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185B1 -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 Google Patents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185B1
KR101006185B1 KR1020090108149A KR20090108149A KR101006185B1 KR 101006185 B1 KR101006185 B1 KR 101006185B1 KR 1020090108149 A KR1020090108149 A KR 1020090108149A KR 20090108149 A KR20090108149 A KR 20090108149A KR 101006185 B1 KR101006185 B1 KR 1010061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lley
front wheel
driving
engine
agricul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8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73978A (ko
Inventor
김신길
이영훈
Original Assignee
김신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신길 filed Critical 김신길
Publication of KR20100073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73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1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1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1/00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 A01B51/02Undercarriages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on various kinds of agricultural tools or apparatus propelled by a mot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8/0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60L58/10Methods or circuit 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or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for monitoring or controll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gricultural Machines (AREA)

Abstract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모터를 이용한 전후륜구동장치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고, 후방부에는 관리기나 비닐피복기 등의 농기계를 장착하여 각종 농업 작업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전기와 엔진으로 기동과 작업을 동시에 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엔진의 힘으로 작업을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상시에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후륜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모터 계통이 동작하지 않더라도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농기계, 관리기, 전동, 조향, 비닐피복기, 전후륜, 배터리

Description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ELECTRIC WORKING DEVICE FOR AGRICULTURE}
본 발명은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터를 이용한 전륜구동장치에 의해 주행이 가능하고, 후방부에는 관리기나 비닐피복기 등의 농기계를 장착하여 엔진을 이용하여 각종의 작업이 가능하도록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랑식 밭에서 지표면을 높게 쌓아 만든 두둑에는 농작물이 파종되거나 심어져 생육되게 되고, 양측 두둑 사이의 고랑은 사람이 오가면서 작업할 수 있는 통행로가 되게 된다.
이러한 이랑식 밭의 두둑을 만들기 위해서는 먼저, 관리기를 이용하여 두둑을 만들고, 비닐피복기를 이용하여 그 상부에 경작비닐을 덮어 씌워 비닐피복을 실시한다.
종래에 있어, 이러한 두둑 만드는 작업이나 비닐피복 작업은 각각의 관리기 또는 비닐 피복기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는데, 종래의 관리기 및 비닐 피복기는 사람이 손으로 기계를 잡고 걸어가면서 작업을 하는 것이어서, 많은 노동력과 장시간이 소요되고, 힘든 작업으로 인해 작업효율이 극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동으로 전후륜으로 구동되며, 엔진으로는 작업기를 구동할 수 있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업의 종류에 따라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비상 시 엔진에 의하여 기동될 수 있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전륜차동장치를 구비한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작업기로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계통을 동일한 프레임에 설치할 수 있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배터리의 전원으로 구동되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전륜 또는 후륜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후방부에 엔진으로 구동되는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엔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터리는 상기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제너레이트에 의하여 충전되도록 하고,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모터풀리, 상기 모터풀리에 의해 기동되는 제1전륜풀리, 상기 제1전륜풀리와 전륜베벨기어를 통하여 기동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가 하나 이상 결합된 제2전륜풀리, 상기 제2전륜풀리에 의해 기동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가 하나 이상 결합된 제3전륜풀리 및 상기 제3전륜풀리에 의해 기동되는 추진축, 상기 추진축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의 일측에 구성된 구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차동장치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3전륜풀리와 후륜베벨기어로 구동되는 후륜구동스프라켓 및 상기 후륜구동스프라켓와 체인결합되어 구동되는 후륜종동스프라켓를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후륜구동되도록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전륜풀리와 제3전륜풀리의 다수개 풀리 조합에 의하여 주행모드와 상기 주행모드보다 저속인 작업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엔진부는 상기 엔진풀리, 상기 엔진풀리에 의해 기동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가 하나 이상 결합된 1차 풀리 및 상기 1차풀리에 의해 기동되며 체인케이스가 결합된 2차풀리 그리고 작업기를 체결하는 로타리프레임취부대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작업기는 상기 2차풀리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농업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엔진부는 상기 엔진풀리, 상기 1차풀리, 상기 2차풀리 그리고 로타리프레임취부대가 동일 프레임상에 취부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작업기는 상기 1차풀리와 2차풀리의 체인케이스의 조합에 의하여 상기 작업기의 작업를 보다 굵게 작업하는 모드와 잘게 작업하는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제1 전륜풀리는 상기 엔진에 의하여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하면 비상시 엔진으로 주행할 수 있다.
