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943B1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 Google Patents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006943B1 KR101006943B1 KR1020040080690A KR20040080690A KR101006943B1 KR 101006943 B1 KR101006943 B1 KR 101006943B1 KR 1020040080690 A KR1020040080690 A KR 1020040080690A KR 20040080690 A KR20040080690 A KR 20040080690A KR 101006943 B1 KR101006943 B1 KR 1010069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lider
- connector
- connector housing
- housing
- locking protrus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 H01R13/6272—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comprising a single latching ar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by mechanical pressure, e.g. spring force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슬라이더에 대한 만족스러운 조립 작업성을 보장하면서 슬라이더의 변위를 충분히 제한하는 것이다.
전후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슬라이더(40)와, 이 슬라이더가 접속 공정에 있어서 암형 하우징(10)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후방으로 이동하는 때에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수형 하우징(20) 내로 조립된다. 수형 하우징(20)에는 슬라이더(40)의 로킹 돌기(47)를 탈출시키기 위한 탈출 홈(37)과, 슬라이더(40)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로킹 돌기(47)와 맞물릴 수 있는 수납부(38)가 마련되어 있다. 각 로킹 돌기(47)에는 슬라이더(40)가 조립될 때에 상기 로킹 돌기(47)가 수납부(38) 위에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하는 안내면(48a)과, 상기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맞물림으로써 슬라이더(40)의 상향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49)가 형성되어 있다. 제한부(49)는 안내면(48a)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암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암형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수형 하우징 및 슬라이더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수형 하우징 및 슬라이더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X-X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수형 하우징 및 슬라이더의 후면도이다.
도 7은 도 3의 Z-Z를 따른 슬라이더 및 수형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8은 슬라이더의 확대된 사시도이다.
도 9는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수형 하우징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슬라이더가 초기 위치에 장착되어 있는 수형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9의 X-X를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수형 하우징에서 초기 위치에 장착된 슬라이더의 상태를 보여주는 영역을 부분적으로 확대한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의 (a) 및 (b)는 두 하우징이 접속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 1 및 도 9의 Y-Y에 따른 단면도와 Z-Z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4의 (a)는 압박부가 피압박부와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9의 Y-Y를 따른 단면도이고, 도 14의 (b)는 두 하우징의 중간 접속 상태를 도시하는 도 1 및 도 9의 Z-Z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도 1 및 도 9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피압박부가 압박부에 의해 압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도 15의 (b)는 도 1 및 도 9의 Z-Z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로크 아암이 로크부와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6의 (a)는 도 1 및 도 9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피압박부가 분리분리 안내부와 접촉 상태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으며, 도 16의 (b)는 도 1 및 도 9의 Z-Z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로크 아암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7의 (a)는 도 1 및 도 9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피압박 아암이 탄성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7의 (b)는 도 1 및 도 9의 Z-Z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로크 아암이 더 탄성 변형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8의 (a)는 도 1 및 도 9의 Y-Y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두 하우징이 적절히 접속되고 슬라이더가 최초 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내고 있고, 도 18의 (b)는 도 1 및 도 9의 Z-Z 선에 따른 단면도로서, 두 하우징이 적절히 접속되고 로크 아암이 로크부와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의 (a)와 (b)는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측단면도이다.
도 20은 종래 기술의 커넥터의 정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암형 하우징(다른 커넥터 하우징)
20 : 수형 하우징(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37 : 탈출 홈
37a: 상부 에지(주연부)
38 ; 수납부
40 : 슬라이더
47 : 로킹 돌기
48a : 안내면
48 : 제한부
S : 압축 코일 스프링(편향 수단)
본 발명은 부분 접속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체의 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분 접속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커넥터의 일례가 일본 공개 특허 공보 2002-246110호로부터 알려져 있다. 도 19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커넥터는 상대 수형 하우징(1)의 리셉터클(1a) 내로 끼워질 수 있는 암형 하우징(2)과, 상기 암형 하우징(2)의 상부면과 슬라이드 접촉되게 유지되어 있는 상태로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조립되는 슬라이더(3)와, 상기 슬라이더(3)와 상기 암형 하우징(2) 사이에서 압착되는 상태로 장착되는 압축 코일 스프링(4)을 포함한다. 상기 두 하우징(1, 2)이 접속되는 때에, 상기 슬라이더(3)는 상기 수형 하우징(1)에 의해 후방으로 압박되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4)은 후방으로 이동하는 상기 슬라이더(3)에 의해 탄성적으로 압축되어 상기 두 하우징(1, 2)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한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1, 2)이 부분적으로만 접속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속 동작이 중단되는 경우에는,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4)에 축적된 편향력이 해제되어 상기 두 하우징(1, 2)을 강제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두개의 하우징(1, 2)이 부분적으로만 접속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암형 하우징(2)에는 상기 슬라이더(3)의 상부면과 슬라이딩 접촉하여 유지될 수 있는 제한부(5)가 마련되어, 상기 슬라이더(3)가 상향 변위되는 것, 즉 상승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상기 슬라이더(3)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암형 하우징(2) 위에 마련되는 수납부(7)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돌기(6)가 슬라이더(3)에 구비되어, 조립 상태에서 전방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로킹 돌기(6)의 후면에 경사 안내면(도시 생략)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로킹 돌기(6)는 슬라이더(3)가 전방으로부터 암형 하우징(2) 내로 장착될 때에 상기 수납부(7) 위에서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고, 이로써 우수한 조립 작업성이 제공된다. 조립된 상태에서, 상기 로킹 돌기(6)는 상기 수납부(7) 후방에 형성된 탈출 홈(8) 내로 탈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전술한 커넥터의 높이를 감소시키는 것이 요구되는 경우에, 상기 제한부(5)를 생략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그와 같은 경우에, 상기 로킹 돌기(6)는 상기 탈출 홈(8)의 상부 에지와 맞물려서 상기 슬라이더(3)의 변위를 방지한다. 그러 나, 상기 로킹 돌기(6)에는 전술한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탈출 홈(8)과의 맞물림 영역이 상응하게 감소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더(3)의 변위를 충분히 제한하지 못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피하기 위해 상기 로킹 돌기(6)를 확대할 수 있으나, 이는 조립 작업성을 악화시키기 때문에 현실적이지 못하다. 이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알려져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 조립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커넥터, 청구항 8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 및 청구항 9에 따른 조립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항의 주제이다.
