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6010B1 - 정보 단말 기기 - Google Patents

정보 단말 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6010B1
KR101006010B1 KR1020100096456A KR20100096456A KR101006010B1 KR 101006010 B1 KR101006010 B1 KR 101006010B1 KR 1020100096456 A KR1020100096456 A KR 1020100096456A KR 20100096456 A KR20100096456 A KR 20100096456A KR 101006010 B1 KR101006010 B1 KR 1010060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mera device
rotation
casing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964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11657A (ko
Inventor
신지 가나다
유우 나까가와
히로유끼 에가시라
아쯔시 시라따
안나 모또끼
Original Assignee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4882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006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3004883A external-priority patent/JP3950063B2/ja
Application filed by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소니 에릭슨 모빌 커뮤니케이션즈 재팬,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00111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11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60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60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22Ion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4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sorbent material, e.g. activated carb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A61L9/0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using substances evaporated in the air without heating
    • A61L9/12Apparatus, e.g. holder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3Replaceable cartridges, refil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2Treatment by sorption, e.g. absorption, adsorption, chemisorption, scrubbing, wet c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함과 아울러 카메라 장치에의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판의 충분한 스페이스의 확보 등에 의해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 케이싱와 제2 케이싱으로 구성되는 본체부(3)에 대해 카메라 장치(17)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샤프트(29, 37)와, 카메라 장치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44)와, 샤프트의 축방향에 있어서 회전부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카메라 장치의 회전시에 회전 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41)와,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부와 고정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45)를 설치하고,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한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44c)를 설치하여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다른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가능한 걸림 결합 오목부(43a, 43b, 43c)를 형성하고, 본체부에 대해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 오목부가 걸림 결합하도록 하였다.
또한, 본체부(3)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힌지부(4)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촬상 렌즈(53)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메라 장치(17)가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100)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의 본체부에 대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촬상 렌즈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을 반전하기 위한 비접촉형의 검출 수단(59)을 설치하였다.

Description

정보 단말 기기{Information Terminal Apparatus}
본 발명은 정보 단말 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카메라 장치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해 회전되는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있어서 지지가능하게 함으로써,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검출 수단으로서, 비접촉형의 검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카메라 장치에의 배선을 위한 배선판의 충분한 스페이스의 확보 등을 가능하게 하여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하는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휴대 전화기나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의 정보 단말 기기에는, 예를 들면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와 제2 케이싱이 힌지부를 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들 정보 단말 기기에는 본체부에 촬상 렌즈를 갖는 카메라 장치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및 특허 문헌 2 참조). 이들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는, 한쪽 케이싱에는 표시부가 설치되어 있고, 촬영자는 촬상 렌즈를 통하여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촬영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단말 장치는 카메라 장치를 이용하여 원할 때에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가 회전가능하기 때문에, 촬영자의 시야 범위에 있는 물체와 인물 등 외에, 촬영자 자신도 촬영할 수 있어 편리성의 향상을 꾀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회전가능한 카메라 장치를 구비한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이용한 촬영시에는 카메라 장치를 본체부에 대해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그러나, 촬영자 자신이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상을 확인하면서 결정해야만 하므로, 귀찮고 사용 편리성이 나쁜 문제가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했을 때에, 외부로부터의 진동 등이 카메라 장치에 전달되게 되면,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가 변동하여 상의 흔들림과 초점의 흐려짐 등의 결함을 발생할 우려가 있다.
한편, 카메라 장치는 촬영자 자신을 촬영하기 위한 자신측 촬영 모드와 촬영자의 시야 범위에 있는 물체와 인물 등을 촬영하는 상대측 촬영 모드를 갖고 있어, 카메라 장치의 촬상 렌즈가 촬영자측을 향했을 때에 자신측 촬영 모드가 되고, 촬상 렌즈가 촬영자의 반대측을 향했을 때에 상대측 촬영 모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자신측 촬영 모드와 상대측 촬영 모드의 전환 도중에 있어서는 카메라 장치의 회전에 수반하여 화상이 반전되어, 표시부에는 촬영자에 있어서 항상 상하 방향의 올바른 화상이 표시된다.
최근의 휴대 전화기는 상기한 화상의 반전을, 피조작 레버를 갖는 접촉형의 소위 푸시 스위치에 대한 조작으로 행하고 있다.
푸시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에 지지된 피조작 레버를 갖고, 예를 들면 본체부를 구성하는 상기 제1 케이싱 또는 제2 케이싱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에는 조작용 돌출부가 설치되어, 카메라 장치가 회전되었을 때에 조작용 돌출부가 푸시 스위치의 피조작 레버를 조작함으로써 화상의 반전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한 최근의 휴대 전화기는 피조작 레버를 갖는 푸시 스위치를 조작용 돌출부에 의해 조작하여 화상의 반전을 행하고 있기 때문에,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의 충분한 가동 스페이스가 필요하게 되어, 그 만큼 대형이 되어버리는 문제가 있다.
특히, 힌지부에 인접하여 카메라 장치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힌지 기구와 카메라 장치의 지지 기구가 필요하여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는 기구의 구성이 복잡해지므로,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의 충분한 가동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없어, 힌지 기구 및 지지 기구와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가 간섭될 우려가 있다.
또한,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의 가동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에의 급전을 위한 배선판(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의 배치 스페이스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게 될 우려도 있다.
또한, 힌지부의 간극을 통해 침입할 우려가 있는 진애와 수분 등이 푸시 스위치의 조작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어, 검출 동작의 불량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2001-186396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2002-94629호 공보
그래서, 본 발명 정보 단말 기기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여,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여, 카메라 장치에의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판의 충분한 스페이스의 확보 등에 의해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에 따르면, 카메라 장치를 회전했을 때에, 촬영자 자신이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면서 결정할 필요가 없어, 정보 단말기기의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촬영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진동 등에 의해서도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가 변동하지 않으므로, 상의 흔들림이나 촛점의 흐려짐 등의 결함을 발생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에 의한 양호한 촬상 상태를 확보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는, 카메라 장치에의 전류 공급을 위한 배선판의 충분한 스페이스의 확보 등에 의해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1은 도2 내지 도43과 함께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실시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도면은 개방 상태를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2는 폐색 상태를 도시한 휴대 전화기의 사시도.
도3은 제1 케이싱와 제2 케이싱의 회동 각도를 도시한 개략 측면도.
도4는 휴대 전화기의 내부 구조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5는 힌지 기구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6은 힌지 기구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7은 도6의 Ⅶ-Ⅶ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8은 도6의 Ⅷ-Ⅷ선을 따르는 확대 단면도.
도9는 고정 부재와 회전 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0은 도11과 함께 제1 케이싱와 제2 케이싱의 회동이 규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도면은 폐색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11은 개방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12는 도13과 함께 카메라 장치의 조립 순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도면은 카메라 장치가 슬라이딩되기 전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13은 카메라 장치가 슬라이딩되어 조립된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정면도.
