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59B1 -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59B1
KR101011559B1 KR1020100045286A KR20100045286A KR101011559B1 KR 101011559 B1 KR101011559 B1 KR 101011559B1 KR 1020100045286 A KR1020100045286 A KR 1020100045286A KR 20100045286 A KR20100045286 A KR 20100045286A KR 101011559 B1 KR101011559 B1 KR 1010115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content
multimedia content
task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5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인도
서강석
Original Assignee
황인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인도 filed Critical 황인도
Priority to KR1020100045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5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effecting co-operative working between equipments covered by two or more of main groups G06K1/00 - G06K15/00, e.g. automatic card files incorporating conveying and reading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대상물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활성화 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경험과 학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RFID TAG를 이용한 재생장치에 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은 RFID TAG를 내장하고 있는 연관 대상물; 상기 연관 대상물에 내장된 RFID TAG를 인식하는 RFID 리더부; RFID TAG로 부터 수신된 정보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TAG를 이용한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ENGLISH LEARNING CONTENTS PROVIDING METHOD USING MULTI MEDIA PLAYER}
본 발명은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활용할 수 있는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대상물을 이용하여 컨텐츠를 활성화 시키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경험과 학습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와 초고속 인터넷 서비스의 확산으로 인하여,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multi media contents)로의 접근이 용이하게 되었으며, 가볍고 장시간의 재생이 다양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들도 많이 개발되고 있다.
본 발명은 단순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제공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이 있는 연관 대상물(캐릭터 인형, 모형, 미니어처 등의 물건)을 컨텐츠의 재생에 개입시킴으로써 사용자의 재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양한 방법의 학습을 가능하게 해주는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멀티미디어 파일의 내용과 관련성이 있는 연관 대상물을 매개체로 하여 인터넷으로 연결된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고 실행할 수 있도록 하는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사용자가 응답할 수 있는 과제를 포함시켜, 상기 과제를 해결하면서 사용자가 소정의 체험 또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RFID TAG를 내장하고 있는 연관 대상물; 상기 연관 대상물에 내장된 RFID TAG를 인식하는 RFID 리더부; RFID TAG로 부터 수신된 정보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를 포함하며,
상기 키보드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상키보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연관 대상물은 복수개의 RFID TAG를 내장하되, 각각의 RFID TAG에 고유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는 사용자에게 과제를 부여한 후, 컨텐츠의 재생을 정지하고, 사용자에게 부여된 과제에 대한 응답이 상기 입력부 또는 상기 RFID 리더부 통해 입력되면 재생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동작하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는, 상기 과제로 주어진 구간에 해당하는 자막 정보를 입력받되, 영문자막의 스펠링과 띄어쓰기 정보를 화면에 밑줄 또는 빈칸으로 표시하고, 이 때 입력받은 자막 정보가 올바른 자막 정보와 일치하는 경우에만 입력받은 철자를 화면에 표시하고, 전체 자막이 완성되어야 과제가 완료되는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으며,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는, 상기 과제로 주어진 구간에 해당하는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받아 음성파일을 생성하며, 음성파일 생성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이 영문자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는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매개체로 연관 대상물에 내장된 RFID를 이용하도록 하고,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 과정에서 RFID TAG의 정보 입력을 요청하도록 함으로써 컨텐츠의 무단 복제나 도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사용자에게 특정한 과제를 부여하고 사용자가 그것을 해결해야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에게 다양한 체험을 가능하게 해주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사용자의 외국어 능력 향상을 위한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과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을 과제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창,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창,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창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네트워크 영어학습 시스템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써,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단순히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재생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와 관련된 연관 대상물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하는 구성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재생 장치 본체(100)와, 이에 연결된 RFID 리더부(200)와, RFID TAG를 내장하고 있는 연관 대상물(10, 20)을 포함한다.
연관 대상물(10,20)이란,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되는 캐릭터 인형, 미니어쳐 모형, 기타의 유형의 물건일 수 있다.
