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70867B1 -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70867B1
KR102570867B1 KR1020230016541A KR20230016541A KR102570867B1 KR 102570867 B1 KR102570867 B1 KR 102570867B1 KR 1020230016541 A KR1020230016541 A KR 1020230016541A KR 20230016541 A KR20230016541 A KR 20230016541A KR 102570867 B1 KR102570867 B1 KR 1025708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ission
information
emission factor
computing device
inpu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16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현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카본사우루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카본사우루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카본사우루스
Priority to KR1020230016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8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8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8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40/00Finance; Insurance; Tax strategies; Processing of corporate or income taxes
    • G06Q40/12Accou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80Management or plann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echnology Law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품 및 서비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emission factor)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을 이용하면, 사전에 구축된 배출계수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통화 등이 실제 구매 내역과 상이한 경우에도, 구매 내역과 배출계수를 정의하는 정보 항목들이 상호 간에 일치하도록 단위를 변환하거나 환율과 물가 상승을 반영함으로써 기업의 사업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Description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METHOD AND APPARATUS FOR CALCULATION OF CARBON EMISSION AND COMPUTER PROGRAM FOR THE SAME}
실시예들은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실시예들은 탄소 감축 기술(예컨대, 제품, 서비스 등) 수요기업의 기업 활동 데이터를 수신하고, 기업 활동 데이터의 각 항목에 소정의 배출계수(emission factor)를 곱하여 해당 기업 활동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함으로써, 수요기업의 기업 활동 전반에 대한 탄소 회계를 실현 가능하게 하는 기술에 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이 날로 증가함에 따라, 기업 활동에 따른 기후 관련 정보의 공시를 의무화하기 위한 제도적인 장치들이 마련되고 있다. 국제회계기준(IFRS) 재단에서는 2022년 5월 기후 공시 기준의 초안을 공개하였으며 2023년 상반기에 최종안을 확정할 예정이다. 또한,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에서는 기후 관련 정보의 공시를 상장 기업을 대상으로 2025년까지 단계적으로 의무화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국내 금융위원회에서는 2025년까지 대기업을 대상으로 지속 가능성 보고서를 의무적으로 공시하도록 하는 제도를 추진 중이다.
이처럼 앞으로는 기업 활동으로 인해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탄소 배출량의 관리 및 감축 활동이 재무제표 작성 및 경영지표 관리와 같이 기업 경영을 위한 일상적인 업무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또한, 의무화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기업들 외에도 현재 글로벌 대기업들은 앞다투어 탄소 중립을 선언하고 추진 중이다.
기업에서 기후 공시 또는 탄소 중립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기업 자체적으로 탄소 배출량을 산정 및 관리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탄소 배출량 산정에 사용되는 방식은 크게 활동 기반(activity-based) 방법 및 소비 기반(spend-based) 방법의 두가지로 구분된다. 활동 기반 방법의 경우 실제 에너지 사용량, 차량 이동거리 등에 근거하여 배출량을 계산하는 방식이다. 이와 관련된 종래의 기술로, 등록특허공보 제10-0522087호는 배출원과 배출물질, 방지시설 및 배출계수(emission factor) 등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관리하도록 한 배출계수 데이터 정보 검색 시스템을 개시한다.
한편, 소비 기반 방법은 지출한 비용에 근거하여 어느 정도의 활동을 했을 것으로 추정하여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는 방식이며, 정확한 활동량에 근거하여 배출량을 산정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부정확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그럼에도 소비 기반 방법은 기업의 탄소 회계를 빠르게 도입하기 위한 합리적인 방식으로 대부분의 기업들이 단독으로 또는 활동 기반 방법과 혼합하여 채용하고 있으며, 탄소 평가 기관에서도 데이터가 부족한 경우 소비 기반 방법의 적용을 장려하고 있다.
그런데, 소비 기반 방법에 의한 탄소 배출량 산출의 경우, 기업의 소비 활동과 시점 및 지역이 정확하게 일치하는 배출계수를 찾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기업의 사업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계수를 발표하는 정부, 기업, 공공기관 또는 연구기관 등이 있으나, 다양한 시기와 지역에 걸쳐 이루어지는 기업 활동과 시점 및 지역에 정확하게 일치하는 배출계수를 찾기 어렵고, 이로 인하여 기업의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산정하기 힘든 문제가 있어 왔다.
