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7119B1 -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 Google Patents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7119B1
KR101007119B1 KR1020100096194A KR20100096194A KR101007119B1 KR 101007119 B1 KR101007119 B1 KR 101007119B1 KR 1020100096194 A KR1020100096194 A KR 1020100096194A KR 20100096194 A KR20100096194 A KR 20100096194A KR 101007119 B1 KR101007119 B1 KR 101007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diaphragm
main body
power turbine
st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철
홍선영
이제홍
손영수
Original Assignee
홍선영
김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선영, 김영철 filed Critical 홍선영
Priority to KR1020100096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7119B1/ko
Priority to PCT/KR2010/009057 priority patent/WO201204691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7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7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1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 F16J15/442Free-space packings with floating ring segme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DNON-POSITIVE DISPLACEMENT MACHINES OR ENGINES, e.g. STEAM TURBINES
    • F01D11/00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 F01D11/02Preventing or minimising internal leakage of working-fluid, e.g. between stages by non-contact sealings, e.g. of labyrinth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JPISTONS; CYLINDERS; SEALINGS
    • F16J15/00Sealings
    • F16J15/44Free-space packings
    • F16J15/447Labyrinth packings
    • F16J15/4472Labyrinth packings with axial pa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urbine Rotor Nozzle Sea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인 발전 터빈의 다이어프램용 실은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조되며, 복수개의 회전익이 장착된 로타와 터빈 케이싱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이아프램의 적어도 일부에 링 형상을 갖도록 장착 조립되는 복수개의 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실 유닛은 양단이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접합면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띠 형상의 흐름 억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조립에 의해 링 형상의 실을 형성하는 실 유닛 사이의 접합면의 틈 사이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다이아프램으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대부분이 고정익을 거쳐 회전익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링 형상의 실이 삽입 결합된 내부링과 발전 터빈의 로타축 사이 틈새 및 외부링과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다이아프램으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대부분이 고정익을 거쳐 회전익으로 더욱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A SEAL FOR DIAPHRAGM OF GENERATOR TURBINE}
본 발명은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로타(rotor)의 회전을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발전 터빈에 있어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유도하는 다이어프램(diaphragm)에 장착되어 최적화된 증기 또는 가스 흐름 경로 이외의 불필요한 증기 또는 가스 흐름 경로를 차단하여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한 링(ring) 형상의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seal)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용 터빈은 보일러 등으로부터 생성된 고온 고압의 증기나 가스가 터빈 스톱 밸브(stop valve) 및 컨트롤 밸브(control valve)를 지나 터빈 케이싱 내부로 유입되고, 케이싱 내부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는 다이아프램(diaphragm)을 거쳐 로타에 조립된 회전익(moving blade)을 회전시킴으로써 로타에 의해 발전기가 회전하면서 전력이 얻어진다.
이때 다이아프램은 발전 효율 증대를 위해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최적의 흐름 경로로 이동하도록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유도하여 터빈 로타(Turbine Rotor)에 조립된 회전익을 회전시키는 역할을 하며, 일반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도 10을 참조하여 다이어프램의 전반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다이어프램은 터빈 케이싱에 조립되어 고정되는 외부링(outer-ring, 100)과, 로타 축을 둘러싸는 내부링(Inner web, 200) 및 외부링과 내부링 사이에 마련되어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를 회전익 측으로 흐름을 유도하기 위한 타피션(partition) 타입으로 마련된 고정익(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도 10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금속 재질로 마련되며 링 형상인 실(seal)이 내부링(200)의 내주면에 형성된 실 장착홈(210)에 삽입 장착된다. 이러한 실은 외부링(100)에도 씰 장착홈을 추가로 형성시켜 삽입 장착될 수 있다.
이처럼 실이 내부링(200)의 내주면에 장착되거나 더불어 외부링(100)에 장착되는 이유는 터빈 게이싱 내부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고정익(300)을 통과하여 회전익으로 최대한 많이 유입될 수 있도록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 경로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다. 즉 실이 로타 축과 내부링 사이 및 회전익과 외부링 사이의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 경로를 제한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다이아프램 및 실은 제작의 편의성과 각각 터빈 케이싱 및 다이아프램과의 조립의 편의를 위해 2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유닛(unit)으로 제작된 후 다이아프램 장착홈 및 씰 장착홈(210)에 각각 삽입 결합시켜 최종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조립 창착된다.
