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510B1 -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510B1
KR101011510B1 KR1020080135474A KR20080135474A KR101011510B1 KR 101011510 B1 KR101011510 B1 KR 101011510B1 KR 1020080135474 A KR1020080135474 A KR 1020080135474A KR 20080135474 A KR20080135474 A KR 20080135474A KR 101011510 B1 KR101011510 B1 KR 101011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al gate
gate
radial
plate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35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7514A (ko
Inventor
김성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플랜텍
Priority to KR10200801354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1510B1/ko
Publication of KR201000775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75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40Swinging or turning gates
    • E02B7/42Gates of segmental or sector-like shape with horizontal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2Equipment preventing vibration of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54Sealings for gates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래이디얼 게이트; 래이디얼 게이트에 결합되어서 그 회동을 안내하는 아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고정되고 아암에 연결되어서 래이디얼 게이트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수단;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 및 래이디얼 게이트에 설치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 보강판에 고정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가 상기 수로의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에 설치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촉부로 이루어진 기밀부재;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해수의 일부를 방출시키도록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플랩게이트;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고정되어서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를 지지하는 도깅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이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되고, 외해측 수압을 적절히 지지하며 누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소량의 해수를 일정하게 배수할 수 있다.
래이디얼 게이트, 아암, 요크, 시일, 유압실린더, 스페이서, 플랩게이트

Description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Radial gate opening and shutting apparatus for floodgate}
본 발명은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이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되고, 외해측 수압을 적절히 지지하며 누수를 방지할 뿐 아니라, 소량의 해수를 일정하게 배수할 수 있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는 댐이나 하천 제방, 방조제, 저수지 등의 담수설비 또는 저수설비의 수로 상에 설치되어 배수량 조절 및 역류를 방지함으로써 담수율 또는 저수율을 인위적으로 조절하며, 홍수로 인한 설비 구조물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설비이다.
이러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의 구성은 래이디얼 게이트와 이를 개폐시키는 개폐장치로 이루어진다. 래이디얼 게이트를 개방할 때에는 수동이나 전동으로 구동시켜서 래이디얼 게이트를 상측으로 회동시키므로 수로를 개방한다. 래이디얼 게이트를 폐쇄할 때에는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가 자중에 의해 하강되도록 한다. 이러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수로를 개폐한다.
상술한 종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가 수로의 양측면을 따라 원활히 승강되려면 래이디얼 게이트가 수로의 양측면에 정확하게 안착되어야 하고 래이디얼 게이트 전체에 동일한 수압이 작용되며 래이디얼 게이트 양측이 동일한 힘 및 속도로 승강되어야 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는, 개폐장치를 이루는 여러 부품들간의 기계적 공차, 개폐장치의 구동에 따른 진동, 래이디얼 게이트에 전달되는 수압차 등의 제반 요인들에 의해 승강되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이 동일한 조건으로 승강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이 수로의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위치되지 못하고 틀어진 상태에서 승강되므로 래이디얼 게이트가 원활히 승강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는, 개폐장치에 의해 그 전체가 회동되면서 수로의 방출로를 개폐하므로 비교적 적은량의 물을 일정하게 배수시키는데는 적합하지 못하였다.
그리고, 배수나 수문시스템의 정비를 위해 래이디얼 게이트를 일정한 시간동안 상승시킬 필요가 있다.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는, 개폐장치에 의해 그 상승된 상태가 지지되는데, 래이디얼 게이트의 자중이나 개폐장치의 노후로 인해 개폐장치의 브레이크수단이 파손될 때에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가 그 자중에 의해 급강하되므로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이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승강되도록 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외해측 수압을 적절히 지지하고 누수를 방지하도록 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량의 해수를 일정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승된 상태의 래이디얼 게이트를 확실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호형상으로 절곡된 전면판과 후면판이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다수의 보강판들이 등간격으로 고정된 래이디얼 게이트;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의 일측에 이로부터 연장된 결합부가 형성된 메인아암과, 일단이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아암의 결합부에 결합되는 연결아암들과, 상기 연결아암들에 연결되어서 이들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들로 이루어진 아암; 상기 아암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작업 자의 이동을 안내 및 보호하는 난간;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매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판과 둘레가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설치판과 상기 고정판 및 설치판 사이에 고정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판으로 이루어진 기초프레임과, 상기 기초프레임의 설치판에 밀착되도록 고정부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결합구멍이 형성되는 축지지부가 형성되는 요크와, 상기 기초프레임의 설치판 및 요크의 고정부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를 밀착시키는 고정패드와, 상기 요크의 축지지부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요크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흡수, 상쇄하는 충격흡수패드와, 양단이 상기 요크의 결합구멍에 결합되는 힌지축과, 일측에 상기 힌지축에 결합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보스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의 일측에 상기 아암의 고정플랜지에 대향되어 이에 결합되도록 결합플랜지가 형성된 회동부재와, 상기 힌지축 및 회동부재의 결합보스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와, 상기 요크의 축지지부 및 회동부재의 결합보스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수단;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 및 래이디얼 게이트에 설치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 