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80000190A - 학습용 놀이기구 - Google Patents

학습용 놀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80000190A
KR20080000190A KR1020060057779A KR20060057779A KR20080000190A KR 20080000190 A KR20080000190 A KR 20080000190A KR 1020060057779 A KR1020060057779 A KR 1020060057779A KR 20060057779 A KR20060057779 A KR 20060057779A KR 20080000190 A KR20080000190 A KR 200800001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cal examination
rfid
unique identification
identification data
do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577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주
Original Assignee
김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주 filed Critical 김상주
Priority to KR10200600577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80000190A/ko
Publication of KR200800001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001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0/00Remote-control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oys, e.g. for toy vehicles
    • A63H30/02Electrical arrangements
    • A63H30/04Electrical arrangement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30Imitations of miscellaneous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telephones, weighing-machines, cash-registers
    • A63H33/3094Doctors' instr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기술의 수동형 태그와 리더기를 이용하여 병원에서 이용되는 진찰장비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학습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동작전원이 입력될 때 고유 식별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동형 RFID 태그가 진찰 부위에 부착된 인형; RFID 안테나가 내장되며, 상기 진찰 부위별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진찰장비 및 상기 진찰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수동형 RFID 태그로 상기 동작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를 전달받되, 상기 임의의 진찰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진찰장비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와 매칭된 미리 저장된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하며, 인형에 배터리를 구비시킬 필요 없이 다양한 종류의 진찰장비의 사용법을 익힐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병원놀이, 학습, 교구, 놀이기구, RFID, 태그, 리더기

Description

학습용 놀이기구{Play apparatus for studying}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인형 110, 110a, 110b, 110c: 수동형 태그
111, 211: 제어부 113: ID메모리
115: 전원 수신부 117; 데이터 송/수신부
119, 231: 안테나 200: 리더기
210: 본체 213: 프로그램 메모리
215: 전원 송신부
217, 217a, 217b, 217c, 217d: 데이터 수신부
219: 전원부 230: 안테나부
230a: 혈압측정기 모양의 케이스 230b: 체온계 모양의 케이스
230c: 청진기 모양의 케이스 230d: 심박측정기 모양의 케이스
300: 표시장치
본 발명은 학습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RFID 수동형 태그 및 리더기를 이용한 학습용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어린이들이 병원에서의 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병원이 공포의 대상이 아니라 익숙한 놀이용 공간으로 이해되도록 함이 필요한바, 현재 다양한 종류의 병원놀이 완구가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병원놀이 완구에 따르면, 일회용 건전지로 전원을 공급받아 스위치의 작동으로 미리 입력되어진 병원에서 사용되는 음악이나 음성이 출력토록 한 인형이 주류를 이루었는바, 단지 스위치의 온/오프에 따른 반복적인 작동으로 아이들이 금방 싫증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에는 주사를 놓으면 울음소리가 출력토록 하거나 또는 청진기를 가슴에 대면 청진기를 통하여 심장박동소리가 출력토록 한 인형완구가 실용신안등록번호 제82598호에 제안되었으며, 주사기 몸체 내에 인/입출되는 피스톤관내에 소리발생 주름관과 스프링을 내장하고 상단에 누름버튼을 삽착시켜 어린이들이 병원놀이를 할 때 주사기 상단 누름버튼을 누르면 소리가 발생되면서 피스톤관이 주사기 실린더관내로 삽입되도록 고안된 병원놀이용 주사기가 실용신안 공개번호 실1997-057027호에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인형완구에 따르면, 인형 내부에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건전지를 삽입해야 하기에 건전지 삽입 공간이 필요하며, 삽입된 건전지가 방전되는 경우 새 건전지로 교체해 주어야하는 불편함 및 이에 따른 유지비가 발생하는 문제 점이 있었다. 