따라서, 슬라이더에 대해 만족할만한 조립 작업성을 보장하면서도 슬라이더의 변위를 충분히 제한하여, 결과적으로 조립 작업의 전체적인 성능이 향상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 내에 또는 그 위에 조립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편향 부재를 구비하는 커넥터가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더와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돌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홈(escape groove)과, 상기 로킹 돌기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빠져나가지 않게 슬라이더를 유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돌기에는 슬라이더가 조립될 때 로킹 돌기가 상기 수납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탈출 홈의 주연부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한부는 안내면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수납부 위에서의 로킹 돌기의 이동은 슬라이더를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내로 조립할 때에 안내면에 의해 안내되기 때문에, 조립 작업성이 보다 우수해진다. 조립 상태에서, 로킹 돌기는 탈출 홈 내로 탈출하도록 되어 있고 수납부와 맞물리며, 이로써 슬라이더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되어 있는 때에, 편향 수단은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압박되어 두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한다. 따라서, 접속 작업이 중간에 중단된 경우에, 편향 수단에 축적된 편향력은 해제되어 두 커넥터를 강제로 분리시킨다. 따라서, 상기 두 하우징(1, 2)이 부분적으로만 접속된 상태로 남겨지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편향 수단의 일단을 지지하는 슬라이더는 이동하게 되어, 편향 부재의 편향력을 해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로킹 돌기는 안내면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는 제한부를 구비하고, 탈출 홈의 연부와 맞물려서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의 변위를 제한한다. 따라서, 탈출 홈과 로킹 돌기의 맞물림 영역은 제한부가 안내면으로부터 팽출하는 크기만큼 증가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의 변위는 충분히 제한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면을 제공함으로써 만족스러운 조립 작업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편향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는 때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의 편향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로 맞물릴 수 있는 한 쌍의 커넥터 하우징과,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내로 조립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와,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어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다른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편향 부재
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제공되며,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편향 수단의 일단을 지지하고, 상기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는 때에 이동할 수 있어서, 상기 편향 수단의 편향력을 해제하고,
상기 슬라이더와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돌기를 탈출시킬 수 있는 탈출 홈과, 상기 로킹 돌기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빠져나가지 않게 슬라이더를 유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돌기에는 슬라이더가 조립될 때 로킹 돌기가 상기 수납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탈출 홈의 주연부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한부는 안내면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서로 적절하게 접속된 두 커넥터 하우징을 상호 맞물리게 하는 인터로킹 수단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의 일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한부는 상기 하나의 커넥터 하우징의 장착면과 반대쪽에 있는 로킹 돌기의 측부에 제공된다.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하나의 커넥팅 하우징의 장착면과 반대쪽을 향하여 이동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상기 슬라이더의 변위는 상기 장착면과 반대쪽에 있는 상기 로킹 돌기의 측부에 제한부를 마련함으로써 확실하게 제한될 수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슬라이더는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접속될 때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마련되는 하나 이상의 개별적인 압박부에 의하여 압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피압박부를 포함한다.
더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압박부에는 돌출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박부는 실질적으로 이와 대응되는 경사면을 가진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넥터 하우징 및/또는 슬라이더는 두 커넥터 하우징이 실질적으로 적절하게 접속된 때에 또는 그 이전에 상기 피압박부와 압박부의 해제를 안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분리 안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 또는 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와 서로 접속될 수 있는 상대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가 또한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커넥터 조립체를 조립하거나 장착하기 위한 조립 및 장착 방법이 또한 제공되는데, 특히 본 발명 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과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하우징을 제공하는 단계와,
두 커넥터 하우징의 접속 및 분리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를 커넥터 하우징의 내부에 또는 그 위에 조립하는 단계와,
두 커넥터 하우징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편향 부재를 커넥터 하우징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와 커넥터 하우징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돌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시킬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탈출 홈과, 상기 로킹 돌기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가 빠져나가지 않게 슬라이더를 유지하는 수납부를 구비하며,
상기 로킹 돌기에는 슬라이더가 조립될 때 로킹 돌기가 상기 수납부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탈출 홈의 주연부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한부는 안내면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편향 부재의 일단을 지지하고, 두 커넥터 하우징이 적절하게 접속되는 때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의 편향력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해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들 및 다른 목적과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읽음으로써 보다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를 개별적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들 실시예의 단일의 특징이 추가의 실시예에 조합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슬라이더(40)와 (바람직한 편향 부재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암형 커넥터 하우징〔10, 이하, '암형(female) 하우징'이라 칭함〕과 접속 가능한 수형 커넥터 하우징〔20, 이하, '수형(male) 하우징'이라 칭함〕 내에 또는 수형 하우징 자체에 또는 수형 하우징 위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된다. 이하의 설명에서, 두 하우징(10, 20)이 맞물리는 쪽을 정면이라 부르고, 수직 방향에 대해서는 도 4, 도 5, 도 10 및 도 11을 제외한 모든 도면을 참조한다.
암형 하우징(1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제조되고, 실질적으로 대략 블록의 형태로 제조되며, 여기서 암형 단자 피팅(11)이 삽입 측, 바람직하게는 뒤쪽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1개 이상(예컨대 3개)의 공동(12)이 폭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란히 배치되어 암형 하우징(10)에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암형 단자 피팅(11)은 수형 단자 피팅(25)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태인) 주요부(11a)와, 바람직하게는 와이어(W)의 단부와 접속되는 (바람직하게는 접속 시에 수축되거나 구부러지거나 접히는) 배럴(11b)을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주요부(11a)와 배럴 부분(11b)은 차례대로 결합된다. 전단부가 개방된 로킹 홈(12a)이 각각의 공동(12)의 측방향 (천장) 표면에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절단 및 굽힘에 의해 주요부(11a)의 측방향 (위쪽) 벽에 형성된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캔티레버 형태의) 로크부(11c)는 로킹 홈(12a)의 뒤쪽 표면과 맞물릴 수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3)이 각각의 공동(12)을 가로지르도록 암형 하우징(10)의 측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종방향 중간인)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고, 암형 단자 피팅(11)을 로킹하는 리테이너(14)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내부에 장착될 수 있다. 리테이너(14)는, 단자 피팅(11)을 암형 커넥터 하우징(10)에 삽입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이나, 실질적으로 폭 방향을 따라, 부분 로킹 또는 암형 단자 피팅(11)의 삽입과 인출이 허용되는 (도시하지 않은) 제1 위치와 완전 로킹 또는 리테이너(14)가 주요부(11a) (바람직하게는 그 후단부)에서 턱 부분(11d)과 맞물리는 제2 위치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리테이너 장착 구멍(13)은 암형 하우징(10)의 위쪽 표면에서 개방되어 있지만, 암형 하우징(10)은 리테이너 장착 구멍(13)의 전후 에지를 가교하거나 그에 인접하게 마련되는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보강부(15)를 마련함으로써 보강된다(도 2 또는 도 13a 참조).
