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8783B1 - Dmos 트랜지스터 - Google Patents

Dmos 트랜지스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8783B1
KR101008783B1 KR1020090034254A KR20090034254A KR101008783B1 KR 101008783 B1 KR101008783 B1 KR 101008783B1 KR 1020090034254 A KR1020090034254 A KR 1020090034254A KR 20090034254 A KR20090034254 A KR 20090034254A KR 101008783 B1 KR101008783 B1 KR 101008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ate electrode
source
silicide
dmos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34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1285A (ko
Inventor
세이지 오따께
슈이찌 기꾸찌
야스히로 다께다
겐이찌 마끼
Original Assignee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요 세미컨덕터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to KR1020090034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8783B1/ko
Publication of KR200901112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12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8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87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01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18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the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elements of Group IV of the Periodic Table or AIIIBV compounds with or without impurities, e.g. doping materials
    • H01L21/30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 H01L21/31Treatment of semiconductor bodi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L21/20 - H01L21/26 to form insulating layers thereon, e.g. for masking or by using photolithographic techniques; After treatment of these lay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se layers
    • H01L21/3205Deposition of non-insulating-, e.g. conductive- or resistive-, layers on insulating layers; After-treatment of these layers
    • H01L21/32051Deposition of metallic or metal-silicide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08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0843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0847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 H01L29/0852Source or drain regions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insulated gate of DMOS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0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41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 H01L29/423Electrod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not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42312Gate electrodes for field effect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674DMOS transistors, i.e. MISFETs with a channel accommodating body or base region adjoining a drain drift reg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을 저감함과 함께, 정전 파괴 강도의 열화를 방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DMOS 트랜지스터의 소스층(5)의 단부는,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로부터 후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소스층(5) 상의 실리사이드층(11)을 소스층(5)의 단부로부터 밖으로 연장시키지 않도록 하였다. 즉, 소스층(5)의 표면에는 실리사이드층(11)을 형성하지만, 소스층(5)과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 사이에 노출된 보디층(4)의 표면에 대해서는, 실리사이드층(11)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전류 집중이 없어져서, 전류는 DMOS 트랜지스터의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흐르도록 되기 때문에, 정전 파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MOS 트랜지스터, 실리사이드층, 층간 절연막, 게이트 전극, 전계 완화