도14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이 배치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5는 차폐 모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6은 자신측 촬영 모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7은 상대측 촬영 모드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18은 도19 및 도20과 함께 카메라 장치가 각 회전 위치에 유지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도면은 제1 회전 위치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19는 제2 회전 위치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20은 제3 회전 위치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21은 도22와 함께 카메라 장치의 회전이 규제될 때의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본 도면은 제1 회전 위치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22는 제3 회전 위치의 상태를 일부를 단면으로 하여 도시한 확대 측면도.
도23은 도24 내지 도26과 함께 검출 수단의 검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나타낸 것으로, 본 도면은 차폐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4는 자신측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5는 카메라 장치의 회전 각도가 +90°인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6은 상대측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7은 도28 내지 도30과 함께 별도의 검출 수단의 검출 동작이 행해질 때의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도시한, 차폐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8은 자신측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29는 카메라 장치의 회전 각도가 +90°인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0은 상대측 촬영 모드의 상태를 도시한 확대 단면도.
도31은 다른 검출 수단의 검출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도32는 도33과 함께 힌지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33은 확대 사시도.
도34는 도35와 함께 힌지 구조의 제2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35는 확대 사시도.
도36은 도37 및 도38과 함께 힌지 구조의 제3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37은 확대 사시도.
도38은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도39는 카메라 장치의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사시도.
도40은 도41 내지 도43과 함께 제2 실시 형태를 도시한 힌지 구조의 확대 분해 사시도.
도41은 확대 사시도.
도42는 도43과 함께 힌지 구조의 제1 변형예를 도시한 확대 분해 사시도.
도43은 확대 사시도.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와 제2 케이싱이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그 힌지부에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 본체부에 대해 카메라 장치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카메라 장치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와, 샤프트의 축방향에 있어서 회전부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카메라 장치의 회전시에 회전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와,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부와 고정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고,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한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를 설치하여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다른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가능한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본체부에 대해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 오목부가 걸림 결합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는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 오목부의 걸림 결합에 의해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카메라 장치의 본체부에 대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촬상 렌즈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을 반전하기 위한 비접촉형의 검출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에 있어서는,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가 비접촉형의 검출 수단에 의해 검출된다.
이하에, 본 발명 정보 단말 기기의 실시 형태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 이하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는 본 발명을 휴대 전화기에 적용한 것이다.
[제1 실시 형태]
먼저, 제1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휴대 전화기(100)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를 구비하고, 그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에 의해 본체부(3)가 구성된다.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은 힌지부(4)를 통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져 있다.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은 양자가 소정 각도 열린 개방 상태(도1 참조)와 양자가 접혀진 폐색 상태(도2 참조) 사이에서 회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은 폐색 상태에서의 양자간의 각도 θ를 0°로 하면, 예를 들면 각도 θ가 160°까지 회동가능하며(도3 참조), 이 160°의 각도를 이루는 상태가 개방 상태가 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 방향을 나타낼 때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를 벌린 개방 상태(도1 참조)에 있어서, 제1 케이싱(1)의 후술하는 조작 키와 제2 케이싱(2)의 후술하는 표시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상하좌우의 방향이다.
제1 케이싱(1)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5)에 각 부재 및 각 부품이 수납 또는 배치된 구성이 된다. 또한, 제1 케이스(5)는 전후로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5a)와 리어 케이스(5b)로 구성된다. 제1 케이스(5)는 편평한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부(6)와 그 케이스 본체부(6)의 상단부에서 각각 전방으로 돌출된 내측 힌지통부(7, 7)로 구성된다. 내측 힌지통부(7, 7)는 축방향이 좌우 방향이 되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케이스 본체부(6)의 좌단(左端) 근접 위치와 우단(右端) 근접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제1 케이스(5)의 내부에는 회로 기판(8)이 배치되고(도4 참조), 그 회로 기판(8)은 그 주면이 전후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1 케이싱(1)의 전면에는 조작 키(1a, 1a, ...)가 배치되고, 제1 케이싱(1)의 전면 하단부에는 마이크로폰(9)이 설치되어 있다(도1 참조). 제1 케이싱(1)의 전면의 상단 근접 위치에는 회전식 조작 키(10)가 배치되어 있다. 회전식 조작 키(10)를 회전 조작함으로써 소정의 메뉴를 선택할 수 있고, 압압 조작함으로써 선택한 메뉴를 실행할 수 있다. 회전식 조작 키(10)의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각종 편집 작업, 각종 정보의 입력, 후술하는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영,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한 화상의 표시, 화상의 삭제, 화상의 송신 등의 각종 조작을 행할 수 있다.
제2 케이싱(2)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케이스(11)에 각 부재 및 각 부품이 수납 또는 배치된 구성이 된다. 제2 케이스(11)는 전후로 결합된 프론트 케이스(11a)와 리어 케이스(11b)로 구성된다. 제2 케이스(11)는 편평한 상태로 형성된 케이스 본체부(12)와 그 케이스 본체부(12)의 하단부로부터 각각 거의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외측 힌지통부(13, 13)로 구성된다. 외측 힌지통부(13, 13)는 축방향이 좌우방향이 되어 외면이 각각 폐색된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각각 케이스 본체(6)의 좌단부와 우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외측 힌지통부(13, 13)는 각각 제1 케이싱(1)의 내측 힌지통부(7, 7)의 외측에 위치되어 있다.
제2 케이싱(2)의 전면에는 표시부(액정 표시 패널, 14)가 설치되어 있다. 표시부(14)에는 전파의 수신 상황, 전지 잔량, 통화 상대의 전화 번호, 전화 번호부로서 등록되어 있는 내용(상대측 전화 번호와 성명 등), 발신 이력, 착신 이력,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영시의 화상, 카메라 장치에 의해 촬영한 화상, 기타 각종 등록 내용 등의 각종 정보가 표시된다.
제2 케이싱(2) 전면의 상단부에는 스피커(15)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부(4)는 제1 케이싱(1)의 내측 힌지통부(7, 7)내와 제2 케이싱(2)의 외측 힌지통부(13, 13)내에 힌지 기구(16)가 배치된 구성이 된다. 내측 힌지통부(7, 7) 사이에는 카메라 장치(1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7)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후술하는 카메라 본체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장치(17)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회동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보호 커버(18)의 주면에는 창이 형성되고, 이 주면에는 창이 형성된 부분을 제외한 좌우 방향에서의 양단부 이외의 부분에 널링(Knurling) 가공이 행해지고, 이 널링 가공이 행해진 부분이 회전 조작부(18a)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장치(17)에는 상기한 널링 가공이 행해진 회전 조작부(18a)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조작부(18a)에 손가락을 대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하에, 제1 케이싱(1) 및 제2 케이싱(2)의 내부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도4 내지 도9 참조).
