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0050B1 -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 Google Patents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0050B1
KR101010050B1 KR1020080093830A KR20080093830A KR101010050B1 KR 101010050 B1 KR101010050 B1 KR 101010050B1 KR 1020080093830 A KR1020080093830 A KR 1020080093830A KR 20080093830 A KR20080093830 A KR 20080093830A KR 101010050 B1 KR101010050 B1 KR 1010100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ive
cellulose fiber
silver nano
group
antimicrob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3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4605A (ko
Inventor
민문홍
빈소영
김동권
전성기
민은선
Original Assignee
한국염색기술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염색기술연구소 filed Critical 한국염색기술연구소
Priority to KR1020080093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0050B1/ko
Publication of KR20100034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4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00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00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83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metals; with metal-generating compounds, e.g. metal carbonyls;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on tex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40/00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32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6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oxygen, ozone, ozonides, oxides, hydroxides or percompounds;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with oxides, hydroxides or mixed oxides; with salts derived from anions with an amphoteric element-oxygen bond
    • D06M11/38Oxides or hydroxides of elements of Groups 1 or 11 of the Periodic Table
    • D06M11/42Oxides or hydroxides of copper, silver or gol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0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4/02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 D06M14/04Graft polymerisation of monomers contain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on to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on to materials of natural origin of vegetal origin, e.g. cellulose or derivative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02Natural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04Vegetal fibres
    • D06M2101/06Vegetal fibres cellulos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201/00Cellulose-based fibres, e.g. vegetable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3Physical properties anti-allergenic or anti-bac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ano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섬유의 촉감 등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내구성은 높은 항균가공처리를 할 수 있는 개량된 항균가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항균가공방법은, 분자구조중에 셀룰로오스 섬유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와 수중에서 해리하여 음이온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기를 가지는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수용액 중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와 반응시켜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자구조 내에 음이온기를 도입하고, 상기 음이온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 섬유에 양하전을 갖는 은나노 물질을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와 은나노 물질이 이온결합에 의해 서로 내구성 있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에 내구성 있는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은나노, 항균, 반응성, 음이온, 양이온, 공유결합

Description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Anti-biotic finish of cellulose fiber}
본 발명은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하여 섬유의 촉감 등의 손상이 없으면서도 내구성은 높은 항균가공처리를 할 수 있는 개량된 항균가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기술은 매우 복잡하고 현실의 적용에 어려움이 있지만 제품의 기능성 향상을 위해 널리 연구되고 있다. 그 중에서도 향균성이 뛰어난 은나노에 대한 기술개발이 가장 활발히 진행 중이다. 그러나 은나노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제품, 가공기술 등에 대한 특허도 상당수 있지만 섬유에 대한 적용 및 가공기술에 대한 내용은 다소 적은 편이다.
일반적으로 면, 레이온 등과 같은 셀룰로오스 섬유에는 은나노를 화학적으로 결합시킬 수 없어서 은나노 스프레이 등의 제품을 사용하여 일시적인 항균효과를 부여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 내구성을 갖는 은나노 항균가공을 실시하기 위해서는 종래에는, 은나노를 수지에 혼입하여 패딩이나 코팅에 의해 섬유에 처리하여, 수지의 바인더 성분이 은나노와 섬유를 붙잡아 주어 세탁에 대한 내구성을 가지도록 하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지를 이용한 가공방법은 셀룰로오스 섬유가 가지는 본래의 촉감과 특성을 저하시키기 때문에 용도가 제한되는 단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은나노가 코팅 수지에 의해 외부로 충분히 표출되지 못하기 때문에 기대하는 만큼의 항균성을 발휘하지 못하며, 세탁에 대한 내구성도 그다지 높지 않다.