Description

DMOS 트랜지스터{DMOS TRANSISTOR}
본 발명은, DMOS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이다.
DMOS 트랜지스터(Double-diffused M0S transistor)는, 불순물의 이중 확산에 의해 소스층과 채널로 되는 보디층이 형성된 M0S 전계 효과형 트랜지스터로서, 전원 회로나 드라이버 회로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서 이용되고 있다.
최근, 휴대 전화 등의 전자 기기의 소형화, 저소비 전력화의 요구에 따라,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DMOS 트랜지스터가 온하고 있을 때의 저항)의 저감이 요구되고 있다.
특허 문헌 1∼6에는,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의 저감, 내압의 향상 등에 관한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233508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제2004-39773호 공보
[특허 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제2004-79800호 공보
[특허 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제2007-128978호 공보
[특허 문헌 5] 일본 특허 공표 제2007-535813호 공보
[특허 문헌 6] 일본 특허 공개 제2008-34737호 공보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소스층 등의 표면에, 코발트나 티탄 등의 천이 금속과 실리콘의 반응 생성물인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실리사이드층은 저저항이기 때문에, 트랜지스터 내에서 전계, 전류의 집중을 일으키기 쉬어, DMOS 트랜지스터의 정전 파괴 강도가 열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DMOS 트랜지스터는,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보디층과,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층과, 상기 보디층 및 상기 소스층을 둘러싸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상기 소스층의 단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로부터 후퇴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 사이에 노출된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상기 실리사이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소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였으므로,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소스층의 단부는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로부터 후퇴하여 배치되며, 소스층과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 사이에 노출된 보디층의 표면에 실리사 이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고 하는 구성을 채용하였으므로, DMOS 트랜지스터의 외부로부터 서지 전류 등에 수반하는 전하가 들어갔을 때에, 소스 단부에서의 전계가 완화되어, 이 부분에서의 전류 집중도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정전 파괴 강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DMOS 트랜지스터에 의하면, 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을 저감함과 함께, 그 정전 파괴 강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DMOS 트랜지스터는, 전원 회로나 드라이버 회로 등의 전력용 반도체 소자로서, IC에 내장할 수 있으며,특히, 실리사이드 기술을 이용하여 매우 낮은 온 저항(예를 들면, 100mΩ)을 실현함과 함께, 전계, 전류가 집중하지 않도록 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함으로써, 정전 파괴 강도의 열화를 방지한 것이다.
이하, 이 DMOS 트랜지스터의 구성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DMOS 트랜지스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X-X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Y-Y선에서의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P형의 실리콘 기판(1) 상에 N-형의 실리콘층(2)이 에피택셜 성장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실리콘 기판(1)과 실리콘층(2)의 경계에는, 실리콘층(2)보다 고농도인 N+형의 매립층(3)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DMOS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 형성되고, 실리콘 기판(1)에 도입 된 안티몬(Sb) 등의 N형 불순물이 상기 에피택셜 성장시에 실리콘층(2) 내에 상방 확산됨으로써 형성된다.
실리콘층(2)의 표면에는, P형 불순물의 확산에 의해 P+형의 보디층(4)이 형성되어 있다. 보디층(4)의 표면에는 N++형의 소스층(5)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보디층(4)의 표면에 보디층(4)의 전위를 소스 전위로 설정하기 위한 P++형의 보디 전위 설정층(6)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보디 전위 설정층(6)은 소스층(5)에 둘러싸여 있다.
그리고, 보디층(4) 및 소스층(5)을 둘러싸고 링 형상의 게이트 전극(7)이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7)은 링의 내측에 4개의 코너부(7A)(도 1에서 파선으로 둘러싼 부분)를 갖고 있다. 또한, N+형이란 N-형보다 고농도인 확산층이며, N++형이란 N+형보다 고농도인 N형 확산층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P++형이란 P+형보다 고농도인 P형 확산층인 것을 나타내고 있다.
게이트 전극(7)은, 실리콘층(2)의 표면에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8) 상에 형성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7)의 좌우의 양단부는, 게이트 절연막(8)으로부터 DMOS 트랜지스터의 주위를 둘러싸고 형성된 전계 완화 절연막(9) 상에 연장되어 있다. 전계 완화 절연막(9)은, 예를 들면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법에 의해 형성된 게이트 절연막(8)보다 두꺼운 절연막이며, DMOS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계를 완화하는 역할을 갖는다(도 1, 도 2를 참조).