제1 케이싱(1)의 내부에는 지지 플레이트(19)가 배치되어 있다(도4 내지 도6 참조). 지지 플레이트(19)는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 방향으로 긴 베이스부(20)와 그 베이스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접혀진 지지편부(21, 22)와 베이스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 또는 우측으로 돌출된 피취부부(被取付部; 23, 23)로 이루어진다. 지지편부(支持片部; 21, 22)의 선단부에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21a, 22a)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삽통공(21a, 22a)에는 180° 반전측 위치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커트면(21b, 21b, 22b, 22b)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편부(21)의 중간부에는 그 좌측면에 클릭 오목부(21c)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20)에는 피취부공(20a, 20a)이 형성되고, 피취부부(23, 23)에는 각각 피취부공(23a, 2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9)는 피취부공(20a, 20a, 23a, 23a)을 각각 삽통된 나사 부재에 의해 제1 케이스(5)의 리어 케이스(5b)에 취부되어 제1 케이스(5)내에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19)가 제1 케이스(5)내에 배치된 상태에 있어서는 지지편부(21, 22)가 각각 내측 힌지통부(7, 7)내에 배치된다.
제2 케이싱(2)의 내부에는 지지 프레임(24)이 배치되어 있다(도5 및 도6 참조). 지지 프레임(24)은 횡으로 놓인 기초부(25)와 그 기초부(25)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부(26)와 기초부(25)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통부(27, 28)로 이루어진다. 기초부(25)에는 나사 삽통공(25a, 25a)이 형성되고, 프레임부(26)의 상단부에도 도시하지 않은 1쌍의 나사 삽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부(27, 28)는 기초부(25)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각각 돌출되어 있다. 지지통부(27)는 좌측면(27a)이 폐색된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좌측면(27a)에 관통공(27b)이 형성되어 있다(도7 및 도8 참조). 지지통부(28)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부(27)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180° 반대측 위치에 우측 방향으로 개구된 위치 결정 절결(27c, 27c)이 형성되어 있다(도5 참조). 지지통부(27)의 우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원호형을 이루는 스토퍼 돌출부(27d)가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그 스토퍼 돌출부(27d)는 위치 결정 절결(27c, 27c)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지지통부(28)의 좌측 가장자리로부터는 원호형을 이루는 스토퍼 돌출부(28a)가 좌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고, 그 스토퍼 돌출부(28a)는 지지통부(27)에 설치된 스토퍼 돌출부(27d)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프레임(24)은 기초부(25)의 나사 삽통공(25a, 25a)과 프레임부(26)의 나사 삽통공에 각각 취부 나사가 삽통되어 제2 케이스(11)의 리어 케이스(11b)에 취부되어 제2 케이스(11)내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24)이 제2 케이스(11)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지지통부(27, 28)가 각각 외측 힌지통부(13, 13)내에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19)의 좌측 지지편부(21)의 샤프트 삽통공(21a)에는 제1 샤프트(29)가 삽통되어 있다. 제1 샤프트(29)는 차례로 좌측부터 장축부(30)와 플랜지부(31)와 단축부(3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플랜지부(31)는 장축부(30) 및 단축부(32)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장축부(30)의 좌단 근접 위치에는 취부홈(30a)이 형성되고, 장축부(30)의 우단부에는 둘레면의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정지부(30b, 30b)가 형성되어 있다.
단축부(32)에는 그 둘레면에 개구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다. 단축부(32)의 구멍(32a)에는 축 형태를 이루는 규제 돌출부(33)가 삽입되어 취부되고, 그 규제 돌출부(33)의 일단부가 단축부(32)의 둘레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제1 샤프트(29)는 장축부(30)가 지지편부(21)의 샤프트 삽통공(21a)에 우측에서 삽입되어, 플랜지부(31)가 지지편부(21)의 우측면에 접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제1 샤프트(29)는 장축부(30)의 회전 정지부(30b, 30b)가 각각 샤프트 삽통공(21a)의 커트면(21b, 21b)에 걸림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19)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된다.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클릭 부재(34)가 배치된다. 클릭 부재(34)는 거의 원형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을 사이에 두고 180° 반대측 위치로부터 각각 방사 방향을 향하여 위치 결정 돌출부(34a, 34a)가 돌출되어 있다. 클릭 부재(34)의 우측면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클릭 돌출부(34b, 34b)가 설치되고, 그 클릭 돌출부(34b, 34b)는 위치 결정 돌출부(34a, 34a)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클릭 부재(34)는 위치 결정 돌출부(34a, 34a)가 각각 지지통부(27)의 위치 결정 절결(27c, 27c)에 삽입되어 지지통부(27)에 지지되고, 그 지지통부(27)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클릭 부재(34)의 중심공(34c)에는 제1 샤프트(29)의 장축부(30)가 삽입되지만, 클릭 부재(34)는 제1 샤프트(2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지지통부(27)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배치되고, 그 압축 코일 스프링(35)은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과 클릭 부재(34) 사이에 배치된다(도7 및 도8 참조).
상기 와 같이 지지통부(27)에 클릭 부재(34)와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샤프트(29)의 장축부(30)가 클릭 부재(34)의 중심공(34c), 압축 코일 스프링(35) 및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의 관통공(27b)을 관통한다. 관통된 장축부(30)는 선단부가 좌측면(27a)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취부홈(30a)에 이탈 방지 링(36)이 취부된다.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35)은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과 클릭 부재(34)에 탄성 접촉되고, 클릭 부재(34)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우측 방향(도7 및 도8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되어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로 가압된다.
지지 플레이트(19) 우측의 지지편부(22)의 샤프트 삽통공(22a)에는 제2 샤프트(37)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37)는 차례로 좌측으로부터 취부부(38)와 플랜지부(39)와 삽입축부(4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플랜지부(39)는 삽입축부(40)보다 외경이 크게되어 있다. 취부부(38)는 횡단면 형상으로 거의 반원형으로 형성되고, 평면형을 이루는 면에 개구하는 나선형 홀(38a)이 형성되어 있다. 나선형 홀(38a)의 양측 위치에는 각각 제2 샤프트(37)의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홈(38b, 38b)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축부(40)의 우단 근접 위치에는 취부홈(40a)이 형성되어 있다. 삽입축부(40)의 둘레면에는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모따기부(40b, 40b)가 형성된다. 그 모따기부(40b, 40b)는 삽입축부(40)의 선단으로부터 축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까지 형성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는 삽입축부(40)가 지지편부(22)의 샤프트 삽통공(22a)에 좌측에서 삽입되고, 플랜지부(39)가 지지편부(22)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8)내에는 고정 부재(41)가 배치된다. 고정 부재(41)는 카메라 장치(17)의 회전시에 회전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 기능하고, 각각 거의 원판형으로 형성된 소경부(小徑部, 42)와 대경부(大徑部, 43)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고정 부재(41)에는 소경부(42)의 좌측면과 대경부(43)의 우측면을 관통하는 삽통공(41a)이 형성되고, 소경부(42)의 둘레면의 180° 반대측 부분에는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차단부(42a, 42a)가 형성되어 있다. 대경부(43)의 우측면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걸림 결합 오목부(43a), 제2 걸림 결합 오목부(43b)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43c)가 형성되어 있다.
