구부러지지 않는다. 도 4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33)가 지지 휠 조립체보다 수하물 용기 베이스에서 더 돌출하는 것을 도시하며 따라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수하물 용기가 각을 이루며 놓여지고 전방 단부가 후방보다 높아 많은 장점을 가진다. 상기와 같이 각도를 이루는 것은 수하물 용기에 작용하는 대부분의 힘이 지지휠을 통하여 작용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이는 수하물 용기가 더 가벼워지고 받침점을 통해 작용하는 것과 같이 조작이 더욱 쉬워진다. 둘째로 상기와 같이 각도를 이루는 것은 어떤 물건이 수하물 용기의 상부에 배치되면 이들이 수하물 용기의 상부 위에 더 쉽게 놓여질 수 있도록 이들이 핸들을 향해 자연스럽게 기울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부분적으로 비활성 위치에 있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가지는 수하물 용기를 도시한다.
도 6은 거의 완전한 비활성 위치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33)를 가지는 수하물 용기를 도시한다. 회전 섹션 (45)은 개구부(47)로 완전히 격납되는 것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방 선형 동작 방향에 수직으로 회전된다. 격납식 핸들(39)는 반 격납 또는 비활성위치에 있다.
도 7은 비활성 위치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33)와 핸들(39)을 도시한다. 어느쪽도 수하물 용기표면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도 9는 수하물 용기 베이스(34)의 하측에 부착되는 스토퍼(49)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상기 스토퍼는 단일의 중심에 위치하는 스토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비활성위치에서 수하물 용기를 지지하도록 위치된 복수개의 스토퍼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것은 스티어링 휠 조립체(33)가 비활성위치에 있을 때 수하물 용기가 베이스(34)위가 아닌 스토퍼(49)위에 놓여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스토퍼(49)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33)가 비활성 위치에 있을 때 수하물 용기가 거의 평 평하도록 하는 지지 휠과 같이 베이스로부터 동일한 정도로 돌출하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스티어링 휠 조립체(33)가 활성 위치에 있을 때 스토퍼(49)는 수하물 케이스(30)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다.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의 자기지지 및 자기 안정 특성은 케이스의 내용물뿐만아니라 유아를 수송하는데에도 적합하다. 상기 목적을 위해, 어린이 시트는 리드의 상부서 배치될 수 있고, 케이스에 고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른 수하물 또는 물건이 상기 케이스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복수의 스티어링휠과 함께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 당업자에게 알려진 단순한 제동 시스템이 안전 및 종래의 목적을 위해 설치된다.
도 10-15는 사용시 스티어링 휠을 해제하기 위해 빠른 해제 래치(60)와 케이스의 슬롯 리세스로 스티어링 휠을 당기고 역시 적절히 격납하기 위한 링 핸들 가이드(61)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변형예의 약간 다른 실시예이다.
또한, 케이스의 베이스에서 지지 표면상의 스티어링 휠 L-프레임의 래치 메커니즘, 여기서는 스프링 적재 볼 캐치 락이 휠이 구를 때 탈거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되고 특히 스티어링 휠 시스템, 이동시작시 및 역행하는 동안 저항을 받을 때 스티어링 휠이 파손될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L자 형상의 스티어링 휠이 사용될 수 있다.