상기 보디층(4)은, 게이트 전극(7)을 마스크로 한 이온 주입법에 의해,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엣지에 자기 정합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보디층(4) 의 단부는, 게이트 전극(7)의 단부 하방의 실리콘층(2)까지 횡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게이트 전극(7)의 하방에서 게이트 전극(7)에 중첩된 보디층(4)의 부분이 채널 영역 CH로 되어 있다(도 3을 참조). 또한,게이트 전극(7)의 외측에 인접하여, 실리콘층(2)의 표면에 N++형의 드레인층(10)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DMOS 트랜지스터에서, 게이트 전극(7)에 임계값 이상의 전압을 인가하면,채널 영역 CH가 P형으로부터 N형으로 반전되어, DMOS 트랜지스터는 온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소스층(5)과 드레인층(10)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면,소스층(5)으로부터 실리콘층(2)을 통하여 드레인층(10)에 이르는 소스 드레인 간의 전류 경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DMOS 트랜지스터의 온 저항을 저감하기 위해서, 소스층(5), 보디 전위 설정층(6), 드레인층(10)의 표면에는, Ti(티탄) 실리사이드, Co(코발트) 실리사이드 등의 실리사이드층(11)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서,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에서는,DMOS 트랜지스터의 외부로부터 서지 전류 등에 수반하는 전하가 들어간 경우, 전계 집중이 일어나기 쉽다. 따라서,소스층(5)의 단부는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로부터 후퇴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한,소스층(5) 상의 실리사이드층(11)을 소스층(5)의 단부로부터 보디층(4)의 표면을 따라, 코너부(7A)의 방향으로 연장한 경우에는, 그 연장된 실리사이드층(11)의 부분에 전류가 집중되어, DMOS 트랜지스터의 파괴가 생기기 쉽다. 이것은 실리사이드층(11)이 저저항이며,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에서 는 비교적 전계가 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본 실시 형태에서는,소스층(5) 상의 실리사이드층(11)을 소스층(5)의 단부로부터 밖으로 연장시키지 않도록 구성하였다. 즉, 소스층(5)의 표면에는 실리사이드층(11)을 형성하지만, 소스층(5)과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 사이에 노출된 보디층(4)의 표면에 대해서는, 실리사이드층(11)을 형성하고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전류 집중이 없어져서, 전류는 DMOS 트랜지스터의 전체에 거의 균일하게 흐르게 되기 때문에, DMOS 트랜지스터의 정전 파괴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실리사이드층(11)을 소스층(5)의 밖으로 연장시키지 않기 위한 하나의 방법으로서는, 소스층(5)과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 사이에 노출된 보디층(4)의 표면에 실리콘 산화막 등으로 이루어지는 실리사이드 저지막(12)을 형성하는 것이다(도 1, 도 2를 참조). 본 실시 형태에서는,게이트 전극(7)의 측벽에 측벽 스페이서(13)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실리사이드 저지막(12)은 노출된 보디층(4)의 표면으로부터 측벽 스페이서(13)를 덮어 형성된다.
실리사이드 공정에서는,소스층(5) 및 실리사이드 저지막(12) 상에 Ti 등의 천이 금속이 스퍼터되고, 그 후의 열 처리에 의해 실리사이드 반응을 발생시킨다. 이때, 실리사이드 저지막(12) 상에서는 천이 금속과 실리콘의 접촉이 없으므로, 실리사이드 반응은 생기지 않는다. 실리사이드 저지막(12) 상에 미반응으로 남은 천이 금속막은 에칭액에 의해 선택적으로 제거된다. 이와 같이 하여, 소스층(5)이나 보디 전위 설정층(6) 상에만, 선택적으로 실리사이드층(11)을 형성할 수 있다. 또 한, 게이트 전극(7)에 대해서는, 그 표면은 실리사이드 저지막(12)으로부터 노출해 둠으로써, 게이트 전극(7)의 표면에도 실리사이드층(11)을 동시 형성할 수 있다.
소스층(5)의 단부에서의 전계를 더 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P+형의 전계 완화층(13)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전계 완화층(13)은, 게이트 전극(7)의 내측의 코너부(7A)로부터 후퇴한 상기 소스층(5)의 단부에 인접하고 있으며, 실리콘층(2) 내에 붕소 등의 P+형 불순물을 도입함으로써 형성된다. 더 바람직하게는, 전계 완화층(13)은 게이트 전극(7)이 연장되어 있는 전계 완화 절연막(9)의 하방에 형성된다(도 1, 도 2를 참조).
상기 전계 완화층(13)을 형성한 구성에 의하면, 보디층(4)의 공핍층과 전계 완화층(13)의 공핍층이 일체로 되고, 이 일체화된 공핍층(14)에 의해, 소스층(5)의 단부에서의 전계가 완화됨으로써, 정전 파괴 강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DMOS 트랜지스터의 전극 취출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DMOS 트랜지스터의 전체면은 BPSG 등의 층간 절연막(15)에 의해 덮여져 있으며, 각각 소스층(5), 보디 전위 설정층(6) 상의 층간 절연막(15)에 컨택트홀(16)이 형성되고, 이들 컨택트홀(16)에 텅스텐 등의 금속 포스트(17)가 매립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5)의 표면에, 배리어층(18)을 개재하여 Al-Si-Cu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소스 배선층(19)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소스층(5)과 보디 전위 설정층(6)은 소스 배선층(19)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 결과, 보디층(4)의 전위는, 소스층(5)의 전위와 함께,소스 배선층(19)으로부터 공급되는 소스 전위로 설정되게 된다(도 2 참조).
마찬가지로, 드레인층(10) 상의 층간 절연막(15)에 컨택트홀(20)이 형성되고, 이 컨택트홀(20)에 텅스텐 등의 금속 포스트(21)가 매립된다. 그리고, 층간 절연막(15)의 표면에, 배리어층(22)을 개재하여 Al-Si-Cu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는 드레인 배선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드레인층(10)은 드레인 배선층(2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도 3 참조).
또한,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N 채널형의 DMOS 트랜지스터를 예로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P 채널형의 DMOS 트랜지스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른 DMOS 트랜지스터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X-X선에서의 단면도.
도 3은 도 1의 Y-Y선에서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실리콘 기판
2: 실리콘층
3: 매립층
4: 보디층
5: 소스층
6: 보디 전위 설정층
7: 게이트 전극
8: 게이트 절연막
9: 전계 완화 절연막
10: 드레인층
11: 실리사이드층
12: 실리사이드 저지막
13: 전계 완화층
14: 공핍층
15: 층간 절연막
16, 20: 컨택트홀
17, 21: 금속 포스트
18, 22: 배리어층
19: 소스 배선층
23: 드레인 배선층

