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1416B1 - 전동 골프 카트 - Google Patents

전동 골프 카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1416B1
KR101011416B1 KR1020090070711A KR20090070711A KR101011416B1 KR 101011416 B1 KR101011416 B1 KR 101011416B1 KR 1020090070711 A KR1020090070711 A KR 1020090070711A KR 20090070711 A KR20090070711 A KR 20090070711A KR 101011416 B1 KR101011416 B1 KR 101011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es
battery
discharge amount
notification
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305A (ko
Inventor
마사유키 미키
Original Assignee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00061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3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1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14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B60L53/60Monitoring or controlling charging stations
    • B60L53/66Data transfer between charging stations and vehicles
    • B60L53/665Methods related to measuring, billing or pay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22Microcars, e.g. golf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0Driver interactions by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50/00Driver interactions
    • B60L2250/16Driver interactions by displ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6Carts; Golf c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과제) 간이하고 또한 정확한 배터리의 수명관리가 가능한 전동 골프 카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사용 단위당의 배터리의 방전량을 복수회의 사용 단위의 각각에 대해서 산출하는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와,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에 의해 산출되는 각 회의 사용 단위의 방전량에 관한 통계량에 기초하여 기준 방전량을 산출함과 아울러,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충전 횟수를 취득하는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를 포함한다.
전동 골프 카트

Description

전동 골프 카트{ELECTRIC GOLF CART}
본 발명은 전동 골프 카트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동 배터리의 수명관리에 관한 것이다.
골프장에서는 플레이어의 이동에 골프 카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많다. 전동 골프 카트에는 배터리 및 모터가 탑재되어 있고,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회전하는 모터가 동력원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동 골프 카트는 엔진을 동력원으로 하는 것에 비하여 주행음이 작다고 하는 뛰어난 특징을 갖고 있다. 배터리는 예를 들면 납 축전지, 니켈수소 축전지, 미켈카드뮴 축전지, 리듐 이온 전지 등이며, 어느 것이든 유한의 수명이 존재한다. 이 때문에 배터리의 수명 도래를 사전에 검지하여 전동 골프 카트의 관리자에게 통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점,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전기 자동차에서 사용되는 배터리의 수명 판정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 기술에 의하면 배터리의 충방전 사이클의 각각에 대해서 고유 열화값이 결정되고, 이들 고유 열화값을 합계함으로써 배터리의 열화가 얻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공개 2004-264303호 공보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하면 고유 열화값의 합계값이 배터리의 열화로 간주되므로, 개개의 고유 열화값에 오차가 포함되면 그것이 축적되어 큰 오차로 이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이하고 또한 정확한 배터리의 수명관리가 가능한 전동 골프 카트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는 사용 단위당의 배터리의 방전량을 복수회의 사용 단위의 각각에 대해서 산출하는 방전량 산출수단과, 상기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각 회의 사용 단위의 방전량에 관한 통계량에 기초하여 기준 방전량을 산출하는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과,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관계되는 충전 횟수를 취득하는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에 있어서는, 상기 사용 단위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고나서 다음에 충전될 때까지의 기간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는,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과,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되는 충전 횟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은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을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와 대조하여 조사함으로써 상기 전동 골프 카트에 탑재되는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충전 횟수를 취득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는, 상기 배터리의 충전 횟수를 계수하는 충전 횟수 계수수단과,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에 기초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통지수단을 더 포함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해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도록 해도 좋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의 측면도이다. 동 도면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전동 골프 카트(10)는 좌우 각각 한쌍의 전륜(12) 및 후륜(14)을 구비하는 4륜 차량이며, 2인용의 앞부 시트(22)와 3인용의 뒷부 시트(24)를 구비하고 있다. 후륜(14)은 모터(16)에 의해 정역으로 회전 구동되게 되어 있 고, 이 모터(16)의 구동 전력은 뒷부 시트(24)의 하방에 수용된 구동 배터리(18)로부터 공급된다. 구동 배터리(18)는, 예를 들면 직렬 접속된 복수개의 납 축전지이다. 또한 뒷부 시트(24)의 후방에는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된 컨트롤러(20)가 수용되어 있고, 이 컨트롤러(20)에 의해 전동 골프 카트(10)의 각종 장비가 제어된다.