재생되는 컨텐츠와 관련된 실물 혹은 모형인 연관 대상물(10,20)에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RFID TAG(12,14,22,24)가 내장되어 있다.
도시된 실시예의 제1연관대상물(10)은 펭귄 캐릭터 인형으로 제1 RFID TAG는 펭귄 캐릭터의 날개 부분에 내장되어 있고, 제2 RFID TAG는 펭귄 캐릭터(10)의 발부분에 내장되어 있다.
제2연관대상물(20)은 여우 캐릭터 인형으로 제1 RFID TAG는 여우 캐릭터의 귀 부분에 내장되어 있고, 제2 RFID TAG는 여우 캐릭터의 배부분(복부)에 내장되어 있다.
재생 장치 본체(100)를 살펴보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부(140)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부(150)를 포함한다.
또한,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에 응답할 수 있는 키보드(162)와, 마이크(164)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재생 장치 본체(100)에는 연장선을 통해 RFID 리더부(200)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RFID 리더부(200)를 연관 대상물(10, 20)의 RFID TAG(12, 14, 22, 24)에 접근시키면, RFID TAG에 저장된 정보가 재생 장치 본체(100)로 수신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RFID 리더부(200)를 연장선으로 별도로 분리하는 것은, RFID TAG(12, 14, 22, 24)가 하나의 연관 대상물(10, 20)에 복수개 구비될 수 있으므로, RFID TAG에 용이하게 근접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RFID TAG(12, 14)를 내장하고 있는 연관 대상물(10)과, 상기 연관 대상물에 내장된 RFID TAG(12, 14)를 인식하는 RFID 리더부(200)와, RFID TAG(12, 14)로 부터 수신된 정보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110)와, 상기 통신부(110)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120)와, 상기 컨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130)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40)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150)와,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160)를 포함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연관 대상물(10)은 복수개 일 수 있으며, 하나의 연관 대상물(10)에 복수개의 RFID TAG(12, 14)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RFID TAG에는 서로 다른 고유한 정보들이 내장되어 있다.
도 1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도면 부호 12로 표시된 RFID TAG의 경우 펭귄 캐릭터의 날개 부분이라는 정보가 저장되며, 도면 부호 14로 표시된 RFID TAG의 경우 펭귄 캐릭터의 발 부분이라는 정보가 저장된다.
입력부(160)는 사용자가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키보드(162)와, 사용자의 음성을 입력할 수 있는 마이크(16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키보드(162)는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가상키보드이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는 RFID TAG로부터 읽어 들인 정보를 인터넷망으로 연결되어 있는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여, 컨텐츠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 받게 된다.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는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들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과제는 사용자가 키보드(162)를 통하여 입력을 요구하거나, 마이크(164)를 통하여 음성 신호 입력을 요구하는 것일 수 있으며, 특정 연관 대상물의 특정 위치에 내장된 RFID TAG의 정보 입력을 요구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은 컨텐츠 재생 제어부(130)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컨텐츠 재생 제어부(130)는 상술한 과제가 사용자에게 요구되는 경우, 그 과제에 대한 적절한 응답이 있을 때까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진행하지 않고 정지하고 있다가 적절한 응답이 입력되면 재생을 재개하는 방식으로 컨텐츠 재생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의 작동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는 컨텐츠를 직접 판매하는 것이 아니라, 컨텐츠를 서버로부터 다운 받을 수 있는 키가 되는 연관 대상물을 판매하고, 연관 대상물의 RFID 정보가 입력되면 서버로부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하여 제공하는 방식이다.
이러한 방식은 연관 대상물을 가지고 있어야 컨텐츠를 다운로드 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불법 복제나 무단 사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가져온다.
아울러, 연관 대상물은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 중간에 부여되는 과제의 해결에도 사용되므로, 연관 대상물을 보유하지 않으면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원활하게 이용할 수 없도록 차단하는 효과도 가져오게 된다.