고정 부재(41)는 소경부(42)가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2)의 샤프트 삽통공(22a)에 삽입된 상태로 지지통부(28)내에 배치된다. 고정 부재(41)는 소경부(42)의 회전 차단부(42a, 42a)가 각각 샤프트 삽통공(22a)의 커트면(22b, 22b)에 걸림 결합되어, 지지 플레이트(19)에 대해 회전불능이 된다.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8)내에 고정 부재(41)의 우측에 회전 부재(44)가 배치된다. 회전 부재(44)는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카메라 장치(17)와 일체가 되어 회전되는 회전부로서 기능한다. 회전 부재(44)의 중심부에는 삽입공(44a)이 형성되고, 그 삽입공(44a)에는 180° 반대측 위치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규제부(44b, 44b)가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44)의 좌측면에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통부(28)내에는 회전 부재(44)의 우측에 탄성 부재(45)가 배치되고, 그 탄성 부재(45)로서 압축 코일 스프링이 이용되고 있다.
지지통부(28)내에는 탄성 부재(45)의 우측에 평판형으로 형성된 커버(46)가 배치되고, 그 커버(46)에는 피취부공(46a)이 형성되어 있다. 피취부공(46a)에는 180° 반대측 위치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규제부(46b, 46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지지통부(28)에 고정 부재(41), 회전 부재(44), 탄성 부재(45) 및 커버(46)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37)의 삽입축부(40)가 고정 부재(41)의 삽통공(41a), 회전 부재(44)의 삽입공(44a), 탄성 부재(45) 및 커버(46)의 피취부공(46a)의 순으로 관통된다. 관통된 삽입축부(40)는 선단부가 커버(46)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취부홈(40a)에 이탈 방지 링(47)이 취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5)는 회전 부재(44)와 커버(46)에 탄력 접촉되고, 회전 부재(44)는 탄성 부재(45)에 의해 좌측 방향(도7 및 도8에 도시한 화살표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됨으로써, 고정 부재(41)의 대경부(43)에 가압된다. 회전 부재(44)와 커버(46)는 각각 회전 규제부(44b, 44b), 규제부(46b, 46b)가 삽입축부(40)의 모따기부(40b, 40b)에 걸림 결합되어, 제2 샤프트(37)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된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 22)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29), 제2 샤프트(37) 및 그 제1 샤프트(29), 제2 샤프트(37)에 조립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카메라 장치(17)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이하에,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개폐될 때에는, 제1 샤프트(29)는 지지 플레이트(19)에 대해 회전불능이 됨과 아울러 지지 프레임(24)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제1 샤프트(29)는 지지 플레이트(19)와 일체가 되어 지지 프레임(24)에 대해 회전된다. 한편, 제2 샤프트(37)는 지지 플레이트(19) 및 지지 프레임(24)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폐색 상태에 있어서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의 클릭 오목부(21c)에 클릭 부재(34)의 한쪽 클릭 돌출부(34b)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 때 지지편부(21, 22)의 한쪽 끝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의 한쪽 끝 가장자리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폐색 상태에서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해 가면,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에 대해 클릭 부재(34)가 회전되고, 그 클릭 부재(34)의 한쪽 클릭 돌출부(34b)와 지지편부(21)의 클릭 오목부(21c)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 때 클릭 부재(34)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압압되어 그 압축 코일 스프링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해 가면, 소정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탄성 복귀한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릭 부재(34)의 다른쪽 클릭 돌출부(34b)와 지지편부(21)의 클릭 오목부(21c)가 걸림 결합되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개방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편부(21, 22)의 다른쪽 끝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의 다른쪽 끝 가장자리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방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반대로, 개방 상태에서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폐색해 가면,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에 대해 클릭 부재(34)가 회전되고, 그 클릭 부재(34)의 다른쪽 클릭 돌출부(34b)와 지지편부(21)의 클릭 오목부(21c)와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이 때 클릭 부재(34)에 의해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압압되어 그 압축 코일 스프링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폐색하여 가면, 소정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탄성 복귀한다. 이에 따라,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클릭 부재(34)의 한쪽 클릭 돌출부(34b)와 지지편부(21)의 클릭 오목부(21c)가 걸림 결합되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폐색 상태로 유지된다. 이 때 지지편부(21, 22)의 한쪽 끝 가장자리가 각각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의 다른쪽 끝 가장자리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폐색 방향으로의 회동이 규제된다.
다음에, 상기한 카메라 장치(17)에 대한 상세를 설명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카메라 장치(17)는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48)를 구비한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17)는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1, 22)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가 제1 샤프트(29) 및 제2 샤프트(37)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편부(21, 2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카메라 본체(48)는 보유 케이스(49)내에 소정의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보유 케이스(49)는 커버측 케이스부(49a)와 베이스측 케이스부(49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도5 및 도6 참조).
커버측 케이스부(49a)는 베이스측 케이스부(49b)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기체부(基體部, 50)와 그 기체부(50)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51)와, 기체부(50)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기체부(50)에는 렌즈 배치공(50a)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51)는 좌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좌단부가 피규제 돌출부(51a)로서 설치되어 있다. 피규제 돌출부(51a)는 원호형으로 형성되어, 둘레 방향에서의 일단 가장자리가 제1 피규제 가장자리(51b)가 되고, 둘레 방향에서의 타단 가장자리가 제2 피규제 가장자리(51c)가 되어 있다.
피취부부(52)는 횡단면 형상에서 거의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고, 평면부와 그 반대측 면을 관통하는 나사 삽통공(52a)을 갖고 있다. 피취부부(52)의 평면부에는 나사 삽통공(52a)을 사이에 둔 양측 위치에, 각각 좌우 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라이드 돌출부(52b, 52b)가 설치되어 있다.
*베이스측 케이스부(49b)는 커버측 케이스부(49a)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고, 기체부(50)보다 횡폭이 약간 작게 되어 있고, 커버측 케이스부(49a)의 기체부(50)와, 예를 들면 나사 고정에 의해 결합된다. 베이스측 케이스부(49b)는 그 좌측면이 기체부(50)의 좌측면과 일치된 상태에서 커버측 케이스부(49a)에 결합된다.
카메라 본체(48)는 촬상 렌즈(53)와 소정의 광학 소자를 갖고, 촬상 렌즈(53)가 커버측 케이스부(49a)의 렌즈 배치공(50a)에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48)는 피지지부 51과 피취부부 52를 제외한 부분이 보호 커버(18)에 의해 덮이고 피지지부 51과 피취부부 52는 보호 커버(18)로부터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7)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1 샤프트(29) 및 제2 샤프트(37)에 조립된다(도12 및 도13 참조).
먼저, 피취부부(52)의 슬라이드 돌출부(52b, 52b)를 각각 제2 샤프트(37)의 취부부(38)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8b, 38b)에 삽입한다(도12 참조). 이 때 피지지부(51)는 제1 샤프트(29)의 바로 우측에 위치된다.
다음에, 카메라 장치(17)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보유 케이스(49)의 피지지부(51)에 제1 샤프트(29)의 단축부(32)를 삽입한다(도13 참조). 따라서, 피지지부(51)는 제1 샤프트(29)가 삽입되는 삽입통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피지지부(51)에 단축부(32)를 삽입하면, 보유 케이스(49)의 나사 삽통공(52a)과 제2 샤프트(37)의 나선형 홀(38a)이 대응하여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나사 삽통공(52a)을 삽통한 취부 나사(54)를 제2 샤프트(37)의 나선형 홀(38a)에 나사 결합한다.