전륜(12)의 방향은 앞부 시트(22)의 전방에 배치된 스티어링 핸들(26)에 의해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모터(16)의 회전속도는 스티어링 핸들(26)의 하방에 배치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가속 페달에 의해 조작된다. 주행 중에 가속 페달의 밟는 각이 0로 되돌려지면, 전륜(12) 및 후륜(14)에 디스크 브레이크가 걸림과 아울러 후륜(14)에 대해서는 모터(16)에 의한 회생 브레이크도 걸린다. 차속이 충분하게 낮아지면, 모터(16)는 후륜(14)에 대하여 주차 브레이크로서 전자(電磁) 브레이크를 건다. 또한, 가속 페달의 옆에 배치된 브레이크 페달(28)이 밟혔을 때도, 전륜(12) 및 후륜(14)에 대하여 디스크 브레이크가 걸린다. 또한 앞부 시트(22) 아래쪽에 배치된 레버(29)에 의해 모터(16)의 회전 방향이 정역으로 스위칭된다. 앞부 시트(22)의 전방에는 조작 패널(3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조작 패널(30) 내에는 후술하는 잔량 LED(30a) 및 이상 LED(30b)가 수용되어 있고, 그 근방에는 부저(30c)가 부착되어 있다.
도 2는 전동 골프 카트(10)에 있어서의 구동 배터리(18)의 수명관리에 관계되는 제어블록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컨트롤러(20)에는 충방전량 적산부(20a), 모터 제어부(20b), 충전 사이클 연산부(20c), 1사용 사이클 방전 량 연산부(20d),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 잔량 연산부(20f)가 설치되어 있다. 잔량 연산부(20f)에는 수명표시 판정부(20g) 및 배터리 잔량 부족 이상 판정부(20h)가 포함된다. 이들의 제어 요소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컴퓨터를 중심으로 구성된 컨트롤러(20)에 의해 그 내장 프로그램이 실행됨으로써 실현된다.
모터 제어부(20b)는 구동 배터리(18)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모터(16)를 회전 구동한다. 이 때, 구동 배터리(18)의 전압 및 전류는 충방전량 적산부(20a)에 의해 감시되고 있고, 상기 충방전량 적산부(20a)는 구동 배터리(18)의 방전량을 적산한다. 방전량의 적산값으로서는 구동 배터리(18)로부터 모터(16)에 공급되는 방전량만을 적산한 값을 채용해도 좋고, 구동 배터리(18)로부터 모터(16)에 공급되는 방전량을 플러스값으로 하고, 반대로 회생 브레이크시에 모터(16)로부터 구동 배터리(18)에 공급되는 충전량을 마이너스값으로 하며, 이들을 부호를 붙여 적산한 값을 채용해도 좋다.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는 충방전량 적산부(20a)에 의해 연산되는 방전량을 이용하여 1사용 사이클당의 방전량을 취득하고, 이것을 소정의 사용 사이클분(여기에서는 예를 들면 50회로 한다)만큼 기억한다. 구체적으로는,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는 전동 골프 카트(10)에 충전 플러그가 접속되어서 구동 배터리(18)에 충전 전압이 가해진 것을 검지한다. 그리고, 구동 배터리(18)가 만충전으로 되고나서 다음에 충전 개시될 때까지의 기간(이 기간을 「1사용 사이클」이라고 한다.)의 구동 배터리(18)의 방전량의 적산값을 충방전량 적산부(20a)로부터 취득하고, 이것을 기억한다. 한편, 충전 사이클 연산부(20c)는 구동 배터리(18)의 충전 횟수를 계수한다.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는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에 기억되는 소정의 사용 사이클분의 방전량을 서로 더하게 해, 그것을 충전 사이클 연산부(20c)에서 계수된 충전 횟수(여기에서는 50회)로 나누고, 1사용 사이클당의 평균 방전량을 산출한다. 여기에서는, 이 평균 방전량을 기준 방전량이라고 부른다. 또한,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는 기억된 소정 사용 사이클분의 방전량 중 최대량을 기준 방전량으로 하거나, 최대량과 최소량의 중간값을 기준 방전량으로 하거나 하는 등, 다른 통계량을 기준 방전량으로 해도 좋다.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는 이렇게 해서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에 기초하여 구동 배터리(18)가 수명을 맞이하는 충전 횟수(수명 충전 사이클)을 결정한다. 구체적으로는,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준 방전량(Ah)과 수명 충전 사이클(회)의 관계를 나타내는 테이블을 기억하고 있고, 상기와 같이 해서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에 대응하는 수명 충전 사이클을 상기 테이블로부터 취득한다.
