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783B1 -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783B1
KR101010783B1 KR1020090000988A KR20090000988A KR101010783B1 KR 101010783 B1 KR101010783 B1 KR 101010783B1 KR 1020090000988 A KR1020090000988 A KR 1020090000988A KR 20090000988 A KR20090000988 A KR 20090000988A KR 101010783 B1 KR101010783 B1 KR 10101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weight
information
carbon dioxide
trans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0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795A (ko
Inventor
타츠야 코야부
타다유키 이쿠타니
히사요시 사토
Original Assignee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14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9230740A/ja
Application filed by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937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7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02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 G01G19/0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weighing wheeled or rolling bodies, e.g. vehicles for weighing during mo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량화하기 어려운 수송시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할 수 있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고, 환경 보호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이를 위한 수단으로서는, 수송지점 단말은, 해당 수송지 단말의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에서 판독한 차량 넘버 정보와, 수송지점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수송지점 정보를 서버에 전기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기억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 넘버가 붙여져 있는 차량에 관한 차량 관련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정보를 기억하고, 연산 수단에 의해, 소망하는 차량 넘버에 관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상기 수송지점 정보로부터 이동 거리를 취득하고, 해당 소망하는 차량 넘버가 붙여져 있는 차량의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부터 화물 중량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화물 중량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을 구축한다.
서버, 인터넷, 수송지점 단말, 제어부, 기억부

Description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CARBON DIOXIDE EXHAUST MEASURE SYSTE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산화 탄소의 실 배출량을 측정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근래, 환경 문제가 심각화되고 있고, 기업활동에 의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할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이 기업활동에 의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하기 위해, 수송시에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하는 것이 고려된다.
수송시에 발생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하는 장치로서,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가 제안되어 있다(특허 문헌 1 참조). 이 이산화 탄소 배출 장치는, 물류회사에 있어서의 발거점(發據點) 데이터와 착거점(着據點)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는 운행 데이터를 이용하고, 물류회사의 복수의 거점 사이의 실주행 거리와, 차량 마다의 실 연비와, 배출량 환산 계수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이다. 또한, 이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는, 운행 데이터에 포함되는 물류 중량과 차량의 허용 적재량으로부터 구하는 적재율을 이용하고, 적재율 의 향상에 의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삭감 효과를 평가할 수도 있다고 되어 있다.
그러나, 상술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는, 편리성이 부족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예를 들면, 상술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는, 물류회사의 운행 데이터를 필수로 하는 것이고, 이 때문에 운행 데이터를 관리하고 있는 물류회사밖에 이용할 수가 없고, 이용 대상의 범위가 좁은 것이었다.
상세히 기술하면, 물류회사에 있어서의 운행 데이터는, 이른바 디지타코(DIGI TACHO; 디지털 태커그래프)를 이용하여, 순간 연비나 평균 연비 등도 계측하여 기억된다. 이 디지타코는, 탑재가 의무화되어 있다 8t 트럭에는 탑재되어 있지만, 탑재가 의무화되어 있지 않은 4t 트럭이나 2t 트럭에는 탑재되어 있지 않은 것이 많다. 또한, 운행 데이터는, 수집을 위해 수송원에 의한 손입력 작업이 필요하여, 수고가 든다는 문제도 있다. 따라서, 운행 데이터의 취득을 하지 않는 기업도 있고, 상술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를 채용할 수 없는 기업이 존재하였다. 이러하기 때문에, 보다 편리성이 높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가 요망되고 있다.
일본 특허 문헌 1 특개2007-207140호 공보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정량화하기 어려운 수송시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을 제 공하고, 환경 보호에 공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각 수송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로부터 차량 넘버를 판독하는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과 해당 판독을 행한 수송지점을 취득하는 수송지점 취득 수단을 갖는 복수의 수송지점 단말과,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연산을 행하는 연산 수단을 갖고서 상기 수송지점 단말과 전기통신 회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송지점 단말은, 상기 수송지점 단말의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에서 판독한 차량 넘버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수송지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상기 전기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 넘버가 붙여져 있는 차량에 관한 차량 관련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소망하는 차량 넘버에 관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상기 수송지점 정보로부터 이동 거리를 취득하고, 해당 소망하는 차량 넘버가 부여되어 있는 차량의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부터 화물 중량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화물 중량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넘버 플레이트 설복 수단은, 넘버 플레이트를 촬상하여 해당 촬상 화상으로부터 화상 인식 기술에 의해 차량 넘버를 취득하는 넘버 플레이트 판독 장치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수송지점 취득 수단은, 예를 들면 수송지점 ID 또는 수송지점 위치 정보를 기억 수단에 기억하여 두고 이 수송지점 ID 또는 수송지점 위치 정보를 기억 수단으로부터 취득하는 제어 수단으로 구성한 등, 적절한 수단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서버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차량 관련 정보는, 수송지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차량 총중량으로 한다, 이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차량 단일체의 중량을 감산한 화물 중량으로 한다, 또는 최대 적재량에 평균 적재율을 승산한 평균 화물 중량으로 하는 등, 화물 중량을 취득 가능한 적절한 정보로 할 수 있다.
상기 소망하는 차량 넘버는, 하나 또는 복수로 할 수 있다. 또한 소망하는 차량 넘버는, 예를 들면, 차량을 소유하고 있는 사업소 단위로 차량 넘버를 추출하는 등, 적절한 기준으로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정량화하기 어려운 수송시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편리하게 파악할 수 있다. 특히,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에 의해 차량 넘버를 판독하여 차량을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차량에 디지타코 등의 전용 장치를 탑재하지 않는 경우에도 차량 단위의 이성화 탄소 배출량을 계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복수의 수송지점 단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송지점 단말은, 차량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에서 측정한 차량 총중량을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에 송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서버의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서, 상기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상기 차량 단체의 중량인 차량 단 체 중량이 감산된 화물 중량 또는 상기 차량 총중량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에서 측정한 차량 총중량을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에 송신하는 처리는, 출발지가 되는 수송지점에서만 실행할 수, 도착지가 되는 수송지점에서만 실행할 수, 또는 출발지와 도착지의 양쪽의 수송지점에서 실행할 수 있다. 이 처리를 출발지 또는 도착지의 어느 한쪽의 수송지점에서만 실행한 경우, 서버의 기억 수단에 기억하는 정보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해, 정확한 화물 중량을 구할 수 있고,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화물 중량을 손으로 입력한다는 수고를 불필요하게 하여 편리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평균 적재율로부터 수송 중량을 추정하는 동작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화물 중량을 승산한 수송 톤 킬로에, 미리 정해진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와 단위 발열량과 배출 계수와 44/12를 승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개량 톤 킬로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정밀도 좋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기억 수단은, 차종별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의 산출법을 정한 차종별 산출법 정보와, 상기 차량 넘버의 차량의 차종을 나타내는 차량별 차종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 량 넘버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별 차종 정보로부터 차종을 취득하고, 상기 차종별 산출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차종에 관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의 산출법을 이용하여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산출하고, 해당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차종별로 정한 차종은, 가솔린차와 디젤차 등,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의 산출에 관계가 있는 차종별로 할 수가 있다.