연관 대상물을 구매하여, 사용자가 최초로 구매한 연관대상물의 RFID TAG 정보를 RFID 리더부(200)를 통하여 수신하게 되면, 통신부(110)를 통하여 RFID TAG 정보가 컨텐츠 서버(미도시)로 전송된다. 컨텐츠 서버는 유선 인터넷 또는 무선 인터넷 망을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
컨텐츠 서버는 전송된 RFID TAG 정보와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통신부(110)로 전송하게 되며,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컨텐츠 저장부(120)에 저장된다. 이 때 멀티미디어 컨텐츠에는 중간 중간에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실행하게 되면, 구매한 연관 대상물과 관련된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디스플레이부(140)와 스피커부(150)를 통하여 재생되고, 이 때 재생은 첫번째 과제가 부여될 때까지 이루어진다.
사용자에게 과제가 부여된 후, 재생은 정지하게 되고 과제의 종류에 따라 터치스크린 상에 가상 키보드가 생성되거나, 마이크가 활성화되어 사용자의 문자 입력 또는 음성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다른 형태의 과제로 연관 대상물의 특정 위치를 RFID 리더부(200)로 터치할 것을 요구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RFID 리더부(200)가 활성화된다.
요구된 과제가 사용자에 의하여 해결되면, 다음 구간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하고 다음 과제가 발생하면, 다시 재생이 정지되고 사용자의 응답을 기다리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즉,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에 사용자가 개입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체험을 유도하여 즐거움을 배가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과제들을 통하여 사용자가 체험식 어학학습을 하도록 유도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원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어학학습에 이용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어학학습에 이용하게 되는, 사용자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를 부여하거나, 사용자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과제를 부여할 수 있다.
이하에서,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란 사용자의 듣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과제를 말하며,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란 사용자의 말하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되어 있는 과제를 말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창이다.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선택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청취한 내용을 입력창에 텍스트로 입력하도록 한다.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문장과 관련된 동영상 화면을 보면서 들리는 영어문장을 입력하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듣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때, 입력창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알파벳이 입력될 부분이 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즉 각각의 단어가 몇 글자의 스펠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학습자가 미리 알 수 있다. 학습자는 화면에 표시된 밑줄을 토대로 몇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문장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단어의 스펠링이 몇 글자인지를 알 수있다.
사용자는 들리는 음성을 텍스트로 입력하게 되는데, 입력된 텍스트가 영문자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철자가 표시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그대로 공란으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과 동시에 자신이 입력한 단어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우측에 표시된 철자힌트나 단어힌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철자힌트는 커서가 위치한 부분의 철자를 표시해주고, 단어힌트는 커서가 위치한 단어 전체를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동영상 화면과 함께 "Another example here of cats and dogs living together" 라는 음성을 재생된다면,
이 때 입력 창에는 "Another"에 해당하는 7글자의 공백, "example"에 해당하는 7글자의 공백, "here"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of"에 해당하는 2글자의 공백, "cats"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and"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dogs"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living"에 해당하는 6글자의 공백, "together"에 해당하는 8글자의 공백이 띄어쓰기 표시와 함께 "_______ _______ ____ __ ____ ___ ____ ______ ________" 표시된다.
도시된 화면은 "Another example" 까지 입력된 상태의 화면을 나타낸다.
다음 단어의 정답은 "here"지만, "hire"라고 입력한다면, 화면에는 스펠링이 일치하는 부분만 표시되므로 "h_re"로 표시된다. 이렇게 표시되면 학습자는 두번째 스펠링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으므로, 반복적인 듣기를 통하여 올바른 철자를 입력할 수 있게 된다.
만일, "cats"에 해당되는 첫번째 칸에 커서를 위치시키고 철자힌트를 실행하면, "c"가 표시되어 화면에 "c___"로 나타나고, 단어힌트를 실행하면 "cats" 단어가 전부 화면에 표시된다.