보강판에 고정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가 상기 수로의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스페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전면판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로의 양측면에 설치된 스킨플레이트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촉부로 이루어진 기밀부재;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가 닫힌 상태에서 해수의 일부를 방출시키도록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플랩게이트;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고정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승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를 지지하는 록킹핀과, 상기 프레임 및 록킹핀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와, 상기 록킹핀에 결합되어서 상기 록킹핀이 일정거리 이상 이송되면 상기 프레임에 접촉되어서 상기 록킹핀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퍼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와,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핀의 전진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로 이루어진 도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다른 특징은, 상기 기초프레임의 설치판에는 지지브라켓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에는 요크가 힌지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볼트가 체결된다.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힌지축에는, 그리스니플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상기 힌지축의 둘레 일측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구멍과, 상기 제1윤활유공급구멍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윤활유분배홈과,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상기 제1윤활유분배홈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1윤활유확산홈들로 이루어진 제1윤활유통로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스니플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상기 힌 지축의 둘레 타측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윤활유공급구멍과, 상기 제2윤활유공급구멍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2윤활유분배홈과, 상기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상기 제2윤활유분배홈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힌지축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2윤활유확산홈들로 이루어진 제2윤활유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시일은, 상기 오일리스부시의 양단 둘레에 각각 결합되는 링형태의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 둘레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의 축지지부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접촉부와, 상기 고정부 및 접촉부의 연결부위 둘레에 형성되어서 상기 접촉부가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보강판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과, 상기 보강판 및 제1고정판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판과, 상기 제1고정판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구비되는 제2고정판과, 상기 제1고정판 및 제2고정판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판들과, 상기 제2고정판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 양측면의 스킨플레이트에 대향되는 마감판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또 다른 특징은, 상기 플랩게이트는,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의 상부 중앙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본체와, 일단이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본체의 일단에 회동축으 로 결합되어서 상기 게이트본체가 회동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게이트결합부재와, 일단의 고정부가 게이트본체에 결합되고 타단의 접촉부가 호형상으로 절곡된 래이디얼 게이트의 가이드면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부재와, 상기 게이트본체의 자유단에 설치되어서 오픈된 게이트본체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상기 게이트본체의 자유단과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지지다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키는 우레탄버퍼로 이루어진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은, 회동수단 중, 기초프레임의 설치판에는 지지브라켓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브라켓에는 요크가 힌지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볼트가 체결된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의 개폐시 요크의 축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아암 및 래이디얼 게이트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개폐된다.
힌지축에는, 그리스니플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힌지축의 둘레 일측까지 도달되도록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구멍 및 제2윤활유공급구멍과, 제1윤활유공급구멍 및 제2윤활유공급구멍의 타단에 연결되고 힌지축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윤활유분배홈 및 제2윤활유분배홈과, 힌지축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힌지축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제1윤활유분배홈 및 제2윤활유분배홈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힌지축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1윤활유확산홈들 및 제2윤활유확산홈들로 이루어 진 제1윤활유통로 및 제2윤활유통로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윤활유통로 및 제2윤활유통로에 의해 윤활유를 공급하면 공급된 윤활유가 힌지축의 둘레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어 공급되므로 오일리스부시와 힌지축 사이의 마찰저항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일은 오일리스부시의 양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회동부재와 요크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시일의 고정부와 접촉부 사이의 둘레에는 탄성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홈에 의해 요크의 축지지부에 접촉되는 접촉부가 시일의 외측방향으로 원활히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회동부재와 요크 사이의 간격에 비해 시일의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도 접촉부가 탄성홈에 의해 원활히 탄성변형되면서 요크의 축지지부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와 요크 사이의 결합 공차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어도 시일의 접촉부가 변형 및 복원되면서 그 공차를 매우게 된다. 그러므로 회동부재와 요크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래이디얼 게이트의 양측에는 스페이서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의 수로 양측면을 따라 회전되면서 래이디얼 게이트의 개폐를 가이드하고, 래이디얼 게이트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릴시 이 스페이서가 수로의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 상쇄하며, 래이디얼 게이트가 좌우측이 수로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에서 뒤틀리는 것을 방지시킨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개폐되므로 부품들의 손상 및 마모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래이디얼 게이트의 수명이 그만큼 연장된다.