등록특허공보 제10-0522087호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종래의 소비 기반(spend-based) 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데이터베이스화된 배출계수(emission factor)와 기업의 사업 활동 데이터 사이의 단위, 통화, 시점 등의 차이가 해소될 수 있도록 단위 변환, 환율, 물가 상승율 등을 자동으로 반영하여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은, 컴퓨팅 장치가,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품 및 서비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emission factor)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은, 상기 컴퓨팅 장치가,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구매 내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및 통화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통화와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사이의 환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환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통화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통화로 된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시점 사이의 물가 상승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물가 상승율 정보를 상기 배출계수 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제품 및 서비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동작하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의 변환 후에,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구매 내역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및 통화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통화와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사이의 환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환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통화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통화로 된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시점 사이의 물가 상승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물가 상승율 정보를 상기 배출계수 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것으로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매체에 저장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및 시스템을 이용하면, 사전에 구축된 탄소 배출계수(emission factor)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통화 등이 사용자의 실제 구매 내역과 상이하더라도 구매 내역과 배출계수를 정의하는 정보 항목들이 서로 일치하도록 단위를 변환하거나 환율, 물가 상승 등을 반영함으로써 기업의 사업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통하여, 탄소 감축 기술의 수요기업이 자체적으로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 및 관리할 수 있는 탄소 회계 플랫폼(carbon intelligence 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면, 기업의 탄소 감축 활동에 따른 사업 효과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탄소 감축 기술의 실질 수요를 확대할 수 있고 탄소 감축 생태계의 형성에 기여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의 동작 환경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 및 데이터베이스(3)와 통신 가능한 컴퓨팅 장치(2)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이러한 컴퓨팅 장치(2) 및 데이터베이스(3)를 함께 포함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컴퓨팅 장치(2) 내에 데이터베이스(3)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 장치(1)로부터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배출계수(emission factor) 정보를 데이터베이스(3)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는 추출된 배출계수를 입력 데이터가 나타내는 사업 활동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산출된 탄소 배출량은 사용자 장치(1)를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됨으로써, 사용자가 자신의 사업 활동에 따른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 및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자는 사업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자 하는 수요가 있는 개인, 기업, 기관, 단체 등으로, 예컨대 탄소 감축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요기업일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1)를 통하여 컴퓨팅 장치(2)와 통신함으로써, 컴퓨팅 장치(2)에 입력 데이터를 전송하고, 컴퓨팅 장치(2)가 입력 데이터를 기반으로 산출하는 탄소 배출량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컴퓨팅 장치(2)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에서 접속 가능한 서버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가 사용자 장치(1)와 정보를 주고받는 동작은 사용자 장치(1)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또는, 앱)을 통하여 수행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컴퓨팅 장치(2)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동작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서버(application service server)에 해당될 수 있다. 또는, 컴퓨팅 장치(2)가 제공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서비스는 사용자가 접속 가능한 웹 페이지를 통하여 실현될 수도 있고, 이 경우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 장치(1)상에서 실행되는 웹 브라우저(web browser)를 통하여 접속 가능한 하나 또는 복수의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사용자 장치(1)의 개수나 형태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다. 