카메라 장치(17)는 제2 샤프트(37)에 취부되므로, 그 제2 샤프트(37)와 일체로 되어 회전되어, 제1 샤프트(29)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피지지부(51)에 단축부(32)가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단축부(32)에 취부된 규제 돌출부(33)가 피규제 돌출부(51a)에 대응하여 위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19)와 지지 프레임(24)이 힌지 기구(16)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카메라 장치(17)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 있어서,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과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이 각각 별도로 배치된다(도14 참조).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은 일단부가 제1 케이스(5)이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8)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본체용 구동 회로의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가 제2 케이스(6)에 배치된 표시부(14)의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있다.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의 중간부는 제2 샤프트(37)의 취부부(38)의 배면측을 통과하는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8)를 둘러 감고 기초부(25)의 배면측을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은 일단부가 회로 기판(8)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카메라용 구동 회로의 커넥터부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타단부가 카메라 장치(17)의 카메라 본체(48)의 도시하지 않은 커넥터 일부에 접속되어 있다.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의 타단측 부분은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피지지부(51)를 둘러 감아 피지지부(51)의 배면측을 통과하여 보유 케이스(49)의 외면을 따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고, 타단부가 2가닥으로 분할된 분할부(56a, 56a)로 되어 있다.
분할부(56a, 56a)의 선단부는 보유 케이스(49)의 내부에 배치된 소자 블록(48a)에 접속되어 있다(도23 참조). 분할부(56a, 56a) 사이에는 보유 케이스(49)의 내부에 배치된 스페이서(48b)가 위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개폐될 때에는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의 제2 샤프트(37)에 감겨진 부분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수반하여 지름이 변동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가 회전될 때에는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의 보유 케이스(49)에 감겨진 부분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동작에 수반하여 지름이 변동된다.
카메라 장치(17)에는 촬상 렌즈(53)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보강 프레임(57)을 통해 발광부(58)가 설치되어 있다(도16 및 도17 참조). 발광부(58)는 내측에 배치된 발광체(58a)와 외측에 배치된 도광체(58b)로 이루어진다. 발광체(58a)로서 예를 들면 LED(Light Emitting Diode)가 이용되고 있다. 발광체(58a)는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식 조작키(10)의 압압 조작에 의해 카메라 장치(17)에 의한 촬영을 행하였을 때, 예를 들면 주위의 밝기에 따라 자동적으로 발광된다.
발광체(58a)는 촬상 렌즈(53)로부터 광축 방향으로 이격함에 따라 외측으로 열리도록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외측으로 열리도록 경사져 있음으로써, 촬상 렌즈(53)가 갖는 화각(畵角)이 차폐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휴대 전화기(100)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촬상 렌즈(53)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발광부(58)가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발광부(58)로부터 출사된 광의 치우침이 없이 촬상 렌즈(53)의 광축을 중심으로 한 균등한 광이 출사되어, 양호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이하에,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17)는, 제2 샤프트(37)와 일체가 되어 제1 샤프트(29)에 대해 회전되고, 제2 샤프트(37)는 지지 플레이트(19) 및 지지 프레임(24)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17)는 지지 플레이트(19) 및 지지 프레임(24)에 대해 회전된다.
카메라 장치(17)는 제2 회전 위치를 중심 위치로 하여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제1 회전 위치는 촬상 렌즈(53)가 제1 케이싱(1)에 차폐된 "차폐 모드"의 위치이다(도15 참조). 또한, 제2 회전 위치는 촬상 렌즈(53)가 촬상자측을 향하는 "자신측 촬영 모드"의 위치이다(도16 참조). 또한, 제3 회전 위치는 촬상 렌즈(53)가 촬영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대측 촬영 모드"의 위치이다(도17 참조).
제1 케이싱(1)의 제1 케이스(5)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8)의 주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촬상 렌즈(53)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는 위치를 카메라 장치(17)의 기준 위치로 하면, 카메라 장치(17)는, 기준 위치에서 정면측으로, 예를 들면 137° 회전된 위치가 제1 회전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기준 위치에서 정면측으로, 예를 들면 14° 회전된 위치가 제2 회전 위치로 되어 있다. 또한, 기준 위치에서 배면측으로, 예를 들면 150° 회전된 위치가 제3 회전 위치로 되어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17)는 예를 들면 287°의 범위로 회전가능하게 되어 있다.
제1 회전 위치는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43a)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도2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샤프트(29)에 취부된 규제 돌출부(33)의 선단부가 보유 케이스(49)의 제1 피규제 가장자리(51b)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규제 돌출부(33)는 카메라 장치(17)가 회전되었을 때, 보유 케이스(49)의 피지지부(51) 외면의 회전 궤적으로부터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규제 돌출부(33)에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을 감은 상태에 있어서, 규제 돌출부(33)가 감겨진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에 접촉하지 않고, 피지지부(51)의 외주면측 공간을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17)를 제2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지지 플레이트(19)의 지지편부(22)에 고정된 고정 부재(41)에 대해 제2 샤프트(37)와 함께 회전 부재(44)가 회전된다. 또한, 고정 부재(41)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43a)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44)에 의해 탄성 부재(45)가 압압되어 그 탄성 부재(45)가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를 회전해 가면, 제2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 부재(45)가 탄성 복귀한다. 그리고,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43b)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가 제2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제2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17)를 제3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고정 부재(41)에 대해 회전 부재(44)가 회전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41)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43b)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44)에 의해 탄성 부재(45)가 압압되어 그 탄성 부재(45)가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를 회전해 가면, 제3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 부재(45)가 탄성 복귀한다. 그리고, 도20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제3 걸림 결합 오목부(43c)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가 제3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제1 샤프트(29)에 취부된 규제 돌출부(33)의 선단부가 보유 케이스(49)의 제2 피규제 가장자리(51c)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도22 참조),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17)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반대로, 제3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17)를 제2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고정 부재(41)에 대해 회전 부재(44)가 회전되고, 고정 부재(41)의 제3 걸림 결합 오목부(43c)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그리고, 회전 부재(44)에 의해 탄성 부재(45)가 압압되어 그 탄성 부재(45)가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를 회전해 가면, 제2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 부재(45)가 탄성 복귀한다. 그리고, 도1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43b)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가 제2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제2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17)를 제1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고정 부재(41)에 대해 회전 부재(44)가 회전된다. 그리고, 고정 부재(41)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43b)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의 걸림 결합이 해제되고, 회전 부재(44)에 의해 탄성 부재(45)가 압압되어 그 탄성 부재(45)가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를 회전해 가면,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탄성 부재(45)가 탄성 복귀한다. 그리고, 도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 부재(41)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43a)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돌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가 제1 회전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 제1 샤프트(29)에 취부된 규제 돌출부(33)의 선단부가 보유 케이스(49)의 제1 피규제 가장자리(51b)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도21 참조),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17)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휴대 전화기(100)에는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위치를 검출하기 위한 비접촉형 검출 수단(59)이 설치되어 있다(도4 참조). 검출 수단(59)은 자기 저항 소자(60), 예를 들면 MR(Magneto Resistive) 소자와 마그네트(61)로 구성되어 있다. 또, 검출 수단(59)은 자기 저항 소자(60)와 마그네트(61)와 같은 자기 센서 외에, 검출광을 출사하여 검출을 행하는 광학식 센서여도 좋다.