래이디얼 게이트의 상부 중앙에는 플랩게이트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래이 디얼 게이트를 개폐시키지 않고도 이 플랩게이트를 통해 수로의 방출로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적은량의 물을 간편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플랩게이트의 게이트본체에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가이드면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실링부재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게이트가 어느 각도에 위치되어 있든지 실링부재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가이드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래이디얼 게이트 및 플랩게이트의 회동부위는 실링부재에 의해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플랩게이트의 자유단에는 오픈된 게이트본체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다리와 게이트본체의 자유단과 지지다리 사이에 구비되어서 지지다리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키는 우레탄버퍼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게이트가 오픈되어서 해수가 방출되면 플랩게이트의 자유단에는 심한 충격과 압력이 작용하는데, 이때 우레탄버퍼가 이를 흡수, 상쇄시킨다. 그러므로 플랩게이트의 취약부위인 힌지부분을 보호하므로 플랩게이트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에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를 지지하도록 도깅부가 설치된다. 도깅부는 배수나 래이디얼 게이트 시스템의 정비를 위해 래이디얼 게이트를 일정한 시간동안 상승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록킹핀을 이송시켜서 래이디얼 게이트를 지지하도록 하며, 이에 따라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는 유압실린더에 의해 1차 지지되고 도깅부에 의해 2차 지지되므로 안전사고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특징 및 이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2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상승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개략적 부분 평단면도이다. 도 4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개략적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이며, 도 6은 아암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래이디얼 게이트의 회동수단을 보인 부분 측면도 및 평단면도이고, 도 9는 힌지축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이며, 도 10은 실린더로드의 결합부위를 보인 부분 확대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스페이서 및 기밀부재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이고, 도 12a 내지 도 12d는 플랩게이트의 설치 상태도, 플랩게이트의 정면도, 측면도, 오픈 상태 측면도이며,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깅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측면도, 평면도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의 개폐장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승강되도록 설치되는 래이디얼 게이트(10), 아암(20), 회동수단(40), 유압실린더(80), 스페이서(90), 기밀부재(100), 플랩게이트(110), 도깅부(120)로 이루어진다.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는, 도 4 및 도 5, 도 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로(2)의 양측면에 후술할 스페이서(90), 기밀부재(100)가 대향되도록 스킨플레이트(3)가 설치되어 있다.
래이디얼 게이트(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수로(2) 양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호형상으로 절곡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다수의 보강판(13)들이 등간격으로 고정된다.
아암(20)은, 도 1 내지 도 5, 그리고 도 6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 단부들이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배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힌지축(53)에 결합되어서 힌지축(53)을 중심으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상하방향으로 회동시킨다. 이러한 아암(20)은, 메인아암(21), 연결아암(24)들, 지지바(25)들로 이루어진다.
메인아암(21)은,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고 고정플랜지(22)의 일측에 이로부터 연장된 결합부(23)가 형성된다. 연결아암(24)들은, 일단이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메인아암(21)의 결합부(23)에 결합된다. 지지바(25)들은, 연결아암(24)들에 연결되어서 이들 사이를 지지한다.
아암(20)의 상부에는 작업자의 이동을 안내 및 보호하도록 난간이 설치되어 있다.
회동수단(40)은, 아암(20)의 회동중심에 설치되어서 아암(20) 및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상하 회동을 안내한다. 이러한 회동수단(40)은,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초프레임(41), 요크(47), 힌지축(53), 회동부재(63), 시일(67)로 이루어진다.
회동수단(40)의 기초프레임(41)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매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판(42)과, 둘레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설치판(43)과, 고정판(42) 및 설치판(43) 사이에 고정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판(44)으로 이루어진다.
요크(47)는,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에 밀착되도록 고정부(48)가 구비되고, 고정부(48)의 일측에 결합구멍(50)이 형성되는 축지지부(49)가 형성된다.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 및 요크(47)의 고정부(48) 사이에는 이들 사이를 밀착시키도록 고정패드(51)가 구비되고, 요크(47)의 축지지부(49)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일면 사이에는 요크(47)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흡수, 상쇄하도록 충격흡수패드(52)가 구비된다.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에는 지지브라켓(45)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브라켓(45)에는 요크(47)가 힌지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볼트(46)가 체결되어 있다.
힌지축(53)은, 양단이 요크(47)의 결합구멍(50)에 결합된다. 이러한 힌지축(53)에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윤활유통로(54) 및 제2윤활유통로(58)가 형성되어 있다.
제1윤활유통로(54)는, 그리스니플(6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힌지축(53)의 둘레 일측까지 도달되도록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구멍(55)과, 제1윤활유공급구멍(55)의 타단에 연결되고 힌지축(53)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윤활유분배홈(56)과,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힌지축(53)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제1윤활유분배홈(56)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힌지축(53)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1윤활유확산홈(57)들로 이루어진다.
제2윤활유통로(58)는, 그리스니플(6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힌지축(53)의 둘레 타측까지 도달되도록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윤활유공급구멍(59)과, 제2윤활유공급구멍(59)의 타단에 연결되고 힌지축(53)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2윤활유분배홈(60)과,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힌지축(53)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제2윤활유분배홈(6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힌지축(53)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2윤활유확산홈(61)들로 이루어진다.
회동부재(63)는, 일측에 힌지축(53)에 결합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보스(64)가 구비되고, 결합보스(64)의 일측에 아암(20)의 고정플랜지(22)에 대향되어 이에 결합되도록 결합플랜지(65)가 형성된다. 힌지축(53)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는 오일리스부시(66)가 삽입되어 있다.
시일(67)은, 요크(47)의 축지지부(49)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이러한 시일(67)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일리스부시(66)의 양단 둘레에 각각 결합되는 링형태의 고정부(68)와, 고정부(68)의 일측 둘레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요크(47)의 축지지부(49)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접촉부(69)와, 고정 부(68) 및 접촉부(69)의 연결부위 둘레에 형성되어서 접촉부(69)가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70)으로 이루어진다.