상기 차종별 산출법 정보는, 수송 톤 킬로당 연료 사용량, 적재율, 및 최대 적재량에 의해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정하는 표, 또는 연산식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적재율이 불명한 경우는, 평균 적재율과 자가용/영업용으로 정해지는 원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해, 차종별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고, 보다 정밀도가 높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하주 및 화물 계획 중량과 해당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배송 계획 정보를 취득하는 배송 계획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량 넘버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배송 계획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물 중량을 상기 배송 계획 정보의 상기 화물 계획 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하주별로 안분하고, 하주별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출력하는 구성으로 할 수가 있다.
이로써, 보다 정밀도가 높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하주별로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수송지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실측치의 차량 총중량에 의거하여 화물 중량을 취득하고, 이 화물 중량을 하주별로 안분한 경우라면, 계획 시점의 화물 계획 중량을 그대로 이용하는 것보다도 높은 정밀도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상기 기억 수단은, 화물 이외의 중량인 용장(冗長) 중량을 나타내는 차량별 용장 중량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량 넘버의 상기 화물 중량으로부터 상기 용장 중량을 감산한 잔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을 행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용장 중량 정보는, 화물과 함께 적재하는 팔레트 등의 자재 및 가솔린 등 화물 이외에 의한 중량의 정보로 할 수 있다. 이 용장 중량 정보는, 차량별로 정하여 둘 수 있다.
이 양태에 의해, 화물의 배송에 의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보다 정밀도 좋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양태로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실제의 배송 거리를 취득하는 배송 거리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망하는 차량 넘버에 관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상기 수송지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송 거리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배송 거리를 이동 거리로서 취득하는 구성으로 할 수 있다.
이로써, 실제의 배송 거리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고, 보다 정밀도가 좋은 연산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상술한 문제를 감안하여, 정량화하기 어려운 수송시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파악할 수 있는 편리성이 높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을 제공하고, 환경 보호에 공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 형태를 이하 도면과 함께 설명한다.
[실시예 1]
도 1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의 시스템 구성도를 도시하고, 도 2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은, 서버(2)와, 복수의 수송지점(P)(P1, P2, …)에 각각 설치된 수송지점 단말(4)과, 이들을 통신 가능하게 접속하는 인터넷(3)으로 구성되어 있다.
서버(2)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 입력부(21), 표시부(22), 통신부(23), 제어부(24), 및 기억부(25)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조작 입력부(21)는, 키보드나 마우스라는 입력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입력된 신호를 제어부(24)에 송신한다.
표시부(22)는, CRT 디스플레이 또는 액정 디스플레이라는 표시 장치로 구성 되어 있고,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하는 영상 신호에 따라 영상(화상이나 문자)을 표시한다.
통신부(23)는, LAN 보드 등의 통신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인터넷(3)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24)에 송신하고, 제어부(24)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를 인터넷(3)을 통하여 통신처의 단말에 송신한다.
제어부(24)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되고, RAM을 일시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하고, ROM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연산 처리에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처리도 포함된다.
기억부(25)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로서는, 차종 마스터 데이터, 차량 마스터 데이터, 수송지점 사이 거리 마스터 데이터, 계수 마스터 데이터 및 배송 실적 데이터 등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으로서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차종 마스터 데이터는, 차량 단체 중량(화물이 탑재되지 않은 상태의 차량 단체의 중량), 최대 적재량, 및 연료 종류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차량 마스터 데이터는, 차량 넘버, 차종, 및 차량 소유자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송지점 사이 거리 마스터 데이터는, 제 1 수송지점의 단말 ID, 제 2 수송지점의 단말 ID 및 제 1 수송지점부터 제 2 수송지점까지의 수송지점 사이 거리로 구성되어 있고, 모든 수송지점의 조합이 등록되어 있다.
계수 마스터 데이터는,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 단위 발열량, 배출 계수, 이산화 탄소 배출 계수 등, 각종 계수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단위 발열량, 배출 계수, 및 이산화 탄소 배출 계수는, 연료 종류별마다 다른 값이 기억되어 있다.
배송 실적 데이터는, 수송 상황 확인 지점의 단말 ID, 차량 넘버, 화물 중량, 및 수송 상황 확인 시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송지점 단말(4)은, 도 1에 도시하는 각 수송지점(P)(P1, P2, …)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이 수송지점 단말(4)은,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 차량 총중량 계측부(42), 계시부(43), 제어부(44), 통신부(45) 및 기억부(46)로 구성되어 있다.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는, 넘버 플레이트 판독 장치(AVI : Automatic Vehicle Identificatio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는, 차량(T)(도 1 참조)과 함께 넘버 플레이트(N)를 촬상하고, 이 촬상 화상으로부터 넘버 플레이트(N) 부분을 검출한다. 그리고, 넘버 플레이트(N) 부분을 잘라내어 일련번호의 각 자리(桁) 문자를 인식하고, 또한 차종 코드나 육상운송 지국 명칭, 용도 코드 등을 인식한다.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는, 이 인식 결과에 의해 얻은 차량 넘버를 제어부(44)에 송신한다.
차량 총중량 계측부(42)는, 동적 중량 계측 장치(WIM : Weigh-In-Motion)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이 차량 총중량 계측부(42)는, 수정의 피에조 효과(압전 효과)를 이용한 봉형상 센서가 차량 진행 방향으로 복수 설치되어 구성되고, 봉형상 센서 위를 정속 주행(예를 들면 10 내지 80㎞/h로 주행)하는 차량의 총중량을 계측한다. 그리고, 차량 총중량 계측부(42)는, 계측한 총중량을 차량 총중량으로서 제어부(44)에 송신한다.