이처럼 2등분 이상으로 분할되도록 마련된 다이아프램 유닛 또는 실 유닛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의 중심 즉 원점을 기준으로 정확하게 깊이 방향으로 수직 절단된 상태로 마련된다. 따라서 실 유닛이 상호 조립된 경우 인접한 두 실 유닛의 접합면의 틈 사이로 고압으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일부가 빠져 나가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링 형상의 실이 삽입 결합된 내부링(200)과 로타축 사이 틈새 및 외부링과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로도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일부가 빠져 나가 발전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다이아프램에 단위 조각인 실 유닛이 조립 결합되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의 실을 구성하는 인접 실 유닛 사이의 접합면의 틈 사이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발전 효율이 향상된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링 형상의 실이 삽입 결합된 내부링과 발전 터빈의 로타축 사이 틈새나 외부링과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발전 효율이 더욱 향상된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의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은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조되며, 복수개의 회전익이 장착된 로타와 터빈 케이싱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이아프램의 적어도 일부에 링 형상을 갖도록 장착 조립되는 복수개의 실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실 유닛은 양단이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접합면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띠 형상의 흐름 억제부를 포함한다.
상기 다이아프램은 내부링과 외부링 및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익을 포함하며, 상기 실 유닛은 상기 내부링과 상기 로타 사이의 틈새에 장착 조립된 제1 실 유닛과 상기 외부링과 상기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에 장착 조립된 제 2 실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부는 내주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요홈은 지름이 0.5 내지 30 mm 정도이며 그 깊이는 대략 0.1 내지 15 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요홈은 펀칭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해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접합면의 소정 각도는 5도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흐름 억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증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쪽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톱날띠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의하면, 조립에 의해 링 형상의 실을 형성하는 실 유닛 사이의 접합면의 틈 사이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다이아프램으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대부분이 고정익을 거쳐 회전익으로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의하면, 링 형상의 실이 삽입 결합된 내부링과 발전 터빈의 로타축 사이 틈새나 외부링과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로 유입되어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여 다이아프램으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대부분이 고정익을 거쳐 회전익으로 더욱 유입되도록 함으로써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유리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장착되는 다아이프램 유닛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장착된 다이아프램이 로타축을 감싸도록 발전 터빈의 터빈 케이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부분인 실 유닛 각각의 조립 결합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 유닛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의해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이 방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요부 사시도,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의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측단면도 및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측단면도,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조립 결합되는 일반적인 다이아프램 유닛의 사시도이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사시도, 단면도, 상태도 및 저면도를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대해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장착되는 발전 터빈을 먼저 전체적으로 설명한 후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장착되는 다아이프램 유닛의 요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이 장착된 다이아 프램이 로타축을 감싸도록 발전 터빈의 터빈 케이싱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부분인 실 유닛 각각의 조립 결합이 최종적으로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조립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실 유닛의 사시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의해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이 방해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전 터빈은 로타(20)와 터빈 케이싱(40) 사이에서 터빈 케이싱(40)에 고정 결합 설치되는 복수개의 다이아프램(10)을 포함한다.
다이아프램(10)은 터빈 케이싱(40)의 내면에 접촉 결합되는 외부링(100)과 로타(20)와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내부링(200)을 포함하며, 외부링(100)과 내부링(200) 사이에 증기 또는 가스가 통과하는 소정 간격을 갖도록 파티션 타입으로 마련되어 있는 복수개의 고정익(300)을 포함한다. 다이아프램(10)은 적어도 2등분 이상으로 분리된 다이아프램 유닛(15)이 상호 결합하여 최종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게 된다.