또한, 입력창의 아래쪽 창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 구간의 영문자막에 해당하는 단어를 임의의 순서로 배열하여 표시한다.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문장에 사용된 모든 단어들이 임의의 순서로 배열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사용자가 텍스트 입력을 마친 후, 완료 버튼을 누르면 틀린 횟수와 힌트 사용 횟수를 연산하여 포인트를 부여할 수 있으며, 이 포인트를 저장하고 관리함으르써 사용자의 학업 성취 정도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구조창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 구조창의 중앙부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가 재생될 때 동영상화면이 표시되는 동영상표시창(51)이 있고, 동영상표시창(51)의 아래쪽으로는 재생되는 동영상의 구간에 해당하는 국문자막이 표시되는 해석창(52)이 있으며, 해석창(52)의 아래쪽으로는 사용자가 멀티미디어 컨텐츠에서 재생된 음성을 텍스트로 입력할 수 있는 입력창(53)이 있으며, 입력창(53)의 아래쪽으로는 개별 단어들의 스펠링을 임의 순서로 배열한 단어정보창(54)이 표시된다.
해석창(52)은 사용자가 해석보기를 선택하여, 국문자막이 표시되도록 요청하는 경우에만 국문자막을 표시하게 된다.
듣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시켜 사용자가 시청할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가 청취한 내용을 입력창(53)에 텍스트로 입력하도록 하여 사용자의 영어학습을 돕는다.
입력창(53)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띄어쓰기를 포함하여 알파벳이 입력될 부분이 밑줄로 표시되어 있다. 즉 각각의 단어가 몇 글자의 스펠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사용자가 미리 알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에 표시된 밑줄을 토대로 몇 개의 단어로 구성되어 있는 문장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단어의 스펠링이 몇 글자인지를 알 수 있다.
사용자는 들리는 음성을 텍스트로 입력하게 되는데, 입력된 텍스트가 영문자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일치하는 경우에만 철자가 표시되고, 일치되지 않으면 그대로 공란으로 남아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입력과 동시에 자신이 입력한 단어가 올바른지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우측에 표시된 철자힌트나 단어힌트를 사용할 수 있다.
철자힌트는 커서가 위치한 부분의 철자를 표시해주고, 단어힌트는 커서가 위치한 단어 전체를 표시해준다.
예를 들어, 동영상 화면과 함께 "In Britain, authorities are warning computer users to beware of a new and potentially more dangerous varient of the Code Red worm." 라는 음성이 재생된다면,
이 때 입력창에는 "In"에 해당하는 2글자의 공백, "Britain"에 해당하는 7글자의 공백, "authorities"에 해당하는 11글자의 공백, "are"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warning"에 해당하는 7글자의 공백, "computer"에 해당하는 8글자의 공백, "users"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to"에 해당하는 2글자의 공백, "beware"에 해당하는 6글자의 공백, "of"에 해당하는 2글자의 공백, "a""에 해당하는 1글자의 공백, "new"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and"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potentially"에 해당하는 11글자의 공백, "more"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dangerous"에 해당하는 9글자의 공백, "varient"에 해당하는 7글자의 공백, "of"에 해당하는 2글자의 공백, "the"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Code"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 "Red"에 해당하는 3글자의 공백, "worm"에 해당하는 4글자의 공백이 띄어쓰기 표시와 함께 "__ _______, ___________ ___ _______ ________ _____ __ ______ __ _ ___ ___ ___________ ____ _________ _______ __ ___ ____ ___ ____." 표시된다.
사용자가 해석보기를 클릭하면 해석창(52)에 표시된 바와 같이, "영국 당국은 컴퓨터 사용자들에게 잠재적으로 더 위험한 코드 레드 웜 바이러스의 새로운 변종을 조심하라고 경고하고 있습니다."라는 국문자막이 표시된다.
입력창(53) 아래쪽의 단어정보창(54)에는 각각의 단어를 스펠링을 임의로 섞어서 배열한 상태로 표시한다. 예를 들면 "Britain" 이라는 단어를 "aBiinrt"와 같이 모든 철자를 가지고 있지만 순서를 임의로 섞어서 배열함으로써, 각각의 단어에 어떤 종류의 철자가 포함되는 것인지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ID TAG를 이용한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에서 과제로 주어지는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상태를 나타낸 구조창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과제로서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구조창의 하부에 영문자막이 표시되며,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재생된다.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은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과 함께 구간에 해당되는 영문자막 "Another example here of cats and dogs living together"이 화면에 표시된다.