예를 들어, 도 1에서 사용자 장치(1)는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의 형태로 도시되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치(1)는 스마트폰(smartphone) 등 이동 통신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태블릿(tablet),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등을 위한 셋톱박스(set-top box) 등 임의의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의 동작을 위하여, 컴퓨팅 장치(2)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사용자 장치(1), 데이터베이스(3) 및 정보 제공 서버(4, 5) 등과 통신하며 동작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2)와 다른 장치 또는 서버 사이의 통신을 위한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팅 장치(2) 및 데이터베이스(3)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컴퓨팅 장치(2) 및 데이터베이스(3)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처리하거나 또는/또한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하드웨어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단말기", "서버" 또는 "시스템"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3)는 탄소 감축 기술에 관련된 제품 및 서비스에 각각 상응하는 배출계수를 저장하고 있으며, 컴퓨팅 장치(2)는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되어 있는 배출계수를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적용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실시예들에 따른 컴퓨팅 장치(2)는 소비 기반(spend-based) 방법에 따라 탄소 배출량을 산출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 입력 데이터란 소비 기반 방법으로 탄소 배출량을 계산하기 위한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포함한다. 예컨대, 구매 내역이란 사용자가 사업 활동을 영위하기 위하여 구매한 제품이나 서비스의 수량 및/또는 단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때 수량 및 단가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특정에 따라 개수, 무게, 서비스 제공 단위 등 다양한 기준 단위를 이용하여 정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소비 활동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제공하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4)와의 통신을 통하여 배출계수를 수신하고 수신된 배출계수들을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할 수도 있다. 각 배출계수에서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물자의 단위 사용량은 활동의 내용 및 배출계수의 제공 기관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kg/GJ(연료), kg/kwh(전력), kg/kg(종이 등 물자), kg/1박(숙박 서비스)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보 제공 서버(4)는 탄소 배출계수를 제공하는 정부, 기업, 공공기관 또는 연구기관 등으로, 예컨대, IPCC(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Panel), UNFCCC(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 BEIS(Department of Business, Energy & Industrial Strategy, UK), EMA(Energy Market Authority, Singapore), EXIOBASE(Environmentally Extended Supply and Use / Input Output (MR EE SUT/IOT) database), ecoinvent(not-for-profit association based in Zurich, Switzerland), ADEME(Agence de la transition
Figure 112023014562096-pat00001
cologique, France), AIB(Association of Issuing Bodies, EU), CCF(Cloud Carbon Footprint), DEWA(Dubai Electricity & Water Authority), DISER(Department of Industry, Science and Resources, Australia), EEA(European Environment Agency), EPA(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EPPO(Energy Policy & Planning Office, Thailand), GEMIS(Global Emission Model for Integrated System), GHG(Greenhouse Gas) 프로토콜, GLEC(Global Logistics Emission Council), HKEI(Hongkong Electric Inv), MfE(Ministry for Environment, New Zealand), UBA(The German Environmental Agency) 등에서 지원하는 장치가 정보 제공 서버(4)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다양한 시점과 지역에 걸쳐 이루어지는 기업의 사업 활동 특성 상, 사전에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배출계수가 사용자의 구매 활동에 그대로 적용되기 힘든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2023년 한국에서 철광석을 10,000,000원에 해당하는 양만큼 구매하였다고 가정한다. 이 경우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는, [철광석]이라는 배출원, 상기 배출원의 구매 시점 [2023년] 및 구매량 10,000,000을 원화 통화 [KRW]를 통해 정의한 구매 내역을 포함한다. 그러나, 데이터베이스(3)에 저장된 [철광석]의 배출계수는 예를 들어 2021년 기준 0.9625kg/EUR로, 기준 시점이 [2021년], 단위 수량을 정의하는 통화가 유로화 [EUR]로서 사용자의 구매 내역과 형태가 상이할 수 있다.
이 경우,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의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의 구매 내역과 배출계수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구매 내역 및 배출계수 중 어느 하나 또는 양 정보 모두를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고, 이를 기초로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표준화된 정보란 시점이나 단위가 고정된 정보를 지칭하는 것이 아니며, 사용자의 구매 내역과 배출계수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양 정보 중 하나 이상을 변환한 임의의 형태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전술한 예시에서 컴퓨팅 장치(2)는 배출계수의 단위인 [유로화]를 구매 내역과 동일한 [원화] 단위로 변환하기 위해 유로화/원화 환율을 곱하고, 또한 기준 시점 [2021년]과 구매 시점 [2023년] 사이의 통화량 차이(또는, 인플레이션)를 반영하도록 2021년과 2023년 사이의 물가 상승율을 곱하여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할 수 있다. 배출계수의 기준 시점인 2021년에 해당하는 유로화/원화 환율이 [1EUR/1,200KRW], 2021년부터 2023년까지의 한국의 물가 상승율 누적값이 10%라고 가정하면, 표준화된 배출계수는 기존의 배출계수에 환율을 곱하고 또한 물가 상승율에 상응하는 통화 가치의 하락을 반영하기 위하여 (1+물가 상승율)로 나눔으로써 하기 수학식 1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수학식 1]
[0.9625kg/EUR]×[1EUR/1,200KRW]×[1/(1+0.1)] = 0.00072916666kg/KRW
즉, 본 예시에서 2023년 구매 내역의 단위에 맞게 표준화된 철광석의 배출계수는 0.00072916666kg/KRW이며, 이를 철광석의 구매량 10,000,000원에 곱하면 해당하는 탄소 배출량은 약 7,291.67kg으로 산출된다.