상기 전륜차동장치는 상기 제3전륜풀리에 추진축으로 연결된 구동베벨기어, 상기 구동베벨기어의 타축에 결합된 구동스프라켓, 상기 구동스프라켓에 의해 기동되는 종동스프라켓,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프렌셜회전파이프, 상기 디프렌셜회전파이프내에 설치되어 베벨기어로 구성된 차동장치 및 상기 차동장치에 의해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차축에 고정된 전륜프레임어셈블리 및 상기 전륜프레임어셈블리에 결합된 디프렌셜 하우징을 더 포함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디프렌셜회전파이프는 상기 디프렌셜하우징내에서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주행은 전동으로 구동되며 엔진으로 관리기 및 비닐피복기 등의 작업기를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주행과 작업을 각각의 구동력으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작업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작업모드에 따라 주행속도를 조절할 수 있기 때문에 충분한 구동력을 발휘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하게 각종의 농사일을 손쉽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의하면, 엔진에서 기동되는 제너 레이트에 의하여 배터리를 충전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
또한,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의하면, 작업기로 기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엔진풀리와 후륜풀리들이 하나의 프레임에 탑재되어 소정 각도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작업기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보다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의하면, 비상시에 엔진의 구동력을 이용하여 전후륜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전기모터 계통이 동작하지 않더라도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의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장착된 관리기를 도시한 평면도와 도 2의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장착된 비닐피복기를 도시한 평면도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주행 동작하는 구동부(100)와 후방부에 관리기(10), 비닐 피복기(20) 등을 연결하여 사용가능할 수 있는 엔진부(300)로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배터리로 구동되는 전동모터에 의하여 전륜 또는 후륜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부(100)와 구동부(100)의 후방부에는 엔진과 엔진으로 구동되는 작업기(10,20)의 연결이 가능한 로타리프레임취부대(340)가 하나의 프레임으로 구비된 엔진부(300)로 구성된다.
도 3의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도 4의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도면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배터리(420)와 배터리(42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410), 모터(410)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다수의 풀리(210,220,230)에 의하여 전후륜 구동하도록 구성되는 구동부(100)와 엔진풀리(310)와 1,2차 풀리(320,330)에 의하여 엔진의 동력이 작업기(10,20)로 전달되도록 구성되는 로타리프레임취부대(340)로 구성된다.
제어기(430)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충전용 전원을 승압하는 인버터(미도시)와 제너레이터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하기 위한 어댑터, 그리고 모터를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러로 구성하여 외부전원과 제너레이터에서 발생하는 전원으로 배터리를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별도의 시동키나 작업에 필요한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배터리(420)는 제어기(430)에서 출력되는 전원을 충전할 수 있도록 제어기(4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외부전원이나 제너레이터(450)의 전원으로 충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통상의 배터리식 전기자동차(BEV; battery electric vehicle)에 사용되는 배터리, NiMH과 리튬 이온 배터리,를 사용할 수 있다.
전동모터(410)는 배터리(420)에 의해 기동되며 모터축에 연결된 모터풀리(412)가 벨트에 의하여 제1전륜풀리(210)로 구동력을 전달한다.
제1전륜풀리(210)는 전륜베벨기어(212)를 통하여 제2전륜풀리(220)를 구동하고 이러한 제2전륜풀리(220)는 변속을 위하여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222,224)가 하나 이상 결합된다.
제3전륜풀리(230)는 제2전륜풀리(220)에 의해 벨트로 기동되며 제2전륜풀리(220)와의 조합에 의하여 변속이 가능하도록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232,234)가 하나 이상 결합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전륜풀리(220)의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222,224)와 제3전륜풀리(230)의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232,234)가 조합에 의하여 고속으로 이동하는 주행모드와 저속으로 이동되는 작업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2전륜풀리(220)의 직경이 작은 풀리(224)와 제3전륜풀리(230)의 직경이 큰 풀리(234)가 벨트로 결합되면 저속으로 움직이는 작업모드가 되고, 즉, 제2전륜풀리(220)의 직경이 큰 풀리(222)와 제3전륜풀리(230)의 직경이 작은 풀리(232)가 벨트로 결합되면 보다 고속으로 움직이는 주행모드가 되는 것이다.
제3전륜풀리(230)는 추진축(450)을 회전시켜 바퀴가 회전하도록 하여 전륜구동이 되도록 구성한다.