도 16-19을 참조하면, 케이스의 상기 실시예는 상술한 실시예와 대부분 다르다. 케이스가 강화 리브와 함께 형성되고 도 19로부터 핸들 바 배치가 핸들에 더 큰 힘을 주기 위해 둘 대신 세 직립부분을 가진다. 또한, 도 16-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티어링 휠 조립체는 케이스의 바닥 벽의 리세스 내에 완전히 수용되며 단부벽으로 진행하나 여기서 단부벽내에 분리된 리세스는 없다. 즉, 상술한 실시예와는 다르게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단부벽의 리세스포부터 바닥 벽의 리세스로 움직이지는 않는다. 대신, 상기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선회 가능한 캐스터 휠은 일반적으로 바닥 벽의 채널 형상 리세스틀 따라 놓여지는 만입된 상태로 적용되며 연장될때는 휠이 경사를 이루게 된다. 도 17에서, 휠은 부분적으로 연장된 상태이고 도 18에서는 완전히 리세스/채널로 격납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의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연장 및 격납은 채널 리세스내의 피벗 축(48)에 대한 단순한 단일 선회동작으로 통해 이루어진다.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연장된 상태에 있고 브라켓(46)이 브라켓(64)내의 킵(64)으로부터 돌출하는 볼트(50)에 의해 연장된 위치에서 해제가능하게 잠기며 케이스의 바닥벽의 버튼(62)에 의해 해제가능하가 될 때, 스티어링휠(46)의 리딩 변부 상의 플랜지(63)는 케이스의 바닥벽에 대해 인접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는 역시 스티어링 휠이 작동위치 즉 여기서 버튼(62)의 수동 작동을 통해서 사용자가 제어하고 있을 때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탈거를 막기 위한 래치 매커니즘을 가진다. 요약하면, 본 발명은 최소의 노력으로 쉽게 이동할 수 있고, 매우 조작이 편리하고 안정되며 사용하기에 편리한 새로운 디자인의 대형 여행 가방을 제공한다.
제안된 여행 가방은 격납식 푸시 핸들 및 격납식 휠(예를 들어 도 4-7 참조)을 가진 경량이고 강력한 트롤리-타입 디자인이다.
상술한 시스템은 종래 기술에 대한 많은 장점을 가진다.
이것은 다음을 포함한다: 첫째로, 여러 가지 전통적인 여행 가방 디자인에 비해 내재적으로 넓은 베이스와 낮은 중심을 가지는 디자인이다.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 5,116,289호)경사진 휠 위에서 끌리는 케이스와 달리, 상기 디자인은 이동하는 동안 자기 안정 및 자기 지지형태이다.
둘째로, 상기 디자인은 더 조작성이 우수하다. 각 측면에 하나가 위치한 두 단방향 후방 휠과 단일 멀티 방향 전방휠을 가지는 삼륜 휠 형상은 최대의 조작성을 제공한다.(도 8 참조).
세번째로, 격납식의 푸시 핸들은 핸들과 휠이 격납될 때 여행가방이 종래의 케이스와 같은 직립으로 이송될 수 있도록 한다. 현재 경량이고 강한 알루미늄 합금과 더불어, 격납식 핸들은 다양한 디자인 옵션으로 쉽게 제작될 수 있다.
네번째로, 격납식 휠은 휠이 필요할때만 작동하도록 하여 수하물 이송 동안에 노출된 휠의 잠재적인 손상가능성을 피한다.
종래의 미국특허 제 5,407,039호는 성가시고 무거운 다중 격납식 휠을 가진다. 본 출원인은 '카트'가 기울여질 때에만 동작하는 두 작은 경량의 롤러 블레이드 형상의 리어휠을 제안한다. 세 번째의 '펼수 있는' 휠은 전방에서 후방휠이 동작하고 케이스가 삼륜카트로 기능할 수있도록 케이스를 기울인다.(도면 참조). 상기 디자인은 케이스 그 자체의 크기와 중량을 최소로 하고, 케이스를 실제적으로 사용하기에 편리하게 한다.
다섯번째로, 푸시-트롤리 여행 가방 디자인은 움직이는 크고 무거운 하중에 적합하도록 인체공학적이다. 또한, 무거운 하중을 당기는 것을 밀기보다 더 쉽다.
상기 푸시-트롤리 여행 가방 디자인은 더 많은 제어성 및 더 적은 노력으로 무거운 여행가방을 나를 수 있게한다. 또한 상기 트롤리 여행 가방 디자인은 또한 우측 코너로부터 반대로 및 걸으면서 아래로 뒤집는 것과 같은 당기기 위한 목적에도 적용될 수 있다.
