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378B1 - 목재 친환경도로 - Google Patents

목재 친환경도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378B1
KR101006378B1 KR1020100047726A KR20100047726A KR101006378B1 KR 101006378 B1 KR101006378 B1 KR 101006378B1 KR 1020100047726 A KR1020100047726 A KR 1020100047726A KR 20100047726 A KR20100047726 A KR 20100047726A KR 101006378 B1 KR101006378 B1 KR 1010063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ood
support
road
lower fram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77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상원
이우희
Original Assignee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아에스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77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63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3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3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00Design or layout of roads, e.g. for noise abatement, for gas absorption
    • E01C1/002Design or lay-out of roads, e.g. street systems, cross-sections ; Design for noise abatement, e.g. sunken road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5/00Pavings specially adapted for footpaths, sidewalks or cycle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0Railings; Protectors against smoke or gases, e.g. of locomotives; Maintenance travellers; Fastening of pipes or cables to bridges
    • E01D19/103Parapets, railings ; Guard barriers or road-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02D27/42Foundations for poles, masts or chimne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재 친환경도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는,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A)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지주(11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의 외측으로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제2지주(12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가 연결빔(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거더(210) 상부에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구성되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연결빔(130)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의 받침거더(2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L자쇠(L-strap)(30)(30')가 용접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상기 받침거더(21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거더(210)의 상부에 상기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목재 친환경도로{WOOD NATURE-FRIENDLY ROAD}
본 발명은 목재 친환경도로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 국도 및 지방도로, 공원, 산책로 등에 인접하여 보도 및 자전거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용지의 매입이 어렵거나 도로부지의 여유폭이 없는 경우에도, 하부프레임 설치후 하부프레임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여 자연경관을 해치지 아니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자가용승용차의 보급이 급증함에 따라, 차량의 배출가스에 의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이 크게 대두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고자, 자가용 이용자들을 대중교통으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지하철망을 확충하는 등의 방법을 제시하고 있으나, 도시환경의 문제로서 고층건축물의 증가로 인한 근거리 및 장거리 교통수요의 증가와 교통수단별 통행량이 전체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도로혼잡 및 지체현상은 보다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안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 학생들은 자전거를 이용하여 통학하고, 출퇴근시 지하철을 이용하는 직장인들은 회사와 지하철역 사이의 이동수단으로 자전거를 이용하며, 직장 내 업무처리시 근거리 이동에도 자전거를 이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더불어, 공원 및 산책로 등에서 운동 등의 이용가능성을 높여주는 수단으로, 보행자도로를 시공하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다시 말해, 지역주민의 안전 및 건강증진 등의 복지증진책의 일환으로, 공원 또는 산책로 등에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를 설치하여, 산책과 동시에 운동을 할 수 있는 수단으로 자전거가 활용되고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상황 및 여건의 변화로 국민경제적 측면에서도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가 요청되어지는 것은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교통수단별 이용인구의 분산을 효율적으로 소화해가면서도, 도로이용자 측면에서 안전하며 편리하고 빠른 도로가 건설되도록 하며, 국도나 지방도 등에도 자전거도로를 건설할 수 있도록 하고, 관광지 접근도로 및 시가지 도로 등 자전거 교통량이 많은 도로에 자전거도로 건설을 유도함은 물론,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과 편의를 도모하여, 자전거이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노력이 커지고 있다.
그러나, 이미 도로가 설치된 곳에 추가적으로 자전거도로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해당 도로의 이용을 제한해야 하며, 이로 인해 자전거도로의 건설기간이 길어질수록, 설치지역 및 인근지역의 교통체증은 더욱 증가할 뿐이다.