1개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압박부(16)가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상부) 표면에서 전방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보강부(15)에 마주하거나 이에 상응하는 위치로 돌출되어 있다. 압박부(16)는 수형 하우징(20)의 슬라이더(40)의 피압박부(46)를 압박하거나 맞물리거나 상호 작용할 수 있고, 그 전단부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암형 하우징(10)의 전단부로부터 약간 후퇴하여 있다. 압박부(16)와 보강부(15) 사이에는 피압박부(46)를 탈출시키기 위한 공간이 마련되어 있다. 피압박부(46)를 압박하는 표면인 각각의 압박부(16)의 전방 표면(16a)은 바람직하게 상방 또는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돌출되거나 잘려진 표면인 반면에, (예컨대, 도 13을 참조하면) 그 후방 표면(16b)은 전방을 향해 상방 또는 외측을 향해 기울어진 경사면이다. 수형 하우징(20)의 로크 아암(31)과 맞물릴 수 있는 로크부(17)는 바람직하게는 보강부(15)와 압박부(16) 사이에서 암형 하우징(10)의 측방향 (상부) 표면의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앙 위치인) 중간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로크부(17)의 전방 표면(17a)은 로크 아암(31)의 로크부(17) 위에서의 이동을 안내하도록 후방을 향하여 상방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다. 로크 아암(31)과 맞물릴 수 있는 로크 표면으로서 작용하는 로크부(17)의 후방 표면(17b)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선형 수직 표면이다. 도 1에 도시된 중간 및 우측 공동(12)의 아래에 있는 암형 하우징(10)의 전방 표면에는, 수형 하우징(20)의 단락 단자(27)의 탄성 접촉편(27a)의 적어도 부분적인 도입을 허용하기 위한 해제 홈(18)이 전향 및/또는 하향 개방되게 형성되어 있다. 탄성 접촉편(27a)은 해제 홈(18)의 연부에 의해 밀려 올라갈 수 있다.
수형 하우징(20)은 예컨대 합성 수지로 만들어지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형 단자 피팅(25)과 단락 단자(27)를 수용하는 단자 수용부(21)와, 암형 하우징(10)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끼워질 수 있는 것으로서 단자 수용부(21)의 전방에 맞물리거나 이것에 합체되거나 일체인 리셉터클(22), 그리고 이 리셉터클(22)과 단자 수용부(21)의 상부 또는 외측에 마련되어 슬라이더(40)와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되는 도 3 내지 도 8 및 도 13에 도시된 것과 같은 부분적인 접속을 방지하는 부분 접속 방지 유닛 조립부(23)가 마련되어 있다. 도시하지 않은 브래킷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1개 이상의 브래킷부(24)가 단자 수용부(21), 리셉터클(22) 및 조립부(23)의 좌측 표면에 마련되어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단자 피팅(25)이 삽입측,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는 1개 이상(바람직하게는 3개)의 공동(26)이 단자 수용부(21)에 폭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각각의 수형 단자 피팅(25)에는 암형 단자 피팅(11)과 전기적으로 접속 가능한 탭(25a),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박스 형태인) 주요부(25b),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전방측으로부터 그 순서대로 와이어(W)의 단부와 (바람직하게는 수축되거나 굴곡되거나 접혀서) 접속되는 배럴 부분(25c)을 포함하는 와이어 접속부가 포함되어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단락 단자(27)를 수용하는 단락 단자 수용 챔버(28)가 바 람직하게는 단자 수용부(21) 내에서 도 3의 중간 및 좌측의 공동(26) 아래에 마련되어 옆으로 개방되어 있다. 단락 단자(2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리셉터클(22) 내로 돌출될 수 있고 탭(25a)의 (바람직하게는 하측 표면인) 접촉면과 탄성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2개 이상의 탄성 접촉편(27a)을 갖추고 있고, 따라서 상응하는 2개 이상의 수형 단자 피팅(25)을 단락시킬 수 있다. 각각의 공동(26)에는 상응하는 주요부(25b)의 각각의 로크부(25d)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홈(26a)이 형성되어 있고, 단자 수용부(21)에는 주요부(25b)의 턱 부분(25e)을 로킹하기 위한 리테이너(2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장착될 수 있는 리테이너 장착 구멍(30)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은 암형 하우징(10)의 그것과 유사한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3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셉터클(22)은 실질적으로 개방 전단부를 갖는 직사각형 튜브 형태가 바람직하며, 캔티레버 형태가 바람직한 로크 아암(31)은 특정의 (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범위에 걸쳐 리셉터클(22)의 상부를 절단함으로써 마련된다. 로크 아암(31)은 실질적으로 리셉터클(22)의 폭 방향 중간부에 마련되며, 베이스 단부 위치〔단자 수납부(21)의 전단부〕를 지지점으로 하는 수직 방향〔두 하우징(10, 2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다. 상기 전단부에 로킹 클로(locking claw; 32a)를 남겨둔 상태에서 로킹 개방 후단부를 갖는 홈(31a)이 로크 아암(31)의 하부 또는 내부면에 형성되어 있다. 로킹 클로(32)는 후방 표면(32a)과 로크부(17)의 후방 표면(17b)의 맞물림에 의하여 접속된 두 하우징(10, 20)을 유지할 수 있다. 로킹 클로(32)의 후방 표면(32a)이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이기 때문에, 로크 아암(31)은 특정의 (예정되어 있거나 예정 가능한) 세기 또는 그보다 큰 힘이 연결 상태로 로킹된 두 하우징(10, 20)을 분리시키도록 작용하면 자동적으로 로킹 상태를 해제하면서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환언하면, 로크 아암(31)과 로크부(17)를 로킹하기 위한 구조는 소위 세미-로킹 구조를 취한다. 로킹 클로(32)의 전방 표면(32b)은 로크부(17) 상에서의 로크 아암(31)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하여 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경사지거나 외측으로 경사진 경사면으로 변형된다.
