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9003B1 -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 Google Patents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9003B1
KR101009003B1 KR1020030038401A KR20030038401A KR101009003B1 KR 101009003 B1 KR101009003 B1 KR 101009003B1 KR 1020030038401 A KR1020030038401 A KR 1020030038401A KR 20030038401 A KR20030038401 A KR 20030038401A KR 101009003 B1 KR101009003 B1 KR 101009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ip
support
drying furnace
eccentric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8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7797A (ko
Inventor
박순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38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9003B1/ko
Publication of KR200401077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77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9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9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6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 E05B47/0607Controlling mechanically-operated bolts by electro-magnetically-operated detents the detent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Landscapes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일단은 제1지지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장공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지지체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걸림부재의 걸림으로 장착되며, 건조로의 작업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와,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에 장착된 구동모터와,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면에는 타원형의 한 쌍의 편심 가이드레일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편심롤과,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롤러부재와. 상기 편심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스트립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롤과, 상기 서포트롤의 대향측의 상기 편심롤의 외주면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장착되는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편심롤어셈블리와, 한 쌍의 와이어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재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부재가 장착된 대차를 구비한다.
건조로, 스트립, 와이어, 대차

Description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DEVICE FOR GUIDING STRIP TO A DRYING FURNACE}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로 내의 스트립 통판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도 2의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제1지지체 13...건조로 20...제2지지체
23...장공 30...와이어 35...제3지지체
40...구동모터 50...편심롤어셈블리 60...대차
본 발명은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트립의 통판 작업시 설비 장애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통판 작업의 안전사고를 감 소시킬 수 있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강판 표면에 와전류의 손실을 예방하기 위하여 건조로에서 절연코팅용액을 도포후 건조한다. 이러한 건조로 내에서 전기강판 즉, 스트립의 절연코팅용액의 도포후 건조시에 스트립의 편파단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트립의 편파단이 발생되면, 편파단된 스트립의 건조로의 신속한 이동 후에 용접등으로 재결합하는 통판작업이 요구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로 내의 스트립 통판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로 통판 장치(1)는, 스트립(3)이 통과되는 공간부가 마련되도록 상,하측으로 구비되며 일정한 압력으로 에어가 분출되도록 다수개의 에어홀(5)이 통공된 상,하부 프로타챔버(7)(9)를 구비한 건조로(2)와, 상기 건조로(2) 입구에 장착되는 리와인더(REWINDER;4)와, 건조로(2)에의 출구축에 장착되는 언와인더(UNWINDER;6)와, 건조로(2)의 출구측에 장착된 동판 로프(8)를 구비하여, 건조로(2) 내에서 편파단 발생시 통판작업을 수행한다.
상기 구성을 갖는 종래 기술에 따른 건조로 통판 장치(1)는, 건조로(2) 내에서 편파단 발생시 리와인더(4)에 와이어(11)를 묶은 후 출구측에 구비된 언와인더(6)를 감아서 건조로(2) 내로 통판을 1차적으로 실시한다. 이어서 와이어(11)의 단부에 스트립(3)의 선단부를 결속시킨 후 통판로프(8)를 감아가면서 견인된 스트립(3)을 건조로(2) 내로 통판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스트립의 통판작업의 수행은 리와인더(4)와 언와인 더(6) 간에 연결된 와이어(11)가 건조로(2) 내부에 위치하면서 고열에 견뎌야 한다. 그러나 건조로(2) 내부의 와이어(11)는 고열에 의하여 경화 또는 휘어지는 문제로 통판 작업시에 와이어(11)가 결손될 수 있는 문제점과 결손된 와이어(11)의 복구로 장시간 설비 장애시간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와이어 통판 작업이 수작업으로 실시됨으로 작업의 난이함과 안전사고의 위험이 존재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된 것으로서, 스트립의 통판 작업시 설비 장애의 발생을 감소시키고, 통판 작업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킬 수 있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는, 스트립의 건조로 내 통판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제1지지체에 고정되며, 타단은 장공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지지체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걸림부재의 걸림으로 장착되며, 건조로의 작업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면에는 타원형의 한 쌍의 편심 가이드레일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편심롤과,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결합되는 제1롤러부재와. 상 기 편심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스트립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롤과, 상기 서포트롤의 대향측의 상기 편심롤의 외주면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장착되는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편심롤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재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부재가 장착된 대차;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에는 탄성패널이 돌출 장착되어 상기 대차의 충격을 흡수하도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지지체의 선단은 마주보는 대향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클램핑부재는,
상기 대차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편심캠부재; 및 상기 편심캠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편심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대차와 상기 편심캠부재의 사이에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레버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조로 내 통판장치를 개략적으로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대차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로 내 통판장치(100)는, 일단은 제1지지체(10)에 고정되며, 타단은 장공(23)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지지체(20)의 장공(23)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장착되는 한 쌍의 와이어(30)와, 제1지지체(10)와 제2지지체(20)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35)에 장착된 구동모터(40)와, 구동모터(40)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편심롤어셈블리(50)와, 스트립(55)의 선단을 클램핑하여 건조로(13)로 이송시키는 대차(60)를 구비한다.