전술한 것과 같이, 배출계수의 통화 변환을 위한 배출계수의 기준 통화(즉, 유로화)와 구매 내역에서 사용된 통화(즉, 원화) 사이의 환율 정보로 배출계수의 기준 시점(즉, 2021년)에서의 환율을 이용하는 경우, 기준 시점과 구매 시점(즉, 2023년) 사이의 물가 상승율은 환율 변환 이후의 원화를 기준으로 한 물가 정보를 이용하여 도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계수의 기준 시점(즉, 2021년)과 구매 시점(즉, 2023년) 사이의 물가 상승율을 배출계수의 기준 통화(즉, 유로화)를 기준으로 도출할 수도 있으며, 이 경우 배출계수와 구매 내역 사이의 통화 변환을 위한 환율 정보는 구매 시점(즉, 2023년)을 기준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배출계수의 기준 시점과 구매 시점 사이의 물가 상승율은 정보 제공 서버(5)가 제공하는 단위 기간(예컨대, 1년) 동안의 물가 상승율을 기준 시점과 구매 시점 사이의 차이만큼 누적한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간 물가 상승율이 5%이며 배출계수의 기준 시점과 구매 시점 사이의 차이가 n년일 경우, (1+0.05)n의 값을 누적된 물가 상승에 대한 보정 값으로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의 예시에서는 배출계수를 정의하는 [통화] 및 [시점]을 변환함으로써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산출하는 과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동일한 과정이 배출계수를 정의하는 다른 정보 항목, 예컨대, 개수, 무게, 부피 등의 단위 변환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점이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이상의 예시에서는 구매 내역에 부합하도록 배출계수를 변환하였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출계수가 아닌 구매 내역을 정의하는 정보 항목들을 변경함으로써 구매 내역과 배출 계수가 상호 연관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구매 내역은 종이 [1,000상자]이며, 배출계수는 종이 [0.xyz kg/매]로서 양 정보의 단위가 상이할 경우, 종이 한 상자에 포함된 종이의 장 수(예컨대, 500매)를 사용자의 구매 내역에 곱하여 구매 내역을 표준화된 구매 내역 [500,000매]로 변환하고 이에 배출계수를 적용함으로써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표준화된 정보로의 변환을 위해서, 컴퓨팅 장치(2)는 배출계수와 구매 내역 사이의 단위, 통화 및/또는 시점의 차이를 보정하기 위한 단위 변환 정보, 환율 정보 및/또는 물가 정보를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하여,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외부의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단위 변환 정보, 환율 정보 및/또는 물가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컨대, 정보 제공 서버(5)는 환율, 물가 등 경제 통계 데이터를 제공하는 연구기관 또는 공공기관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정보 제공 서버(5)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하나의 장치로 도시되었으나 컴퓨팅 장치(2)가 필요로 하는 정보의 종류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제공하는 복수 개의 장치를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을 참조하면,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하드웨어(200)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의 형태로 구현되며,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입출력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보안 모듈이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설치된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비스 서버)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를 통해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이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사용자 장치(1), 데이터베이스(3) 및 정보 제공 서버(4, 5) 등과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모듈(230)은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이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하나 이상의 장치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통신 모듈(230)은 메모리(210)를 참조하는 프로세서(220)에 의하여 그 기능이 제어됨으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전술한 각 기능 모듈을 실현하는 부분이다.