잔량 연산부(20f)는 충방전량 적산부(20a)에 의해 적산되는 구동 배터리(18)의 방전량에 따라서 구동 배터리(18)의 잔여 용량을 판단한다. 그리고, 이 판단에 따라서 잔여 용량의 표시기인 잔량 LED(30a)를 점등시킨다. 구체적으로는 잔량 LED(30a)는 소정 개수의 LED로 구성되어 있고, 잔여 용량이 줄어듦에 따라 점등수를 줄인다. 수명 표시 판정부(20g)는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로부터 통지되는 수명 충전 사이클과, 충전 사이클 연산부(20c)로부터 통지되는 구동 배터리(18)의 사용을 개시하고나서 현재까지의 충전 사이클(통산 충전 사이클)에 따라 잔량 LED(30a)를 사용한 나머지 수명 표시를 행한다. 이 표시는 조작 패널(30)에 배치된 각종 버튼이나 브레이크 페달(28)이 특정의 수순으로 조작되었을 때에만 행하여지도록 해도 좋다. 나머지 수명 표시는, 예를 들면 수명 충전 사이클과 통산 충전 사이클의 비에 따른 개수의 LED를 점등시킴으로써 행한다. 또한, 수명 표시 판정부(20g)는 수명 충전 사이클보다 통산 충전 사이클이 커지면 수명 경고를 잔량 LED(30a)를 이용하여 행한다. 예를 들면 전동 골프 카트(10)의 전원을 온했을 때에 잔량 LED(30a)를 점멸시킴으로써 수명 도래를 통지한다. 배터리 잔량 부족 이상 판정부(20h)는 구동 배터리(18)가 이상 전압을 나타냈을 때에 이상 LED(30b)를 점등시키거나, 부저(30c)를 명동시키거나 한다.
도 4는 컨트롤러(20)에 있어서의 수명 충전 사이클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이 처리는, 미사용의 구동 배터리(18)가 전동 골프 카트(10)에 탑재되어, 컨트롤러(20)에 초기화 동작이 지시되었을 경우에 실행된다. 우선,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는 구동 배터리(18)의 충전 완료를 검지한다(S101). 예를 들면 구동 배터리(18)를 흐르는 충전 전류가 미약해진 것, 또는 구동 배터리(18)의 전압이 소정 전압에까지 오른 것에 의해 충전 완료를 판단한다. 그리고, 변수인 충전 완료 횟수를 1만큼 인크리먼트한다(S102). 또한, 충방전량 적산부(20a)에 기억되어 있는 적산된 방전량을 0으로 초기화한다(S103). 그리고, 다음에 구동 배터리(18)의 충전이 개시될 때까지(S105), 충방전량 적산부(20a)는 구동 배터리(18)의 주행 중의 방전량을 적산한다(S104). 그 후에 구동 배터리(18)의 충전이 개시되면(S105),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는 변수인 충전 개시 횟수를 1만큼 인크리먼트한다(S106). 또한, 충방전량 적산부(20a)에서 적산되어 있는 방전량을 취득하고 이것을 기억한다. 또한, 변수인 보존 데이터수를 1만큼 인크리먼트한다(S107). 보존 데이터수가 50에 도달할 때까지는(S108), S109 내지 S111의 처리를 스킵하고, 구동 배터리(18)의 충전을 개시한다(S112). 한편, 보존 데이터수가 50에 도달하여 있으면 배터리 수명 연산부(20e)가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에 기억되어 있는 50개의 방전량의 평균치를 산출하고, 기준 방전량을 취득한다(S109). 그리고, 이 기준 방전량을 도 3에 나타내어지는 테이블과 대조하여 조사하여 수명 충전 사이클을 취득한다(S110). 그리고, 1사용 사이클 방전량 연산부(20d)에 기억되는 보존 데이터수를 0으로 클리어한다(S111).
도 5는 잔량 LED(30a)에 의해 수명 표시를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 도이다. 동 도면에 나타내는 처리는 전동 골프 카트(10)의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전원 버튼이 온된 때에 실행되는 것이다. 우선, 전원이 온되면(S201), 수명 표시 판정부(20g)는 충전 사이클을 연산한다(S202). 충전 사이클은 도 4의 S102에서 갱신되는 충전 완료 횟수와, 동 도면의 S106에서 갱신되는 충전 개시 횟수의 평균치이다. 또한, 충전 완료 횟수 자체를 충전 사이클로 해도 좋고, 충전 개시 횟수 자체를 충전 사이클로 해도 좋다. 다음에 S202에서 산출되는 충전 사이클이, 도 4의 S110에서 산출되는 수명 충전 사이클보다도 큰지의 여부를 판단한다(S203). 그리고, 크면 수명 표시를 실시한다(S204). 구체적으로는, 잔량 LED(30a)에 포함되는 전부의 LED를 소정 시간만큼 점멸시킨다. 한편, 충전 사이클이 수명 충전 사이클 이하이면 S204의 처리를 스킵하고, 잔량 연산부(20f)가 잔량 LED(30a)를 이용하여 구동 배터리(18)의 잔량 표시를 행한다(S205). 그 후에 조작 패널(30)에 배치된 각 종 버튼이나 브레이크 페달(28)이 특정한 순서로 조작되었는지의 여부를 감시하고(S206), 그러한 조작이 행하여지면 S202에서 산출되는 충전 사이클과, 도 4의 S110에서 산출되는 수명 충전 사이클의 비에 따른 개수만큼, 잔량 LED(30a)에 포함되는 LED를 소정 시간만큼 점등시켜(S207), 다시 S205로 돌아간다.