로타(20)에는 터빈 케이싱(40)을 향해 돌출되어 다이아프램(10)의 고정익(300) 사이에 교대로 설치되는 회전익(30)을 고정 결합하는 회전익 결합부(22)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내부링(200)에는 로타(20)와 대면하는 부분에 링 형상의 제1 실(50)을 수용 결합하는 제1 실 장착홈(2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링(100)에는 회전익(30)의 끝단과 대면하는 부분에 링 형상의 제2 실(60)을 수용 결합하는 제2 실 장착홈(110)이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도시된 화살표와 같이 터빈 케이싱(40) 내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대부분은 회전익(30)을 통과하면서 회전익(30)을 회전시키고, 다시 고정익(300)에 의해 다음 회전익(30)으로 유도되어 다음 회전익(30)을 회전시키는 방식으로 유동하면서 최종적으로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각 회전익(30)이 회전하면 회전익(30)에 고정된 로타(20)가 회전을 하게 되면서 발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런데 터빈 케이싱(40) 내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일부는 로타(20)와 내부링(200)의 틈새 및 회전익(30)의 끝단과 외부링(100)의 틈새로 빠져 나가게 되며 이렇게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는 회전익(30)으로 직접 유입이 되지 않기 때문에 발전 효율을 저해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틈새를 메워 틈새로 유입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는 금속 재질의 링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0) 및 제2 실(60)이 각각 제1 실 장착홈(210) 및 제2 실 장착홈(110)에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실(50) 및 제2 실(60)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 실(5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제1 실 유닛(55)이 제1 실 장착홈(210)에 차례대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며, 로타(20)와 내부링(200)의 틈새를 메워 틈새로 유입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한다.
제1 실 유닛(55)은 본체부(510), 장착부(520) 및 흐름 억제부(530)를 포함한다.
본체부(510)는 전체적인 유닛의 골격을 이루며, 장착부(520) 및 흐름 억제부(530)에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본체부(510)의 양 끝단 즉 다른 제1 실 유닛(55)과 상호 접합하는 접합면(512)은 본체부(510)의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소정 각도는 5도 내지 45도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도 각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실 유닛(55)이 상호 조립 결합되어 제1 실(50)을 형성하는 경우라도 인접한 제1 실 유닛(55)의 접합면(512) 사이에는 미세한 틈새(514)가 형성되게 된다. 그런데 접합면(512)이 본체부(510)의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되면, 이 틈새(514)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화살표 방향과 같이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틈새(514) 통과 시간을 지연시키고 통과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따라서 터빈 케이싱(40) 내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 중 틈새를 통과하여 외부로 무의미하게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해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발전 터빈의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여기서 소정 각도를 5도 내지 45도로 제한하는 이유는 5도 보다 작은 경우 본체부(510)의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거의 근접함으로써 틈새(514)의 길이가 너무 짧아져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틈새(514) 통과 시간을 지연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하기 때문이며, 반대로 45도 이상이 되면 인접한 제1 실 유닛(55) 간 접합면(512)의 균일 접합 능력이 떨어져 틈새의 간격이 증대되거나 접합이 어긋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여 오히려 틈새로 유입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장착부(520)는 본체부(5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부를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으며, 제1 실 유닛 장착홈(210)에 장착되어 결합된다.
흐름 억제부(530)는 본체부(510)의 내주면으로부터 내부를 향해 돌출된 복수개의 톱날띠 형상으로 마련되어 있다. 흐름 억제부(530)는 내부링(200)과 로타(20) 사이의 틈새 간격을 좁히고 복잡한 구성을 갖도록 하여 터빈 케이싱(40) 내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 중 틈새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방해하는 차단벽 역할을 수행하고 흐름 억제부(530) 사이에 골을 형성하여 와류를 형성시켜 증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더욱 방해한다.
한편, 제2 실(6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제1 실(50)과 마찬가지로 2등분 이상으로 분할된 복수개의 제2 실 유닛(65)이 제2 실 장착홈(110)에 차례대로 삽입 결합됨으로써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이루며, 회전익(30)의 끝단과 외부링(100)의 틈새를 메워 틈새로 유입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방해한다.