상기 제1지지체(10)는 건조로(13)의 일측에 설치되는 고정벽체를 말한다. 상기 제1지지체(10)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탄성패널(15)이 돌출 장착된다. 상기 제2지지체(20)는 건조로(13)의 타측에 설치되며 한 쌍으로 구비되며, 그 각각의 선단은 마주보는 대향측으로 경사부(21)가 형성되어, 경사부(21)에는 장공(23)이 형성된다. 상기 제1지지체(10)와 제2지지체(20)는 와이어(30)가 연결된다.
상기 와이어(30)의 일단에는 인장스프링(31)이 장착되어 제1지지체(10)에 고정되고, 그 타단에는 걸림부재(33)가 장착되어 제2지지체(20)의 장공(23)에 장착된다. 상기 와이어(30)는 건조로(13)의 작업부를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제2지지체(20)의 근접위치에는 제3지지체(35)가 설치된다.
상기 제3지지체(35)에는 구동모터(40)가 장착되며, 구동모터(40)의 구동축에 는 편심롤어셈블리(50)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편심롤어셈블리(50)는 구동모터(40)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면에는 타원형의 한 쌍의 편심 가이드레일(51)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편심롤(53)과, 가이드레일(51)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와이어(30)가 결합되는 제1롤러부재(58)와, 편심롤(53)의 길이방향으로 스트립(55)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롤(57)과, 서포트롤(57)의 대향측의 편심롤(53)에는 에어가 분사되도록 장착된 에어노즐(59)로 구비된다. 상기 에어노즐(59)은 길이가 가변되는 플랙시블 타입의 에어공급라인(52)에 연결되어 에어를 공급받는다. 참조번호 56은 리미트스위치를 말하는 것으로서, 정,역회전되는 편심롤(53)측 서포트롤(57)과, 에어노즐(59)에 의해 터치되어 구동모터(40)의 방향전환 스위치의 역할을 한다.
상기 편심롤(53)은 제3지지체(35)에 장착되는 것으로서, 제3지지체(35)에 장착된 베어링블록(54)으로 일단이 장착되며, 그 타단은 제3지지체(35)에 장착된 구동모터(40)의 회전축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상기 편심가이드레일(51)은 편심롤(53)에 마주보는 한 쌍의 대향된 타원형으로 형성되며, 이 편심가이드레일(51)을 따라 제1롤러부재(58)가 장착된다. 상기 편심가이드레일(51)의 타원형으로 형성됨은 와이어(30)의 장공(23)에서의 간격 조절시에 와이어(30)간의 간격조절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와이어(30)의 간격이 상호간에 좁아지도록 하면 와이어(30)의 일단이 장공(23)을 따라 이동되어 그 설치된 높이가 높아지며, 와이어(30)의 간격이 넓어지면 그 설치된 높이가 낮아지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와이어(30)의 높이조절은 후술하는 대차(60)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서포트롤(57)은 스트립(55)의 저면에 접촉 구름되어 스트립(55)의 이동을 원활하도록 하기 위함으로서 스트립(55)의 편파단시에 작용된다. 상기 에어노즐(59)은 스트립(55)의 편파단이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에 스트립(55)의 저면에 에어를 분사하여 그 이동이 원활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트립(55)의 편파단이 발생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는 에어노즐(59)이 상방향으로 위치하여 스트립(55)에 에어를 분사하여 이동이 원활하도록 하며, 스트립(55)이 편파단이 발생되면 구동모터(40)의 구동으로 편심롤(53)이 180°회전되어 서포트롤(57)의 접촉구름으로 스트립(55)이 이동되도록 한다.