이때, 제3전륜풀리(230)의 구동력을 후륜베벨기어(242)를 통하여 후륜구동스프라켓(240)를 구동하고 후륜구동스프라켓(240)와 후륜종동스프라켓(350)를 체인으로 결합하여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구성하면 후륜구동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즉, 전륜과 후륜의 선택은 제3전륜풀리(230)가 추진축(450)을 구동하도록 구성하면 전륜구동이 되고, 제3전륜풀리(230)가 후륜베벨기어(242)를 구동하도록 구성하면 후륜구동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추진축(450)의 회전력은 구동베벨기어(460)를 구동하고 구동베벨기어(460)의 일측에 구성된 구동스프라켓(470)이 전륜차동장치(110)를 구동하여 바 퀴(190)를 회전하도록 하여 구동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전륜구동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전륜구동장치의 구성도로서, 전륜구동장치(110)는 구동스프라켓(470)으로부터 체인과 같은 동력전달장치에 의하여 종동스프라켓(120)으로 회전력을 전달한다.
종동스프라켓(120)은 일체로 결합된 디프렌셜회전파이프(150)를 회전시키고 회전되는 디프렌셜회전파이프내(150)에 설치된 베벨기어A(151)와 베벨기어B(152)로 구성된 차동장치가 구동된다.
상기 차동장치는 디프렌샬출력축(130)을 회전시키고 디프렌샬출력축(130)은 유니버셜조인트(160)를 회전시켜 바퀴구동축(180a, 180b)이 구동되어 좌우 바퀴(190)가 각각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차축에 고정된 전륜프레임어셈블리(102)와 외부 파이프 형태인 디프렌셜 하우징(140)을 일체로 결합하고 디프렌셜회전파이프(150)가 디프렌셜하우징(140)내에서 베어링(153)에 의하여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종래의 차동기어장치에 필요한 링기어 등을 본 발명에서는 작업기에 필요한 최소한의 구성으로 조립하여 공정을 줄이고 간단한 구조로서 무게를 줄이고 복잡한 구성에서 발생하는 고장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의 종동스프라켓(120)이 디프렌셜회전파이프(150)를 직접 디프렌셜하우징(140)내에서 베어링(153)에 의하여 회전시키는 구성을 제외하면 일반적인 차동장치와 그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엔진부(300)는 엔진에 의해 구동되는 엔진풀리(310)와 엔진풀리(310)에 의해 벨트로 기동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가 하나 이상 결합된 1차 풀리(320), 1차풀리(320)에 의해 벨트로 기동되며 체인케이스(332)와 결합된 2차풀리(330), 그리고 작업기(10,20)가 나사 체결되는 로터리프레임취부대(340)로 구성하고 로터리프레임취부대(340)에 체결된 작업기(10,20)로 2차풀리(330)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하여 농업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엔진부(300)는 엔진풀리(310), 1차풀리(320), 2차풀리(330) 그리고 로터리프레임취부대(340)가 동일 프레임상에 취부하여 일정 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작업기와 연결을 편리하게 하고 작업기로 전달되는 구동력을 보다 안정되면서도 간단하게 전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2차풀리(330)에는 체인케이스(332)가 탑재되어 있어 작업기(10,20)로 전달되는 동력은 1차풀리(320)와 체인케이스(332)가 결합되어 작업기의 작업을 보다 굵게 작업하는 모드와 가늘게 작업하는 모드로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를 위하여 체인케이스(332)는 기어비가 서로 다른 스프라켓으로 구성할 수 있다.
도 7의 체인케이스의 확대 도면을 참고하면, 기어비가 서로 다른 스프라켓(332a,332b)가 연결축(332c)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한다. 예를 들어 스프라켓(332a)의 기어비는 크게 스프라켓(332b)의 기어비가 상대적으로 작게 구성하고, 기어비가 큰 스프라켓(332a)을 구동스프라켓으로 기어비가 작은 스프라켓(332b)를 종동 스프라켓으로 조합하면 가속구동되므로 작업기(10,20)로의 구동력이 크게 전 달되어 흙을 고르는 작업을 보다 촘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의 내용에 따라 체인케이스(332)역으로, 기어비가 작은 스프라켓(332b)을 구동스프라켓으로 기어비가 큰 스프라켓(332a)를 종동 스프라켓으로 조합하면 저속구동되므로 작업기(10,20)로의 구동력이 저속으로 전달되어 흙을 고르는 작업을 보다 굵게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도 7의 좌측 도면에서와 같이 "굵게" 또는 "잘게"라는 표시부를 체인케이스(332)에 표시하도록 하여 필요에 따라 위치만 바꿔 설치하면 손쉽게 작업 종류에 따라 적의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배터리(420)나 전동모터(410) 등 전기로 움직이는 계통에 문제가 생겨 전기로 전후륜 구동을 할 수 없을 때는 제1전륜풀리(210)를 엔진풀리(310)와 벨트로 결합함으로써, 비상시에 엔진에 의하여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물론 구동력이 많이 필요한 경우에도 엔진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러한 구성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주행모드와 작업모드에 따라 주행 속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주행모드는 전륜과 후륜으로 기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주행모드는 전동모터(410)에서 제1전륜풀리(210), 전륜베벨기어(212), 제2전륜풀리(220)의 큰 풀리(222), 제3전륜풀리(230)의 작은 풀리(232). 추진축(450), 구동베벨기어(460), 구동스프라켓(470)을 통하여 전륜차동장치(110)의 순으로 기동력이 전달되어 전륜 주행모드가 되고, 제3전륜풀리(230)에서 후륜베벨기어(242), 후륜구동스프라켓(240)를 통하여 후륜종동스프라켓(350)로 구동력이 전달되면 후륜주행모드가 되는 것이다.