따라서, 내의나 유아용 의류 등과 같은 분야를 포함한 다양한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에 대해 적용이 가능한 내구성 항균성 가공방법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종래의 바인더 수지를 사용하는 방법처럼 섬유의 촉감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도 세탁 등에 대해 내구성 갖도록 항균력을 갖는 은나노를 셀룰로오스 섬유에 부여하는 내구성 항균가공방법을 제공하여 다양한 용도의 셀룰로오스계 섬유제품에 활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은나노가 양전하를 갖는다는 사실에 착안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에 음이온기를 도입함으로써, 이온결합에 의해 은나노를 셀룰로오스 섬유상에 내구성 있게 결합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구성은,
분자구조중에 셀룰로오스 섬유의 히드록시기와 반응하여 공유결합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반응기와 수중에서 해리하여 음이온기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성기를 가지는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수용액 중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와 반응시켜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자구조 내에 음이온기를 도입하고, 상기 음이온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 섬유에 양하전을 갖는 은나노 물질을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와 은나노 물질이 이온결합에 의해 서로 내구성 있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에 내구성 있는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로는 셀룰로오스 섬유의 히드록시기와 결합하는 반응 기로 -Cl기를 가지고, 은나노와 결합하는 음이온기로 -SO3 -를 가지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듐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아미노)-2-R2-3-R1-5-R4-6-R3-벤젠술포네이트(Sodium4-(4,6-dichloro-[1,3,5]triazin-2-ylamino)-2-R2-3-R1-5-R4-6-R3-benzensulfonate) 화합물을 들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Figure 112008067232530-pat00001
여기서, 상기 R1 , R2, R3, R4는 수소를 포함한 모든 치환체를 의미하며, 이 치환체로서는 아마이드, 할로겐, 알킬, 아실, 니트로기, 아민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와 이 작용기에 수소가 알킬기로 치환된 모든 것이 포함된다. 이들 R1 , R2, R3, R4는 서로 독립적이며,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는 반응성 염료의 반응기와 유사한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반응성 염료의 염색방법과 유사한 방법으로 셀룰로오스 섬유에 처리가 가능하며, 색상을 띄지 않아 은나노 처리에 의한 변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화합물은 하기 반응식 1에서와 같이 시아누릭 클로라이드와 술파닌산으로 대변되는 파라-술포닐 아민 화합물의 합성에 의해 생성된다.
Figure 112008067232530-pat00002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셀룰로오스 섬유의 결합은 예컨대 하기의 반응과 같이 이루어진다.
Figure 112008067232530-pat00003
Figure 112008067232530-pat00004
상기와 같은 반응을 통해 반응형 음이온화제가 처리된 셀룰로오스 섬유와 은나노는 도 1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서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해 이온 결합을 형성함으로써 은나노의 부착량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으며, 세탁에 의해서도 쉽게 씻겨나가지 않는 내구성이 뛰어난 항균처리가 가능한 것이다.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는 종류에 따라 다르지만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해 1~10% owf의 범위로 사용되며,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충분한 수의 음이온기가 도입되기 어렵고, 상기 범위를 넘더라도 고착량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경제성이 좋지 못하다. 처리조건은 반응성 염료의 염색에서와 비슷한 방법으로 황산나트륨 20~80g/ℓ와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포함한 30~40℃의 저온의 수용액 상태에서 섬유에 균일하게 흡착이 이루어지게 한 다음, 5~15g/ℓ의 탄산나트륨과 같은 알칼리를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와 반응형 음이온화제 사이에 상기 반응식에서와 같은 형태의 공유결합이 형성되도록 반응시키고, 수세하여 미고착 반응형 음이온화제는 제거한다.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는 염색전이나 염색후에 어느 때라도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반응성 염료로 염색시에는 염욕에 첨가하여 함께 처리할 수도 있다.
상기 은나노는 은을 10억분의 1㎜ 정도의 미세한 크기로 제조하여, 강력한 항균, 살균, 탈취 등의 기능을 갖도록 한 것으로서, 전기적인 분해법, 화학적 환원법, 초음파 조사법, 방사선 및 전자빔 조사에 의해 생성된 콜로이드 상태 또는 입자 상태의 모든 은나노 물질을 의미한다.
은나노 물질은 양전하를 띄기 때문에,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에 의해 음이온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 섬유에 이온결합에 의해 견고하게 부착되어 항균성을 발휘하며, 세탁에 의해서도 쉽게 탈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섬유의 촉감을 손상시키는 바인더 수지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내구성 항균가공을 실시할 수 있어, 다양한 용도의 셀룰로오스 섬유제품을 전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균가공 방법은 가공방법이 쉽고 간단하여 작업 효율성이 좋으며, 특히 반응성 염료의 염색에서와 비슷한 공정을 통하여 처리되므로 셀룰로오스 섬유에 대한 손상도 적고, 염색공정과 동시에 진행하는 것도 가능하여 공정을 더욱 단축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 콜로이드용액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A: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
황산나트륨 4.5g과 반응형 음이온화제인 소듐-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아미노)-벤젠술포네이트 0.2g을 물 75㎖에 용해하였다.