여섯번째로, 푸시 트롤리 여행 가방 디자인은 푸시 트롤리 자체로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수하물은 상부에 쌓여질 수 있고, 공항 또는 기차역의 푸시 트롤리를 사용하는 것과 같이 이송될 수 있다. 이것은 단단하고 경량이며 강한 현재의 플라스틱으로 형성될 수 있고 다른 선택사항은 알루미늄 골격의 프레임 강화수단을 가진 캔버스를 사용하는 것을 포함한다.
일곱번째로, 푸시 트롤리 기능에 더하여, 상기 푸시 트롤리 여행 가방은 적당한 보조수단 및 안전 부착물과 함께 어린이 또는 유아를 위한 푸시 프램으로 바뀔 수 있다.
또한, 격납식 휠이 사용중일 때 여행 가방 베이스는 경사진 상태가 된다. 이것은 후방의 휠이 동작하여 중력중심을 후방휠로 향하도록 하여 산륜의 안정성 및 전방의 멀티방향 휠의 조작성을 개선한다. 또한 핸들 바가 후방으로 경사져서 걸으면서 케이스를 밀 때 보행을 용이하게 하고 토롤리에 올려지는 수하물이 적절히 유지되도록 한다.
L자형 휠 프레임 디자인은 모든 방향의 휠 움직임에 안정성을 주며 수납되었을 때 최소의 수하물 공간을 차지하고 사용중 압축력에 저항하고 더 적은 크기를 요한다.
도 4에 도시되고 기술된 격납식 스티어링 휠 조립체는 스티어링 휠 조립체와 지지 휠이 거의 동일한 크기인 수하물 케이스에 채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수하물 케이스는 휠이 동작하는 표면에 거의 평행하다.

Claims (16)

  1. 수하물 구획부를 형성하는 바닥벽, 상부벽, 대향된 단부벽 및 대향된 측벽 , 바닥 벽을 가지는 본 발명은 수하물 용기를 가지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 케이스가
    (ⅰ) 바닥 벽의 한 단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지지 휠
    (ⅱ) 상기 지지휠로부터 이격되고 바닥벽에 위치한 격납식 스티어링 휠 조립체,
    (ⅲ) 조종, 누름, 당김 및 상승을 위해 수하물 용기의 한 단부에 위치한 핸들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휠 조립체가 수하물 용기의 바닥벽아래로 연장되는 활성 위치와 수하물 용기의 형태내에 있는 비활성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며,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활성위치에 있을 때 베이스 벽은 지면에 예각을 이루고, 상기 예각은 지지휠로부터 이격되어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2. 제 1항에 있어서, 삼륜 휠 형태에서 각각 형성된 두 지지휠과 격납식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이 격납될때, 지지휠이 스톱퍼에 의해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4.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격납식 휠 조립체가 선회동작시 전개 또는 격납되도록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수하물 용기가 활성 및 비활성 위치에서 각각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적용하도록 단부 벽 및 바닥벽의 외부 리세스에 둘다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활성 위치에서 단부 벽 리세스로부터 바닥 벽 리세스로 선회가능하게 움직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의 휠이 조립체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스스로의 축 및그에 수직인 축에 대해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7.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전개된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케이스의 바닥벽상의 지지표면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8. 제 7항에 있어서, 지지표면이 케이스의 베이스 벽내로 만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9. 제 8항에 있어서, 베이스 벽내의 휠 조립체를 위한 지지표면이 케이스의 전방과 지지휠 사이의 라인에 대해 케이스의 베이스 벽으로 예각을 이루도록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0.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핸들 수단이 핸들이 수하물 용기로부터 외부로 연장되고 사용자에 의해 연결될 수 있는 활성 위치와 핸들이 수하물 용기 내에 포함되는 비활성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1.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활성 휠링 배치의 케이스가 다른 수하물을 수송하는 트롤리 카트로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2.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휠링 시스템이 비활성위치일때, 케이스의 베이스가 한단부에서 스톱퍼에 의해 지면과 동일 높이가 되고 다른 단부에서 지지휠과 동일 높이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3.