리셉터클(22)(도 9 참조)을 절단하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로크 아암(31)을 형성할 때, 하나 이상의 슬라이더(40)의 피압박 아암(45)이 로크 아암(31)의 양 측면 사이에 존재하는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한다. 로크 아암(31)(도 13a 참조)의 양 측면에서 실질적으로 단자 수납부(21)의 상부 에지의 위치에는 피압박 아암(45)과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분리 안내부(33)가 마련되어 있다. 분리 안내부(33) 각각은 후방을 향하여 상방으로 또는 외측으로 경사진 표면을 갖는 테이퍼부이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슬라이더(40)가 후방으로 이동할 때(도 17a 참조) 피압박 아암(45)이 탄성적으로 변형되도록, 대응하는 피압박 아암(45)을 안내할 수 있다. 또한, 탄성 접촉편(27a)이 탄성적으로 변형될 때 탄성 접촉편(27a)의 선행 단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시키기 위한 탈출 리세스(34)가 리셉터클(22)의 내부 저면에 형성되어 있다.
부분 접속 방지 유닛 조립부(23)는 단자 수납부(21)와 리셉터클(22)의 측방 향 (상부) 표면으로부터 직립하거나 돌출하고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측벽(35),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대향 측벽(35)의 후방 단부를 결합시키는 후방 벽(36)으로 구성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S)과 슬라이더(40)는 조립측으로부터,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부터, 측벽(35) 및/또는 후방 벽(36)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이거나 보호되는 공간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될 수 있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S)은 후방 벽(36)에 의하여 수납되는 후단부,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후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가능한 스프링 유지부(36a), 그리고 후방 벽(36)의 전방 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후방 절반부의 외부면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에워싸는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스프링 보호벽(36b)(도 3 참조)을 구비함으로써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스프링 보호벽(36b)보다 상당히 길고 슬라이더(40)의 상부면을 가압하거나 그에 맞물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가압부(35a)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향 측벽(35)의 후단부의 상부 단부로부터 바람직하게는 내측으로 팽출한다.
도 3,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하는 슬라이더(40)의 로킹 돌기(4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시키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탈출 홈(37)이 측벽(35)의 대향하는 표면(내부면)에 후방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로킹 돌기(47)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납부(38)는 탈출 홈(37)의 전단부 위치 부근에서 돌출한다. 수납부(38)의 높이는 탈출 홈(37)의 높이보다 작으며(바람직하게는, 약 2/3), 그 하단부는 탈출 홈(37)의 저부 에지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수납부(38)의 상부면 사이에는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간극〔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제한부(49)와 거의 동일한 높이임〕이 형성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 측면에서 각각의 수납부(38)의 약 절반 미만, 바람직하게는 약 1/3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 형태인 반면, 전방 측면에서 각 수납부의 약 절반 이상, 바람직하게는 약 2/3는 전단부를 향하여 내측으로 그다지 돌출하지 않는 실질적으로 삼각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각 수납부(38)의 전방 표면은 경사면이며, 이 경사면은 후술하는 로킹 돌기(47)를 탈출 홈(37) 내로 진입시키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38a)으로 작용한다. 수납부(38)의 안내면(38a) 사이의 간격은 후단부로부터 전단부를 향하여 점진적으로 넓어진다. 로킹 돌기(47)와 맞물릴 수 있는 로킹 표면으로 작용하는 각 수납부(38)의 후방 표면(38b)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방향 및/또는 폭 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직선인 표면이다. 대향 측벽(35)의 후방 절반부는 실질적으로 슬라이더(40)와 동일한 높이가 되도록 전방 절반부보다 약간 높게 형성된다.
슬라이더(40)는 예를 들면 합성 수지로 제조되며,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 또는 접속 및 분리 방향(CSD)〕을 따라 연장되는 평탄한 플레이트 형태인 슬라이더 본체(41)를 구비한다. 조립부(23)에 장착되는 동안, 슬라이더(40)는 실질적으로 전후 방향〔하우징(10, 20)의 결합 및 분리 방향(CS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실질적으로 측벽(35)의 내부면 및/또는 단자 수납부(21) 및 리셉터클(22)〔로크 아암(31)〕의 상 부면 또는 외부면과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유지된다.
슬라이더 본체(41)의 폭은 실질적으로 측벽(35)의 내부면 사이의 간격과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약간 짧게 설정된다. 실질적인 계단 형상부를 형성하기 위하여 하방으로 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팽출부(42)가 슬라이더 본체(41)의 하부면의 전방측에 있는 중간부(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폭 방향 중간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은 팽출부의 앞에 로크 아암(31)의 탄성 변형을 허용하기 위한 허용 공간을 형성한다(도 16의 (b) 참조). 팽출부(42)의 하부면 또는 내부면은 실질적으로 슬라이더(40)의 조립 상태에서 로크 아암(31) 및 단자 수납부(21)의 상부면 또는 외부면과 접촉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슬라이더(40)를 외측으로부터 당기거나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43)가 슬라이더 본체(41)의 상부면의 후방부(바람직하게는 후방 절반부)에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슬라이더(40)의 조립 상태에서 측벽(35)의 상단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로 상방 또는 외측으로 돌출한다. 도 4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는 절단하거나 오목하게 함으로써 작동부(43)의 대향 측면 가장자리에 하나 이상의 탈출부(43a)를 형성하며, 수형 하우징(20)의 각각의 가압부(35a)는 탈출부(43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할 수 있다. 수형 하우징(20)의 스프링 보호벽(36b)을 탈출시키기 위한 보호벽 탈출부(44)가 도 6 및 도 1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깊이를 갖도록 슬라이더 본체(41), 팽출부(42) 및 작동부(43)의 후방 표면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벽 탈출부(44)의 이면(후방면)은 압축 코일 스프링(S)의 전단부를 수용 하거나 그에 맞물림으로써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압축 코일 스프링(S)의 전단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스프링 유지부(44a)는 이 이면으로부터 돌출한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피압박 아암(45)은 슬라이더 본체(41)의 하부면의 전단부의 양 측면〔융기부(42)의 양측면 지점〕으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피압박 아암(45)은 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 연장하는 캔티레버 형태이고, 지지점으로서의 기단부(전단부)와 함께 수직 방향으로〔또는 접속 및 분리 방향(CSD)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할 수 있다. 양 피압박 아암(45)의 내면 사이의 간격은 실질적으로 로크 아암(31)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크게 설정된다. 실질적으로 후크형의 피압박부(46)는 피압박 아암(45)의 전단부(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또는 내측을 향해 돌출한다. 도 1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암형 하우징(10)의 대응하는 압박부(16)에 의해 맞물리거나 및/또는 압박될 수 있는 각 피압박부(46)의 전방면(46a)은 압박부(16)의 전방면(16a)과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돌출 표면 또는 절결 표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피압박부(46)는 압박부(16)에 의해 확실하게 압박될 수 있다. 수형 하우징(20)의 대응하는 분리 안내부(33)와 맞물릴 수 있는 각 피압박부(46)의 후방면(46b)은 분리 안내부(33)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정합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이로써 슬라이더(40)가 후방을 향해 이동할 때 피압박부(46)가 분리 안내부(33) 상에서 원활하게 이동하여 피압박 아암(45)을 탄성 변형시킨다.
