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309B1 -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 Google Patents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309B1
KR101007309B1 KR1020080086198A KR20080086198A KR101007309B1 KR 101007309 B1 KR101007309 B1 KR 101007309B1 KR 1020080086198 A KR1020080086198 A KR 1020080086198A KR 20080086198 A KR20080086198 A KR 20080086198A KR 101007309 B1 KR101007309 B1 KR 1010073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water jet
pump body
jet loom
pow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6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7325A (ko
Inventor
이홍묵
Original Assignee
이홍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홍묵 filed Critical 이홍묵
Priority to KR1020080086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309B1/ko
Publication of KR20100027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7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3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3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2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liquid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39/00Pile-fabric looms
    • D03D39/22Terry looms
    • D03D39/226Sley control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5Drive mechanisms
    • D03D47/276Details or arrangement of sprocket wheel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26Picking mechanisms, e.g. for propelling gripper shuttles or dummy shuttles
    • D03D49/28Driving mechanisms for the picker stick
    • D03D49/34Driving mechanisms for the picker stick operated by liquid or gas pressure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9/00Details or constructional features not specially adapted for looms of a particular type
    • D03D49/24Mechanisms for inserting shuttle in shed
    • D03D49/50Miscellaneous devices or arrangements concerning insertion of weft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JAUXILIARY WEAVING APPARATUS; WEAVERS' TOOLS; SHUTTLES
    • D03J1/00Auxiliary apparatus combined with or associated with loo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있어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는 상기 제 2플랜지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될 때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행정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압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는 직물 조직 교체시마다 플랜지를 교체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다양한 폭과 중량의 직물을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으며, 다양한 플랜지의 보관 및 잦은 교체로 인한 작업시간의 지연과 추가적인 생산비용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워터제트룸, 펌프바디, 플랜지, 수압조절, 볼트조립부