유압실린더(80)는, 그 상부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설치되고 하부의 실린더로드(81)가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연결되어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회동시킨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실린더(80)의 실린더로드(81) 단부에는 체결편(83)이 결합되어 있으며, 이 체결편(83)은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배면에 고정된 고정브라켓(82)에 힌지핀(84)으로 결합되어 있다.
스페이서(90)는,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양측 보강판(13)에 고정되어서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로(2)의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지지한다.
이러한 스페이서(90)는, 도 11a 및 도 11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제1고정판(92), 충격흡수판(91), 제2고정판(93), 연결판(94)들, 마감판(95)으로 이루어진다.
제1고정판(92)은,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보강판(13)에 고정된다. 충격흡수판(91)은, 보강판(13) 및 제1고정판(92) 사이에 결합되어서 래이디얼 게이트(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제2고정판(93)은, 제1고정판(9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구비된다. 연결판(94)들은, 제1고정판(92) 및 제2고정판(93) 사이에 고정된다. 마감판(95)은, 제2고정판(93)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수로(2) 양측면의 스킨플레 이트(3)에 대향된다.
기밀부재(100)는, 도 11a 및 도 11b에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전면판(11)에 고정되는 고정부(101)와, 고정부(101)의 일측에 연장되고 수로(2)의 양측면에 설치된 스킨플레이트(3)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촉부(102)로 이루어진다.
플랩게이트(110)는, 래이디얼 게이트(10)가 닫힌 상태에서 해수의 일부를 방출시키도록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설치된다. 이러한 플랩게이트(110)는, 도 12a 내지 도 1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게이트본체(111), 게이트결합부재(114), 실링부재(116), 지지다리(112), 우레탄버퍼(113)로 이루어진다.
게이트본체(111)는,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상부 중앙에 개폐되도록 설치된다. 게이트결합부재(114)는, 일단이 래이디얼 게이트(10)에 고정되고 타단이 게이트본체(111)의 일단에 회동축(115)으로 결합되어서 게이트본체(111)가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한다. 실링부재(116)는, 일단의 고정부(117)가 게이트본체(111)에 결합되고 타단의 접촉부(118)가 호형상으로 절곡된 래이디얼 게이트(10)의 가이드면(14)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킨다. 지지다리(112)는,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서 오픈된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을 지지한다. 우레탄버퍼(113)는,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과 지지다리(112) 사이에 구비되어서 지지다리(11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킨다.
도깅부(120)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설치되어서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한다. 이러한 도깅부(120)는, 도 13a 내지 도 13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레임(121), 록킹핀(122), 오일리스부시(123), 스토퍼(124), 커버(125), 센서(126)로 이루어진다.
프레임(121)은, 하부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고정된다. 록킹핀(122)은 프레임(121)의 상부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한다. 록킹핀(122)의 상부면에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하부가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평면 형태의 지지면(122a)이 형성되어 있다. 오일리스부시(123)는, 프레임(121) 및 록킹핀(122) 사이에 구비된다. 스토퍼(124)는, 록킹핀(122)에 결합되어서 록킹핀(122)이 일정거리 이상 이송되면 프레임(121)에 접촉되어서 록킹핀(122)의 이송을 정지시킨다. 커버(125)는, 프레임(121)의 상부에 결합된다. 센서(126)는, 프레임(121)에 설치되어서 록킹핀(122)의 전진 유무를 감지하여서 컨트롤러(미도시)에 전달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래이디얼 게이트(10)를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수로(2) 상하부를 따라 승강시키면서 수로(2)를 개폐한다.
유압실린더(80)가 도시되지 않은 컨트롤러에 의해 구동되면 아암(20)이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수로(2)의 상하로 승강시킨 다. 이때 스페이서(90)는 래이디얼 게이트(10)를 따라 승강되면서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로(2) 양측의 스킨플레이트(3)를 따라 승강되도록 안내하고,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처지는 것을 지지하며,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로(2)의 측면에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기밀부재(100)는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승강되는 동안 스킨플레이트(3)에 접촉되며, 이에 따라 외해측 해수가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내측으로 유입되지 못하도록 기밀을 유지한다.
이와 같은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는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회동수단(40) 중,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에는 지지브라켓(45)이 고정되어 있고, 지지브라켓(45)에는 요크(47)가 힌지축(53)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볼트(46)가 체결된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10)의 개폐시 요크(47)의 축방향 흔들림이 방지되며 이에 따라 아암(20) 및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유동되지 않는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개폐된다.
둘째, 힌지축(53)에는, 그리스니플(6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힌지축(53)의 둘레 일측까지 도달되도록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구멍(55) 및 제2윤활유공급구멍(59)과, 제1윤활유공급구멍(55) 및 제2윤활유공급구멍(59)의 타단에 연결되고 힌지축(53)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윤활유분배홈(56) 및 제2윤활유분배홈(60)과,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힌지축(53)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제1윤활유분배홈(56) 및 제 2윤활유분배홈(6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힌지축(53)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1윤활유확산홈(57)들 및 제2윤활유확산홈(61)들로 이루어진 제1윤활유통로(54) 및 제2윤활유통로(58)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1윤활유통로(54) 및 제2윤활유통로(58)에 의해 윤활유를 공급하면 공급된 윤활유가 힌지축(53)의 둘레 전체에 고르게 확산되어 공급되므로 오일리스부시(66)와 힌지축(53) 사이의 마찰저항을 확실하게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의 수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시일(67)은 오일리스부시(66)의 양단 둘레에 결합되어서 회동부재(63)와 요크(47) 사이의 기밀을 유지한다. 시일(67)의 고정부(6)와 접촉부(69) 사이의 둘레에는 탄성홈(7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탄성홈(70)에 의해 요크(47)의 축지지부(49)에 접촉되는 접촉부(69)가 시일(67)의 외측방향으로 원활히 탄성변형된다.