작업모드의 경우에는 작업기가 로터리프레임취부대(340)에 취부되어 작업을 하는 경우이므로 주행모드와는 달리 보다 천천히 움직여야 하므로, 작업모드가 선택된 경우는 전동모터(410)에서 제1전륜풀리(210), 전륜베벨기어(212), 제2전륜풀리(220)의 작은 풀리(224), 제3전륜풀리(230)의 큰 풀리(234), 추진축(450), 구동베벨기어(460), 구동스프라켓(470)을 통하여 전륜차동장치(110)의 순으로 기동력이 전달되어 작업모드인 경우 천천히 전륜기동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는 작업의 종류에 따라 작업기의 구동속도를 "굵게 또는 잘게"모드로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행속도도 주행모드와 작업모드에 따라 취사 선택할 수 있으므로 보다 효율적으로 농사일을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장착된 관리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에 장착된 비닐피복기를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동력전달체계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전륜구동장치의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의 작업기 취부대의 확대 도면,
그리고,
도 7은 체인케이스의 확대도면이다.
<도면 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구동부 102 : 전륜프레임어셈블리
110 : 전륜구동장치
120 : 종동 스프라켓 130 : 디프렌셜출력축
140 : 디프렌셜하우징 150 : 디프렌셜회전파이프
160 : 유니버셜 조인트 170 : 허브베어링하우징
180a,180b :바퀴구동축 190 : 바퀴
210 : 제1전륜풀리 212 : 전륜베벨기어
220 : 제2전륜풀리 230 : 제3전륜풀리
240 : 후륜구동스프라켓 242 : 후륜베벨기어
310 : 엔진풀리 320 : 1차풀리
330 : 2차풀리 332 : 체인케이스
340 : 로타리프레임취부대 350 : 후륜종동스프라켓
410 : 전동모터 412 : 모터풀리
420 : 배터리 430 : 제어기
440 : 제너레이트 450 : 추진축
460 : 구동베벨기어 470 : 구동스프라켓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전동모터에 의하여 전륜 또는 후륜으로 주행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동부와, 상기 구동부의 후방부에 작업기의 연결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엔진부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동모터의 회전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으로서 모터풀리에 의해 기동되는 제1전륜풀리와, 상기 제1전륜풀리와 전륜베벨기어장치를 통하여 기동되는 제2전륜풀리와, 상기 제2전륜풀리에 의해 기동되는 제3전륜풀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3전륜풀리는 전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추진축과, 후륜을 구동시키기 위한 후륜베벨기어에 각각 연결되어 선택적으로 전륜구동과 후륜구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추진축에 의해 전륜구동 시 곡선주행이 가능하도록 하는 전륜차동장치로서, 상기 추진축의 회전을 전달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종동스프라켓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프렌셜회전파이프와, 상기 디프렌셜회전파이프에 설치된 베벨기어장치와, 상기 베벨기어장치에 의해 바퀴로 구동력을 전달하는 유니버셜조인트와, 차축에 고정된 전륜프레임어셈블리와, 상기 전륜프레임어셈블리에 결합된 디프렌셜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디프렌셜회전파이프는 상기 디프렌셜 하우징 내에서 베어링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3전륜풀리의 구동력이 상기 후륜베벨기어를 통하여 전달되어 후륜구동스프라켓을 구동하고,
    상기 후륜구동스프라켓과 체인결합되는 후륜종동스프라켓에 구동력을 전달하여 후륜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2전륜풀리와 제3전륜풀리의 다수개 풀리 조합에 의하여 주행모드와 상기 주행모드보다 저속인 작업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6.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부는
    엔진풀리;
    상기 엔진풀리에 의해 기동되며 직경이 서로 다른 풀리가 하나 이상 결합된 1차 풀리;
    상기 1차풀리에 의해 기동되며 체인케이스가 탑재된 2차풀리;및
    상기 작업기가 결합되는 로타리프레임취부대;
    를 더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작업기는 상기 2차풀리에 의해서 동력을 전달받아 농업용 작업을 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풀리, 상기 1차풀리, 상기 2차풀리 그리고 상기 로타리프레임취부대가 동일 프레임상에 취부되고 상기 프레임은 일정각도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상기 1차풀리와 2차풀리의 체인케이스 기어 조합에 의하여 상기 작업기의 작업를 보다 굵게 작업하는 모드와 잘게 작업하는 모드로 전환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륜풀리는