상기 수용액에 면직물 2.5g을 넣고 진탕기에서 4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분간 처리하여,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가 면직물에 흡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상기 진탕기 내에 탄산나트륨 0.75g을 첨가하고 60분간 더 반응시켜 섬유와 반응형 음이온화제 사이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면직물은 물에 수회 세척하였다.
B: 은나노 처리
방사선 조사법을 이용하여 제조된 은나노 콜로이드용액(농도 0.1M, 환원제 PVP 3%, 방사선 30KGy) 0.05g을 물 75㎖에 희석하고, 이 희석용액에 상기 A단계에서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가 이루어진 면직물을 넣고 진탕기를 이용하여 4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30분간 반응시켰다. 반응이 완료된 후, 면직물을 꺼내어 수회 에 걸쳐 수세하여 미반응 은나노를 제거한 후, 건조하였다.
상기 은나노 처리가 완료된 포지에 대해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촬영하여 관찰한 결과, 도 2a에서 보는 것과 같이 섬유의 표면에 미세한 은나노 입자가 균일하게 분포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성분분석(EDS)결과, 도 2b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은(Ag) 성분의 존재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c의 EDS 맵핑 사진에서도 은(Ag) 성분이 고르게 분포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 항균성 테스트
상기 B단계에서 은나노 처리가 이루어진 면직물을 직물의 항균도 시험방법인 KS K 0693법에 의거하여 항균성을 시험하였다.
항균성 시험에 사용된 공시균은 황색포도상구균(Staphlococcus aureus strain 209,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No. 6538)과 폐렴균(Klebsiella pneumoniae,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No. 4352)이며, 표준포는 KS K 0905에 규정된 시료를 사용하였다.
시험 결과는 두 종류의 균에서 모두 정균 감소율이 99.99% 이상으로 나타나, 바인더 수지의 사용 없이도 은나노 처리에 의한 면직물의 항균가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D: 세탁 내구성 테스트
상기 B단계에서 은나노처리가 완료된 면포를 직물의 세탁시험 규격(ISO 6330 6A: 텀블러 건조)의 방법으로 20회 세탁 후, 상기 C단계의 직물의 항균도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결과, 도 3a(황색포도상구균) 및 도 3b(폐렴균)에서 보는 것과 같 이 정균감소율이 99.99%로 나와, 20회 세탁에 의해서도 항균성이 유지되는 내구성 있는 항균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 콜로이드용액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사용량을 0.5g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처리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에 대해 모두 99.99% 이상의 정균감소율을 나타내어 항균가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탁내구성에 있어서도 20회 세탁 후에도 99.9%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어 내구성 있는 항균가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 콜로이드용액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은나노로서 상기 방사선 조사법에 의해 제조된 은나노 콜로이드용액 대신에 시판의 은나노 용액인 SARPU (ABCnanotech사 제품) 0.1g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형 음이온화제처리와 은나노처리에 의한 항균처리를 실시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그 결과, 황색포도상구균과 폐렴균에 대해 모두 99.99%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어 항균가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탁내구성에 있어서도 20회 세탁 후에도 99.9% 이상의 정균 감소율을 나타내어 내구성있는 항균가공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1: 은나노 콜로이드용액을 이용한 면직물의 항균가공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은나노 콜로이드 용액을 처리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하되, A단계인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를 생략하였다.
항균성 시험결과, 도 4에서 보는 것과 같이 황색포도상구균(도 4a)과 폐렴균(도 4b)에 대한 정균 감소율이 모두 1% 미만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은나노 콜로이드용액 처리만으로는, 세탁 내구성은 물론 단순한 수세에 대해서도 지속성 있는 항균처리가 이루어지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A: 염색
황산나트륨 4.5g, 반응성 염료 Remazol Black B(Dystar사 제품) 0.075g을 물 75㎖에 용해하고, 용해된 염액에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종류의 면백포 2.5g을 넣고, 진탕기에서 40℃의 온도를 유지하면서 20분간 침지시켜 섬유에 반응성 염료가 흡착되도록 한 후, 탄산나트륨 0.75g을 첨가하고 60분간 반응시켜 섬유와 반응성 염료 사이에 공유결합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면포는 물로 수회 세척하였다.