계시부(43)는, 시각을 계시하고 있고, 제어부(44)로부터 시각의 문의를 받으면 현재 시각을 제어부(44)에 송신한다.
제어부(44)는, CPU, ROM, 및 RAM으로 구성되고, RAM을 일시기억 영역으로서 사용하여, ROM의 프로그램에 따라 CPU가 각종 연산 처리 및 제어 처리를 실행한다.
통신부(45)는, LAN 보드 등의 통신 장치로 구성되어 있고, 인터넷(3)을 통하여 수신한 신호를 제어부(44)에 송신하고, 제어부(44)로부터 수신한 송신 신호를 인터넷(3)을 통하여 서버(2)에 송신한다.
기억부(46)는, 각종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기억하고 있다. 데이터로서는, 단말 1D 등이 기억되어 있다. 프로그램으로서는, 단말용 프로그램 등이 기억되어 있다.
도 3(A)는, 개량 톤 킬로법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연산식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B)는, 이 산출에 이용되는 연산용 데이터의 구성도이다.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에너지 사용량」은, 「수송 톤 킬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 「1/1000」, 및 「단위 발열량」을 승산하여 구하여진다.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산용 데이터는, 「화물 중량」, 「수송 거 리」, 「최대 적재량」, 「적재율」,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 및 「단위 발열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연산식에 있어서의 「수송 톤 킬로」는, 연산용 데이터의 「화물 중량」에 「수송 거리」를 승산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또한, 「화물 중량」은, 차량 총중량 계측부(42)에서 측정한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차량 마스터 데이터에 기억되어 있는 차체 중량을 감산하여 구하여진다.
또한, 「단위 발열량」의 부분은, 「단위 발열량(GJ/KI)」, 「배출 계수(t-C/GJ)」, 및 「44/12(t-CO2/t-C)」를 승산한 「이산화 탄소 배출 계수」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연산 결과로서 이산화 탄소 배출량(t-CO2)을 구할 수 있다.
도 4는, 수송지점 단말(4)의 제어부(44)가 실행하는 수송 상황 확인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이 수송 상황 확인 처리는, 수송지점(P)으로부터 차량이 출발할 때, 또는 차량이 수송지점(P)에 도착한 때에 행하여진다.
제어부(44)는,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에 의해, 수송지점(P)으로부터 출발 또는 수송지점(P)에 도착한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을 판독한다(스텝 S1).
제어부(44)는, 차량 총중량 계측부(42)에 의해, 동 차량의 총중량을 판독한다(스텝 S2).
제어부(44)는, 계시부(43)에 의해, 넘버 플레이트의 판독과 총중량의 판독을 행하고 있는 현재 시각을 수송 상황 확인 시각으로서 취득한다(스텝 S3).
제어부(44)는, 판독한 넘버 플레이트의 대조를 행한다(스텝 S4). 이 대조에서는, 등록되어 있는 차량인지의 여부 등을 서버(2)에 문의하여, 문제의 유무를 확 인한다.
대조의 결과, 문제가 있으면(스텝 S5 : No), 제어부(44)는 에러 출력을 행하고(스텝 S6), 게이트(G)(도 1 참조)를 여는 일 없이 처리를 종료한다.
대조의 결과, 문제가 없으면(스텝 S5 : Yes), 제어부(44)는, 게이트(G)를 열고(스텝 S7), 서버(2)에 배송 실적 데이터를 등록하고(스텝 S8), 처리를 종료한다.
이 때 등록하는 배송 실적 데이터는, 넘버 플레이트(N)로부터 판독한 차량 넘버, 차량 총중량, 단말 ID, 및 수송 상황 확인 시각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단말 ID는, 이 등록의 경우에 제어부(44)가 기억부(46)로부터 판독하여 취득한다.
도 5는, 서버(2)의 제어부(24)가 실행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이다.
제어부(24)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을 행하는 조건의 입력을 조작 입력부(21)에 의해 접수한다(스텝 S11). 이 때의 조건에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기간, 대상으로 하는 차량 넘버, 차종 등,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 싶은 범위가 입력된다.
제어부(24)는, 배송 실적 데이터를 참조하여 조건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추출한다(스텝 S12)
제어부(24)는, 추출한 데이터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스텝 S13). 이 때, 제어부(24)는, 우선, 추출한 데이터에 관해, 각 차량이 어느 수송지점(P)으로부터 어느 수송지점(P)까지 이동하였는지 확인하고, 각 차량의 이동 거리를 수송지점 사이 거리 마스터 데이터로부터 구한다. 또한, 각 차량의 배송 실적 데이터의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각 차량의 차종에 관한 차종 마스터 데이터의 차량 단체 중량을 각각 감산하고, 각 차량의 화물 중량을 구한다. 그리고, 각 차량에 관해, 구한 이동 거리와 화물 중량으로부터 수송 톤 킬로를 구하고, 도 3(A)에서 설명한 개량 톤 킬로법의 연산식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한다.
제어부(24)는, 연산 결과인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출력하고, 처리를 종료한다(스텝 S14). 또한, 이 때의 출력은, 화면 출력, 인쇄 출력, 송신 출력, 또는 이들의 복수로 할 수 있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정량화하기 어려운 수송시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특히, 개량 톤 킬로법을 이용하여 연산을 행하기 때문에, 이산화 탄소의 실배출량을 구할 수 있다.
또한,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에서 판독한 차량 넘버와, 수송지점(P)의 단말 ID와, 수송지점 사이 거리 마스터 데이터로부터 이동 거리를 알기 때문에, 차량에 디지타코 등의 차량탑재기가 탑재되어 있지 않아도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비용 저감이 도모됨과 함께, 편리성이 향상한다.