제2 실 유닛(65)도 본체부(610), 장착부(620) 및 흐름 억제부(630)를 포함하며 크기 차이 이외에 그 기능 및 형상은 제1 실 유닛(55)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0) 및 제2 실(60)에 의하면 각 접합면(512, 612)이 본체부(510, 610))의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됨으로써, 틈새(514)의 전체 길이를 인위적으로 길게 하여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틈새(514)를 통과하는 시간을 지체시키고 통과를 더욱 어렵게 만들 수 있다. 이를 통해 터빈 케이싱(40) 내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 중 틈새를 통과하여 외부로 무의미하게 빠져나가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방해할 수 있어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 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대해 도 6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요부사시도이고, 도 7 및 도 8은 각각 도 6의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측단면도 및 저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1)은 제1 실 유닛(56)의 본체부(510)의 내주면에 함몰된 미세한 요홈(515)이 더 형성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0)의 제1 실 유닛(55)과 동일하다.
여기서, 요홈(515)은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와류를 잘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지름이 0.5 내지 30 mm 정도이며 그 깊이는 대략 0.1 내지 15mm 정도이다. 요홈(515)은 날카로운 펀칭기를 이용하여 본체부(510)의 내주면에 압력을 가해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기타 공지의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요홈(515)은 흐름 억제부(530)를 통과하는 증기 또는 가스의 흐름 경로를 더욱 복잡하고 만들고 와류를 더욱 형성시킴으로써 증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더욱 방해하여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제2 실(60)의 제2 실 유닛(65)도 본체부(610)의 내주면에 요홈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에 대해 도 9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과의 차이점을 중심으로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의 측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2)은 제1 실 유닛(57)의 흐름 억제부(530)가 단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아니라 증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쪽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되어 있는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제1 실(50)의 제1 실 유닛(55)과 동일하다.
이와 같이 흐름 억제부(530)가 단면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이 아니라 증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쪽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도록 마련되면 틈새로 유입된 증기 또는 가스가 쉽사리 흐름 억제부(530)를 타고 넘지 못하고 와류를 형성하기 때문에 증기 또는 가스의 이동을 더욱 효율적으로 방해하여 발전 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의 공정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다이아프램 15 : 다이아프램 유닛
20 : 로타 22 : 회전익 결합부
30 : 회전익 40 : 터빈 케이싱
50, 51, 52, 60 : 실 55, 56, 57, 65 : 실 유닛
100 : 외부링 110, 210 : 실 장착홈
200 : 내부링 510 : 본체부
512 : 접합면 514 : 틈새
515 : 요홈 520 : 장착부
530, 532 : 흐름 억제부

Claims (7)

  1. 적어도 이등분 이상으로 분할 제조되며, 복수개의 회전익이 장착된 로타와 터빈 케이싱 사이에 장착되는 복수개의 다이아프램의 적어도 일부에 링 형상을 갖도록 장착 조립되는 복수개의 실 유닛
    을 포함하며,
    상기 실 유닛은,
    양단이 깊이 방향인 수직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를 갖도록 비스듬히 형성된 접합면을 갖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외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장착부, 그리고,
    상기 본체부의 내주면을 향해 돌출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띠 형상의 흐름 억제부
    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는 내주면에 요홈이 형성되어 있는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2. 제1항에서,
    상기 다이아프램은 내부링과 외부링 및 상기 내부링과 상기 외부링 사이에 마련되어 있는 고정익을 포함하며,
    상기 실 유닛은,
    상기 내부링과 상기 로타 사이의 틈새에 장착 조립된 제1 실 유닛과 상기 외부링과 상기 회전익의 끝단 사이의 틈새에 장착 조립된 제 2 실 유닛
    을 포함하는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요홈은 지름이 0.5 내지 30 mm 정도이며 그 깊이는 0.1 내지 15 mm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5. 제1항에서,