자기 저항 소자(60)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케이스(5)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8)의 상단부(上端部)에 취부되어 있다. 마그네트(61)는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외면에 취부되어 있다. 검출 수단(59)에 있어서, 자기 저항 소자(60)의 중심점과 마그네트(61)의 중심점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축에 직교하여 촬상 렌즈(53)의 광축을 포함하는 면내에 항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자기 저항 소자(60)의 중심점과 마그네트(61)의 중심점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자기 저항 소자(60)의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 카메라 장치(17)가 회전되었을 때의 검출 수단(59)에 의한 검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23 내지 도26 참조).
카메라 장치(17)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1 회전 위치에 있는 "차폐 모드"(도15 참조), 제2 회전 위치에 있는 "자신측 촬영 모드"(도16 참조) 및 제3 회전 위치에 있는 "상대측 촬영 모드"(도17 참조)의 3개의 모드를 갖고 있다.
회전 기판(8)의 주면이 향하는 방향에 대하여 촬상 렌즈(53)의 광축이 평행하게 되는 위치를 카메라 장치(17)의 기준 위치(0°)로 하면, 카메라 장치(17)는 기준 위치로부터 정면측(마이너스측)으로 137° 회전된 위치가 제1 회전 위치가 된다. 또한, 기준 위치로부터 정면측으로 14° 회전된 위치가 제2 회전 위치가 된다. 또한, 기준 위치로부터 배면측(플러스측)으로 150° 회전된 위치가 제3 회전 위치로 되어 있다.
도2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모드(∼137°)에 있어서, 자기 저항 소자(60)와 마그네트(61)의 위치 관계에 의해 검출 수단(5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A가 "OFF"로 되어 있다. 스위치 A는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을 반전하기 위해 설치된 스위치이다.
카메라 장치(17)가 차폐 모드에 있는 제1 회전 위치에서 플러스측으로 회전되어, 도2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측 촬영 모드(-14°)로 되어도 스위치 A는 "OFF"인 상태이다.
카메라 장치(17)가 더 플러스측으로 회전되어, 도2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90°가 되면, 자기 저항 소자(60)와 마그네트(61)가 접근한 위치 관계가 되며, 그리고 검출 수단(5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A가 "ON"이 된다. 따라서, 이 +90° 회전 각도의 위치가 스위치 A의 전환 포인트가 되어 있다. 스위치 A가 "ON"이 됨으로써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가 플러스측으로 회전되면, 도2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촬영 모드(+15°)가 되어 제3 회전 위치에 이르지만, 그 동안, 자기 저항 소자(60)에 마그네트(61)가 접근되기 위해 스위치 A가 "ON"인 상태이다.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어서, 자기 저항 소자(60)와 마그네트(61)가 가장 접근된다.
반대로, 카메라 장치(17)가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는 제3 회전 위치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회전되면, 검출 수단(5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90°에서 스위치 A가 "ON"에서 "OFF"로 전환하고,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되어 통상 표시로 복귀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휴대 전화기(100)는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의 반전을, 카메라 장치(17)의 본체부(3)에대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는 비접촉형 검출 수단(59)에 의해 행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푸시 스위치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피조작 레버와 조작용 돌출부의 가동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또한, 힌지 기구(16)와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와의 간섭과 같은 우려도 없어, 그 만큼 휴대 전화기(10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7)에의 급전을 위한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의 충분한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피조작 레버 및 조작용 돌출부와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과의 간섭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의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59)이 비접촉형이므로, 힌지부(4)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할 우려가 있는 진애와 수분 등에 의한 영향이 적어, 검출 동작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비접촉형 검출 수단(59)을 이용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등의 접촉형 검출 수단을 이용한 경우에 비하여 검출 수단(59)의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59)이 자기 저항 소자(60)와 마그네트(61)로 구성되어, 간소한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휴대 전화기(1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기구의 간소화 및 내부 기구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검출 수단(59)은 자기 저항 소자(60)가 본체부(3)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1)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8)에 취부되고, 마그네트(61)가 카메라 장치(17)에 취부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 저항 소자(60)로의 급전을 위한 배선판,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과 전용 커넥터 등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내부 구성의 간소화 및 부품 가짓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저항 소자(60)를 회로 기판(61)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1)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함으로써, 자기 저항 소자(60)로의 급전을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17)를 회전했을 때의 당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스트레스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으므로, 검출 수단(59)에 의한 양호한 검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전화기(100)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이 부여되었을 때에는, 회동 가능한 카메라 장치(17)는 회로 기판(8)보다도 이 충격 등의 영향을 받기 쉬우므로, 자기 저항 소자(60)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1)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함으로써, 자기 저항 소자(60)의 크랙과 파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자기 저항 소자(60)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1)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함으로써, 카메라 장치(17)의 교환이 필요하게 된 경우라도, 일반적으로 마그네트(61)보다도 고가인 자기 저항 소자(60)를 카메라 장치(17)와 함께 교환할 필요가 없다.
또, 상기에는, 자기 저항 소자(60)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1)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대로 자기 저항 소자(60)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1)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도 된다. 이 경우에는 자기 저항 소자(60)에의 급전을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다음에, 검출 수단(62) 및 이 검출 수단(62)에 의한 검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도27 내지 도30 참조).
검출 수단 62도 검출 수단 59와 마찬가지로 비접촉형이며, 제1 자기 저항 소자(63)와 제2 자기 저항 소자(64)와 마그네트(65)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자기 저항 소자(63)와 제2 자기 저항 소자(64)로서 예를 들면 모두 MR 소자가 이용되고 있다.
또, 검출 수단 62로서도 검출 수단 59와 마찬가지로, 검출광을 출사하여 검출을 행하는 광학식 센서를 이용하여도 된다.
제1 자기 저항 소자(63)는 제1 케이스(5)의 내부에 배치된 회로 기판(8)의 상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제2 자기 저항 소자(64)는 제1 케이스(5)의 프론트 케이스(5a)의 배면 상단부의 경사진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마그네트(65)는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외면에 취부되어 있다. 검출 수단(62)에 있어서, 제1 자기 저항 소자(63), 제2 자기 저항 소자(64)의 중심점과 마그네트(65)의 중심점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 위치에 관계없이, 카메라 장치(17)의 회전축에 직교하여 촬상 렌즈(53)의 광축을 포함하는 면내에 항상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자기 저항 소자(63), 제2 자기 저항 소자(64)의 중심점과 마그네트(65)의 중심점과의 위치 편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어, 제1 자기 저항 소자(63) 및 제2 자기 저항 소자(64)의 감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도2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폐 모드(-137°)에 있어서, 제1 자기 저항 소자(63)와 마그네트(65)의 위치 관계에 의해 검출 수단(6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A가 "OFF"로 되어 있다. 이 때 제2 자기 저항 소자(64)와 마그네트(65)는 가장 접근한 위치에 있고, 제2 자기 저항 소자(64)와 마그네트(65)의 위치 관계에 따라 검출 수단(6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B가 "ON"으로 되어 있다.