상기 영문자막 중 의미가 궁금한 단어가 있으면, 단어를 선택하고 인터넷 사전을 사용할 수 있다. 단어를 선택하고 인터넷 사전기능을 사용하게 되면 인터넷 사전에 연결되어 단어의 의미를 별도의 창에서 표시해준다.
사용자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시청하여 발음을 익힌 후, 녹음버튼을 누른 후 영문자막을 따라서 소리내어 읽으면서 음성을 녹음하여 음성파일을 생성하게 된다.
말하기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음성파일의 생성과 동시에 사용자의 음성을 음성인식 기능을 통하여 사용자의 발음이 영문자막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해 준다.
음성파일이 생성되면, 음성파일을 반복하여 재생하여 들어볼 수 있다.
또한, 더빙듣기 기능을 사용하면,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영상과 녹음된 음성이 동시에 재생된다. 이 때에는 원래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 대신에 사용자의 녹음된 음성이 재생되는 것이다. 사용자의 음성이 더빙 된 것처럼 재생되는 것이므로, 사용자는 더빙듣기 기능을 사용하여 자신의 말하기 속도와 발음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다.
녹음 업로드 버튼을 누르면, 녹음된 음성은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영어교육의 큰 문제점으로 여겨지는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말하기학습은 구간 단위로 음성을 들려주고 그 음성을 그대로 모방하여 학습자가 읽도록 하고, 또 학습자 스스로 자신의 발음과 원어민의 발음이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는지를 느낄 수 있도록 함으로써 학습자의 말하기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20 : 연관 대상물
12, 14, 22, 24 : RFID TAG
100 : 컨텐츠 재생장치 본체
110 : 통신부
120 : 컨텐츠 저장부
130 : 컨텐츠 재생 제어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스피커부
160 : 입력부
200 : RFID 리더부

Claims (7)

  1. RFID TAG를 내장하고 있는 연관 대상물;과,
    상기 연관 대상물에 내장된 RFID TAG를 인식하는 RFID 리더부;
    RFID TAG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컨텐츠 서버에 전달하고, 컨텐츠 서버로부터 사용자의 응답을 요구하는 과제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통신부에서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저장하는 컨텐츠 저장부; 상기 컨텐츠 저장부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제어하는 컨텐츠 재생 제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화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재생되는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음성정보를 출력하는 스피커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 컨텐츠에 포함된 과제에 관한 사용자의 응답을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하는 영어학습방법으로,
    연관대상물의 RFID TAG 정보가 입력되어야 멀티미디어 컨텐츠를 다운 받아 수신된 멀티미디어 컨텐츠의 재생을 시작하며 과제를 부여하되,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과제가 부여될 시, 상기 입력부를 통해 상기 부여된 과제에 대한 응답이 입력됨과 동시에,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는 상기 응답된 과제에 대한 재생을 재개하며,
    상기 컨텐츠 재생 제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부여되는 과제는, 영어 듣기 학습 어플리케이션 또는 영어 말하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이고,
    상기 영어 듣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상기 컨텐츠 서버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컨텐츠 중 선택된 일정 구간의 자막 또는 음성 정보로서,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질 자막 정보에 대하여 스펠링과 띄어쓰기 질문을 밑줄 또는 빈칸 형태로 표시하여, 입력된 자막 정보가 기 저장된 자막 정보와 일치될 경우에만 해당 스펠링 및 띄어쓰기 답안을 시각적으로 출력하되, 사용자에게 부여된 과제에 대한 전체 자막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정확하게 입력될 시, 해당 과제가 완료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영어 말하기 학습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로부터 응답이 이루어질 음성 정보에 대하여 음성파일을 생성함과 동시에, 입력된 음성 정보가 기 저장된 음성 정보와 일치될 경우에만 음성적으로 출력하되, 사용자에게 부여된 과제에 대한 전체 음성 정보가 사용자로부터 정확하게 입력될 시, 해당 과제가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00045286A 2010-05-14 2010-05-14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10115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286A KR101011559B1 (ko) 2010-05-14 2010-05-14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5286A KR101011559B1 (ko) 2010-05-14 2010-05-14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1559B1 true KR101011559B1 (ko) 2011-01-27

Family