슬라이더(40)가 부분 접속 방지 유닛 조립부(23)로 조립되는 초기 위치에서, 슬라이더(40)의 전단부 위치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형 하우징(20)의 전단부 위치와 실질적으로 정렬되고, 팽출부(42)가 로크 아암(31) 상부의 변형 공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실질적으로 폐쇄하도록 배치됨으로써, 로크 아암(31)의 탄성 변형을 방지한다. 이 초기 위치에서, 가압부(35a)의 전단부는 슬라이더(40)의 양 탈출부(43a)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여 슬라이더(40; 도 10 참조)의 후단부를 가압한다. 또한, 보호벽(36b)의 전단부는 보호벽 탈출부(44)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스프링 보호벽(36b) 및 보호벽 탈출부(44)의 주변 에지(도 11 및 도 13의 (b) 참조)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이고,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전체 길이에 걸쳐 덮인다. 또한, 이 초기 위치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S)은 바람직하게는 약간 탄성 압축되어 초기 위치로부터 슬라이더(40)의 후방 요동 운동을 억제한다.
슬라이더(40)가 이 초기 위치에서 조립된 경우에, 슬라이더(40)의 양 피압박 아암(45)의 외측면으로부터 옆으로 돌출하는 로킹 돌기(47)는 도 11에 도시된 수형 하우징(20)의 수용부(38)와 맞물림으로써, 슬라이더(40)는 초기 위치로부터 전방을 향해 빠져나가지 않게 유지될 수 있다. 대응하는 수용부(38)의 후방면(38b)과 맞물릴 수 있는 로킹면인 각 로킹 돌기(47)의 전방면(47a)은 전체 높이에 걸쳐 수직 방향 직립면이다.
도 3,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로킹 돌기(47)의 전체 높이는 암형 하우징(10)의 탈출 홈(37)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약간 작게 설정되고, 로킹 돌기(47)의 약 절반 이상(바람직하게는 하측으로 약 2/3)이 바람직하게는 수용부(38)의 높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 조립용 안내부(48)로서 작용하고, 로킹 돌출부의 약 절반 미만(바람직하게는 상측으로 약 1/3)이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맞물릴 수 있는 제한부(49)로서 작용한다. 환언하면, 상기 제한부(49)는 슬라이더(40)가 장착되는 수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과 실질적으로 대향하는 로킹 돌기(47)의 측면에 마련되어 있다. 또한, 로킹 돌기(47)의 측방향 돌출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탈출 홈(37)의 깊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설정되고, 로킹 돌기(47)의 전체 길이는 슬라이더(40)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작동력이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기준값 또는 그보다 작은 값을 취하도록 설정된다.
각 조립용 안내부(48)의 약 절반 미만(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 약 1/3)이 실질적으로 직육면체의 형태인 반면에, 안내부의 약 절반 이상(바람직하게는 후방으로 약 2/3)은 후단부를 향해 점진적으로 작아지게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거의 삼각형 수평 횡단면을 갖는다. 따라서, 조립용 안내부(48)의 후방면은 경사면이다. 조립용 안내부(48)의 후방면은 슬라이더(40)가 조립될 때 수용부(38)의 안내면(38a)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게 되고, 이로써 로킹 돌기(47)를 수용부(38) 위에서 이동하도록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48a)으로서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슬라이더(40)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작동력이 저감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안내면(48a) 사이의 간격은 전단부로부터 후단부를 향해 점차 좁아진다.
각 제한부(49)는 바람직하게는 전체적으로 거의 직육면체의 형태이고, 안내면(48a)보다 더 외측을 향해 팽출되어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제한 부(49)의 상부면(49a)은 슬라이더(40)의 조립시에 대응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맞물릴 수 있으며, 이로써 슬라이더(40)의 상방〔슬라이더(40)의 이동 방향(MD)과 교차하는 방향〕 변위를 제한한다. 각 제한부(49)의 상부면(49a)은 평면도로 보아 거의 삼각형이고, 그 면적은 바람직하게는 제한부(49)가 안내면(48a)으로부터 팽출된 만큼 조립용 안내면(48)의 하부면보다 크다. 각 제한부(49)의 후방면은 경사면이 아니고 수직 방향 선형 표면이지만, 슬라이더(40)를 조립할 때 수용부(38)와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 사이의 간극을 통과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슬라이더(40)를 조립하는 데 필요한 작동력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는다.
이어서, 이에 따라 구성된 이 실시예의 작용에 관해 설명한다. 수형 커넥터를 조립할 때, 각 수형 단자 피팅(25), 단락 단자(27) 및 리테이너(29)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형 하우징(20) 내에 장착되는 반면에, 압축 코일 스프링(S)과 슬라이더(40)는 조립 측면, 바람직하게는 전방으로부터 부분 접속 방지 유닛 조립부(23)로 연속적으로 조립된다.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스프링 보호벽(36b)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면, 스프링 유지부(32a)가 도 5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후단부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슬라이더(40)가 조립되면, 양 피압박 아암(45)은 로크 아암(31)의 양 측면에 있는 공간 내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진입하고, 팽출부(42)는 로크 아암(31)의 상부면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더(40)가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예정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면, 로킹 돌기(47)의 안내면(48a)은 수용부(38)의 안내면(38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슬라이더(40)가 이 상태에서 이동 방향(MD) 으로 또는 더욱 후방으로 이동하면, 안내면(38a, 48a)이 서로 거의 슬라이드 접촉 상태로 유지됨으로써, 로킹 돌기(47)는 수용부(38) 위에서 이동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 홈(37)으로 진입하고 슬라이더(40)는 초기 위치에 도달한다. 이 때의 작용력은 안내면이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비해 작다. 이 때,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돌기(47)의 전방면(47a)은 수납부(38)의 후방면(38b)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슬라이더(40)가 초기 위치에서 더 전진하지 못하게 하는 방식으로 슬라이더(40)를 유지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S)을 슬라이더(40)에 조립한 후, 이들을 조립부(23)에 동시에 조립할 수 있다. 한편, 암형 커넥터도 조립된다.