특히 소리를 발생시키는 스피커가 인형 내부에 내장되기 때문에 작은 충격에도 파손될 우려가 있어 충격에 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다음 병원놀이용 주사기 경우 인형완구와 마찬가지로 내부에 동작전원을 제공하기 위한 건전지가 삽입되어야 하기에 건전지 삽입 공간이 필요하며, 삽입된 건전지가 방전되는 경우 새 건전지로 교체해 주어야하는 불편함 및 이에 따른 유지비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주사바늘이 인체 어느 부위에 위치하든 주사기 몸체 내에 인/입출 될만한 힘만 가해지게 되면 미리 저장된 소리가 나므로 실제로 주사 가능한 정확한 위치를 알 수 없어 학습기구로서는 부적합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RFID기술을 적용하여 인형에 수동형 태그를 구비시키고, 리더기를 이용하여 수동형 태그에 동작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인형에 배터리를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배터리를 내장시켜야 함에 따른 불편함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동형 태그를 가슴, 귀 또는 팔 등 진찰 부위에 해당하는 특정 부위에 구비시키고, 수동형 태그와 통신하는 안테나가 설치된 진찰장비를 실제 진찰장비 모양의 케이스에 구비시킴으로써, 임의의 진찰 부위를 진찰할 때 진찰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진찰장비 모양의 케이스에 수납된 안테나를 위치시켜야만 진찰결과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진찰장비 별로 정확한 사용법을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나의 완구에 다양한 종류의 진찰장비를 구비시킴으로써 서로 다른 진찰장비를 비교 학습할 수 있도록 한 학습용 놀이기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학습용 놀이기구는 동작전원이 입력될 때 고유 식별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동형 RFID 태그가 진찰 부위에 부착된 인형; RFID 안테나가 내장되며, 상기 진찰 부위별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진찰장비 및 상기 진찰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수동형 RFID 태그로 상기 동작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를 전달받되, 상기 임의의 진찰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진찰장비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와 매칭된 미리 저장된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하에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학습용 놀이기구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RFID기술을 이용하는바, 무선주파수인식(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은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고유한 식별 정보를 가지고 있는 태그로부터 비접촉식으로 정보를 독출하거나 기록함으로써 태그가 부착된 물건이나 동물, 사람 등을 인식ㅇ추적ㅇ관리할 수 있는 기술이다. 이러한 RFID 시스템은 고유한 식별정보를 지니고 물건이나 동물 등에 부착되는 다수의 태그(electronic tag 또는 transponder; 이하 간단히 '태그'라 한다)와 상기 태그가 가지고 있는 정보를 읽거나 쓰기 위한 RFID 리더(Reader 또는 Interrogator; 이하 간단히 '리더기'라 한다)로 구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RFID 시스템은 리더기와 태그 사이의 상호 통신 방식에 따라 상호 유도 방식과 전자기파 방식으로 구분되고, 태그가 자체 배터리로 동작하는지의 여부에 따라 능동형과 수동형으로 구분되며, 사용하는 주파수에 따라 장파, 중파, 단파, 초단파 및 극초단파형으로 구분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의 전기적인 블록 구성도이다.
먼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는 진찰 부위에 수동형 태그(110: 110a, 110b, 110c, 110d)가 구비된 인형(100); 수동형 태그(110)와 통신하여 해당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리더기(200) 및 리더기(200)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재생하는 표시장치(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전술한 구성에서 인형(100)에는 수동형 태그(110)가 가슴, 팔 및 귀 등 진찰 부위 마다 설치되는바, 수동형 태그(1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주파수를 방출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119); 안테나(119)로 수신되는 소정 주파수로부터 발생되는 전력을 구동 전력으로 변환하는 전원 수신부(115); 안테나(119)로 수신되는 소정 주파수 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신호를 변조 및 복조하는 데이터 송/수신부(117); 고유 식별데이터가 저장된 ID 메모리(113) 및 전원 수신부(115)로부터 전달되는 전원으로 동작하며, 외부의 고유 식별데이터 요청 신호에 따라 ID 메모리(113)에 저장된 고유 식별데이터를 데이터 송/수신부(117)로 출력하는 제어 부(11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수동형 태그(110)는 리더기(200)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아 동작하며, 이때 제어부(111)는 유입되는 전력에 포함된 고유 식별데이터 요청신호에 응답하기 위하여 ID 메모리(113)에 저장된 고유 식별데이터를 독출하여 데이터 송/수신부(117) 및 안테나(119)를 통하여 발사한다.
이에 따라 인형(100)에는 따로 배터리를 구비시킬 필요가 없어, 배터리 교체에 따른 번거로움 및 유지비가 발생하지 않는다. 특히, RFID용 수동형 태그(110)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인형의 크기 및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인형의 내부 깊숙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우려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리더기(200)는 소정 주파수를 방출 또는 수신하는 안테나부(230) 및 안테나부(230)와 연결되어 안테나부(230)로 소정 RF(Radio Friquency)신호를 전달하며, 안테나부(230)로부터 수신되는 RF신호를 전달받아 해당 미리 저장된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본체(210)로 이루어지는바, 자료취합기(Interrogator)또는 판독기라고도 불리운다.
전술한 구성에서 안테나(231)는 수동형 태그(100)가 설치된 부위별로 해당 실제 진찰기 모양의 케이스에 수납되는바, 가슴에 설치된 태그(110c)와 통신하는 안테나의 경우 청진기 모양(230c) 또는 심박측정기 모양(230d)의 케이스에 수납되고, 팔에 설치된 태그(110a)와 통신하는 안테나의 경우 혈압측정기 모양의 케이스(230a)에 수납되며, 귀에 설치된 태그(110b)와 통신하는 안테나의 경우 체온계 모양의 케이스(230b)에 수납됨으로써 달성된다.