또한, 차량 총중량 계측부(42)에 의해 차량 총중량을 계측할 수 있고, 이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차량 단체 중량을 감산할뿐으로 화물 중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예를 들면 적재하는 화물의 중량을 하나씩 계측하고 가산하여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화물 중량(합계 중량)을 구한다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고, 편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실제의 화물 중량을 계측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적재율에 따른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실제의 적재율을 산출한 때는, 차종 마스터 데이터의 최대 적재량으로 화물 중량을 제산(除算)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특별한 입력 작업을 행하지 않아도, 수송지점(P)으로부터 차량이 출발할 때, 수송지점(P)에 차량이 도착한 때에,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와 차량 총중량 계측부(42)에 의한 자동 판독과 자동 계측을 실행하는 것만으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운용 부하를 걸지 않고도 도입할 수 있다.
또한, 4t 트럭 차량이나 2t 트럭 차량 등, 디지타코 탑재가 의무가 아니고,디지타코가 탑재되어 있지 않은 차량에 관해서도, 이동 거리에 의거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가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때에 필요한 화물 중량은, 평균 적재율을 차량 단체 중량에 승산하여 구하여도 좋다. 이 경우는, 차량 총중량 계측부(42)를 생략할 수 있어서, 더 한층의 비용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이 경우, 화물 중량은, 배송 업자가 이용하는 배송 시스템으로부터 받아들이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실시예 2]
다음에, 실시예 1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보다도 더욱 고정밀도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편리하게 측정할 수 있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에 관해, 도 6- 도 12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실시예 2에서는,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 한다.
도 6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이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은, 실시예 1의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의 구성에 더하여, 차량(T)에 이동체 단말(50)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수송지점(P2)과 같이, 차량 중량 계측부(42)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또는 이용하지 않는) 수송지점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출발지점인 수송지점(P)1의 수송지점 단말(4)에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 및 차량 중량 계측부(42)가 마련되어 있고, 도착지점인 수송지점(P2)의 수송지점 단말(4)에는 차량 중량 계측부(42)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 경우에도, 도중에 하강(荷絳)하지 않든지 전부를 하강하는 케이스에서 특히 문제 없이 화물의 중량을 취득할 수 있다.
또한, 이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에서는, 서버를 센트럴 서버(2a)와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의 2대(臺)로 분할하고 있다. 이로써, 배송 실적의 수집과 정리를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서 실행하고, 정리 후의 배송 실적 정보로부터 센트럴 서버(2a)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도 7은, 이동체 단말(50)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GPS 위성(8)이 송신한 전파는, GPS 수신기(9)로 수신된다. 이 GPS 수신기(9)는, 수신한 전파를 기초에 위도, 경도, 속도를 산출하고, 이동체 단말(50)에 송신한다.
이동체 단말(50)은, 유저 인터페이스(51)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각종 설정(53)을 행한다. 이 각종 설정(53)에 따라, 이동체 단말(50)은 GPS 수신기(9)로부 터의 GPS 수신 처리(52)를 행하고, 수신한 GPS 데이터 파일(56)을 텍스트 형식으로 하여 각종 설정(53)에 의거하여 머지 처리(61)를 행한다. 여기서, 위치 정보의 정기(定期) 송신을 위한 위치 정보 파일은, GPS 수신 처리(52)로부터 그대로 생성된다. 이 위치 정보의 정기 송신은, 1초마다 실행한다. 이로써, 정밀한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동체 단말(50)은, 유저 인터페이스(51)로부터의 입력에 따라 이벤트 입력 처리(54)를 행하고, 작업입력 데이터 파일(57)을 텍스트 형식으로 출력하고, 머지 처리(61)를 행한다.
머지 처리(61) 내에서는, 운행 분석 엔진(62)에 의한 운행 분석을 행하고, CSV 파일(63)을 출력한다. 이동체 단말(50)은, 이 CSV 파일(63)을, CSV 송신 처리(55)하고,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한다. 또한, 각종 설정(53), 이벤트 입력 처리(54), 및 CSV 송신 처리(55)는, 화면 처리부(59) 내에서 실행된다.
또한, 이동체 단말(50)은, GPS 수신 처리(52)된 GPS 데이터로부터 송신 데이터 작성(25)을 행한다. 이와 병행하여, 이벤트 입력 처리(54)에 의거하여 위치 정보 파일(58)을 출력한다. 이 위치 정보 파일(58)과 상기 송신 데이터에 관해 위치 정보 정기 송신(64)을 행하고,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데이터 송신한다.
이 구성에 의해, 이동체 단말(50)은, 운행 관리에 관한 운행 관리 정보나 동태(動態) 관리에 관한 동태 관리 정보를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할 수 있다. 특히,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시에 주행 거리 등을 정확하게 내기 위해, 이동체 단말(50)은, 운행 연월일, 차량 코드, 하주 코드, 적하(積荷) 구분, 및 화물 계획 중량이라는 주행 실적 데이터를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한다.
도 8은, 센트럴 서버(2a) 및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구성을 설명하는 구성도이다. 또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는, 센트럴 서버(2a)에 기억되는 것이 주(主)이고,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복제가 기억된다. 배송 미적 처리 서버(2b)에 복제되어 있는 마스터 데이터베이스는, 센트럴 서버(2a)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가 갱신되어 있지 않은지 수시로 확인되어 갱신된다.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는, 차량 정의표(71), 승무원 정의표(72), 차량탑재 기종별 정의표(73), 연료 정의표(74), 차종 정의표(75), 수송 종류별 정의표(76) 보고 구분 정의표(77), 평가점 정의표(78), 거점 정의표(79), 회사 정의표(80), 하주 정의표(81)가 기억되어 있다.
차량 정의표(71)는, 차량 코드, 차량 명칭, 거점 코드, 장재 기종별 코드, 차종 코드, 평가 코드, 차량 플레이트 No, 자가/사업 구분, 최대 적재량, 차량 총량 량, 연료 코드, 수송 종류별 코드, 차량 용장 중량, 및 보고 구분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이 중, 자가/사업 구분은 자가용인지 사업용인지의 구분을 나타내는 것이고, 수송 종류별 코드는 화물차인지 철도인지 선박인지 항공인지 그 밖인지를 나타내는 것이고, 보고 구분 코드는 보고용의 집계 구분 에어리어를 나타내는 것이다.
승무원 정의표(72)는, 승무원 코드, 승무원 명칭, 및 거점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차량탑재 기종별 정의표(73)는, 차량탑재 기종별 코드 및 차량탑재 기종 별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연료 정의표(74)는, 연료 코드 및 연료 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이 중, 연료 명칭은, 경유, 가솔린, 또는 중유A 등이 기억되어 있다.