이어서, 두 하우징(10, 20)을 접속하는 작업을 설명한다. 암형 하우징(10)이 도 13에 도시된 상태로부터 수형 하우징(20)의 리셉터클(22)에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또는 예정 가능한) 깊이까지 끼워질 때, 압박부(16)의 전방면(16a)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압박부(46)의 전방면(46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된다. 이 단계에서, 단자 피팅(11, 25)의 접촉은 아직 개시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로부터 접속이 진행될 때, 피압박부(46)는 압박부(16)에 의해 압박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40)는 초기 위치로부터 이동 방향(MD)으로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며 압축 코일 스프링(S)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향력을 축적하면서 탄성 압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단자 피팅(11, 25)의 접촉이 개시되고, 팽출부(42)는 로크 아암(31)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부터 후방으로 후퇴된다.
이러한 접속 작업은, 예컨대 두 하우징(10, 20)이 적절하게 접속된 것으로 작업자가 오해하는 것 등으로 인해 중간에 중단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금까지 압축 코일 스프링(S)에 축적되어 있던 편향력이 해제되고, 전방을 향해 편향되어 있던 슬라이더(40)의 피압박부(46)는 압박부(16)를 뒤로 압박하여, 두 하우징(10, 20)을 강제로 분리시킨다. 이러한 방식으로, 두 하우징(10, 20)이 부분 접속된 상태로 남아 있는 상황이 회피될 수 있다.
로크 아암(31)의 로킹 클로(32)의 전방면(32b)이 로크부(17)의 전방면(17a)과 실질적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15의 (b) 참조) 접속이 더 진행되는 경우, 로크 아암(31)은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크부(17) 상에서 이동하면서 상향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압박부(46)의 후방면(46b)은 분리 안내부(33)와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는 상태로 유지되고, 이에 의해 피압박부(46)는 분리 안내부(33) 상에서 이동하며 피압박 아암(45)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방 또는 외측으로(압박 상태를 해제하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피압박부(46)는 상기 접속 과정으로 상방 또는 외측으로 변위되므로, 압박부(16)와의 접촉 면적이 점차 감소한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단락 단자(27)의 탄성 접촉편(27a)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암형 하우징(10)의 해제 홈(18)에 들어가 상기 해제 홈(18)의 주연부에 의해 하방 또는 외측으로 압박되고, 이에 의해 상기 탄성 접촉편은 탭(25a)으로부터 멀리 떨어지거나 서서히 분리되어 2개의 수형 단자 피팅(25)의 단락 상태를 해제시킨다.
두 하우징(10, 20)이 적절한 깊이로 접속되는 경우, 로크 아암(31)의 로킹 클로(32)는 로크부(17) 위에서 이동하고, 로크 아암(3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탄성 복원되어 도 18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킹 클로(32)의 후방면(32a)을 로크부(17)의 후방면(17b)과 실질적으로 맞물리게 한다. 이 때, 로크 아암(31)은 팽출부(42) 전방에 있는 공간으로부터 완전히 후퇴된다. 다른 한편으로, 두 하우징(10, 20)이 적절히 접속되는 경우, 슬라이더(40)는 피압박부(46)가 압박부(16)로부터 해제되어(압박 상태 해제 위치) 상기 압박 상태로부터 완전히 해방되는 위치에 도달한다. 따라서, 슬라이더(40)는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MD)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S)의 편향력은 슬라이더(40)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도록 해제된다. 슬라이더(40)가 초기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로킹 돌기(47)는 수납부(38)와 실질적으로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40)는 더 전진할 수 없게 된다. 이와 같이 적절히 접속된 상태에서, 팽출부(42)는 로크 아암(31) 위에(즉, 로크 아암의 변형측에) 위치하고, 이에 의해 로크 아암(31)의 탄성 변형이 방지된다. 또한, 피압박부(46)는 압박부(16)와 보강부(15) 사이에 있는 간극 안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그 본래의 상태로 복원된다.
두 하우징(10, 20)은 유지 보수 또는 그 밖의 이유로 분리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슬라이더(40)의 작동부(43)는, 슬라이더(40)를 초기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이동시키면서 압축 코일 스프링(S)을 압축시키도록 조작되거나 작동된다(후방으로 당겨진다). 이러한 과정에서, 피압박부(46)의 후방면(46b)은 압박부(16)의 후방면(16b)과 실질적으로 슬라이드 접촉하게 되고, 이에 의해 피압박부(46)는 압박부(16) 위에서 이동하며 피압박 아암(45)은 상방 또는 외측으로 탄성 변형된다. 슬라이더(40)가 특정의 (예정되었거나 또는 예정 가능한) 위치에 도달하는 경우, 팽출부(42)는 로크 아암(31)에 대한 변형 공간으로부터 후퇴된다. 따라서, 이러한 상태에서 작용력이 더 인가되면, 로킹 클로(32)는 그 후방면(32a)의 경사부에 의해 안내되어 로크부(17) 상으로 이동하고 로크 아암(31)은 탄성 변형되며, 그 결과 두 하우징(10, 20)의 로킹 상태는 해제된다(도 17의 (b) 참조). 두 하우징(10, 20)은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40)를 더 잡아당김으로써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두 하우징(10, 20)을 실질적으로 접속 및 분리 방향(CSD)을 따라 접속 및 분리할 때에, 슬라이더(40)는 전후 방향으로 또는 실질적으로 이동 방향(MD)을 따라 이동한다〔이동 방향(MD)은 접속 및 분리 방향(CSD)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함〕. 이러한 이동 과정에서, 전체 슬라이더(40)는 상향 변위되어 그 슬라이드 운동을 저지할 수 있다. 그러나, 로킹 돌기(47)의 제한부(49)의 상부면(49a)은 슬라이더(40)의 전방측에서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맞물릴 수 있는 반면, 가압부(35a)는 슬라이더(40)의 후방측에서 탈출부(43a)와 맞물릴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40)의 상향 변위〔즉, 이동 방향(MD)에 교차하는 방향으로의 변위〕는 항상 제한될 수 있다. 이는 슬라이더(40)의 운동을 원활하게 하며, 이에 의해 접속/분리 작업성이 개선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 이상의 로킹 돌기(47)에는 안내면(48a)보다 외측으로 팽출된 각각의 제한부(49)가 마련되어 있고, 슬라이더(40)의 이동 방향(MD)에 교차하는 방향을 따라 슬라이더(40)의 변위를 제한하도록, 제한부(49)의 상부면(49a)이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37a)와 맞물린다. 따라서, 제한부(49)와 탈출 홈(37)의 맞물림 면적은, 제한부(49)가 안내면(48a)으로부터 외측으로 팽출해 있는 만큼 증대될 수 있다. 그 결과, 슬라이더(40)의 변위는 충분히 제한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안내면(48a)을 제공함으로써, 슬라이더(40)의 만족할만한 조립 성능이 보장될 수 있다.