따라서 회동부재(63)와 요크(47) 사이의 간격에 비해 시일(67)의 높이가 더 크게 형성되어도 접촉부(69)가 탄성홈(70)에 의해 원활히 탄성변형되면서 요크(47)의 축지지부(49)에 밀착되며, 이에 따라 회동부재(63)와 요크(47) 사이의 결합 공차에 의해 유격이 발생되어도 시일(67)의 접촉부(69)가 변형 및 복원되면서 그 공차를 매우게 된다. 그러므로 회동부재(63)와 요크(47) 사이의 기밀을 확실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넷째,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양측에는 스페이서(9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90)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수로(2)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면서 래 이디얼 게이트(10)의 개폐를 가이드한다.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수평방향으로 흔들릴시 이 스페이서(90)가 수로의 양측면에 접촉되면서 그 충격을 흡수, 상쇄하며,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좌우측이 수로(2)의 양측면에 대향된 상태에서 뒤틀리는 것을 방지시킨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10)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개폐되므로 래이디얼 게이트(10) 및 이를 지지하는 부품들의 손상 및 마모가 줄어들게 되며, 이에 따라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수명이 그만큼 연장된다.
다섯째,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상부 중앙에는 플랩게이트(11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개폐시키지 않고도 이 플랩게이트(110)를 통해 수로(2)의 방출로를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비교적 적은량의 물을 간편하게 배수시킬 수 있다.
여섯째, 플랩게이트(110)의 게이트본체(111)에는 래이디얼 게이트(10)의 가이드면(14)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도록 실링부재(116)가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게이트(110)가 어느 각도에 위치되어 있든지 실링부재(116)는 래이디얼 게이트(10)의 가이드면(14)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에 따라 래이디얼 게이트(10) 및 플랩게이트(110)의 회동부위는 실링부재(116)에 의해 기밀이 확실하게 유지된다.
일곱째, 플랩게이트(110)의 자유단에는 오픈된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12)와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과 지지다리(112) 사이에 구비 되어서 지지다리(11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키는 우레탄버퍼(113)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플랩게이트(110)가 오픈되어서 해수가 방출되면 플랩게이트(110)의 자유단에는 심한 충격과 압력이 작용하는데, 이때 우레탄버퍼(113)가 이를 흡수, 상쇄시킨다. 그러므로 플랩게이트(110)의 취약부위인 힌지부분에 충격이 전달되지 않도록 보호하므로 플랩게이트(110)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
여덟째, 본 발명은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하도록 도깅부(120)가 설치된다. 도깅부(120)는 배수나 래이디얼 게이트 시스템의 정비를 위해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일정한 시간동안 상승시킬 필요가 있을 경우, 록킹핀(122)을 이송시켜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10)는 유압실린더(80)에 의해 1차 지지되고 도깅부(120)에 의해 2차 지지되므로 안전사고가 확실하게 방지된다.
도 14 내지 도 16은 아암(130)(140)(150)들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로써, 도 14는 아암(130)이 하나의 연결아암(131)으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고, 도 15는 아암(140)이 두 개의 연결아암(141)들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며, 도 16은 아암(150)이 네 개의 연결아암(151)들로 이루어진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는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크기나 종류, 수압 등의 제반 요건을 고려하여서 아암(130)(140)(150)들 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17은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로써, 이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상부에 와이어로프(161)를 권취시키도록 권양기(160)가 설치되어 있고, 와이어로프(161)의 단부가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권양기(160)에 의해 와이어로프(161)가 권취되면 래이디얼 게이트(10)가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상승되며, 와이어로프(161)가 풀리면 상승된 래이디얼 게이트가 힌지축(53)을 중심으로 회동되면서 하강된다.