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동 시스템이 안전 및 편리를 위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4. 제 4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케이스에 선회가능한 형태로 장착되 고, 수하물 케이스의 중량이 스티어링 휠 조립체를 선회장착하는 피벗작용을을 통해 수하물 케이스에 부가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5. 제 14항에 있어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가 조립체가 케이스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도록 하는 L자형상의 프레임 또는 브라켓을 가지고 상기 L자형상의 프레임 또는 브라켓의 암이 수하물 케이스와 스티어링 휠 사이에서 스티어링 휠 조립체 으의해 발생하는 전부 또는 대다수의 중량을 전달하고 L자형상의 프레임 또는 브라켓의 피벗작용을 케이스로 우회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16. 전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케이스의 후방표면이 부가적인 보행 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만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KR1020067019114A 2004-02-28 2005-02-28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KR1010125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404464.0 2004-02-28
GB0404464A GB2411393B (en) 2004-02-28 2004-02-28 Improved lugg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06779A KR20070006779A (ko) 2007-01-11
KR101012572B1 true KR101012572B1 (ko) 2011-02-07

Family

ID=3205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7019114A KR101012572B1 (ko) 2004-02-28 2005-02-28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7748508B2 (ko)
EP (1) EP1718183B1 (ko)
JP (1) JP4538495B2 (ko)
KR (1) KR101012572B1 (ko)
CN (1) CN1925768B (ko)
AT (1) ATE523105T1 (ko)
AU (1) AU2005220052B2 (ko)
CA (1) CA2557603C (ko)
DE (1) DE602005012366D1 (ko)
ES (1) ES2373304T3 (ko)
GB (1) GB2411393B (ko)
WO (1) WO20050844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07Y1 (ko) 2016-02-02 2016-04-25 염보름 여행용 캐리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517720D0 (en) * 2005-08-31 2005-10-05 Lee Paul T H Improved luggage
GB2432815A (en) * 2005-11-30 2007-06-06 V I P Ind Ltd Wheels for luggage items
US8118145B1 (en) * 2006-06-09 2012-02-21 Regev Hamamy Convertible pushcart luggage
CA2658179C (en) * 2006-07-17 2012-04-24 Landor & Hawa International Limited Luggage construction
GB2443158A (en) * 2006-10-28 2008-04-30 Anthony Lemboye Suitcase usable as a trolley
US7431686B2 (en) * 2006-11-28 2008-10-07 Parsons Corporation Portable vapor containment structure
US7550684B2 (en) * 2007-04-11 2009-06-23 Ronald Kritzler Portable handheld electronic scale
US8636122B2 (en) * 2009-11-04 2014-01-28 Tim Smith Customizable luggage and method of forming same
US8517155B2 (en) * 2010-02-28 2013-08-27 Joy Tong Mobile base for luggage case
US20120261223A1 (en) * 2011-04-18 2012-10-18 Dipen Pattni Roller ball luggage system
US20120267208A1 (en) * 2011-04-23 2012-10-25 D Angelo Eduardo Felipe Universal wheeled bag system
ES2632059T3 (es) 2012-07-09 2017-09-08 Royalty Bugaboo Gmbh Un artículo de equipaje, un sistema de artículos de equipaje, un adaptador de artículos de equipaje
US9468277B2 (en) 2013-02-25 2016-10-18 Samsonite Ip Holdings S.A.R.L. Retractable spinner wheels for a luggage case
DE202013003245U1 (de) * 2013-04-09 2014-07-11 Rimowa Gmbh Koffer, insbesondere Pilotenkoffer