슬라이더(40)는 수형 하우징(20)의 측방향 (상부) 표면상에 장착되기 때문에 상향으로 변위되기 쉽지만, 하나 이상의 제한부(49)가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수형 하우징(2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반대측에서 실질적으로 로킹 돌기(47)의 측면에 또는 그로부터 측방향으로 마련되기 때문에, 그 슬라이더(40)의 변위는 확실하게 제한될 수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의 변위를 충분히 제한하면서, 그 슬라이더에 대한 만족스러운 조립 작업성을 보장하기 위해, 전후 방향을 따라 혹은 이동 방향(M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40)와, 접속 과정 중에 암형 하우징(10)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슬라이더(40)가 후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바람직한 편향 부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S)이 수형 하우징(20) 내에 조립된다. 수형 하우징(20)에는 슬라이더(40)에서의 하나 이상의 해당 로킹 돌기(47)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탈출시키는 하나 이상의 탈출 홈(37)과, 슬라이더(40)가 빠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해당 로킹 돌기(47)와 맞물릴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용부(38)가 마련되어 있다. 각 로킹 돌기(47)에는 슬라이더(40)가 조립될 때 수용부(38) 위에서 로킹 돌기(47)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면(48a)과, 탈출 홈(37)의 상부 에지 또는 에지 부분(37a)과 맞물림으로써 슬라이더(40)의 상향 또는 외향 변위를 제한하는 제한부(49)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제한부(49)는 안내면(48a)보다 외측으로 더 팽출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실시예)
본 발명은 전술하고 예시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이하의 실시예도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포괄된다. 이하의 실시예 이외에, 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위 및 사상을 벗어나지 않으면서 각종의 변경이 있을 수 있다.
(1) 로킹 돌기의 형상은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간단히 말해, 제한부가 바람직하게는 안내면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예를 들면, 한 쌍의 제한부가 각 조립 안내부의 상측과 하측에 마련되어, 대응하는 탈출 홈의 상부 에지와 맞물릴 수 있다. 수용부의 형상 또한 임의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 안내면은 본 발명에 있어서 생략될 수도 있다.
(2) 수용부의 위치는 탈출 홈의 전방 단부 위치에 한정되지 않으며, 탈출 홈의 중간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
(3) 안내면은 경사진 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아치형 또는 원형 표면과 같이 만곡된 면일 수 있다.
(4) 전술한 실시예와는 반대로, 슬라이더에 탈출 홈과 수용부가 마련되고, 수형 하우징에 로킹 돌기가 마련될 수 있다. 슬라이더와 압축 코일 스프링이 암형 하우징 내에 조립되고, 압박부가 수형 하우징에 마련되는 실시예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또, 슬라이더는 후방으로부터 하우징 내에 조립될 수 있다.
(5) 판 스프링 또는 인장 코일 스프링 또는 탄성 로드가 편향 부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6) 전술한 실시예에서, 압축 코일 스프링의 전방 단부는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되고, 그 후방 단부는 수형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며, 슬라이더는 암형 하우징에 의해 압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편향 수단의 일단부가 슬라이더에 의해 지지되고, 이 슬라이더가 두 하우징이 접속될 때 편향 수단 내에 축적된 편향력을 해제시키도록 이동한다면, 다른 형태의 커넥터에 적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압축 코일 스프링의 후방 단부가 슬라이더에 지지되고, 그 전방 단부가 암형 하우징의 압박부에 의해 압박되는 형태와 같은 커넥터에 적용할 수 있다(예를 들면,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00-331745호 참조)
본 발명에 따르면, 조립 작업성이 향상된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커넥터 조립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Claims (10)
-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하우징(10)과 맞물릴 수 있는 커넥터 하우징(20)과,상기 커넥터 하우징(20) 내에 또는 그 위에 조립되고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슬라이더(40)와,상기 커넥터 하우징(20)에 설치되어 있고,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10)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편향 부재(S)를 구비하는 커넥터로서,상기 슬라이더(40)와 커넥터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돌기(47)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탈출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탈출 홈(37; escape groove)과, 상기 로킹 돌기(47)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0)가 빠져나가지 않게 슬라이더(40)를 유지하는 수납부(38)를 구비하며,상기 로킹 돌기(47)에는 슬라이더(40)가 조립될 때 로킹 돌기(47)가 상기 수납부(38)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4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탈출 홈(37)의 주연부(37a)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0)의 이동 방향(M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40)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49)를 구비하며,상기 제한부(49)는 안내면(48a)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편향 부재(S)의 일단을 지지하고,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이 완전 접속되는 때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S)의 편향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서로 완전 접속된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을 상호 맞물리게 하는 인터로킹 수단(32; 17)이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일측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제한부(49)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상기 장착면과 반대쪽에 있는 로킹 돌기(47)의 측부에 마련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이 접속되어 있을 때 상대 커넥터 하우징(10)에 마련된 하나 이상의 각각의 압박부(16)에 의해 압박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피압박부(46; pushable portion)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압박부(46)에는 돌출면(46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박부(16)는 상응하게 경사진 면(16a)을 갖는 것인 커넥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 하우징(20)과 슬라이더(40)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는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이 완전 접속된 때에 또는 그 이전에 상기 피압박부(46)와 압박부(16)의 분리를 안내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분리 안내부(33; 46b)를 포함하는 것인 커넥터.