다음 본체(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테나(231)와 연결되어 RF에너지를 수동형 태그(110)로 전달하기 위한 전원 송신부(215); 서로 다른 모양의 케이스(230a)(230b)(230c)(230d)에 수납된 안테나(231)와 일대일로 연결되어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데이터 송/수신부(217: 217a, 217b, 217c, 217d); 고유 식별데이터 별로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가 저장되고, 고유 식별데이터 별로 해당 데이터 송/수신부(217)가 매칭된 매칭테이블이 저장되며, 고유 식별데이터의 수신 상황에 따라 해당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의 출력을 제어하기위한 프로그램이 탑재된 프로그램 메모리(213); 전원 송신부(215) 및 데이터 송/수신부(217)를 통하여 수동형 태그(110)로 동작 전원 및 고유 식별데이터 요청신호를 출력하며, 데이터 송/수신부(217)를 통하여 임의의 고유 식별데이터가 수신되는 경우 수신된 고유 식별데이터가 미리 매칭된 데이터 송/수신부(217)를 통하여 수신되었는가를 판단하여 미리 매칭된 데이터 송/수신부(217)를 통하여 수신된 경우에만 수신된 고유 식별데이터에 해당하는 미리 정해진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독출하여 출력하는 제어부(211) 및 제어부(211)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219)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수동형 태그(110)가 진찰 부위에 설치된 인형(100)에 있어서, 가슴에 청진기 모양의 케이스(230c)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면 제어부(211)는 심장소리에 해당하는 미리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고, 가슴에 심박 측정기 모양의 케이스(231d)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면 제어부(211)는 심박 신호에 해당하는 미리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며, 팔에 혈압 측정기 모양 의 케이스(230a)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면 제어부(211)는 심장소리에 해당하는 미리 저장된 소리 데이터를 출력하고, 귀에 체온계 모양의 케이스(230b)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면 제어부(211)는 체온에 해당하는 미리 저장된 문자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때 귀에 청진기 모양의 케이스(230c)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는 경우 즉, 인형(100)의 임의의 진찰 부위로 진찰 부위에 해당하지 않는 진찰장비 모양의 케이스에 수납된 안테나(231)를 가까이 하게 되면 제어부(211)는 수신된 고유 식별데이터에 해당 하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임의의 진찰 부위를 진찰할 때 진찰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진찰장비 모양을 갖는 안테나를 위치시켜야만 진찰결과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진찰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다양한 진찰장비를 비교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다음 본체(210)와 연결되는 표시장치(300)는 제어부(211)로부터 출력되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달성되는바, 컴퓨터 또는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으로 달성된다.
먼저 표시장치(300)가 컴퓨터일 경우 본체와 컴퓨터는 USB기술로 통신이 가능한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는 AVI, WAV 또는 TXT 등 컴퓨터용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로 달성되며, 컴퓨터에는 수신되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프로그램 및 리더기와 통신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설치됨으로써 달성된다.
다음 표시장치(300)가 멀티미디어 재생기 즉, 모니터 및 스피커일 경우 제어부(211)가 영상, 소리 및 문자 데이터를 해당 재생기에서 재생할 수 있는 신호로 출력함으로써 달성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학습용 놀이기구에 따르면, 실제 진찰장비 모양을 갖는 임의의 케이스를 인형의 해당 진찰 부위에 위치시키는 경우, 제어부에는 임의의 수동형 태그와 매칭된 안테나를 통하여 해당 고유 식별데이터가 수신되게 되므로, 표시장치에는 진찰 부위에 해당하는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가 출력하게 되게 된다.