B: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
상기 A단계에서 염색이 완료된 면포를 사용하여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를 실시하였다.
C: 포지의 색상 측정
CCM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A단계의 염색이 완료된 상태(미처리)와 B단계의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가 완료된 상태의 염색포에 대해 색상 농도(K/S)를 각각 측정하여 도 5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D: 은나노 처리 및 항균성 테스트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가 완료된 면포에 대해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은나노 처리를 실시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정균 감소율이 99.99% 이상으로 나타나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과 상관없이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를 실시하되,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시에 상기 실시예 4에서 사용한 반응성 염료 Remazol Black B(Dystar사 제품) 0.075g을 함께 넣고 염색과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처리가 완료된 면포에 대해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게 색상 농도(K/S)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염색 및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가 동시에 이루어진 면포에 대해 실시예 4에서와 마찬가지로 은나노 처리를 실시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정균 감소율이 모두 99.99% 이상으로 나타나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염색과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를 실시하되,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먼저 처리한 후, 염색하는 순서로 실시하였다.
염색이 완료된 면포에 대해 실시예 4에서와 동일하게 색상 농도(K/S)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5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와 염색이 이루어진 면포에 대해 실시예 4에서와 마찬가지로 은나노 처리를 실시하고 항균성 테스트를 실시한 결과, 정균 감소율이 모두 99.99% 이상으로 나타나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에서 보는 것과 같이,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에 의한 염색물의 색상변화는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염색 전에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처리하거나 반응형 음이온화제 처리와 염색을 동시에 실시하는 경우에는,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반응성 염료간의 염착좌석의 경쟁으로 인해 색상 농도가 다소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염색시에 색상의 조정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염색물의 색상변화의 관점에서는 염색 후에 본 발명에 따른 항균가공처리를 실시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지만 공정의 단순화의 측면에서는 염색과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동시 처리도 바람직하며,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 후에 염색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반응형 음이온화제를 처리한 셀룰로오스 섬유와 은나노의 Ag+이온 간의 결합형태를 보여주는 모식적으로 나타낸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c는 실시예 1에서 은나노 처리가 완료된 면포의 섬유 표면을 보여주는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 성분분석(EDS) 그래프 및 EDS 맵핑 사진;
도 3a 및 도 3b는 실시예 1에서 세탁 내구성 테스트 실시 후의 면포의 항균성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4a 및 도 4b는 비교예 1에서 은나노처리 면포의 항균성 시험결과를 보여주는 사진;
도 5는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가 반응성 염료에 의한 염색시의 염색물의 색상농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그래프.

Claims (3)

  1. 삭제
  2. 반응형 음이온화제인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소듐4-(4,6-디클로로-[1,3,5]트리아진-2-일아미노)-2-R2-3-R1-5-R4-6-R3-벤젠술포네이트를 수용액 중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와 반응시켜 셀룰로오스 섬유의 분자구조 내에 음이온기를 도입하고, 상기 음이온기가 도입된 셀룰로오스 섬유에 양하전을 갖는 은나노 물질을 처리하여, 셀룰로오스 섬유와 은나노 물질이 이온결합에 의해 서로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에 항균가공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Figure 112010086369636-pat00005
    (여기서, 상기 R1, R2, R3, R4는 수소를 포함한 모든 치환체를 의미하며, 이 치환체로서는 아마이드, 할로겐, 알킬, 아실, 니트로기, 아민기, 히드록시기, 알콕시기와 이 작용기에 수소가 알킬기로 치환된 모든 것이 포함된다. 이들 R1, R2, R3, R4는 서로 독립적이며,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형 음이온화제의 처리는 반응성 염료의 염욕에 첨가하여 염색과 동시에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KR1020080093830A 2008-09-24 2008-09-24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KR1010100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30A KR101010050B1 (ko) 2008-09-24 2008-09-24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3830A KR101010050B1 (ko) 2008-09-24 2008-09-24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05A KR20100034605A (ko) 2010-04-01