차종 정의표(75)는, 차종 코드 및 차종 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이 중, 차종 명칭은, 경, 소형, 보통, 대형, 소형·대형 특수 등의 종류가 기억되어 있다.
수송 종류별 정의표(76)는, 수송 종류별 코드 및 수송 종류별 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이 중, 수송 종류별 명칭은, 화물자동차, 철도, 선박, 항공, 또는 그 밖 등이 기억되어 있다.
보고 구분 정의표(77)는, 보고 구분 코드 및 보고 구분 명칭이 기억되어 있다. 이 중, 보고 구분 코드는, 보고용의 집계 구분 에어리어가 기억되어 있다.
평가점 정의표(78)는, 평가 코드, 평가 명칭 및 평가 항목이 기억되어 있다. 이 중, 평가항목은, 각종 평가하는 항목이 기억되어 있다.
거점 정의표(79)는, 거점 코드, 거점 명칭, 거점 주소, 위도, 경도, 및 회사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회사 정의표(80)는, 회사 코드, 회사명 칭, 회사 주소, 위도, 및 경도가 기억되어 있다.
하주 정의표(81)는, 하주 코드, 하주 명칭, 하주 주소, 위도, 경도, 및 회사 코드가 기억되어 있다. 이 중 하주 코드는, 하주 ID가 거점 단위로서 정의되어 있다.
도 9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의 각 구성의 기능을 도시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1a)의 전체 구성은, 배송 관리 등을 행하는 외에 IT 시스템(7)과, 수송지점 단말(4)과, 이동체 단말(50)로부터의 정보를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서 집계 처리하고, 이 집계된 데이터를 수취한 센트럴 서버(2a)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여 출력하도록 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수송지점 단말(4)은,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AVI)(41)에 의한 차량 플레이트 No 판독 처리(134)와, 차량 중량 계측부(WIM)(42)에 의한 차량 중량 판독 처리(135)를 행하고, 취득한 차량 넘버와 차량 총중량을 정리하는 WIM-AVI 정보 머지 처리(133) 행하고, WIM 계측 데이터(32) 작성하는 WIM 계측 데이터(132)는, 판독 일시, 차량 플레이트 No(차량 넘버), 차량 계측 중량(차량 총중량), 및 판독 지점 ID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수송지점 단말(4)은, 이 WIM 계측 데이터(132)를 인트라넷 또는 인터넷을 통하여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한다.
타 IT 시스템(7)은, 배차 담당자 입력 처리(111)와 배송 계획 결정 처리(112)를 실행하여 배선 계획 정보(113)를 작성한다. 이 배송 계획 정보(113)는, 운행 연월일, 차량 코드, 하주 코드, 적사[짐을 싣고 부리는] 구분, 및 화물 계획 중량 등으로 구성되어 있는 일(日) 또한 차량마다의 정보이다. 타 IT 시스템(7)은, 이 배송 계획 정보(113)를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한다.
이동체 단말(50)은, 차량(T)의 승무원에 의한 배송 시작 입력(143), 및 배송 종료 입력(144)을 수취하고, 주행 실적 데이터(142)를 작성한다. 이 배송 실적 데이터(142)는, 운행 연월일, 차량 코드, 배송원 지점 ID, 배송처 지점 ID, 배송 거리, 및 화물 스태터스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의 배송 거리는, GPS 기능에 의해 주행 경로에 응하여 정밀도 좋게 취득된다. 즉, 발지점과 착지점의 직선 거리가 아니라 주행 경로의 거리를 취득할 수 있기 때문에, 실제의 주행 거리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화물 스태터스는, 적재, 하강, 휴식, 또는 손운반(手持)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동체 단말(50)은, 이 주행 실적 데이터(142)를 송신하는 주행 실적 데이터 송신 처리(141)를 행하고, 인터넷 또는 휴대망을 통하여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에 송신한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수송지점 단말(4)로부터 WIM 계측 데이터(132)를 수신하는 WIM 허측 데이터 수신 처리(127)와, 이동체 단말(50)로부터 주행 실적 데이터(142)를 수신하는 주행 실적 데이터 수신 처리(128)를 행하고, 수신한 WIM 계측 데이터(132) 및 주행 실적 데이터(142)를 머지하는 WIM-주행 실적 머지 처리(126)를 실행하고, 운행 실적 정보(125)를 작성한다. 이 때, 차량 총중량(차량 계측 중량)으로부터 차량 단체 중량을 감산하여 화물 중량을 산출하고, 이 화물 중량에 주행 거리를 승산하여 수송 톤 킬로도 구한다. 여기서의 주행 거리는, 이동체 단말(50)의 GPS 수신 처리(52)에 의해 1초마다에 취득한 위치 정보로부터 정밀도 좋게 산출한 것을 이용한다.
이 운행 실적 정보(125)는, 운행 연월일, 차량 코드, 수송 거리, 수송 톤 킬로, 배송원 지점 ID, 배송처 지점 ID, 배송원 출발 일시, 배송처 출발 일시, 배송 처 도착 일시, 및 차량 계측 중량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배송 계획 취입(取入)·편집 처리(124)를 행하여 타 IT 시스템(7)으로부터 배송 계획 정보(113)를 취득하고, 센트럴 서버(2a)의 마스터 데이터베이스(108)를 복제한 마스터 데이터베이스(122)로부터 각종 정의표(71 내지 81)의 데이터를 취득한다.
그리고,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이들의 배송 계획 정보(113), 각종 정의표(71 내지 81), 및 운행 실적 정보(125)로부터 배송 실적 정보를 편집하는 배송 실적 정보 편집 처리(123)를 실행하고, 배송 실적 정보 CO2원(元) 데이터(121)를 작성한다. 이 배송 실적 정보 CO2원 데이터(121)를 작성할 때,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배송 계획 정보(113)의 화물 계획 중량과 실측치인 차량 계측 중량에 의거하여 하주별로 산출한 화물 실적 중량을 이용하여 수송 톤 킬로를 결정한다. 이 화물 실적 중량의 산출 방법에 관해서는 후술한다.
배송 실적 정보 CO2원 데이터(121)는, 운행 연월일, 하주 코드, 및 수송 톤 킬로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센트럴 서버(2a)에 송신된다.