상기 대차(60)는 그 내부에 와이어(30)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재(61)가 구비되며, 상측에는 스트립(55)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부재(63)가 구비된다. 상기 클램핑부재(6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차(60)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편심캠부재(65)와, 편심캠부재(65)의 일측에 장착되어 편심캠부재(65)를 회전시켜 대차(60)와 편심캠부재(65)의 사이에 스트립(55)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레버부재(67)로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상기 대차(60)는 제2롤러부재(61)의 작용으로 와이어(30)를 따라 이동가능하도록 구비되고, 클램핑부재(63)의 스트립(55) 클램핑으로 건조로(13)의 작업부로 진입되도록 한다. 이러한 스트립(55)이 건조로에 진입되면 절단된 스트립 상호간을 용접하여 건조로에서 계속적인 작업이 실시되도록 한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건조로 내 통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55)의 편파단시 파단된 상호간을 재용접 결합하는 통판작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먼저 구동모터(40)를 구동하여 편심롤(53)을 회전시켜 서포트롤(57)이 상향되어 스트립(55)에 접촉되도록 한다. 그러면 편심롤(53)의 회전에 의하여 한 쌍의 와이어(30)는 그 간격이 좁아지고 상향됨으로써 건조로(13) 입구에서 출구쪽으로 갈수록 경사진 형태를 취하게 된다.
이러한 와이어(30)의 일단은 제2지지체(20)의 경사진 장공(23)에 의해 유도되어 상승되고, 타단은 인장스프링(31)에 견인되어 타이트한 장력을 유지하게 된다.
다음, 대차(60)를 와이어(30)의 상단부에 안착시키고, 스트립(55)의 상단부를 대차(60)에 구비된 클램핑부재(63)에 끼운후 레버부재(67)를 당겨 클램핑한다. 이러한 레버부재(67)의 당김으로 편심캠부재(65)가 회전됨으로 스트립(55)의 선단부를 클램핑하는 것이다.
이어서 전술한 준비단계가 완료되면 스트립(55)을 느슨하게 하여 대차(60)로서 와이어(30)를 따라 건조로(13)에 진입하여 파단된 스트립(55)의 상호간을 용접등으로 연결하는 통판작업을 실시한다. 상기 대차(60)는 건조로(13)의 출구를 빠져 나와 탄성패널(15)에 충돌하여 정지된다.
마지막으로 레버부재(67)를 재작동하여 스트립(55)을 언클램핑하게 됨으로서 작업이 종료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스트립의 건조로 이동 유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건조로에서 스트립의 편파단이 발생될 경우 대차를 이용하여 스트립을 견인하여 건조로를 통과한 후 파단된 스트립 상호간을 신속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편리함과 작업 능률의 향상효과를 이루도록 한다.
또한, 대차가 이동되는 와이어가 일정부분 휨이 발생되어도 대차의 이동이 원활함으로써, 파단된 스스트립의 결합이 용이하다.
그리고 작업인원의 작업을 간소화하여 안전사고의 위험을 줄인다.