특히, 국도나 지방도로의 경우, 자전거도로를 추가적으로 건설하기 위해서는, 도로주변의 용지매입이 필수조건이나, 국도 및 지방도로의 특성상 도로의 주변지역은 주로 논과 같은 농지이기 때문에, 용지매입에 어려움이 많을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에 설치된 국도나 지방도로뿐만 아니라, 강가 등의 산책로 등에, 추가적으로 자전거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별도의 용지매입 없이도 안전하면서도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기간이 짧은 방법들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한 것으로, 기존 국도 및 지방도로, 공원, 산책로 등에 인접하여 보도 및 자전거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용지의 매입이 어렵거나 도로부지의 여유폭이 없는 경우에도, 하부프레임 설치후 하부프레임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여 자연경관을 해치지 아니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목재를 사용하여 목재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하는 것에 의하여, 보행감이 우수하고, 또한 복사열 감소로 인하여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목재 친환경도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은 목재데크플레이트에 고내구성의 친환경 보존처리를 수행하는 것에 의하여, 보행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는 목재 친환경도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는,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A)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지주(11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의 외측으로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제2지주(12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가 연결빔(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거더(210) 상부에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구성되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연결빔(130)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의 받침거더(2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L자쇠(L-strap)(30)(30')가 용접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상기 받침거더(21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거더(210)의 상부에 상기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는 수평부재(310)(310')와 수직부재(320)(320')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자쇠(30)(30')의 수평부재(310)(310')는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받침거더(210)는 상기 L자쇠(30)(30')의 수직부재(320)(320')의 외측에서 피스(P)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는 원형강관, 강봉 및 H형강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어지고, 상기 연결빔(130)은 앵글 또는 찬넬이 사용되어지며, 상기 받침거더(210)는 목재각목이 사용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와 이웃하는 다른 제1지주(110), 상기 제2지주(120)와 이웃하는 다른 제2지주(120), 및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는 제2지주(120)에는 브레이싱(40)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재 친환경도로(A)의 외측에는 난간(5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난간(50)은 난간지주(510)의 내측에 난간가드레일(52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는, 상기 제2지주(120)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빔(130)과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지주(120)와 상기 난간지주(510)의 결합부에는 브라켓(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국도 및 지방도로, 공원, 산책로 등에 인접하여 보도 및 자전거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용지의 매입이 어렵거나 도로부지의 여유폭이 없는 경우에도, 하부프레임 설치후 하부프레임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여 자연경관을 해치지 아니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천연목재를 사용하여 목재데크플레이트를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감이 우수하고, 또한 복사열 감소로 인하여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의하면 목재데크플레이트에 고내구성의 친환경 보존처리를 수행하고 있기 때문에, 보행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대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 과제 해결 수단, 효과 외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다음에 기재할 실시예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목재 친환경도로에서 하부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하부프레임 상에 받침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받침거더 상에 목재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도 1의 B영역을 부분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의 좌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목재 친환경도로에서 하부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하부프레임 상에 받침거더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받침거더 상에 목재데크플레이트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B영역을 부분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는, 국도 및 지방도로, 공원, 산책로 등의 가장자리에 있어서 하부 프레임(10)의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이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자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목재 친환경도로는 먼저, 하부 프레임(10)이 설치된다. 이러한 하부 프레임(10)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지주(11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의 외측으로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제2지주(120)가 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는 경사면의 손상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항타(미도시)에 의하여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설치지역에 따라 지반의 침하가 우려되는 경우에는 경사면의 지반에 구멍을 형성하고, 그 밑부분에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를 위치시킨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초(미도시)를 양생시켜 설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는, 원형의 강관, 강봉 및 H형강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목재 친환경도로의 구조적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상기 제1지주(110)와 이웃하는 다른 제1지주(110), 상기 제2지주(120)와 이웃하는 다른 제2지주(120), 및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는 제2지주(120)에는 브레이싱(Bracing)(40)이 결합되어 구성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가 설치되면,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의 상부 종단부가 연결빔(130)에 의하여 수평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결빔(130)은 앵글(예를 들면, L형강) 또는 찬넬(예를 들면, ㄷ형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결빔(130)은,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의 상부 양측에 볼트, 너트 및 와셔를 포함하는 체결부재로 결합된다.
또한,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기 연결빔(130) 상부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의 받침거더(210)가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받침거더(210)는 목재각목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L자쇠(L-strap)(30)(30')가 용접결합되어있고,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상기 받침거더(210)가 설치되어진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는 수평부재(310)(310')와 수직부재(320)(320')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자쇠(30)(30')의 수평부재(310)(310')는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어있고,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받침거더(210)는 상기 L자쇠(30)의 수직부재(320)(320')의 외측에서 피스(P)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진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프레임(10)의 받침거더(210)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가 설치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상기 받침거더(210)의 상부에 도로의 길이방향으로 단위목재패널(220)이 다수개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되고, 각각의 단위목재패널(220)이 상기 받침거더(210)의 상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 또는 목재용 접착제를 통하여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한편, 본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빗물이나 오수의 배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그 외측으로 하향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침엽수(Soft Wood; 예를 들면, Southern Yellowpine, 리기다 소나무, 라디에타 소나무, Western Redcedar, Douglas Fir 등)와 활엽수(Hard Wood; 예를 들면, Teak, Jarrah, Balau, IPE 등)와 같은 천연목재를 일반적인 목재방부제를 통하여 친환경 보존처리되어있고, 이를 통하여 고내구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본 목재 친환경도로는 상기와 같이 친환경처리된 목재데크플레이트(20)를 통하여 보행감이 우수하고, 우수한 경관을 연출할 수 있으며, 나아가 또한 복사열 감소로 인하여 쾌적한 보행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도 및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하여, 상기 목재 친환경도로(A)의 외측에는 난간(50)이 설치된다.