ID=436169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5286A KR101011559B1 (ko) 2010-05-14 2010-05-14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5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092A (ko) 2020-08-08 2022-02-15 배정일 온라인 교육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11A (ja) * 2002-03-26 2003-10-02 Ntt Comware Corp 試験実施システム、受験票、試験実施サーバ、試験回答用端末、及び試験実施方法
KR20080000190A (ko) * 2006-06-27 2008-01-02 김상주 학습용 놀이기구
KR20090061963A (ko) * 2007-12-12 2009-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Rfid 리더기를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재생 장치 및이의 동작 방법
KR2009009368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지오다이스 특정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캡션 데이터를 제공하는장치 및 서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80511A (ja) * 2002-03-26 2003-10-02 Ntt Comware Corp 試験実施システム、受験票、試験実施サーバ、試験回答用端末、及び試験実施方法
KR20080000190A (ko) * 2006-06-27 2008-01-02 김상주 학습용 놀이기구
KR20090061963A (ko) * 2007-12-12 2009-06-17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Rfid 리더기를 구비한 디지털 이미지 재생 장치 및이의 동작 방법
KR20090093683A (ko) * 2008-02-29 2009-09-02 주식회사 지오다이스 특정 구간의 멀티미디어 데이터 및 캡션 데이터를 제공하는장치 및 서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9092A (ko) 2020-08-08 2022-02-15 배정일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20220019088A (ko) 2020-08-08 2022-02-15 배정일 사용자의 복습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102377711B1 (ko) * 2020-08-08 2022-03-29 배정일 사용자의 복습에 포인트를 부여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102530437B1 (ko) 2020-08-08 2023-05-09 배정일 온라인 교육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fever‐Davis et al. Early readers and electronic texts: CD‐ROM storybook features that influence reading behaviors
US9679496B2 (en) Reverse language resonance systems and methods for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Samur Kes Sesi: A mobile game designed to improve kindergarteners' recognition of letter sounds
DeHaan Learning language through video games: A Theoretical Framework, an Evaluation of Game Genres and questions for Future Research
US20140234809A1 (en) Interactive learning system
US20050186548A1 (en) Multimedia interactive role play system
US20110246888A1 (en) Interactive Electronic Book Device
US20210398446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a Student How to Write using a Phonetic Word Distinction Technique
CN109389873B (zh) 计算机系统和由计算机实现的训练系统
Lawson‐Adams et al. Building lexical representations with nonverbal supports
WO2014205881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picture matching game play to learn languages
KR20210045036A (ko) 멀티미디어 컨텐츠 재생장치를 활용한 효과적인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1011559B1 (ko)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JP2017142366A (ja) 学習支援装置及びプログラム
Fanselow Small changes in teaching, big results in learning: Videos, activities and essays to stimulate fresh thinking about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WO2021216004A1 (en) Multi-modal learning platform
JP7118389B2 (ja) 言語学習装置及び言語学習方法並びに言語学習用プログラム
US20050003333A1 (en) Method and a system for teaching a target of instruction
JP2001337594A (ja) 言語を学習者に習得させる方法、言語学習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Cameron et al. ‘The Story So Far…’: The Researcher as a Player in Game Analysis
TWM447567U (zh) 應用影片片段進行角色扮演之語言學習系統
Usoz Zabaleta Informal exposure, motivation and lexical diversity in young EFL learners
KR20240078410A (ko)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KR20240062795A (ko) 학습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Friedlander et al. Autism and the iPad™: Strengthening Communication and Behavi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