이상,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과 균등한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변형예 또는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범위는 이어지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스트립의 건조로 내 통판장치에 있어서,
    일단은 제1지지체에 인장 스프링으로 고정되며, 타단은 장공이 마련된 한 쌍의 제2지지체의 장공의 길이방향의 소정 위치에 걸림부재의 걸림으로 장착되며, 건조로의 작업부를 지나도록 설치되는 한 쌍의 와이어;
    상기 제1지지체와 상기 제2지지체의 사이에 설치되는 제3지지체에 장착된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장착되어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고 원통형을 이루며 외주면에는 타원형의 한 쌍의 편심 가이드레일이 대향되도록 형성된 편심롤과,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와이어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제1롤러부재와, 상기 편심롤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스트립의 저면을 지지하는 서포트롤과, 상기 서포트롤의 대향측의 상기 편심롤의 외주면에 에어가 분사되도록 장착되는 에어노즐을 구비하는 편심롤어셈블리; 및
    상기 한 쌍의 와이어에 접촉되는 제2롤러부재가 내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를 따라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측에는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클램핑할 수 있는 클램핑부재가 장착된 대차;를 구비하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지체에는 탄성패널이 돌출 장착되어 상기 대차의 충격을 흡수하도 록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지지체의 선단은 마주보는 대향측으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경사부에는 장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차의 클램핑부재는,
    상기 대차의 상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는 편심캠부재; 및
    상기 편심캠부재의 일측에 장착되어 상기 편심캠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대차와 상기 편심캠부재의 사이에 상기 스트립의 선단을 고정하도록 하는 레버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KR1020030038401A 2003-06-13 2003-06-13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KR101009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01A KR101009003B1 (ko) 2003-06-13 2003-06-13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38401A KR101009003B1 (ko) 2003-06-13 2003-06-13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797A KR20040107797A (ko) 2004-12-23
KR101009003B1 true KR101009003B1 (ko) 2011-01-17

Family

ID=373818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8401A KR101009003B1 (ko) 2003-06-13 2003-06-13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900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56508B1 (ko) * 2005-12-09 2013-04-22 주식회사 포스코 건조로의 통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638A (ja) * 1993-04-21 199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帯材貯蔵装置
KR20010027488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노처의 스트립 웨이브 제거장치
KR20010057602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탈지된 스트립의 건조장치
KR20030035001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04638A (ja) * 1993-04-21 1994-11-01 Mitsubishi Heavy Ind Ltd 帯材貯蔵装置
KR20010027488A (ko) * 1999-09-14 2001-04-06 이구택 노처의 스트립 웨이브 제거장치
KR20010057602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탈지된 스트립의 건조장치
KR20030035001A (ko) * 2001-10-29 2003-05-09 주식회사 포스코 열연코일의 스트립 선단부 통판 유도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7797A (ko) 2004-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06391B (zh) 具备电极丝切断功能的电火花线切割机
CN103193106B (zh) 防止卷绕于线轴的线材松弛的装置及方法
JP2003010088A5 (ko)
JPS6034211A (ja) 電線定寸切断装置
CA2260290A1 (en) A web cutting apparatus for use in a papermaking machine
CN109014536A (zh) 焊接式钢筋桁架楼承板的自动装配装置和自动装配方法
KR101009003B1 (ko) 건조로 내 스트립 통판 유도장치
JPH0124704B2 (ko)
JP4119569B2 (ja) 架空線のトロリー線を敷設するための敷設機
JP3310983B2 (ja) ホットストリップ圧延設備
CN202702875U (zh) 线材自动喷码装置
KR101518615B1 (ko) 듀얼헤드 빔프리 오버레이 용접장치
CN115301761B (zh) 钢卷开卷机组及钢卷开卷方法
WO1994023881A1 (en) Wire electric discharge machine
JPH0558521A (ja) 巻取りロールのための繰出し装置
CN108817751A (zh) 一种自动点焊机
CN213825714U (zh) 一种带张力的涂布机
JP2000110102A (ja) レール取卸し装置
CN104934156B (zh) 一种移动换位导线绕包机
KR101256508B1 (ko) 건조로의 통판장치
KR100847043B1 (ko) 권취기의 삽입 간지 주름 펴줌 장치
JP2914882B2 (ja) コイルの溶接装置
CN212310704U (zh) 一种保险丝铆合引线加工装置
KR20000026744A (ko) 러버 슬리브 자동장착장치
CN216297833U (zh) 一种矩形截面电磁线定长裁切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