이상에서 설명한 전동 골프 카트(10)에 의하면, 초기의 50회분의 사용 사이클에서의 방전량의 실적에 기초하여, 상기 전동 골프 카트(10)에 탑재된 구동 배터리(18)의 수명 충전 사이클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있다. 전동 골프 카트(10)는 1개의 골프 코스(golf course)를 1일 결정된 횟수(통상은 1회)만큼 주행하고, 그 후에 다음날에 대비해서 충전된다고 하는, 결정된 패턴의 사용 방법을 취하고 있고, 각사용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량은 골프 코스의 기복 등에 따라 결정되는, 대략 일정량이다. 또한 구동 배터리(18)의 수명은 각 사용 사이클에 있어서의 방전량에 크게 의존한다. 그래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소정수의 사용 사이클에서의 방전량으로부터 기준 방전량을 산출하고, 그것으로부터 수명 충전 사이클을 결정하고 있다. 그리고, 충전 사이클(사용 사이클)과 수명 충전 사이클의 비교에 의해 수명 표시를 행하고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전동 골프 카트(10)의 구동 배터리(18)의 수명을 간이하고 또한 정확하게 관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전동 골프 카트의 측면도이다.
도 2는 수명관리에 관계되는 제어 블럭도이다.
도 3은 수명관리를 위한 테이블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수명 충전 사이클을 결정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도 5는 수명 표시를 행하는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전동 골프 카트 12 : 전륜
14 : 후륜 16 : 모터
18 : 구동 배터리 20 : 컨트롤러
22 : 앞부 시트 24 : 뒷부 시트
26 : 스티어링 핸들 28 : 가속 페달
29 : 레버 30 : 조작패널.

Claims (17)

  1. 사용 단위당의 배터리의 방전량을 복수회의 사용 단위의 각각에 대해서 산출하는 방전량 산출수단;
    상기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각 회의 사용 단위의 방전량에 관한 통계량에 기초하여 기준 방전량을 산출하는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 및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에 기초하여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충전 횟수를 취득하는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단위는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고나서 다음에 충전될 때까지의 기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과 상기 배터리의 수명이 되는 충전 횟수의 관계를 나타내는 데이터를 기억하는 데이터 기억수단을 더 포함하고;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은 상기 기준 방전량 산출수단에 의해 산출되는 기준 방전량을 상기 데이터 기억수단에 기억되는 데이터와 대조하여 조사함으로 써 상기 전동 골프 카트에 탑재되는 상기 배터리의 수명에 따른 충전 횟수를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횟수를 계수하는 충전 횟수 계수수단; 및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에 기초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8.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의 충전 횟수를 계수하는 충전 횟수 계수수단; 및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에 기초한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통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교 결과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 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전동 골프 카트의 조작수단에 대하여 소정의 조작이 행하여졌을 경우에 상기 충전 횟수 계수수단에 의해 계수되는 충전 횟수와 상기 수명 충전 횟수 취득수단에 의해 취득되는 충전 횟수의 비에 따른 통지를 유저에 대하여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3.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4.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17.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수단은 상기 배터리의 잔여 용량의 표시기로 사용해서 유저에 통지를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 골프 카트.