    상기 요홈은 펀칭기를 이용하여 압력을 가해 형성시킨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6. 제1항에서,
    상기 접합면의 소정 각도는 5도 내지 45도인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7.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서,
    상기 흐름 억제부는
    상기 본체부에 대해 증기 또는 가스가 유입되는 쪽은 예각 또는 직각을 이루는 톱날띠 형상으로 마련된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KR1020100096194A 2010-10-04 2010-10-04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KR101007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94A KR101007119B1 (ko) 2010-10-04 2010-10-04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PCT/KR2010/009057 WO2012046919A1 (ko) 2010-10-04 2010-12-17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96194A KR101007119B1 (ko) 2010-10-04 2010-10-04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7119B1 true KR101007119B1 (ko) 2011-01-10

Family

ID=43616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96194A KR101007119B1 (ko) 2010-10-04 2010-10-04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007119B1 (ko)
WO (1) WO201204691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2305A (zh) * 2012-11-13 2015-05-27 三菱重工压缩机有限公司 旋转机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63994A (zh) * 2021-10-12 2021-12-31 华能(大连)热电有限责任公司 一种具有高密封性能的汽封器及其组装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7657A (ko) * 1998-03-06 1999-10-25 니시무로 타이죠 축류 터빈용 실링 장치
KR20010013276A (ko) * 1997-06-02 2001-02-26 후버 페. 건식 운전 시스템용 밀봉 부재 및 그 용도
KR20010041447A (ko) * 1998-03-02 2001-05-25 마스다 노부유키 증기 터빈의 밀봉 링
KR20020053035A (ko) * 2000-04-06 2002-07-04 터보케어, 인크. 터빈 및 그와 유사한 회전 장치용의 개선된 브러시 시일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13276A (ko) * 1997-06-02 2001-02-26 후버 페. 건식 운전 시스템용 밀봉 부재 및 그 용도
KR20010041447A (ko) * 1998-03-02 2001-05-25 마스다 노부유키 증기 터빈의 밀봉 링
KR19990077657A (ko) * 1998-03-06 1999-10-25 니시무로 타이죠 축류 터빈용 실링 장치
KR20020053035A (ko) * 2000-04-06 2002-07-04 터보케어, 인크. 터빈 및 그와 유사한 회전 장치용의 개선된 브러시 시일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62305A (zh) * 2012-11-13 2015-05-27 三菱重工压缩机有限公司 旋转机械
EP2899405A4 (en) * 2012-11-13 2015-10-21 Mitsubishi Heavy Ind Compressor Corp ROTATION MACHINE
US10066750B2 (en) 2012-11-13 2018-09-04 Mitsubishi Heavy Industries Compressor Corporation Rotary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046919A1 (ko) 201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44735B2 (ja) シール構造、及び回転機械
US10385714B2 (en) Seal structure and rotary machine
JP5574825B2 (ja) シール構造、これを備えたタービン機械およびこれを備えた発電プラント
US10247025B2 (en) Rotating machine
JP6530918B2 (ja) タービン
KR101695125B1 (ko) 터빈의 다단 실링 구조
JP2012102831A (ja) ラビリンスシール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ターボ機械
WO2014010052A1 (ja) 軸流流体機械
JP2012092829A (ja) シール装置
KR101007119B1 (ko) 발전 터빈의 다이아프램용 실
RU2647170C2 (ru) Лопаточный аппарат и соответствующий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лопаточного аппарата
WO2016121259A1 (ja) タービン
KR101930600B1 (ko) 너트 및 회전 기계
KR101140295B1 (ko) 터빈용 하이브리드 실링장치
KR101695126B1 (ko) 돌기 형상을 이용한 터빈의 실링 강화 구조
JP2019173670A (ja) タービン動翼及び回転機械
US10385711B2 (en) Elastic sheet used for turbine follow-up suspended steam seal belt and steam seal structure thereof
CN103470774A (zh) 一种阶梯形梳齿密封
JP6735605B2 (ja) ガスタービンエンジンの冷却構造
CN105318011A (zh) 一种可以适应转子振动的低泄漏f型交错齿迷宫密封
CN205207690U (zh) 一种可以适应转子振动的低泄漏f型交错齿迷宫密封
WO2021199992A1 (ja) ラビリンスシール及びガスタービン
WO2021199993A1 (ja) ラビリンスシール及びガスタービン
KR20170101953A (ko) 회전 기계
JP2001032948A (ja) 回転流体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