스위치 B는 카메라 장치(17)을 사용가능 상태 또는 사용불능 상태로 전환하기 위해 설치된 스위치로서, 스위치 B가 "ON"으로 되어 있을 때에는 카메라 장치(17)가 사용불능 상태에 있다. 카메라 장치(17)가 사용불능 상태에 있을 때에는 예를 들면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내부에 배치된 소자 블록(48a)으로의 급전이 정지 또는 차폐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7)가 차폐 모드에 있는 제1 회전 위치에서 플러스측으로 회전되어, 도2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신측 촬영 모드(-14°)가 되어도 스위치 A는 "OFF"인 상태이다. 한편, 제2 자기 저항 소자(64)는 마그네트(65)로부터 이격되고, 차폐 모드로부터 자신측 촬영 모드에 이르는 도중에 검출 수단(6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B가 "OFF"로 된다. 스위치 B가 "OFF"가 되면, 소자 블록(48a)으로의 급전이 재개되어 카메라 장치(17)가 사용가능 상태로 전환된다.
카메라 장치(17)가 플러스측으로 더 회전되어 도2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 각도가 +90°가 되면, 제1 자기 저항 소자(63)와 마그네트(65)가 접근한 위치 관계가 되며, 그리고 검출 수단(6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스위치 A가 "ON"이 된다. 스위치 A가 "ON"이 됨으로써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된다. 한편, 회전 각도가 +90°가 되어도 제2 자기 저항 소자(64)와 마그네트(65)는 격리된 위치에 있고 스위치 B는 "OFF"인 상태에 있어 카메라 장치(17)는 사용가능 상태에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17)가 플러스측으로 회전되면, 도3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대측 촬영 모드(+15°)가 되어 제3 회전 위치에 이른다. 그 동안, 제1 자기 저항 소자(63)에 마그네트(65)가 접근되기 위해 스위치 A가 "ON"인 상태 그대로이다.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어서, 제1 자기 저항 소자(63)와 마그네트(61)가 가장 접근된다. 또한,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어서도 제2 자기 저항 소자(64)와 마그네트(65)는 이격된 위치에 있고 스위치 B는 "OFF"인 상태 그대로이며 카메라 장치(17)는 사용가능 상태에 있다.
반대로, 카메라 장치(17)가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는 제3 회전 위치로부터 마이너스측으로 회전되면, 검출 수단(59)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90°에서 스위치 A가 "ON"에서 "OFF"로 전환된다. 그리고,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되어 통상 표시로 복귀한다. 카메라 장치(17)의 마이너스측으로의 회전중에는, 검출 수단(62)의 검출 결과에 기초하여 자신측 촬영 모드로부터 차폐 모드에 이르는 도중에 스위치 B가 "OFF"에서 "ON"으로 전환하고, 카메라 장치(17)가 사용가능 상태에서 사용불능 상태로 전환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검출 수단 62를 이용한 경우에는, 검출 수단 59를 이용한 경우의 상기 효과에 더하여, 카메라 장치(17)가 소정의 위치에 회전되었을 때에 카메라 장치(17)가 사용가능 상태 또는 사용불능 상태로 전환되므로, 필요한 때에만 카메라 장치(17)로의 급전이 이루어져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신측 촬영 모드와 상대측 촬영 모드 사이에서 화상의 반전이 이루어져, 자신측 촬영 모드와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17)가 사용가능 상태로 됨과 동시에 차폐 모드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17)가 사용불능 상태로 되기 때문에, 각 모드에서 촬영자에 있어서의 카메라 장치(17)의 원하는 상태가 설정되어,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 상기에는, 제1 자기 저항 소자(63)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 제2 자기 저항 소자(64)를 제1 케이스(5)에 취부하고, 마그네트(65)를 카메라 장치(17)에 취부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반대로 제1 자기 저항 소자(63) 및 제2 자기 저항 소자(64)를 카메라 장치(17)의 각기 다른 위치에 취부하여 마그네트(65)를 회로 기판(8)에 취부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제1 자기 저항 소자(63) 및 제2 자기 저항 소자(64)에의 급전을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에는, 제1 자기 저항 소자(63) 및 제2 자기 저항 소자(64)의 2개의 자기 저항 소자와 1개의 마그네트(65)에 의해 검출 수단(62)을 구성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검출 수단(62)을 1개의 자기 저항 소자와 2개의 마그네트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하에, 상기한 검출 수단(62)에 의한 검출 동작을 도31에 도시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1) 검출 수단(62)에 의한 검출 동작을 개시하여, 스위치 B의 상태를 판별한다. 스위치 B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2)로 이행된다. 스위치 B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3)으로 이행된다.
*(S2) 카메라 장치(17)가 사용불능 상태가 되고, 계속 (S1)의 스위치 B의 판별을 행한다.
(S3) 카메라 장치(17)가 사용가능 상태가 되고, (S4)로 이행된다.
(S4)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되지 않는 통상 표시로 되고, (S5)로 이행된다.
(S5) 스위치 A의 상태를 판별한다. 스위치 A가 "ON"으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6)로 이행된다. 스위치 A가 "OFF"로 되어 있는 경우에는 (S1)로 이행된다. 그리고, 계속 (S1)의 스위치 B의 판별을 행한다.
(S6) 촬상 렌즈(53)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이 반전되어 반전 표시가 되고, (S5)로 이행된다. 그리고, 계속 (S5)의 스위치 A의 판별을 행한다.