입출력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장치(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은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이 사용자가 사용하는 단말 장치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단말 장치가 스마트폰(smartphone)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은, 도 2를 참조하여 전술한 하드웨어(200) 구성을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 형태로 구현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일 예로,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은 사용자 장치 및/또는 서버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 및 그 밖의 프로그램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기초한 서비스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의 각 단계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컴퓨팅 장치(2)는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서버(4)로부터 배출계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S101). 정보 제공 서버(4)는 다양한 배출원의 소비량에 따른 배출계수를 제공하는 정부, 기업, 공공기관 또는 연구기관 등의 장치일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2)는 유선 및/또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방식으로 정보 제공 서버(4)로부터 배출계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는 배출계수 정보, 단위 변환 정보, 환율 정보, 물가 정보 등을 수신하기 위하여 정보 제공 서버(4, 5)가 제공하는 웹 페이지 등을 크롤링(crawling) 또는 스크래핑(scraping)할 수 있다. 또는, 컴퓨팅 장치(2)는 정보 제공 서버(4)가 사전에 정의하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를 이용하여 정보 제공 서버(4)를 호출하는 방식으로 정보 제공 서버(4)로부터 배출계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정보 제공 서버(4)에 의하여 텍스트, 이미지, 사운드 등 임의의 형태의 컨텐츠로부터 자연어 처리(Natural Language Processing)를 통하여 배출계수에 해당하는 텍스트 데이터를 추출하는 방식으로 배출계수 정보를 수신할 수도 있다. 정보 제공 서버(4)가 제공하는 컨텐츠로부터 배출계수 텍스트를 추출하는 과정에는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이용한 텍스트 분석이 활용될 수도 있으나, 배출계수 정보의 추출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컴퓨팅 장치(2)는 정보 제공 서버(4)로부터 수신한 배출계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3)에 저장할 수도 있다(S102). 도면에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하였으나, DB(3)는 컴퓨팅 장치(2)의 일부로서 구현된 것일 수도 있고, 또는 컴퓨팅 장치(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일 실시예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일 수도 있다.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2)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장치(1)로부터 입력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103). 이때 수요자는 예컨대 사업 활동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정 또는 관리하고자 하는 탄소 감축 기술의 수요 기업일 수 있으며, 입력 데이터는 이러한 수요 기업의 사업 활동을 나타내는 임의의 정보, 예컨대, 전사적 자원관리(Enterprise Resource Planning; ERP) 데이터, 설비 데이터, 고지서, 협력업체 데이터(예컨대, 세금계산서, 견적서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데이터는 사용자가 사용자 장치(1)를 이용하여 직접 컴퓨팅 장치(2)에 업로드할 수도 있으며, 또는 컴퓨팅 장치(2)가 이와 사전에 연계된 사용자 장치(1)로부터 주기적 및/또는 비주기적으로 자동으로 수신하는 방식으로 수집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1)는 수요 기업에서 사용하는 ERP 시스템 서버이며, 컴퓨팅 장치(2)는 ERP 시스템 서버에 등록된 기업의 경영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입력 데이터로 수집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로부터 탄소 배출에 관련된 사업 활동을 보여주는 사업 활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S104). 일 실시예에서, 사업 활동 데이터는 소비 기반 방법에 따라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기 위한 사용자의 제품 또는 서비스 구매 내역을 지칭할 수 있다. 구매 내역은 탄소 배출원에 해당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이의 구매 금액에 의하여 정의하는 것일 수도 있으며(예컨대, 철광석 10,000,000원), 또는 구매한 제품 또는 서비스의 수량을 개수(예컨대, 종이 5,000매), 무게(예컨대, 플라스틱 2.5톤), 서비스 제공 단위(예컨대, 숙박 1박) 등을 이용하여 정의하는 것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는 사업 활동 데이터에 포함된 견적서, 세금계산서, 고지서, 발주서, 주문서 등 다양한 정보로부터 미리 설정된 탄소 배출원에 해당하는 제품 또는 서비스를 검색하는 방식으로 사업 활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이때 탄소 배출원은 DB(3)에 저장된 배출계수 정보를 기반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즉, DB(3)에 [철광석]이라는 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가 존재하는 경우,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서 [철광석]에 대한 구매 항목을 검색하여 탄소 배출량 산출을 위한 사업 활동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의 사업 활동 데이터에 포함된 배출원에 해당하는 배출계수를 DB(3)로부터 추출할 수 있다(S105). 