이러한 권양기를 이용한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는, 도 1 내지 도 16과 비교할 때, 유압실린더(80) 대신에 권양기(160)를 사용하여서 래이디얼 게이트(10)를 개폐시키는 점이 다르며, 나머지 구성 및 작용, 효과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2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상승 상태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3은 도 1의 개략적 부분 평단면도
도 4는 래이디얼 게이트의 개략적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부분 확대도
도 6은 아암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래이디얼 게이트의 회동수단을 보인 부분 측면도 및 평단면도
도 9는 힌지축을 보인 부분 측단면도
도 10은 실린더로드의 결합부위를 보인 부분 확대도
도 11a 및 도 11b는 스페이서 및 기밀부재를 보인 부분 확대 단면도들
도 12a 내지 도 12d는 플랩게이트의 설치 상태도, 플랩게이트의 정면도, 측면도, 오픈 상태 측면도
도 13a 내지 도 13c는 도깅부를 보인 개략적 부분 단면도, 측면도, 평면도
도 14 내지 도 16은 아암의 다른 실시예들을 보인 개략적 측면도들
도 17은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 2 : 수로
3 : 스킨플레이트 10 : 래이디얼 게이트
11 : 전면판 12 : 후면판
13 : 보강판 14 : 가이드면
20,130,140,150 : 아암 21 : 메인아암
22 : 고정플랜지 23 : 결합부
24,131,141,151 : 연결아암 25 : 지지바
30 : 난간 40 : 회동수단
41 : 기초프레임 42 : 고정판
43 : 설치판 44 : 지지판
45 : 지지브라켓 46 : 유동방지볼트
47 : 요크 48,68,101,117 : 고정부
49 : 축지지부 50 : 결합구멍
51 : 고정패드 52 : 충격흡수패드
53 : 힌지축 54 : 제1윤활유통로
55 : 제1윤활유공급구멍 56 : 제1윤활유분배홈
57 : 제1윤활유확산홈 58 : 제2윤활유통로
59 : 제2윤활유공급구멍 60 : 제2윤활유분배홈
61 : 제2윤활유확산홈 62 : 그리스니플
63 : 회동부재 64 : 결합보스
65 : 결합플랜지 66,123 : 오일리스부시
67 : 시일 69,102,118 : 접촉부
70 : 탄성홈 80 : 유압실린더
81 : 실린더로드 82 : 고정브라켓
83 : 체결편 84 : 힌지핀
90 : 스페이서 91 : 충격흡수판
92 : 제1고정판 93 : 제2고정판
94 : 연결판 95 : 마감판
100 : 기밀부재 110 : 플랩게이트
111 : 게이트본체 112 : 지지다리
113 : 우레탄버퍼 114 : 게이트결합부재
115 : 회동축 116 : 실링부재
120 : 도깅부 121 : 프레임
122 : 록킹핀 122a : 지지면
124 : 스토퍼 125 : 커버
126 : 센서 160 : 권양기
161 : 와이어로프

Claims (5)

  1.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수로(2) 양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호형상으로 절곡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다수의 보강판(13)들이 등간격으로 고정된 래이디얼 게이트(1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일측에 이로부터 연장된 결합부(23)가 형성된 메인아암(21)과, 일단이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아암(21)의 결합부(23)에 결합되는 연결아암(24)들과, 상기 연결아암(24)들에 연결되어서 이들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25)들로 이루어진 아암(20);
    상기 아암(2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이동을 안내 및 보호하는 난간(3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매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판(42)과 둘레가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설치판(43)과 상기 고정판(42) 및 설치판(43) 사이에 고정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판(44)으로 이루어진 기초프레임(41)과, 상기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에 밀착되도록 고정부(4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48)의 일측에 결합구멍(50)이 형성되는 축지지부(49)가 형성되는 요크(47)와, 상기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 및 요크(47)의 고정부(48)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를 밀착시키는 고정패드(51)와, 상기 요크(47)의 축지지부(49)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 서 상기 요크(47)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흡수, 상쇄하는 충격흡수패드(52)와, 양단이 상기 요크(47)의 결합구멍(50)에 결합되는 힌지축(53)과, 일측에 상기 힌지축(53)에 결합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보스(64)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64)의 일측에 상기 아암(20)의 고정플랜지(22)에 대향되어 이에 결합되도록 결합플랜지(65)가 형성된 회동부재(63)와, 상기 힌지축(53)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66)와, 상기 요크(47)의 축지지부(49)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67)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수단(4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 및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설치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8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보강판(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92)과, 상기 보강판(13) 및 제1고정판(92)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판(91)과, 상기 제1고정판(9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구비되는 제2고정판(93)과, 상기 제1고정판(92) 및 제2고정판(93)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판(94)들과, 상기 제2고정판(93)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2) 양측면의 스킨플레이트(3)에 대향되는 마감판(95)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상기 수로(2)의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스페이서(9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전면판(11)에 고정되는 고정부(101)와, 상기 고 정부(101)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로(2)의 양측면에 설치된 스킨플레이트(3)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촉부(102)로 이루어진 기밀부재(10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상부 중앙에 개폐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본체(111)와, 일단이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게이트본체(111)의 일단에 회동축(115)으로 결합되어서 상기 게이트본체(111)가 