    상기 엔진에 의하여 기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108149A 2008-12-22 2009-11-10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KR1010061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131600 2008-12-22
KR1020080131600 2008-1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78A KR20100073978A (ko) 2010-07-01
KR101006185B1 true KR101006185B1 (ko) 2011-01-14

Family

ID=42636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8149A KR101006185B1 (ko) 2008-12-22 2009-11-10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61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63B1 (ko) 2011-08-16 2013-03-05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차동 제어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1072B1 (ko) * 2011-12-23 2013-03-11 대동공업주식회사 전기구동식 다목적 운반차량
KR101152811B1 (ko) * 2011-12-29 2012-06-12 김신길 전동승용 농기계의 엔진 및 작업기 취부구조
KR102002912B1 (ko) * 2017-07-25 2019-07-23 동양물산기업 주식회사 농업용 다목적 전기 차량
KR102231619B1 (ko) * 2019-05-03 2021-03-23 최덕규 마늘파종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05Y1 (ko) * 1993-04-12 1995-12-13 정준모 농업용 스키드로더의 차륜구동장치
JP2001169608A (ja) * 1999-12-15 2001-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農作業機
JP2002235572A (ja) * 2001-02-07 2002-08-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による走行型農作業機
KR20040038096A (ko) * 2002-10-31 200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맥동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 분배 장치
KR200438096Y1 (ko) * 2007-02-12 2008-01-21 남창진 경운기의 동력 전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10405Y1 (ko) * 1993-04-12 1995-12-13 정준모 농업용 스키드로더의 차륜구동장치
JP2001169608A (ja) * 1999-12-15 2001-06-26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乗用農作業機
JP2002235572A (ja) * 2001-02-07 2002-08-23 Yanmar Agricult Equip Co Ltd ハイブリッド方式による走行型農作業機
KR20040038096A (ko) * 2002-10-31 2004-05-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맥동음 방지 장치가 구비된 차량용 연료 분배 장치
KR200438096Y1 (ko) * 2007-02-12 2008-01-21 남창진 경운기의 동력 전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9063B1 (ko) 2011-08-16 2013-03-05 주식회사 아세아텍 승용관리기용 차동 제어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73978A (ko) 201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6185B1 (ko) 농업용 전동승용 작업기
JP4970858B2 (ja) 手押し式芝刈り機用モジュール電源
US8616310B2 (en) Apparatus for farming, gardening and landscaping
EP2731821B1 (en) Riding lawn mower including battery powered drive system
WO2005087530A1 (ja) 作業車両のトランスミッション
CN104855361A (zh) 一种智能遥控前驱植保机械及其控制方法
RU2458810C2 (ru) Рабочая машина
JP2007045177A (ja) 前輪増速制御装置
KR101302404B1 (ko) 전기구동식 농용 작업차
KR102002912B1 (ko) 농업용 다목적 전기 차량
KR101028402B1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JP2008196153A (ja) 作業システム
US20200055385A1 (en) Power-split transmission
CN106394229A (zh) 双电动机电力辅助全轮驱动
CN107206882A (zh) 用于控制特别是混合动力车辆的动力传动系统的具有周转齿轮系的变速传动装置的方法
CN115648935A (zh) 一种传动机构及四轮微型耕作设备
WO2002011519A1 (fr) Transmission pour motoculteurs
US20220134860A1 (en) Hybrid agricultural vehicle
JP6949773B2 (ja) 作業機
CN206353950U (zh) 一种玉米种子播种用开沟器
KR101285083B1 (ko) 특장차
CN215322000U (zh) 一种车轮驱动装置及小农机
CN218702713U (zh) 一种传动机构及四轮微型耕作设备
JP4283946B2 (ja) 押動式散布機
CN220830704U (zh) 一种茶园多功能管护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5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5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