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커넥터와, 이 커넥터에 상호 접속될 수 있는 상대 커넥터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커넥터의 커넥터 하우징(20)과 상대 커넥터의 상대 커넥터 하우징(10)을 제공하는 단계와,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의 접속 및 분리 방향(CSD)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더(40)를 커넥터 하우징(20)의 내부에 또는 그 위에 조립하는 단계와,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을 접속하는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 하우징(10)에 의해 압박됨으로써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을 분리하기 위한 편향력을 축적할 수 있는 편향 부재(S)를 커넥터 하우징(20)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조립 방법으로서,상기 슬라이더(40)와 커넥터 하우징(20) 중 어느 하나는 다른 하나에 마련된 로킹 돌기(47)를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탈출시킬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탈출 홈(37; escape groove)과, 상기 로킹 돌기(47)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0)가 빠져나가지 않게 슬라이더(40)를 유지하는 수납부(38)를 구비하며,상기 로킹 돌기(47)에는 슬라이더(40)가 조립될 때 로킹 돌기(47)가 상기 수납부(38) 위로 이동하는 것을 안내할 수 있는 안내면(48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로킹 돌기는 상기 탈출 홈(37)의 주연부(37a)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슬라이더(40)의 이동 방향(MD)과 교차하는 방향을 따른 슬라이더(40)의 변위를 제한하기 위한 제한부(49)를 구비하며,상기 제한부(49)는 안내면(48a)보다 외측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조립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40)는 상기 편향 부재(S)의 일단을 지지하고, 두 커넥터 하우징(20, 10)이 완전 접속되는 때에 이동하도록 되어 있어서, 상기 편향 부재(S)의 편향력을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해제할 수 있는 것인 커넥터 조립체 조립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3-00351270 | 2003-10-09 | ||
JP2003351270A JP4179129B2 (ja) | 2003-10-09 | 2003-10-09 | コネク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50034565A KR20050034565A (ko) | 2005-04-14 |
KR101006943B1 true KR101006943B1 (ko) | 2011-01-12 |
Family
ID=34225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40080690A KR101006943B1 (ko) | 2003-10-09 | 2004-10-09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7008258B2 (ko) |
EP (1) | EP1523072B1 (ko) |
JP (1) | JP4179129B2 (ko) |
KR (1) | KR101006943B1 (ko) |
CN (1) | CN1288804C (ko) |
DE (1) | DE602004003446T2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653150B2 (ja) * | 2010-09-16 | 2015-01-14 | 矢崎総業株式会社 | 半嵌合防止コネクタ |
JP2014110182A (ja) * | 2012-12-03 | 2014-06-12 | Jst Mfg Co Ltd | 電気コネクタ、およびスクイブの接続装置 |
CN105191012A (zh) * | 2013-05-08 | 2015-12-23 | 住友电装株式会社 | 连接器 |
JP6287987B2 (ja) * | 2015-07-22 | 2018-03-07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427146B2 (ja) * | 2016-07-29 | 2018-11-21 | 矢崎総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10710061B (zh) * | 2017-06-06 | 2021-03-30 | 日本端子株式会社 | 连接器结构 |
CN109702968B (zh) * | 2018-12-28 | 2024-01-30 | 深圳市凯中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 内滑块机构、连接器脱膜装置及其脱膜方法 |
JP7230739B2 (ja) * | 2019-08-09 | 2023-03-01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9361B1 (ko) | 1994-06-14 | 1999-09-01 | 하나와 요시카즈 | 맞물림검출장치를 갖는 커넥터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503729B2 (ja) * | 1996-11-08 | 2004-03-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5993238A (en) | 1996-12-19 | 1999-11-30 | Yazaki Corporation | Half-fitting prevention connector |
JP3656830B2 (ja) | 2001-02-16 | 2005-06-08 | 住友電装株式会社 | コネクタ |
DE10159177B4 (de) | 2001-02-16 | 2004-08-19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 Verbinder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eines Verbinders |
DE10159753B4 (de) | 2001-02-16 | 2004-03-18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 Verbinder, Verbindergehäuse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en eines Verbinders |
DE10159196B4 (de) | 2001-02-16 | 2004-02-05 | Sumitomo Wiring Systems, Ltd., Yokkaichi | Verbinder |
-
2003
- 2003-10-09 JP JP2003351270A patent/JP4179129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
- 2004-10-07 US US10/960,861 patent/US7008258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04-10-08 DE DE602004003446T patent/DE602004003446T2/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0-08 EP EP04024108A patent/EP1523072B1/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2004-10-09 KR KR1020040080690A patent/KR101006943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2004-10-09 CN CNB2004100835360A patent/CN1288804C/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219361B1 (ko) | 1994-06-14 | 1999-09-01 | 하나와 요시카즈 | 맞물림검출장치를 갖는 커넥터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1523072A1 (en) | 2005-04-13 |
KR20050034565A (ko) | 2005-04-14 |
DE602004003446T2 (de) | 2007-09-27 |
US20050054233A1 (en) | 2005-03-10 |
CN1288804C (zh) | 2006-12-06 |
DE602004003446D1 (de) | 2007-01-11 |
JP4179129B2 (ja) | 2008-11-12 |
US7008258B2 (en) | 2006-03-07 |
EP1523072B1 (en) | 2006-11-29 |
CN1606197A (zh) | 2005-04-13 |
JP2005116413A (ja) | 2005-04-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118426B2 (en) | Connector with reinforced retainer mount hole | |
EP1560298B1 (en) | A divided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 |
JP4174149B2 (ja) | 半嵌合防止コネクタ | |
JP4039199B2 (ja) | コネクタ | |
WO2013069337A1 (ja) | コネクタ | |
EP1638175A2 (en) | A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JP7251398B2 (ja) | コネクタ | |
US7059902B2 (en) | Connector, a connector assembly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assembly | |
US6685500B2 (en) | Connector and a method of assembling a connector | |
US6786754B2 (en) |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KR101006943B1 (ko) | 커넥터, 커넥터 조립체 및 조립 방법 | |
US6561833B2 (en) | Connector and a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 |
CN110581370B (zh) | 端子和连接器 | |
US6572394B1 (en) | Connector and use thereof | |
US20030186579A1 (en) |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US7074069B2 (en) |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US6722913B2 (en) | Connector | |
US6666710B2 (en) | Connector and a connector assembly | |
US6530800B2 (en) | Connector and method for assembling a connector | |
EP1087470A2 (en) | A connector | |
JP4371021B2 (ja) | コネクタ | |
JPH08321347A (ja) | コネクタの端子組付構造 | |
CN115699472A (zh) | 连接器 | |
JP2003036937A (ja) | コネクタ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