KR101010050B1 true KR101010050B1 (ko) 2011-01-21

Family

ID=4221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3830A KR101010050B1 (ko) 2008-09-24 2008-09-24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005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241A (ja) * 1996-02-20 1997-09-02 Japan Exlan Co Ltd 抗菌・抗黴繊維とその製造方法
JPH09328402A (ja) * 1996-04-05 1997-12-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抗菌防黴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繊維状物質
KR20010089841A (ko) * 1998-09-21 2001-10-11 로버트 엠. 팔만 편안하고 걱정없는 세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음이온성유도된 면
KR20080049005A (ko) * 2006-09-21 2008-06-03 알케어캄파니리미티드 항균성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항균성 섬유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균성 섬유 제품, 그 제조 방법 및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28241A (ja) * 1996-02-20 1997-09-02 Japan Exlan Co Ltd 抗菌・抗黴繊維とその製造方法
JPH09328402A (ja) * 1996-04-05 1997-12-22 Mitsubishi Paper Mills Ltd 抗菌防黴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繊維状物質
KR20010089841A (ko) * 1998-09-21 2001-10-11 로버트 엠. 팔만 편안하고 걱정없는 세탁성을 개선시키기 위한 음이온성유도된 면
KR20080049005A (ko) * 2006-09-21 2008-06-03 알케어캄파니리미티드 항균성 섬유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항균성 섬유를 함유하여 이루어지는 항균성 섬유 제품, 그 제조 방법 및 재생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4605A (ko) 2010-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3527B1 (ko) 항균성 셀룰로오스 섬유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섬유
Fahmy et al. Enhancing some functional properties of viscose fabric
Zhang et al. Application of ZnO nanoparticles to enhance the antimicrobial activity and ultraviolet protective property of bamboo pulp fabric
Ibrahim et al. Poly (acrylic acid)/poly (ethylene glycol) adduct for attaining multifunctional cellulosic fabrics
CN102943379B (zh) 一种抗菌抗紫外纺织品的制备方法
JP4044155B2 (ja) 溶剤紡績セルロースファイバーの処理方法
Li et al. Synthesis of an N-halamine monomer and its application in antimicrobial cellulose via an electron beam irradiation process
CN1306102C (zh) 一种抗菌棉纤维或棉织物和制备方法
KR20130099474A (ko) 황화구리 피막을 갖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제조 방법 및 그로부터 얻어지는 도전성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
Chien et al. Studies of PET nonwovens modified by novel antimicrobials configured with both N-halamine and dual quaternary ammonium with different alkyl chain length
Alebeid et al. Dyeing and functional finishing of cotton fabric using Henna extract and TiO 2 Nano-sol
KR100677834B1 (ko) 직편물에 세탁내구성 및 항균성을 부여하는 가공방법
CN108004762B (zh) 一种带有纳米铜抗菌蚕丝制品及其制备方法
CN114672995A (zh) 一种持续抗菌和快速杀菌纤维制品及其制备方法
Butola et al. Development of multi-functional properties on cotton fabric by in situ application of TiO 2 and ZnO nanoparticles
CN1107916A (zh) 抗菌防臭纺织材料的加工方法及其制品
Pušić et al. The Stability of the Chitosan Coating on Polyester Fabric in the Washing Process
KR101010050B1 (ko) 반응형 음이온화제와 은나노를 이용한 셀룰로오스 섬유의 항균가공방법
JP2013185292A (ja) 繊維用抗菌加工薬剤とその製造方法及び抗菌性繊維の製造方法
Iamphaojeen et al. Immobilization of zinc oxide nanoparticles on cotton fabrics using poly 4-styrenesulfonic acid polyelectrolyte
Ghazal et al. Multifunction finishing of cellulose based fabrics via 3-Chloro-2-hydroxypropyl trimethyl ammonium chloride (Quat-188) and silver nanoparticles (AgNPs) to improve its dyeability and antibacterial
US20040137076A1 (en) Antibacterial processing of fiber products
KR100580847B1 (ko) 나노 백금 콜로이드 용액으로 처리된 항균 섬유및 그제조방법
CN111979765B (zh) 一种具有抗菌功能的羟基纤维的制备方法
JP3792984B2 (ja) 繊維類の抗菌・抗カビ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