회동축(115)을 중심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게이트결합부재(114)와, 일단의 고정부(117)가 게이트본체(111)에 결합되고 타단의 접촉부(118)가 호형상으로 절곡된 래이디얼 게이트(10)의 가이드면(14)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실링부재(116)와, 상기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에 설치되어서 오픈된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을 지지하는 지지다리(112)와, 상기 게이트본체(111)의 자유단과 지지다리(112)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지지다리(112)에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 상쇄시키는 우레탄버퍼(113)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가 닫힌 상태에서 해수의 일부를 방출시키도록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설치되는 플랩게이트(11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고정되는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승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하는 록킹핀(122)과, 상기 프레임(121) 및 록킹핀(122)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123)와, 상기 록킹핀(122)에 결합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이 일정거리 이상 이송되면 상기 프레임(121)에 접촉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 퍼(124)와, 상기 프레임(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25)와, 상기 프레임(121)에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의 전진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126)로 이루어진 도깅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2.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수로(2) 양측면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회동되도록 설치되고, 호형상으로 절곡된 전면판(11)과 후면판(12)이 구비되며, 이들 사이에 다수의 보강판(13)들이 등간격으로 고정된 래이디얼 게이트(1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회전 중심에 결합되는 고정플랜지(2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랜지(22)의 일측에 이로부터 연장된 결합부(23)가 형성된 메인아암(21)과, 일단이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후방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메인아암(21)의 결합부(23)에 결합되는 연결아암(24)들과, 상기 연결아암(24)들에 연결되어서 이들 사이를 지지하는 지지바(25)들로 이루어진 아암(20);
    상기 아암(20)의 상부에 설치되어서 작업자의 이동을 안내 및 보호하는 난간(3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매입된 후 고정되는 고정판(42)과 둘레가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외측면에 밀착되는 설치판(43)과 상기 고정판(42) 및 설치판(43) 사이에 고정되어서 이들을 지지하는 지지판(44)으로 이루어진 기초프레임(41)과, 상기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에 밀착되도록 고정부(48)가 구비되고 상기 고정부(48)의 일측에 결합구멍(50)이 형성되는 축지지부(49)가 형성되는 요크(47)와, 상기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43) 및 요크(47)의 고정부(48)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를 밀착시키는 고정패드(51)와, 상기 요크(47)의 축지지부(49)의 일측과 이에 대응되는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의 일면 사이에 구비되어서 상기 요크(47)가 좌우방향으로 흔들리는 것을 흡수, 상쇄하는 충격흡수패드(52)와, 양단이 상기 요크(47)의 결합구멍(50)에 결합되는 힌지축(53)과, 일측에 상기 힌지축(53)에 결합되어서 이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보스(64)가 구비되고 상기 결합보스(64)의 일측에 상기 아암(20)의 고정플랜지(22)에 대향되어 이에 결합되도록 결합플랜지(65)가 형성된 회동부재(63)와, 상기 힌지축(53)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66)와, 상기 요크(47)의 축지지부(49) 및 회동부재(63)의 결합보스(64) 사이에 구비되어서 이들 사이의 기밀을 유지하는 시일(67)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회동을 지지하는 회동수단(4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 및 래이디얼 게이트(10)에 설치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를 회동시키는 유압실린더(8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보강판(13)에 고정되는 제1고정판(92)과, 상기 보강판(13) 및 제1고정판(92) 사이에 결합되어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판(91)과, 상기 제1고정판(92)과 일정거리 이격되어서 구비되는 제2고정판(93)과, 상기 제1고정판(92) 및 제2고정판(93) 사이에 고정되는 연결판(94)들과, 상기 제2고정판(93)의 외측면에 결합되며 상기 수로(2) 양측면의 스킨플레이트(3)에 대향되는 마감판(95)으로 이루어져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가 상기 수로(2)의 양측면을 따라 승강되는 것을 안내하고 수평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지지하는 스페이서(90);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의 전면판(11)에 고정되는 고정부(101)와, 상기 고정부(101)의 일측에 연장되고 상기 수로(2)의 양측면에 설치된 스킨플레이트(3)에 접촉되어서 외해측 해수가 내측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접촉부(102)로 이루어진 기밀부재(100);
    상기 래이디얼게이트구조물(1)에 고정되는 프레임(121)과, 상기 프레임(121)에 슬라이드되도록 설치되고 상승된 상기 래이디얼 게이트(10)를 지지하는 록킹핀(122)과, 상기 프레임(121) 및 록킹핀(122) 사이에 구비되는 오일리스부시(123)와, 상기 록킹핀(122)에 결합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이 일정거리 이상 이송되면 상기 프레임(121)에 접촉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의 이송을 정지시키는 스토퍼(124)와, 상기 프레임(121)의 상부에 결합되는 커버(125)와, 상기 프레임(121)에 설치되어서 상기 록킹핀(122)의 전진 유무를 감지하는 센서(126)로 이루어진 도깅부(1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프레임(41)의 설치판에는 지지브라켓(45)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지지브라켓(45)에는 요크(47)가 힌지축 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유동방지볼트(46)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축(53)에는,