센트럴 서버(2a)는,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로부터 배송 실적 정보 CO2원 데이터(121)를 수집하는 데이터 수집 처리(104)를 실행한다. 그리고, 센트럴 서버(2a)는, 이 데이터 수집 처리(104)에서 수집한 배송 실적 정보 CO2원 데이터(121)와, 마스터 데이터베이스(108)로부터 판독한 차량 정의표(105),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 및 E단위 마스터(107)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CO2 산출 처리(103)를 실행한다.
여기서 이용하는 차량 정의표(105)는, 차량 정의표(71)(도 8 참조)의 데이터중 차량 총중량과 차량탑재 용장 중량 등을 이용한다. 또한,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는, 수송 종류별과 원단위로 구성되어 있고, E소비원단위 마스터(107)는, 연료 종류별과 산출 계수(1 내지 3)로 구성되어 있다.
상세히 기술하면,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에 기억되어 있는 원단위는, 도 10(A)에 도시하는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이다. 이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는, 차종별로 계산식이 기억되어 있다. 어느 계산식도, 변수로서 수송 톤 킬로당 연료 사용량(리터), 적재율(%), 최대 적재량(㎏)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E소비원단위 마스터(107)에 기억되어 있는 산출 계수는, 도 10(B)에 도시하는 배출 계수이다. 이 배출 계수는, 가솔린, 경유, A중유라는 연료 종류별마다 정하여져 있다.
CO2 산출 처리(103)에서는, 수집한 데이터를 기초로, 도 10(C)에 도시하는 계산식을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CO2 배출량)을 산출한다. 상세히 기술하면, 배송 실적 정보 CO2원 데이터(121)에 포함되는 수송 톤 킬로와, 수송 종류별에 응하여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로부터 얻은 개량 톤 킬로법 원료 사용원 단위 산출법에 의해 산출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와, 1/1000와, 단위 발열량과, 연료 종류별에 응하여 E소비원단위 마스터(107)로부터 얻은 배출 계수와, 정수 44/12를 승산함으로써, CO2 배출량을 구한다. 이 때,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계산식으로부터 배출 계수와 정수 44/12를 제외함으로써 얻어지는 에너지 사용량(GJ)도 산출한다.
이와 같은 연산에 의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O2 실적 정보(102)를 취득하고, 센트럴 서버(2a)는, 문서 출력 처리(101)를 실행한다. CO2 실적 정보(102)에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CO2(t-CO2)), 에너지 사용량, 및 수송 톤 킬로가 포함되어 있고, 이것을 적절한 프린터 등에 의해 장표로 출력한다.
도 11은, 상술한 처리에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로직을 도시하는 설명도이다.
CO2 실적 정보(102)는, 상술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CO2(t-CO2)), 에너지 사용량, 및 수송 톤 킬로뿐만 아니라, 운행 연월일, 하주 코드, 배송 순(順), 배송 거리, 제품 종류별, 화물 실적 중량, 연료 종류별, 수송 종류별, 배송 CO2량(톤·CO2) 등도 기억되어 있다.
이 중 운행 연월일, 주(主) 코드, 배송 순, 배송 거리, 및 화물 실적 중량은, 운행 실적 정보(125)로부터 취득한 것이다.
또한, 이 운행 실적 정보(125)는, 차량 코드에 의해, 차량 정의표(105)와 연관되어 있다. 이로써, 운행 실적 정보(125)의 차량 코드를 기초로 운행 실적 정보(125)로부터 해당 차량에 관한 정보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차량 정의표(105)는, 연료 코드도(연료 종류별)에 의해 CO2 터배출원단위 마스터(106)와 연관되어 있다. 이로써, 차량 정의표(105)의 연료 코드를 기초로, 해당 차량에 대응하는 원단위(CO2 배출 계수)를 취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적재율(A)은, CO2 실적 정보(102)의 화물 실적 중량으로부터 차량 정의표(105)의 최대 적재량을 제산(除算)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B)는, 이 적재율(A)과 차량 정의표(105)의 최대 적재량을 입력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산화 탄소 배출량(C)은, 천절 실적 정보(125)의 수송 톤 킬로와,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의 CO2 배출 계수와, 상기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B)를 입력함으로써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종 데이터를 이용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도 12는,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가 배송 실적 정보 망집 처리(123)에서 실행하는 화물 실적 중량의 산출 처리의 플로우 차트이다. 이 처리에서는, 운행 시작부터 운행 종료까지 1트립 단위로 하주별로 화물의 실적 중량을 산출한다. 여기서 1트립이란, 어떤 도달처로부터 다음의 도달처까지의 수송을 가리키고, 출발지의 센터로부터 도착지의 센터까지의 사이에 복수 존재하고 있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어떤 지점의 출발 시점의 화물 계측 중량을 산출한다(스텝 S1). 이 화물 계측 중량은, 차량 중량 계측부(42)에서 취득한 차량 계측 중량으로부터, 마스터 데이터베이스(108)의 차량 정의표(71)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 총중량과 차량 용장 중량을 감산한 값이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어떤 지점을 출발하는 시점의 화물 계획 총중량을 산출한다(스텝S2). 이 화물 계획 총중량은, 배송하는 화물의 각 하주가 신고한 하주 계획 중량을, 그 트럭으로 운반한 화물의 전부에 관해 가산한 중량이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차이(差異) 총중량을 산출한다(스텝 S3). 이 차이 총중량은, 스텝 S2에서 구한 화물 계획 총중량으로부터 스텝 S1에서 구한 화물 계측 중량을 감산한 것이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어떤 지점을 출발하는 시점의 각 화물 계획 중량으로부터 하주별의 화물 계획 중량의 비율인 하주 안분(按分) 비율을 산출한다(스텝 S4). 이 하주 안분 비율은, 예를 들면 A, B, C의 3자의 하주라면 다음과 같은 형태로 산출하면 좋다.
A하주 계획 중량 : B하주 계획 중량 : C하주 계획 중량=1 : 2 : 3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스텝 S3에서 구한 차이 총중량에 스텝 S4에서 구한 하주 안분 비율을 곱하여 하주마다의 차이 중량을 산출한다(스텝 S5).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하주마다의 적사 구분을 취득한다(스텝 S6). 이 적사 구분은, 타 IT 시스템(7)의 배송 계획 정보(113)로부터 취득한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하주마다의 화물 실적 의량을 산출한다(스텝 S7). 이 화물 실적 중량은, 배송 계획 정보(113)의 화물 계획 중량에 의거하여 하주의 계획 중량으로부터 스텝 SS5에서 구한 하주의 차이 중량을 감산하여 구한다.