상기 난간(50)은 난간지주(510)의 내측에 난간가드레일(52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이때, 상기 난간(50)은 개방형 난간으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는, 상기 제2지주(120)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빔(130)과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2지주(120)와 상기 난간지주(510)의 결합부(B)에는 브라켓(60)이 구비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60)은, 상기 제2지주(120)가 원형의 강관 또는 강봉이면서, 상기 난간지주(510)가 사각형상의 기둥일 경우에는, 일측면이 곡면으로 형성되어 원형의 강관 또는 강봉의 제2지주(120)에 곡면이 밀착되고, 그 반대면에 상기 난간지주(510)가 밀착되도록 하여, 상기 제2지주(120)에 상기 난간지주(510)를 결합하여,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지주(120)가 H형강인 경우에도, 당업자의 요구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는 브라켓(6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본 목재 친환경도로(A)를 국도 및 지방도로에 시공하게 되면, 보행자 및 자전거 이용자들에게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하여, 본 목재 친환경도로를 외측으로 연장하여 2중 구조로 시공하여 휴식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가 경사면으로부터 노출되는 부분에는, 나무무늬 등의 마감부재를 부착함으로써, 외부경관을 보다 친자연적으로 꾸밀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목재 친환경도로에 의하면, 기존 국도 및 지방도로, 공원, 산책로 등에 인접하여 보도 및 자전거도로를 건설함에 있어, 용지의 매입이 어렵거나 도로부지의 여유폭이 없는 경우에도, 하부프레임 설치후 하부프레임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를 시공하여 자연경관을 해치지 아니하면서도 신속하게 시공할 수 있는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나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4)

  1.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가 설치되어지는 목재 친환경도로(A)에 있어서,
    상기 하부프레임(10)은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지주(110)가 설치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의 외측으로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어지도록 다수개의 제2지주(120)가 설치되어지며, 상기 제1지주(110)와 제2지주(120)가 연결빔(130)에 의하여 연결되어 구성되어지고,
    상기 목재데크플레이트(20)는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상부에 도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다수개의 받침거더(210) 상부에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구성되어지며,
    상기 하부프레임(10)의 연결빔(130) 상부에 목재데크플레이트(20)의 받침거더(210)가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지되,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일정간격으로 한 쌍의 L자쇠(L-strap)(30)(30')가 용접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상기 받침거더(210)가 설치되고,
    상기 받침거더(210)의 상부에 상기 단위목재패널(220)이 결합되어 설치되어지며,
    상기 목재 친환경도로(A)의 외측에는 난간(50)이 설치되어지되,
    상기 난간(50)은 난간지주(510)의 내측에 난간가드레일(520)이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난간지주(510)의 하부는, 상기 제2지주(120)의 상부와 결합되면서 상기 연결빔(130)과 결합되어지며, 상기 제2지주(120)와 상기 난간지주(510)의 결합부에는 브라켓(60)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친환경도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는 수평부재(310)(310')와 수직부재(320)(320')가 L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L자쇠(30)(30')의 수평부재(310)(310')는 상기 연결빔(130)의 상부에 용접결합되고, 상기 한 쌍의 L자쇠(30)(30')의 사이에 설치되어지는 받침거더(210)는 상기 L자쇠(30)(30')의 수직부재(320)(320')의 외측에서 피스(P)가 각각 삽입되어 고정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친환경도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주(110) 및 상기 제2지주(120)는 원형강관, 강봉 및 H형강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되어지고, 상기 연결빔(130)은 앵글 또는 찬넬이 사용되어지며, 상기 받침거더(210)는 목재각목이 사용되어지고,
    상기 제1지주(110)와 이웃하는 다른 제1지주(110), 상기 제2지주(120)와 이웃하는 다른 제2지주(120), 및 상기 제1지주(110)와 대응되는 제2지주(120)에는 브레이싱(40)이 결합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친환경도로.