EP3051972B1 (en) * 2013-10-03 2017-08-16 Royalty Bugaboo GmbH A luggage assembly and a frame
EP2873341B1 (en) 2013-11-13 2018-08-01 Samsonite IP Holdings S.a.r.l Luggage case structure with protruding lower portion
US20150208776A1 (en) * 2014-01-24 2015-07-30 Charles Evans Bennett Luggage and case caddy
CN106232376A (zh) * 2014-04-24 2016-12-14 精巧设计有限责任公司 脚轮组件
WO2015164974A1 (en) * 2014-04-30 2015-11-05 Heys International Ltd. Article of luggage with stowable wheels
EP3097813A1 (en) 2015-05-28 2016-11-30 Samsonite IP Holdings S.à.r.l. Luggage article with foldable base assembly
JP2017213300A (ja) * 2016-06-02 2017-12-07 美衛 新井 キャリーバッグ
US9861170B1 (en) 2016-06-21 2018-01-09 Robert M. Hamaty Rolling suitcase that converts to a luggage cart
US10681969B2 (en) 2016-12-24 2020-06-16 24-7 International LLC Luggage cases
US9848681B1 (en) * 2017-01-31 2017-12-26 Wei-Chih Chen Travel luggage with push and pull functions
CN110868884B (zh) 2017-06-13 2021-11-19 鸽莱德行李有限公司 相互连接的行李箱系统
CN108836017B (zh) * 2018-09-05 2024-04-09 岭南师范学院 一种学步车和行李箱二合一童车
WO2020146006A1 (en) * 2019-01-10 2020-07-16 Pdss Luggage Llc Linear action mechanism for retractable luggage wheels
US20210114646A1 (en) * 2019-10-17 2021-04-22 Tadao Hashimoto Suitcase and hand truck for ascending and descending stai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233A (ko) * 1985-02-27 1986-09-09 원본미기재 바퀴가 달린 슈우트 케이스와 핸들
KR20020041386A (ko) * 2002-05-13 2002-06-01 백수곤 가방 겸용 운반차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836A (en) * 1933-12-04 1935-05-28 Anastasio Petrocelli Baggage carrier
US2484951A (en) * 1947-08-07 1949-10-18 Gerald G Kubo Retractable wheeled support for luggage
FR968949A (fr) * 1948-07-03 1950-12-08 Valise roulante
JPS4032146Y1 (ko) * 1964-12-23 1965-11-10
JPS4936571Y1 (ko) * 1969-01-28 1974-10-05
JPS5141329Y2 (ko) * 1971-08-12 1976-10-07
JPS5467104U (ko) * 1977-10-21 1979-05-12
US4228877A (en) * 1978-12-26 1980-10-21 Cothary Walter G Wheeled suitcase with extendable handle means
US4261447A (en) * 1980-01-28 1981-04-14 Arias Antonio M Suitcase cart
GB2124589A (en) * 1982-08-05 1984-02-22 Chih Chang Chiang Luggage having rollers
JPS5955018U (ja) * 1982-10-05 1984-04-11 松本 寿夫 ス−ツケ−ス
EP0106906B1 (de) * 1982-10-22 1986-07-23 Günter Schneider Koffer mit Rollen zum Transport
EP0142770A1 (de) * 1983-11-17 1985-05-29 Erich A. Kägi In Karre verwandelbares Tragbehältnis und Reisekofferset mit Tragbehältnis
FR2598897B1 (fr) * 1986-05-23 1990-12-28 Chomard Bernard Bagage transformable en chariot
US4717168A (en) * 1986-09-10 1988-01-05 Moon Sr James R Utility cart
US4890705A (en) * 1988-06-10 1990-01-02 Pineda Jose J Portable file with retracting handle
FR2641951B1 (fr) * 1989-01-20 1991-04-05 Delsey Soc Valise rigide ou semi-rigide en matiere plastique
DE4010424A1 (de) * 1990-03-31 1991-10-02 Hilti Ag Fehlerstrom-schutzeinrichtung
US5249438A (en) * 1992-08-20 1993-10-05 Systemwide Product Mobile cooler with retractable wheels and handles
JP2507200Y2 (ja) * 1993-04-09 1996-08-14 トルク精密工業株式会社 かばん用折畳みキャスタ―