여기서, 총계획으로부터 총실적을 감산한 값이 정(正)인 경우, 적사 구분이 정이면 계획 중량으로부터 차이 량량을 감산하고, 적사 구분이 부(負)이면 계획 중량과 차이 중량을 가산한다. 또한, 총계획으로부터 총실적을 감산한 값이 부인 경우, 적사 구분이 정이면 계획 중량과 차이 중량을 가산하고, 적사 구분이 부이면 계획 중량으로부터 차이 중량을 감산한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스텝 S7에서 산출한 화물 실적 중량을 등록한다(스텝 S8). 이 때, 다음의 트립시의 실적 중량 산출에 이용하기 위해, 하주 계획 중량을 하주 실적 중량으로 치환한다.
배송 실적 처리 서버(2b)는, 다음의 신고가 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고, 신고가 있으면(스텝 S9 : YES), 스텝 S1 내지 S8을 반복한다. 신고가 없으면(스텝 S9 : NO), 운행 종료라고 인식하고 처리를 종료한다.
이상의 구성 및 동작에 의해, 실시예 1 보다 더욱 정밀도 좋게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구할 수 있다.
즉,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계측에 이용하는 수송 톤 킬로중의 주행 거리는, 이동체 단말(50)로부터 실제의 주행 거리를 취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수송 톤 킬로의 수송 거리 부분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계측에 이용하는 수송 톤 킬로중의 화물 중량은, 차량 중량 계측부(42)에 의한 화물 적재중의 차량 중량의 실측치를 이용할 수 있다. 게다가, 이 실측치로부터 차량 자신의 중량인 차량 총중량이나, 팔레트 등이 용장 중량을 제외한 중량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화물 계획 중량에 의거한 하주 안분 비율에 의해 실측치의 중량으로부터 하주별로 화물 중량을 산출하여 낼 수 있다. 이와 같이, 화물 중량에 관한 정밀도도 매우 높일 수 있다. 또한 이 화물 중량은, 차량 중량 계측부(42)에 의한 실측치와 화물 계획 중량에 의거한 하주 안분 비율을 이용함으로써,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혼재변중량(混載便重量)의 자동 안분을 실시할 수 있고, 수고를 들이는 일 없이 정밀도가 높은 값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와 차량 정의표(105)에 의해 차종을 특정하고, 차종 다른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정밀도 가 높은 연산을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배송 계획 정보(113)를 이용하여 하주를 판별할 수 있기 때문에, 특정 하주를 자동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뿐만 아니라, 에너지 사용량, 및 수송 톤 킬로도 출력할 수 있기 때문에, 에너지 절약법 대응 보고치를 전부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성과, 상술한 실시 형태와의 대응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전기통신 회선은 실시 형태의 인터넷(3)에 대응하고,
이하 마찬가지로,
연산 수단은 제어부(24)에 대응하고,
기억 수단은 기억부(25)에 대응하고,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은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41)에 대응하고,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은 차량 총중량 계측부(42)에 대응하고,
수송지점 취득 수단은 스텝 S8에서 단말 ID를 판독하는 제어부(44)에 대응하고,
배송 거리 취득 수단은 이동체 단말(50)에 대응하고,
차량별 차종 정보는 차량 정의표(71)에 대응하고,
용장 중량 정보는 차량 정의표(71)의 차량 용장 중량에 대응하고,
차종별 산출법 정보는,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106)에 대응하고,
배송 계획 정보 취득 수단은 배송 계획 취입·편집 처리(124)에 대응하고,
차량 식별 정보는 차량 넘버 및 차량 코드에 대응하고,
차량 넘버 정보는 차량 넘버에 대응하고,
수송지점 정보는 단말 ID에 대응하고,
화물 중량 정보는, 화물 중량에 대응하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 형태의 구성만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실시의 형태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의 블록도.
도 3은 개량 톤 킬로법을 이용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연산식의 설명도.
도 4는 수송지점 단말에 의한 수송 상황 확인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5는 서버에 의한 이산화 탄소 배출량 산출 처리의 동작을 도시하는 플로우 차트.
도 6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
도 7은 운행 동태 관리 시스템의 기능을 도시하는 블록도.
도 8은 마스터 데이터베이스에 기억되는 데이터의 구성도.
도 9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
도 10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식의 설명도.
도 11은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 로직의 설명도.