KR1020090070711A 2008-11-28 2009-07-31 전동 골프 카트 KR101011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303708 2008-11-28
JP2008303708A JP5686949B2 (ja) 2008-11-28 2008-11-28 電動ゴルフカー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305A KR20100061305A (ko) 2010-06-07
KR101011416B1 true KR101011416B1 (ko) 2011-01-28

Family

ID=42325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711A KR101011416B1 (ko) 2008-11-28 2009-07-31 전동 골프 카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5686949B2 (ko)
KR (1) KR10101141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158B1 (ko) * 2013-10-10 2015-06-10 주식회사 대창 모터스 전동 골프카용 사고기록장치
CN104691396A (zh) * 2015-03-05 2015-06-10 南宁市鼎天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四轮微型货运电动汽车
JP6627402B2 (ja) * 2015-10-15 2020-01-0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劣化度推定装置及び劣化度推定方法
JP2020117148A (ja) 2019-01-25 2020-08-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オープンキャビン電動車両
JP7366549B2 (ja) 2019-01-25 2023-10-23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オープンキャビンビークル
KR102021839B1 (ko) 2019-03-08 2019-09-17 박준우 카트레이싱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안전운전 체험교육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17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충전량 증분에 의한 축전지 교체시기 표시방법
JP2004014205A (ja) 2002-06-05 2004-01-15 Nissan Motor Co Ltd 電池異常劣化検出装置
KR100755138B1 (ko) 2006-08-16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정보 검출 방법
KR20080065901A (ko) * 2007-01-10 2008-07-15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골프 카트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6389B2 (ja) * 1988-07-12 1997-10-22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電気車のバッテリ保守管理装置
JPH053633A (ja) * 1991-06-27 1993-01-08 Nec Corp バツテリ充電制御装置
JP3192005B2 (ja) * 1992-09-29 2001-07-23 株式会社ユアサコーポレーション 電動車両用蓄電池の残存寿命測定法
JP2909326B2 (ja) * 1992-10-21 1999-06-23 株式会社クボタ 小型電動車の充電装置
JPH1186912A (ja) * 1997-09-08 1999-03-30 Sanden Corp 低温貯蔵庫の蓄電池寿命判定方法及び低温貯蔵庫
JP3987178B2 (ja) * 1997-12-09 2007-10-03 日置電機株式会社 バッテリーパックの劣化判定方法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の劣化判定装置
JP2002085611A (ja) * 2000-09-18 2002-03-26 Sanyo Electric Co Ltd ゴルフカート管理システム
EP1450173A3 (de) * 2003-02-24 2009-07-22 Daimler AG Verfahren zur Ermittlung der Alterung einer Batteri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1417A (ko) * 1996-12-23 1998-09-15 김영귀 충전량 증분에 의한 축전지 교체시기 표시방법
JP2004014205A (ja) 2002-06-05 2004-01-15 Nissan Motor Co Ltd 電池異常劣化検出装置
KR100755138B1 (ko) 2006-08-16 2007-09-04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배터리 수명정보 검출 방법
KR20080065901A (ko) * 2007-01-10 2008-07-15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전동 골프 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305A (ko) 2010-06-07
JP5686949B2 (ja) 2015-03-18
JP2010125110A (ja) 2010-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1416B1 (ko) 전동 골프 카트
US7880439B2 (en) Battery-capacity management device
EP2574948B1 (en) Electric storage device monitor
KR101428293B1 (ko) 전기자동차용 보조배터리의 주기적 충전 방법
JP5435236B2 (ja) 電動車両の充電状態報知装置
JP4925108B2 (ja) 電動ゴルフカート
KR20130036712A (ko)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관리 방법
JP2011041452A (ja) 組電池装置及び車両
US20120162840A1 (en) Apparatus for electric power tool and recording medium
JP6565446B2 (ja) 電池劣化判定装置,電池劣化判定方法及び車両
JP2008134060A (ja) 蓄電装置の異常検出装置、蓄電装置の異常検出方法及びその異常検出プログラム
US8825246B2 (en) Industrial vehicle
JP2004138586A (ja) 二次電池評価方法および蓄電装置
JP2008008861A (ja) バッテリ性能ランク診断装置及びバッテリ性能ランク診断プログラム
CN106329011B (zh)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电动车辆
CN106329012A (zh) 电池组和包括电池组的电动车辆
JP2014060868A (ja) 組電池均等化装置
CN112590556B (zh) 一种汽车续驶里程的计算方法
WO2005093446A1 (ja) 蓄電体の残存容量を推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10031975A1 (en) Battery-Driven Power Tool and Battery Pack Therefor
JP2008179284A (ja) 二次電池の劣化判定装置
WO2016200319A1 (en) A method and a monitoring unit for monitoring a battery system
JP2002246073A (ja) 組電池の異常検出装置
JP6435679B2 (ja) 鉛蓄電池の劣化判定装置及び鉛蓄電池の劣化判定方法
JP5609807B2 (ja) バッテリ装置のヒステリシス低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