따라서 아이들은 표시장치에 표시되는 상황을 시각 및 청각적으로 접하면서 신체 각부에 적용되어야 할 진찰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학습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학습용 놀이기구는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학습용 놀이기구에 따르면, RFID기술을 적용하여 인형에 수동형 태그를 구비시키고, 리더기를 이용하여 수동형 태그에 동작전원을 제공함으로써 인형에 배터리를 구비시킬 필요가 없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되는 RFID용 수동형 태그는 그 크기가 매우 작아 인형의 크기 및 설치위치에 구애받지 않고 설치가 가능하며, 인형의 내부 깊숙이 설치되는 경우 외부 충격에 의한 파손 우려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임의의 진찰 부위를 진찰할 때 진찰부위에 해당하는 실제 진찰장비 모양을 갖는 안테나를 위치시켜야만 진찰결과가 표시되게 함으로써 진찰장비의 정확한 사용법을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다양한 종류의 진찰장비를 비교 학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동작전원이 입력될 때 고유 식별데이터를 출력하는 수동형 RFID 태그가 진찰 부위에 부착된 인형;
    RFID 안테나가 내장되며, 상기 진찰 부위별로 서로 다른 모양을 갖는 진찰장비 및
    상기 진찰장비와 연결되어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수동형 RFID 태그로 상기 동작전원을 전달하며, 상기 RFID 안테나를 통하여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를 전달받되, 상기 임의의 진찰 부위에 대응하는 상기 진찰장비로부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고유 식별데이터와 매칭된 미리 저장된 영상, 소리 또는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는 RFID 리더기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학습용 놀이기구.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RFID용 리더기의 출력단에는 상기 영상, 소리 또는 문자데이터를 재생할 수 있는 표시장치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놀이기구.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임의의 진찰부위가 가슴인 경우 상기 대응하는 진찰장비는 청진기 모양의 진찰장비이며, 상기 임의의 진찰부위가 팔인 경우 상기 대응하는 진찰장비는 혈 압측정기 모양의 진찰장비이며, 상기 임의의 진찰부위가 귀 또는 겨드랑이인 경우 상기 대응하는 진찰장비는 체온계 모양의 진찰장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학습용 놀이기구.
KR1020060057779A 2006-06-27 2006-06-27 학습용 놀이기구 KR2008000019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79A KR20080000190A (ko) 2006-06-27 2006-06-27 학습용 놀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57779A KR20080000190A (ko) 2006-06-27 2006-06-27 학습용 놀이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00190A true KR20080000190A (ko) 2008-01-02

Family

ID=3921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57779A KR20080000190A (ko) 2006-06-27 2006-06-27 학습용 놀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8000019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42B1 (ko) * 2007-11-15 2009-11-19 주식회사 지팡이 Rfid를 이용한 동작 완구
KR101011559B1 (ko) * 2010-05-14 2011-01-27 황인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1244472B1 (ko) * 2011-03-23 2013-03-18 한윤조 태아 심음-태동 체험형 임신복 교구
CN103599637A (zh) * 2013-10-14 2014-02-26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带有远距离报警的玩具娃娃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942B1 (ko) * 2007-11-15 2009-11-19 주식회사 지팡이 Rfid를 이용한 동작 완구
KR101011559B1 (ko) * 2010-05-14 2011-01-27 황인도 멀티미디어 재생장치를 이용한 영어학습 컨텐츠 제공방법
KR101244472B1 (ko) * 2011-03-23 2013-03-18 한윤조 태아 심음-태동 체험형 임신복 교구
CN103599637A (zh) * 2013-10-14 2014-02-26 苏州边枫电子科技有限公司 带有远距离报警的玩具娃娃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229696A1 (en) Object recognition toys and games
DE60236884D1 (de) System zur kommunikation mit implantierbaren vorrichtungen
CA2523299A1 (en) Radio-type in-subject information acquisition system, device for introduction into subject, and outside-subject device
CA2413148A1 (en) System for monitoring health, wellness and fitness
RU2404704C2 (ru) Сенсор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измерения, передачи, обработки и изображения физиологических параметров
CN106455520A (zh) 宠物用显示装置
WO2005018450A2 (en) Insertable sensor assembly having a coupled inductor communicative system
WO2002047013A2 (en) Object recognition toys and games
DE50014232D1 (de) Vorrichtung zur medizinischen Langzeitüberwachung von Personen
KR20080000190A (ko) 학습용 놀이기구
CN201345212Y (zh) 语音导游机
EP3503077B1 (en) Auscultatory sound identification training device and auscultatory sound identification training system
KR20090054882A (ko) 결합 정보를 출력하는 교육용 완구
JP4778073B2 (ja) 生理学的測定データを取得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TW200705178A (en) A monitor and extended display identification data (EDID) accessing method thereof
EP3433796B1 (en) Wearable device and system
JP2003088534A (ja) 内視鏡システム
US20040236194A1 (en) Device for measuring at least a physical parameter in a cavity of the organism of a living being
JP5366198B2 (ja) 状態記録装置
US20130317381A1 (en) Wireless detection system of physiological signals and method thereof
US11288979B1 (en) Stethoscope training devices and methods
KR101015095B1 (ko) 의료정보 관리시스템
CN211067099U (zh) 一种医疗用患者生命体征监测的智能腕带
CN202211871U (zh) 佩戴式照护用药提醒装置
CN208525617U (zh) 一种带身份识别系统的互动魔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