Description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Water Pressure-Adjustable Pump Body Apparatus of Water Jet Loom}
본 발명은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있어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는 상기 제 2플랜지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될 때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행정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압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에 관한 것이다.
워터제트 직기(water jet loom)는 직물을 제직하는 직기의 일종으로서 경사 의 직각방향으로 위사(씨실)의 공급을 셔틀을 이용하지 않고, 수압펌프와 노즐을 이용하여 고속으로 분출되는 물을 이용하기 때문에 고 회전에 의한 생산성의 향상과 소음저감의 이유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기를 이용한 직물의 제조는, 종광(heald)의 승강운동에 의해 경사(經絲:warp yarns)들이 교대로 벌려지고, 벌려진 경사 사이로 위사(緯絲:weft yarns)가 위입되어 교차됨과 동시에 바디에 의해 상기 위사를 직물의 조직이 이루어지는 직전까지 치는 동작을 반복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이 때, 위사의 위입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이뤄지는데 그 한 방법으로서, 워터제트방식이 사용된다. 워터제트방식으로 위사를 위입하는 워터제트 직기는 노즐을 통해 물을 분사하고, 이런 고압의 분사수가 위사를 감싼 채 끌고 가면서 경사 사이로 위사를 위입시키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워터제트 직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고정프레임(1a)상에 단일체로 형성된 다수의 축(3)(4)이 장착되어 기어트레인(도시 생략)으로 상호 연동되는 바, 이때 바디축(3)의 수평선상에 바디(3a)를 설치한다. 바디(3a)는 경사(S)의 밀도를 정하여 위사(W)를 투입시 북침(도시 생략)이 통과하는 길잡이가 되고, 구동축(4)의 회동에 의해 일정 구간내에서 왕복운동하며 투입된 위사(W)를 이미 짜여진 직물(F) 내로 밀착하는 공정을 수행한다.
이러한, 워터제트 직기의 고정프레임상(1a)에 장착되는 축(3)(4)은 직물(F)의 최대 제직폭(예컨데, 1600, 2100, 2600mm)에 따라 최소 2000mm이상의 장축으로 제작되고, 650~800rpm으로 고속 회전하는 구동축(3)과 연동하여 바디축(4)이 일정 구간을 왕복 운동함에 따라 제직 중에 축(3)(4)이 휘거나 진동이 발생되는데, 이러한 축(3)(4)의 휨과 진동은 작업속도를 높이거나 고밀도 직물의 제직 시 직기(1)에 많은 부하를 주어 원만한 제직이 불가능할 정도의 장애가 발생된다.
도 2는 종래 워터제트 직기에서 펌프바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로,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워터제트 직기의 펌핑(pumping)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동축(10)에는 원형캠(20)을 편심되게 축삽하며, 상기 원형캠(20) 외연을 연접하는 원형의 캠레버(30)를 설치하고, 상기 캠레버(30)의 일단은 펌프레버(40)와 연결하며, 상기 펌프레버(40)는 고정축(50)에 유동 가능케 축설되어 일측은 펌프로드(60)와 연결되며, 상기 펌프로드(60)는 공지의 펌프(70)의 플랜지(80)와 연결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상기 원동축(10)으로부터 원형캠(20)와 캠레버(30)를 거친 회전운동이 펌프레버(40)와 펌프로드(60) 및 상기 플랜지(실린더에 피스톤을 삽입하여 구비되는)까지의 직선운동(도면상의 화살표 방향으로)으로 전환되어 결과적으로 펌프바디의 다른 측에 물을 펌핑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워터제트 직기는 직물 제직에 있어서, 다양한 폭과 여러 가지 중량의 직물을 한 개의 펌프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플랜지를 보유하였다가 조직 교체시마다 상기 플랜지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게 되는데, 이는 기존 펌프 바디의 플랜지가 일체형으로 주변의 연결부품들과 고정식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수압조절을 위한 행정거리 조정이 적합한 플랜지의 교체 없이는 불가능하고, 이러한 플랜지의 잦은 교체로 인한 작업 시간의 지연과 관련 비용의 증가 또한 간과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예의 노력한 결과, 기존의 워터제트직기에서 수압조절을 위해 교체해야했던 플랜지를 분할 구성하고, 이를 조절함으로써 직물교체시마다 플랜지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다양한 폭과 중량의 직물을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플랜지의 교체 없이, 플랜지의 스크로크를 간단한 조작만으로 조절하여 수압을 조절하는 펌프바디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개구운동된 경사의 개구사이로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있어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는 상기 제 2플랜지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될 때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행정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압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는 직물 조직 교체시마다 플랜지를 교체해야 하는 작업상의 번거로움을 제거하고, 플랜지를 교체함 없이 간단 한 조작만으로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과 중량의 직물을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랜지의 보관 및 잦은 교체로 인한 작업시간의 지연과 추가적인 생산비용의 증가를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개구운동된 경사의 개구사이로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있어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는 상기 제 2플랜지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될 때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행정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압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자세히 도시한 요부상세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워트제트 직기의 수압조절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는 개구운동된 경사의 개구사이로 수압펌프(300)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할 때 동력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400)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100)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110)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100)는 상기 제 2플랜지(110)와 체결수단(200)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상/하로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 1플랜지(100)와 제 2플랜지(110)는 동력부(5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수평 운동하여 수압펌프(300)에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회전 운동하는 상기 동력부(500)와 연결되는 제 1플랜지(100)는 회전 운동을 수평운동으로 전환시켜주는 회동구(400)와 연결된 제 2플랜지와 결합되어 연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2플랜지(110)는 상기 수압펌프(300)에 펌핑력을 전달하는 로드(미부호)와 연결부(미부호)에 의해 연결되어 동력을 제공하게 되는데, 동력부의 동력을 수평운동 즉, 행정운동으로 제공하는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를 통해 행정거리를 일정 간격 변경함으로써 수압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것은 상기 제 1 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수단(200)에 의해 결합되되, 상/하로 위치 변경가능하게 결합한다.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일실시예로 상기 제 2플랜지(110)에 길이방향(장홀)으로 나사홀을 형성하고 상기 체결수단(200)을 볼트를 사용하여 결합함으로써, 제 2플랜지를 상/하 방향으로 위치 를 조절함으로써 수평운동 거리(행정거리)를 변경하게 된다.
즉,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가 수평선상으로 결합되었을 때에는 가장 많은 운동거리가 발생하게 되지만, 수평선상에서 멀어질수록 운동거리가 짧아져 수압펌프에 가해지는 펌핑력을 낮춤으로써 수압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체결수단을 통해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결합을 선택적으로 조절하는 것은 본 발명에 따른 일실시예일 뿐, 공지의 다양한 조절수단을 통해 선택적으로 구성 가능한 것으로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는 해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직물을 제직하는 과정에서 높은 수압이 요구되는 직물 제직을 수행하다가 낮은 수압이 요구되는 직물 제직을 수행할 경우 작업자는 상기 체결수단(200)을 해체한 후에 제 1플랜지(100)를 제 2플랜지로부터 하향 이동시킨 다음, 다시 체결수단을 통해 체결하여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를 견고히 고정한 후, 직물 제직을 수행하게 되면, 하향 이동된 제 1플랜지에 의해 행정거리가 짧아짐에 따라 제 2플랜지와 연결된 수압펌프의 로드가 좀 더 짧은 폭으로 운동하기 때문에 수압을 낮출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고 작용되는 본 발명은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분할 구성한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를 통해 행정거리를 조절하여 수압을 조절함으로써, 다양한 폭과 중량의 직물을 용이하게 제직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플랜지의 보관 및 잦은 교체로 인한 작업시간의 지연과 추가적인 생산비용의 증가를 막을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종래 워터제트직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종래 워터제트직기에서 펌프바디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자세히 도시한 요부상세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제 1플랜지
110 : 제 2플랜지
200 : 체결수단
300 : 펌프
400 : 회동구
500 : 동력부