이때 추출되는 배출계수는 특정 배출원에 대한 배출계수의 산업 평균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동일한 [플라스틱]을 소재로 한 제품이라도 이를 생산하는 공급자에 따라 배출계수가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의 구매 내역으로부터 확인되는 특정 플라스틱 제품의 배출계수가 DB(3)에 저장되어 있다면 해당 배출계수를 추출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해당 배출계수가 저장되어 있지 않을 경우, 컴퓨팅 장치(2)는 구매된 제품의 재료인 [플라스틱]에 대한 산업 평균 배출계수 정보를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배출계수로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2)는 사용자의 구매 내역 및 이에 상응하여 추출된 배출계수 중 하나 또는 양 쪽을 변환함으로써 양 정보가 상호 연관되도록 정보를 표준화할 수 있다(S107). 이상의 표준화 과정은, 특정 배출원의 소비량을 정의하는 [단위], [시점], [통화] 등의 정보 항목을 배출계수와 구매 내역 간에 일치시키도록 소정의 변환 계수를 곱하는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변환 계수의 결정을 위하여, 컴퓨팅 장치(2)는 하나 이상의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단위 변환 정보, 환율 정보 및/또는 물가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S106). 컴퓨팅 장치(2)가 정보 제공 서버(5)로부터 전술한 정보들을 수신하는 과정은 크롤링, 스크래핑, API를 통한 호출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정보 제공 서버(4)로부터의 정보 수신 방식과 동일할 수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컴퓨팅 장치(2)는 [단위], [시점], [통화] 등의 정보 항목이 상호 간에 일치하도록 표준화된 구매 내역과 배출계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고(S108), 산출된 탄소 배출량 정보를 사용자 장치(1)에 제공할 수 있다(S109).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는 탄소 감축 기술의 수요기업 등 사용자가 접속하여 자신의 기업 활동 데이터를 입력하고 이에 따른 탄소 배출량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 탄소 회계 플랫폼(carbon intelligence platform)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에 의한 동작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에 의한 동작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를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segment)들은 본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 내에 있다고 보아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11)

  1. 컴퓨팅 장치가,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제품 및 서비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 각각은, 미리 설정된 배출원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의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배출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및 통화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팅 장치가,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통화와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사이의 환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환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통화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통화로 된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시점 사이의 물가 상승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컴퓨팅 장치가, 상기 물가 상승율 정보를 상기 배출계수 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6.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제1항, 제2항,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을 실행하도록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7. 제품 및 서비스 중 하나 이상에 각각 상응하는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참조하여 동작하며, 실행 가능한 명령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컴퓨팅 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사용자의 사업 활동에 연관된 입력 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배출계수 정보를 추출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가 상호 연관될 수 있도록 상기 입력 데이터 및 상기 배출계수 정보 중 하나 이상을 표준화된 정보로 변환하고,
    상기 표준화된 정보로의 변환 후에,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적용함으로써 상기 입력 데이터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산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 각각은, 미리 설정된 배출원에 상응하는 탄소 배출량을 정의하며,
    상기 입력 데이터는 상기 배출원에 대한 상기 사용자의 구매 내역을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단위, 시점 및 통화 중 하나 이상을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외부 서버로부터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수신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배출계수를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더 구성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통화와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통화 사이의 환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환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통화를 변환함으로써 상기 제2 통화로 된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배출계수 정보를 정의하는 제1 시점과 상기 구매 내역에 상응하는 제2 시점 사이의 물가 상승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물가 상승율 정보를 상기 배출계수 정보에 적용하여 상기 제2 시점에 상응하는 상기 표준화된 배출계수를 생성하도록 더 구성된 탄소 배출량 산출 시스템.