도 12는 화물 실적 중량의 산출 처리의 플로우 차트.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2 : 서버
3 : 인터넷
4 : 수송지점 단말
24 : 제어부
25 : 기억부
41 : 넘버 플레이트 판독부
42 : 차량 총중량 계측부
44 : 제어부
50 : 이동체 단말
71 : 차량 정의표
106 : CO2 배출원단위 마스터
124 : 배송 계획 취입·편집 처리
P : 수송지점,
T : 차량
N : 넘버 플레이트

Claims (7)

  1. 각 수송지점에 설치되어 차량의 넘버 플레이트로부터 차량 넘버를 판독하는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과 해당 판독을 행한 수송지점을 취득하는 수송지점 취득 수단을 갖는 복수의 수송지점 단말과,
    정보를 기억하는 기억 수단과 연산을 행하는 연산 수단을 갖고서 상기 수송지점 단말과 전기통신 회선으로 통신 가능하게 접속되는 서버를 구비하고,
    상기 수송지점 단말은,
    상기 수송지점 단말의 넘버 플레이트 판독 수단에서 판독한 차량 넘버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수송지점 정보를 상기 서버에 상기 전기통신 회선을 통하여 송신하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서버는,
    상기 기억 수단에 의해, 상기 차량 넘버가 부여되어 있는 차량에 관한 차량 관련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단말로부터 수신한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상기 수송지점 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연산 수단에 의해,
    소망하는 차량 넘버에 관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상기 수송지점 정보로부터 이동 거리를 취득하고,
    해당 소망하는 차량 넘버가 붙여져 있는 차량의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부터 화물 중량을 취득하고,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화물 중량에 의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수송지점 단말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수송지점 단말은, 차량의 총중량을 측정하는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을 구비하고, 해당 차량 총중량 측정 수단에서 측정한 차량 총중량을 상기 차량 넘버 정보와 함께 상기 서버에 송신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하고,
    상기 서버의 상기 기억 수단은,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서, 상기 차량 총중량으로부터 차량 단체의 중량인 차량 단체 중량이 감산된 화물 중량 또는 상기 차량 총중량을 기억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이동 거리와 상기 화물 중량을 승산한 수송 톤 킬로에, 미리 정해진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와 단위 발열량과 배출 계수와 44/12를 승산하여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구성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차종별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의 산출법을 정한 차종별 산출법 정보와,
    상기 차량 넘버의 차량의 차종을 나타내는 차량별 차종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량 넘버에 의거하여 상기 차량별 차종 정보로부터 차종을 취득하고,
    상기 차종별 산출법 정보를 참조하여 해당 차종에 관한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의 산출법을 이용하여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산출하고,
    해당 개량 톤 킬로법 연료 사용원 단위를 이용하여 상기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5.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에 적재된 화물의 하주 및 화물 계획 중량과 해당 차량의 차량 식별 정보로 구성되는 배송 계획 정보를 취득하는 배송 계획 정보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량 넘버에 대응하는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배송 계획 정보를 참조하고,
    상기 차량 관련 정보로부터 취득한 상기 화물 중량을 상기 배송 계획 정보의 상기 화물 계획 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하주별로 안분하고,
    하주별로 이산화 탄소 배출량을 출력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억 수단은, 화물 이외의 중량인 용장 중량을 나타내는 차량별 용장 중량 정보를 기억하는 구성이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차량 넘버의 상기 화물 중량으로부터 상기 용장 중량을 감산한 잔중량에 의거하여 상기 이산화 탄소 배출량의 산출을 행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7.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실제의 배송 거리를 취득하는 배송 거리 취득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연산 수단은, 상기 소망하는 차량 넘버에 관해 출발지와 도착지의 상기 수송지점 정보에 의거하여, 상기 배송 거리 취득 수단에서 취득한 상기 출발지로부터 도착지까지의 배송 거리를 이동 거리로서 취득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KR1020090000988A 2008-02-29 2009-01-07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KR1010107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049148 2008-02-29
JP2008049148 2008-02-29
JP2008314440A JP2009230740A (ja) 2008-02-29 2008-12-10 二酸化炭素排出量計測システム
JPJP-P-2008-314440 2008-12-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95A KR20090093795A (ko) 2009-09-02
KR101010783B1 true KR101010783B1 (ko) 2011-01-25

Family

ID=4130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0988A KR101010783B1 (ko) 2008-02-29 2009-01-07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78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29B1 (ko) 2010-09-07 2012-08-10 박재덕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81731B1 (ko) * 2012-04-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배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8528B1 (ko) * 2012-08-31 2014-10-16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제 3 자 물류환경에서 rfid 기반 화주 별 co2 발생량 분배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1422580B1 (ko) * 2012-12-27 2014-07-28 건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전기반의 대기오염 모니터링을 위한 교통 파라미터 추정 시스템
KR101472041B1 (ko) * 2013-04-30 2014-12-15 전자부품연구원 운송 물품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KR102570867B1 (ko) * 2023-02-08 2023-08-28 주식회사 카본사우루스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18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토출면적 조절형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KR200322918Y1 (ko) 2003-05-28 2003-08-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차량계량시스템
JP2003316884A (ja) * 2002-04-23 2003-11-0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気ガス中の有害物質の削減量の算定方法、算定システム、有害物質の排出権の取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07004331A (ja) * 2005-06-22 2007-01-11 Fujitsu Ltd 排出量按分プログラムおよび排出量按分装置
JP2007207140A (ja) * 2006-02-06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18A (ko) * 2001-09-11 2003-03-19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토출면적 조절형 공기조화기 및 그 동작방법
JP2003316884A (ja) * 2002-04-23 2003-11-07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気ガス中の有害物質の削減量の算定方法、算定システム、有害物質の排出権の取引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200322918Y1 (ko) 2003-05-28 2003-08-14 주식회사 포스코 차량번호 인식기를 이용한 차량계량시스템
JP2007004331A (ja) * 2005-06-22 2007-01-11 Fujitsu Ltd 排出量按分プログラムおよび排出量按分装置
JP2007207140A (ja) * 2006-02-06 2007-08-1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2429B1 (ko) 2010-09-07 2012-08-10 박재덕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381731B1 (ko) * 2012-04-30 2014-04-17 전자부품연구원 물류 배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탄소배출량 산정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795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0783B1 (ko)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US9965739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tracking and monitoring
US20020059075A1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land-based vehicle
US8599003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nd processing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carriers
US98413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freight tracking and monitoring
JP2009230740A (ja) 二酸化炭素排出量計測システム
US20110119200A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freight rate and fees
KR102368084B1 (ko) 운송차량 관리시스템
JP2009521023A (ja) 物理対象の輸送方法、輸送システム、及び輸送手段
JP2007207140A (ja) 二酸化炭素排出量算出装置
CN112166307A (zh) 用于车辆动态称重的称重系统的通信装置及服务器
JP5244322B2 (ja) 車両配送システム
JP5125279B2 (ja) 排出量按分装置、排出量按分方法、排出量按分プログラム、および排出量按分システム
KR101172429B1 (ko) 저탄소녹색물류를 위한 톤-킬로미터 당 탄소배출량 및 공차운행거리율 측정시스템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0159113A (ja) エネルギー消費量算出装置、エネルギー消費量算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4135000B2 (ja) 電子タグを用いた貨物情報管理方法
KR102361722B1 (ko) 운송작업 관리 시스템
US20230351299A1 (en) Environmental impact monitoring system and a computer-implemented method for monitoring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nsported goods
JP7302260B2 (ja) 運行実績分析プログラム、運行実績分析方法および運行実績分析システム
JP2022165224A (ja) 近距離通知技術を活用した受入業務効率化システムとその方法
JP2022165368A (ja) 近距離通知技術を活用した受入業務効率化システムとその方法
Treitl et al. A conceptual framework for the integration of transportation management systems and carbon calculators
Horn Evaluating log truck trip time
CZ2014287A3 (cs) Seismický záznamní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