    그리스니플(6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상기 힌지축(53)의 둘레 일측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1윤활유공급구멍(55)과, 상기 제1윤활유공급구멍(55)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53)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1윤활유분배홈(56)과, 상기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53)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상기 제1윤활유분배홈(56)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힌지축(53)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1윤활유확산홈(57)들로 이루어진 제1윤활유통로(54)가 형성되어 있고;
    그리스니플(62)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가 상기 힌지축(53)의 둘레 타측까지 도달되도록 상기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2윤활유공급구멍(59)과, 상기 제2윤활유공급구멍(59)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힌지축(53)의 둘레를 따라 링형태로 형성되는 제2윤활유분배홈(60)과, 상기 힌지축(53)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상기 힌지축(53)의 둘레에 등간격으로 형성되며 내측 단부들이 상기 제2윤활유분배홈(60)에 연결되어서 이로부터 공급되는 윤활유를 상기 힌지축(53)의 둘레에 고르게 확산시키는 제2윤활유확산홈(61)들로 이루어진 제2윤활유통로(58)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일(67)은,
    상기 오일리스부시(66)의 양단 둘레에 각각 결합되는 링형태의 고정부(68)와, 상기 고정부(68)의 일측 둘레에 이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요크(47)의 축지지 부(49)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는 접촉부(69)와, 상기 고정부(68) 및 접촉부(69)의 연결부위 둘레에 형성되어서 상기 접촉부(69)가 탄성변형되도록 안내하는 탄성홈(7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 징으로 하는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KR1020080135474A 2008-12-29 2008-12-29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KR101011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74A KR101011510B1 (ko) 2008-12-29 2008-12-29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35474A KR101011510B1 (ko) 2008-12-29 2008-12-29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14A KR20100077514A (ko) 2010-07-08
KR101011510B1 true KR101011510B1 (ko) 2011-01-31

Family

ID=426388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35474A KR101011510B1 (ko) 2008-12-29 2008-12-29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1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418329B (zh) * 2011-08-24 2013-12-25 中国水利水电第五工程局有限公司 大型水工弧门快速安装方法
KR101351061B1 (ko) * 2011-08-31 2014-01-13 기인서 상하 분리가 가능한 이중 구조의 레이디얼 게이트 및 이를 개폐하기 위한 권양기
CN102660938B (zh) * 2012-05-25 2014-04-16 黄河勘测规划设计有限公司 露顶式弧门液压启闭机的支撑结构
KR101422812B1 (ko) * 2012-10-29 2014-07-24 한국기계연구원 공기배출밸브가 설치된 수문 및 배수갑문용 유압장치
CN105525597B (zh) * 2016-01-14 2018-02-27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表孔弧形闸门v型底止水的改进方法及结构
CN106087901B (zh) * 2016-08-23 2018-07-24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减缓特高水头闸门启闭振动的方法及装置
CN108978601A (zh) * 2018-09-29 2018-12-11 李正方 整体上旋钢坝
CN109680655A (zh) * 2019-01-24 2019-04-26 广水安江水电开发有限公司 一种更换弧形闸门启闭油缸两端轴套的方法及装置
CN110468803B (zh) * 2019-08-26 2024-02-13 中国电建集团贵阳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防涌潮露顶式平面闸门
CN110704988B (zh) * 2019-10-24 2023-12-19 江苏泽隆自动化工程有限公司 一种液压弧门开度值计算装置
WO2021095912A1 (ko) * 2019-11-13 2021-05-20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자가 회전식 해일 및 파랑 방호벽
CN113897919B (zh) * 2021-10-10 2022-11-11 山东水总有限公司 一种潜孔闸门
CN113818553B (zh) * 2021-11-24 2022-02-08 北京清源华建环境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控制高效密封的液动旋转堰门
CN114718025A (zh) * 2022-04-02 2022-07-08 中国电建集团北京勘测设计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的偏心支承弧形闸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10A (ja) 2003-06-09 2004-12-24 Kubota Corp ポンプの取付構造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60410A (ja) 2003-06-09 2004-12-24 Kubota Corp ポンプの取付構造
KR100616076B1 (ko) 2005-12-28 2006-08-25 한국수자원공사 댐 수문용 래이디얼게이트 유압식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7514A (ko) 2010-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510B1 (ko) 수문용 래이디얼 게이트 개폐장치
JP5580785B2 (ja) 浮体式フラップゲート
KR101089946B1 (ko) 와이어 로프의 장력 조절장치
KR101873271B1 (ko) 비상다리가 구성되어 있는 가동보
KR20140127058A (ko) 일체식 수문 시스템
KR101658067B1 (ko) 유지보수가 용이한 승하강식 홍수벽 장치
CN113614310B (zh) 用于翻板闸门的水密结构和包括水密结构的翻板闸门
KR20120002826U (ko) 승강식 가동보
KR101129042B1 (ko) 수문 구조체
JP2017025610A (ja) 水路用ゲート装置及びその設置方法
KR102211180B1 (ko) 차수문
KR101421228B1 (ko) 진동방지 및 완충기능을 구비한 펌프 일체형 수문
KR101622904B1 (ko) 진동측정장치를 구비한 펌프게이트
US2689459A (en) Crest control gate for dams
JP2002088748A (ja) オーバーリンクゲート
CN205443354U (zh) 一种新型布料器
KR20080037749A (ko) 후랩밸브가 부착된 배수문
CN203188181U (zh) 液压地埋伸缩式防淹门
CN215329754U (zh) 一种用于水利水电工程采用多支臂复合铰结构的弧形闸门
KR200308734Y1 (ko) 반달회전수문
KR19980044941A (ko) 수문용 안장타입 록커빔 롤라 장치
JP3860094B2 (ja) 遮水膜昇降式選択取水設備
CN212616535U (zh) 一种防逆流止回阀
JP7153536B2 (ja) ゲートおよびゲートの扉体の固定方法
KR20060095022A (ko) 회동식 가동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