US5407039A (en) * 1993-06-04 1995-04-18 Alper; Brad Wheeled luggage case
JP3316258B2 (ja) * 1993-06-23 2002-08-19 三洋電機株式会社 運搬車
MY133692A (en) * 1995-11-22 2007-11-30 Samsonite Corp Ergonomic upright wheeled luggage
US5984326A (en) * 1996-06-19 1999-11-16 500 Group, Inc. Roller mechanism for container or cart
JP2901932B2 (ja) * 1997-01-07 1999-06-07 株式会社スワニー
US6082510A (en) * 1997-02-28 2000-07-04 Liang; Sung-Ming Supporting device for a wheeled suitcase
US5873439A (en) * 1997-02-28 1999-02-23 Liang; Sung-Ming Supporting device for a wheeled suitcase
US6193033B1 (en) * 1997-06-09 2001-02-27 Outrigger, Inc. Towable carrying case
DE19726311C2 (de) * 1997-06-20 1999-07-22 Guenter Schneider Reisekoffer
JPH11152036A (ja) * 1997-11-21 1999-06-08 Ishikawa Kigyo Kk 災害用収納ボックスと、この収納ボックス用の台車
CA2321530A1 (en) * 1998-03-04 1999-09-10 500 Group, Inc. Improvements in wheeled luggage and associated devices
JPH11346815A (ja) * 1998-06-10 1999-12-21 Kazutoshi Kiyotaki 旅行用キャリヤバッグ
TW365753U (en) * 1998-07-02 1999-08-01 Chaw Khong Technology Co Ltd Pull bar apparatus for luggage with two-steps controlled
JP3068224U (ja) * 1999-10-15 2000-04-28 保 佐藤 手押し車
AU2001258197A1 (en) * 2000-03-28 2001-10-08 Klaus Roder Baggage item with rollers
US6241313B1 (en) * 2000-05-18 2001-06-05 Randall G. Lenz Child seat attachable to a suitcase
JP4499255B2 (ja) * 2000-07-28 2010-07-07 株式会社大成 キャリーカート
US7051853B2 (en) * 2001-04-20 2006-05-30 Deborah Brown Convertible luggage device
TW480949U (en) * 2001-05-03 2002-03-21 Yi-Chiuan Shiu Portable bag/case with sliding functions
US6869086B2 (en) * 2001-11-02 2005-03-22 Outrigger, Inc. Handle assembly for wheeled lugg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6233A (ko) * 1985-02-27 1986-09-09 원본미기재 바퀴가 달린 슈우트 케이스와 핸들
KR20020041386A (ko) * 2002-05-13 2002-06-01 백수곤 가방 겸용 운반차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207Y1 (ko) 2016-02-02 2016-04-25 염보름 여행용 캐리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05220052A1 (en) 2005-09-15
ES2373304T3 (es) 2012-02-02
WO2005084481A1 (en) 2005-09-15
CA2557603A1 (en) 2005-09-15
US7748508B2 (en) 2010-07-06
EP1718183A1 (en) 2006-11-08
GB0404464D0 (en) 2004-03-31
JP2007524490A (ja) 2007-08-30
EP1718183B1 (en) 2011-09-07
CA2557603C (en) 2013-05-28
KR20070006779A (ko) 2007-01-11
CN1925768B (zh) 2011-03-30
CN1925768A (zh) 2007-03-07
US20080000742A1 (en) 2008-01-03
JP4538495B2 (ja) 2010-09-08
DE602005012366D1 (de) 2009-03-05
ATE523105T1 (de) 2011-09-15
GB2411393A (en) 2005-08-31
GB2411393B (en) 2006-01-11
AU2005220052B2 (en) 2011-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2572B1 (ko) 휠달린 수하물 케이스
KR101393966B1 (ko) 개선된 수하물 케이스
US5984326A (en) Roller mechanism for container or cart
US5568848A (en) Laterally movable suitcase with wheeled, pivotable leg
US20090315301A1 (en) Scooter luggage
GB2443945A (en) Luggage with flexible handle
GB2436486A (en) Wheeled luggage with retractable steering wheel assembly
US11485444B2 (en) Luggage scooter
MX2008002946A (es) Equipaje mejorad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