  4. 삭제
KR1020100047726A 2010-05-20 2010-05-20 목재 친환경도로 KR1010063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726A KR101006378B1 (ko) 2010-05-20 2010-05-20 목재 친환경도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7726A KR101006378B1 (ko) 2010-05-20 2010-05-20 목재 친환경도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6378B1 true KR101006378B1 (ko) 2011-01-10

Family

ID=43615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7726A KR101006378B1 (ko) 2010-05-20 2010-05-20 목재 친환경도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378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69B1 (ko) 2011-02-28 2011-12-22 휴씨앤엘 주식회사 보행자 또는 자전거용 가설도로의 설치구조
KR101124348B1 (ko) * 2011-06-24 2012-03-16 (주)에이치앤디건설 법면용 확장 보도
KR101171041B1 (ko) 2012-04-02 2012-08-06 김윤환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WO2012157812A1 (ko) * 2011-05-19 2012-11-22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227841B1 (ko)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101383314B1 (ko) * 2013-10-30 2014-04-09 (주)효명 항타형 인도교
KR101544206B1 (ko) 2013-03-07 2015-08-13 이재현 산책로용 탄성데크 제작방법
KR20150114932A (ko) * 2015-09-23 2015-10-13 이재현 히팅 케이블을 가설할 수 있는 금속 틀 탄성포장 데크 제조 및 시공방법
KR20230108387A (ko) 2022-01-11 2023-07-18 (주) 레온 밸런스 스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305A (ja) 1997-04-08 1998-10-20 Nitto:Kk 張り出し歩道構造
JPH1150407A (ja) 1997-07-31 1999-02-23 Kawasaki Steel Corp 道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92416B1 (ko) 2004-04-13 2006-06-22 이근희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825009B1 (ko)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80305A (ja) 1997-04-08 1998-10-20 Nitto:Kk 張り出し歩道構造
JPH1150407A (ja) 1997-07-31 1999-02-23 Kawasaki Steel Corp 道路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592416B1 (ko) 2004-04-13 2006-06-22 이근희 보도가 확보되지 않은 협소한 도로에서 콘크리트옹벽블록과 트러스형 받침대를 이용한 보도확보 및차도확폭 시공방법
KR100825009B1 (ko) 2008-02-05 2008-04-25 주식회사 유신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목재데크판 장착 구조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5669B1 (ko) 2011-02-28 2011-12-22 휴씨앤엘 주식회사 보행자 또는 자전거용 가설도로의 설치구조
WO2012157812A1 (ko) * 2011-05-19 2012-11-22 주식회사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 친환경 데크로드 및 그 시공방법
KR101227841B1 (ko) 2011-06-22 2013-01-31 (주)맥스 조립식 보행데크 설치방법
KR101124348B1 (ko) * 2011-06-24 2012-03-16 (주)에이치앤디건설 법면용 확장 보도
KR101171041B1 (ko) 2012-04-02 2012-08-06 김윤환 파일과 단면높이가 다른 주형을 이용한 자전거도로 및 그 시공방법
KR101544206B1 (ko) 2013-03-07 2015-08-13 이재현 산책로용 탄성데크 제작방법
KR101383314B1 (ko) * 2013-10-30 2014-04-09 (주)효명 항타형 인도교
KR20150114932A (ko) * 2015-09-23 2015-10-13 이재현 히팅 케이블을 가설할 수 있는 금속 틀 탄성포장 데크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649601B1 (ko) 2015-09-23 2016-08-19 이재현 열선 케이블 가설이 용이한 금속 탄성바닥재
KR20230108387A (ko) 2022-01-11 2023-07-18 (주) 레온 밸런스 스윙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378B1 (ko) 목재 친환경도로
KR100960725B1 (ko)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CN106978777B (zh) 一种临时便桥装置
CN203334199U (zh) 一种全封闭式声屏障
KR100702617B1 (ko) 관광 레져용 카트 운행 시스템 및 레일트랙 보수방법
KR101118611B1 (ko) 도로의 경사면에 설치되어지는 자전거 및 보행자 전용도로
CN113481814A (zh) 一种新型装配式绿色人行天桥及其使用方法
KR100978780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CN104818867B (zh) 一种移动组装式公厕
CN204282231U (zh) 有轨电车高架车站
CN202081383U (zh) 跨越既有线桥梁施工用临时支架
CN202139543U (zh) 用于连续箱梁施工的支架结构
RU40058U1 (ru) Мост
CN201990927U (zh) 景观桥
CN216304315U (zh) 一种四层共构立体交通系统
KR101018638B1 (ko) 둑을 쌓아 올린 도로나 제방도로 또는 교량에 설치되는 가설인도
CN211772762U (zh) 一种应用在桥梁上的防抛网
CN210420749U (zh) 一种市政工程混凝土道路路基
CN203588579U (zh) 一种简支梁桥教学仿真结构体
CN208136705U (zh) 一种临时便桥装置
CN110468650A (zh) 一种桥隧过渡的地面结构段
CN207109622U (zh) 一种钢制自由框拼装式铁路疏散救援站台
CN215104654U (zh) 一种市政高架桥梁施工用护栏
CN209339308U (zh) 一种钢结构梯梁与混凝土平台的连接结构
CN217517338U (zh) 道路跨线桥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