KR1020230016541A 2023-02-08 2023-02-08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KR1025708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41A KR102570867B1 (ko) 2023-02-08 2023-02-08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16541A KR102570867B1 (ko) 2023-02-08 2023-02-08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867B1 true KR102570867B1 (ko) 2023-08-28

Family

ID=878062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541A KR102570867B1 (ko) 2023-02-08 2023-02-08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867B1 (ko)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87B1 (ko) 2002-09-02 2005-10-18 대한민국 배출계수 데이터 정보 검색 시스템
KR20090093795A (ko) * 2008-02-29 2009-09-0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KR20110033391A (ko) * 2009-09-25 2011-03-31 이진원 탄소배출 관리시스템
KR20120133299A (ko) * 2011-05-31 2012-12-10 (주)에코아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KR20130082925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2552A (ko) * 2012-08-14 2014-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
KR20200079908A (ko) * 2018-12-26 2020-07-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38630A (ko) * 2019-05-30 2020-1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시공 단계의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073109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전력공사 시간대별 환경비용 표준계수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3600A (ko) * 2021-04-16 2022-10-25 내셔날 충싱 유니버시티 탄소 배출권의 계산 방법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2087B1 (ko) 2002-09-02 2005-10-18 대한민국 배출계수 데이터 정보 검색 시스템
KR20090093795A (ko) * 2008-02-29 2009-09-02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이산화 탄소 배출량 계측 시스템
KR20110033391A (ko) * 2009-09-25 2011-03-31 이진원 탄소배출 관리시스템
KR20120133299A (ko) * 2011-05-31 2012-12-10 (주)에코아이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
KR20130082925A (ko) * 2011-12-23 2013-07-22 주식회사 케이티 발전원에 따른 차등적 탄소배출권을 이용한 절감 에너지 거래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22552A (ko) * 2012-08-14 2014-02-2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
KR20200079908A (ko) * 2018-12-26 2020-07-06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설장비의 이산화탄소 배출량 산정 방법 및 장치
KR20200138630A (ko) * 2019-05-30 2020-12-10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건축 시공 단계의 탄소 배출량 산출 장치 및 이의 실행 방법
KR20220073109A (ko) * 2020-11-26 2022-06-03 한국전력공사 시간대별 환경비용 표준계수 산출 시스템 및 방법
KR20220143600A (ko) * 2021-04-16 2022-10-25 내셔날 충싱 유니버시티 탄소 배출권의 계산 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배출활동별 온실가스 배출량 등의 세부산정방법 및 기준(제11조 관련)", 법제처, 2023.01.01.* *
박유진 외 3명, "환경산업연관분석(EEIOA)을 이용한 경제 부문별 온실가스 배출량 특성분석", 대한환경공학회지, 2022.09.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70719B (zh) 一种数据处理方法及装置
Swarr et al. Environmental life-cycle costing: a code of practice
US7996287B2 (en) Allocating carbon offsets for printing tasks
US201302683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benchmarking environmental data
Sick et al. The need for and path to harmonized life cycle assessment and techno‐economic assessment for carbon dioxide capture and utilization
US20130191296A1 (en) Method and system for obtaining ghg reduction credits associated with ghg reduction efforts
Zhang et al. On modeling environmental production characteristics: a slacks-based measure for China’s Poyang Lake ecological economics zone
JP6973887B2 (ja) プロジェクト管理支援装置、プロジェクト管理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Boukherroub et al. Carbon footprinting in supply chains
EP2983116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llecting commodity consumption data and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an offer
Davis et al. Quantifying flows and economies of informal e‐waste hubs: Learning from the Israeli–Palestinian e‐waste sector
CN109523299A (zh) 一种自动成本核算方法及系统
CN111105204A (zh) 一种施工项目进度上报、管理方法及信息处理装置
CN103870917A (zh) 一种适用于烟草行业的轻量级业务流程实现方法
KR102570867B1 (ko) 탄소 배출량 산출 방법과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
Wesumperuma et al. Green activity based management (ABM) for organisations
Windisch Process redesign in development of forest biomass supply for energy
Rose Energy-intensity and related parameters of selected transportation modes: freight movements
CN104408558B (zh) 一种财务运营仿真模拟模型体系
Quoc et al. Operational efficiency for container terminal operators with undesirable outputs: slacks-based measures
CN109741077A (zh) 售后索赔结算方法、设备及存储介质
JP2010020507A (ja) 料金計算システム
Van Gorp Maximizing energy savings with energy management systems
de Almeida et al. Evaluation of the efficiency of the solar energy system of the Brazilian states
JP2024017420A (ja) 温室効果ガス排出量管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