Claims (2)

  1. 개구운동된 경사의 개구사이로 수압펌프를 이용하여 위사를 위입하여 직물을 제직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에 있어서,
    동력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일정반경을 회전하는 회동구에 의해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하는 플랜지를 제 1플랜지와 연동하는 제 2플랜지로 분할 구성되며,
    상기 제 1플랜지는 상기 제 2플랜지와 체결수단으로 결합되되,
    상기 제 1플랜지가 제 2플랜지에 결합될 때 체결위치를 선택적으로 상/하 조절 가능 하도록 구성하여 상기 동력부의 회전 운동을 수직운동으로 전환될 때 제 1플랜지와 제 2플랜지의 행정거리가 조절됨에 따라 상기 수압펌프의 펌핑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bolt)를 사용하여 조임/해체 조작을 통해 상기 제 1플랜지를 제 2플랜지로부터 상/하로 위치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 장치.
KR1020080086198A 2008-09-02 2008-09-02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KR1010073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98A KR101007309B1 (ko) 2008-09-02 2008-09-02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6198A KR101007309B1 (ko) 2008-09-02 2008-09-02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325A KR20100027325A (ko) 2010-03-11
KR101007309B1 true KR101007309B1 (ko) 2011-01-13

Family

ID=42178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6198A KR101007309B1 (ko) 2008-09-02 2008-09-02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73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485U (ko) 1980-02-08 1981-09-11
JPS5769878U (ko) 1980-10-13 1982-04-27
JP2007100258A (ja) 2005-10-06 2007-04-19 Tsudakoma Corp 水噴射式織機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19485U (ko) 1980-02-08 1981-09-11
JPS5769878U (ko) 1980-10-13 1982-04-27
JP2007100258A (ja) 2005-10-06 2007-04-19 Tsudakoma Corp 水噴射式織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7325A (ko) 2010-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304663C (zh) 用于制造纱罗织物的织机
JP2017101370A (ja) 織機の伝動装置
KR101007309B1 (ko) 워터제트 직기의 수압조절이 가능한 펌프바디장치
CN101532198A (zh) 电子提花装置同步传动机构及电机同步传动方法
JP2975387B2 (ja) 筬の駆動方法及び装置
KR101142453B1 (ko) 크로셰 편직기의 고무사가이드훅 구동장치
JP6269587B2 (ja) パイル織機におけるパイル経糸の開口制御方法
EP1783254B1 (en) Warp yarn weaving device for selvedge formation in weaving looms
KR200419600Y1 (ko) 크로셰 편직기의 가이드훅 구동장치
US20080135122A1 (en) Loom
JP2005517098A (ja) 可変ループ高さを形成するためのテリー製織方法及び同方法の実施のためのテリー織機
KR200444432Y1 (ko) 바이어스 직물 제직용 에어제트직기
KR101007310B1 (ko) 충격감쇄와 원활한 송출을 위한 워터제트 직기의 경사 송출장치
JP2002302841A (ja) レノ織物を製造する装置
CN208791887U (zh) 一种布动起毛装置及布动起毛装置动力机构
JP6820679B2 (ja) テリークロス織機におけるパイル縦糸の張力を調整するための装置
EP1741816A2 (en) Device for driving a weaving frame in a weaving machine and a weaving machine provided with one or several such devices
KR102402821B1 (ko) 직기용 쉐드 형성 모듈
KR200289087Y1 (ko) 워터제트직기용 개구장치
KR102372529B1 (ko) 혁신적인 구동 시스템을 구비하는 자카드 머신
CN215629003U (zh) 一种应用于网布清洗的移动清洗装置
KR20080095938A (ko) 워터 제트 직기의 성타(Beating)각 확대를 위한 록킹샤프트용 크랭크기구
CN210002033U (zh) 双针床电子摆幅控制装置
KR101000400B1 (ko) 워터 제트직기의 바디침 작동기구
KR20220031434A (ko) 워터 수중 제트팩의 제트직기용 개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