Claims (5)

  1.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보디층과,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층과,
    상기 보디층 및 상기 소스층을 둘러싸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 사이에 노출된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상기 실리사이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OS 트랜지스터.
  2. 반도체층과,
    상기 반도체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1 도전형의 보디층과,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소스층과,
    상기 소스층의 표면에 형성된 실리사이드층과,
    상기 보디층 및 상기 소스층을 둘러싸고 링 형상으로 형성된 게이트 전극을 구비하고,
    상기 소스층의 단부는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로부터 후퇴하여 배치되며, 상기 소스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 사이에 노출된 상기 보디층의 표면에 상기 실리사이드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OS 트랜지스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소스층과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 사이에 노출된 상기 보디층의 표면은, 상기 실리사이드층의 형성을 저지하는 실리사이드 저지막에 의해 피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OS 트랜지스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의 내측의 코너부로부터 후퇴한 상기 소스층의 단부에 인접하여 상기 반도체층 내에 제2 도전형의 전계 완화 반도체층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OS 트랜지스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 전극은 게이트 절연막 상으로부터 전계 완화 절연막 상에 연장되고, 상기 전계 완화 반도체층은, 상기 전계 완화 절연막의 하방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DMOS 트랜지스터.
KR1020090034254A 2008-04-21 2009-04-20 Dmos 트랜지스터 KR101008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34254A KR101008783B1 (ko) 2008-04-21 2009-04-20 Dmos 트랜지스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8-109713 2008-04-21
KR1020090034254A KR101008783B1 (ko) 2008-04-21 2009-04-20 Dmos 트랜지스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285A KR20090111285A (ko) 2009-10-26
KR101008783B1 true KR101008783B1 (ko) 2011-01-14

Family

ID=415390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34254A KR101008783B1 (ko) 2008-04-21 2009-04-20 Dmos 트랜지스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878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508A (ja) * 1996-11-11 1998-09-02 Sgs Thomson Microelettronica Spa “スナップ・バック”から保護されたdmosトランジスタ
JP2004039773A (ja) 2002-07-02 2004-02-05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9800A (ja) 2002-08-19 200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33508A (ja) * 1996-11-11 1998-09-02 Sgs Thomson Microelettronica Spa “スナップ・バック”から保護されたdmosトランジスタ
JP2004039773A (ja) 2002-07-02 2004-02-05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4079800A (ja) 2002-08-19 2004-03-11 Mitsubishi Electric Corp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1285A (ko) 2009-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02496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7605040B2 (en) Method of forming high breakdown voltage low on-resistance lateral DMOS transistor
US8004040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20180122799A1 (en) Jfet and ldmos transistor formed using deep diffusion regions
US9099552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748383B2 (en) Transistor
US7898030B2 (en) High-voltage NMOS-transistor and associated production method
US20070212838A1 (en) Methods of performance improvement of HVMOS devices
US11069804B2 (en) Integration of HVLDMOS with shared isolation region
JP5329118B2 (ja) Dmosトランジスタ
JP2010258355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TWI721140B (zh) 半導體裝置以及半導體裝置的製造方法
JP2009152442A (ja)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CN111192917B (zh) 一种横向场效应晶体管
JP4952042B2 (ja) 半導体装置
KR101008783B1 (ko) Dmos 트랜지스터
US8643104B1 (en) Lateral diffusion metal oxide semiconductor transistor structure
US11367788B2 (en) Semiconductor device structure
US20100224933A1 (en) Semiconductor device
JP4423460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334991A (ja) 半導体装置
JP2024017784A (ja) 半導体装置
US20170069624A1 (en) Semiconducto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