[제1 변형예]
다음에, 힌지 기구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도32 및 도33 참조). 이 제1 변형예에 관한 힌지 기구 16A는 상기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카메라 장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이 다르고,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다르다는 점만이 상이하므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 16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번호와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플레이트(19A)는 좌우 방향으로 긴 베이스부(20)와 그 베이스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접혀진 지지편부(21A, 22A)와 베이스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직각으로 접혀진 피취부부(23, 23)로 이루어진다.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 22A)의 선단부에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21d, 22c)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삽통공(21d, 22c)에는 지지 플레이트(19)의 샤프트 삽통공(21a, 22c)과는 달리, 커트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지지편부(22A)의 우측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f)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22A)의 중간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규제 돌출부(22g)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9A)는 카메라 장치(17A)의 회전시에 회전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지지 플레이트(19A)의 좌측 지지편부(21A)의 샤프트 삽통공(21d)에는 제1 샤프트(29A)가 삽통된다. 제1 샤프트(29A)는 차례로 우측으로부터 장축부(30A)와 플랜지부(31)와 단축부(32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플랜지부(31)는 장축부(30A) 및 단축부(32A)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제1 샤프트(29A)의 장축부(30A)에는 제1 샤프트(29)의 장축부(30)와 달리, 회전 정지부(30b, 30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단축부(32A)에는 제1 샤프트(29)의 단축부(32)와 달리, 그 둘레면에 개구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지지 플레이트(19A)의 우측 지지편부(22A)의 샤프트 삽통공(22c)에는 제2 샤프트(37A)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37A)는 차례로 좌측으로부터 취부부(38)와 플랜지부(39)와 삽입축부(40A)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플랜지부(39)는 삽입축부(40A)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삽입축부(40A)의 좌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지름이 한 사이즈 큰 끼움 결합부(40c)가 설치되고, 그 끼움 결합부(40c)의 둘레면에는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커트면(40d, 40d)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A)의 끼움 결합부(40c)에는 스토퍼 부재(57)가 밖에서 끼우는 형태로 취부된다. 스토퍼 부재(57)는 원환부(圓環部, 57a)와, 원환부(57a)와 그 원환부(57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부(57b)로 이루어진다. 원환부(57a)에는 끼워넣기 구멍(57c)이 형성되고, 그 끼워넣기 구멍(57c)의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차단면(57d, 57d)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7)는 끼워넣기 구멍(57c)에 제2 샤프트(37A)의 끼움 결합부(40c)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움 결합부(40c)의 커트부(40d, 40d)에 의해 제2 샤프트(37A)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A)는 스토퍼 부재(57)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축부(40A)가 지지편부(22A)의 샤프트 삽통공(22c)에 좌측에서 삽입되고, 스토퍼 부재(57)가 지지편부(22A)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힌지 기구(16A)는 힌지 기구(16)와 달리, 고정 부재(4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지지통부(28)에 회전 부재(44), 탄성 부재(45) 및 커버(46)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37A)의 삽입축부(40A)가 회전 부재(44)의 삽입공(44a), 탄성 부재(45) 및 커버(46)의 피취부공(46a)을 차례로 관통한다. 관통된 삽입축부(40A)는 선단부가 커버(46)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취부홈(40a)에 이탈 방지 링(47)이 취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5)는 회전 부재(44)와 커버(46)에 탄력 접촉되고, 회전 부재(44)는 탄성 부재(45)에 의해 좌측 방향(도33에 도시한 화살표 L방향)으로 탄력을 갖게 되어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에 가압된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 22A)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29A), 제2 샤프트(37A) 및 그 제1 샤프트(29A), 제2 샤프트(37A)에 조립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A)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A)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카메라 장치(17A)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기구(16A)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16)를 이용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힌지 기구(16A)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 22A)와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힌지 기구(16A)에 있어서, 클릭 부재(34), 지지편부(21A) 및 클릭 부재(34)를 지지편부(21A)에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카메라 장치(17A)는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48A)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48A)는 보유 케이스(49A)내에 소정의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보유 케이스(49A)는 커버측 케이스부(49c)와 베이스측 케이스부(49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커버측 케이스부(49c)는 베이스측 케이스부(49b)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기체부(50)와, 그 기체부(50)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51A)와, 기체부(50)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피지지부(51A)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피지지부(51)과 달리, 피규제 돌출부(51a)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카메라 장치(17A)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1 샤프트(29A) 및 제2 샤프트(37A)에 조립된다.
우선, 피취부부(52)의 슬라이드 돌출부(52b, 52b)를 각각 제2 샤프트(37A)의 취부부(38)에 형성된 슬라이드홈(38b, 38b)에 삽입한다. 이 때, 피지지부(51A)는 제1 샤프트(29A)의 바로 우측에 위치된다.
다음에, 카메라 장치(17A)를 좌측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보유 케이스(49A)의 피지지부(51A)에 제1 샤프트(29A)의 단축부(32A)를 삽입한다. 피지지부(51A)에 단축부(32A)를 삽입하면, 보유 케이스(49a)의 나사 삽입공(52a)와 제2 샤프트(37A)의 나선형 홀(38a)가 대응하여 위치된다.
마지막으로, 나사 삽통공(52a)을 삽통한 취부 나사(54)를 제2 샤프트(37A)의 나선형 홀(38a)에 나사 결합한다.
카메라 장치(17A)가 회전될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e) 또는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f)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톨출부(44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A)가 각각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또는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카메라 장치(17A)가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스토퍼 부재(57)의 스토퍼부(57b)가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 편부(22A)에 설치된 회전 규제 돌출부(22g)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17A)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스트퍼 부재(57)와 지지 플레이트(19A)의 회전 규제 돌출부(22g)는 카메라 장치(17A)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16A)에 있어서는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 16A에 있어서도 힌지 기구 16과 마찬가지로, 카메라 장치(17A)가 제1 샤프트(37A)에 대해, 그 축 방향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되어 그 축방향으로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착탈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힌지 기구(16A)의 각 부를 분해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17A)만을 제1 샤프트(29A) 및 제2 샤프트(37A)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17A)에 수리 등이 필요하게 된 경우에 카메라 장치(17A)만을 제1 샤프트(29A) 및 제2 샤프트(37A)로부터 분리하면 되어, 정비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2 변형예]
다음에, 힌지 기구의 제2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도34 및 도35 참조). 이 제2 변형예에 관한 힌지 기구 16B는 상기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카메라 장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이 다르고,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다르다는 점 및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 형상이 다르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 16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번호와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힌지 기구 16B에서는 제1 변형예에 관한 힌지 기구 16A와 동일한 지지 플레이트(19A)가 이용되고 있다.
지지 플레이트(19A)의 좌측 지지편부(21A)의 샤프트 삽통공(21d)에는 제1 샤프트(29B)가 삽통된다.
제1 샤프트(29B)는 차례로 좌측부터 플랜지부(31B)와 장축부(30B)와 단축부(3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플랜지부(31B)는 장축부(30B)보다 외경이 크고, 장축부(30B)는 단축부(32B)보다 외경이 크다. 장축부(30B)의 단축부(32B)에 근접한 위치에는 취부홈(30c)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샤프트(29B)의 장축부(30B)에는 제1 샤프트(29)의 장축부(30)와 달리, 회전 정지부(30b, 30b)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제1 샤프트(29B)의 단축부(32B)에는 제1 샤프트(29)의 단축부(32)와 달리, 그 둘레면에 개구된 구멍(32a)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지지 플레이트(19A) 우측의 지지편부(22A)의 샤프트 삽통공(22c)에는 제2 샤프트(37B)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37B)는 차례로 좌측부터 취부부(38B)와 플랜지부(39B)와 삽입축부(40B)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9B)는 취부부(38B) 및 삽입축부(40B)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취부부(38B)는 축방향으로 짧고 둘레면의 180°반대측 부분에 각 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38c, 38c)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축부(40B)의 좌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지름이 한 사이즈 큰 끼움 결합부(40e)가 형성되어 있다. 그 끼움 결합부(40e)의 둘레면에는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커트부(40f, 40f)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B)의 끼움 결합부(40e)에는 스토퍼 부재(57)가 밖에서 끼우는 형태로 취부된다. 스토퍼 부재(57)는 끼움 결합부(40e)의 커트부(40f, 40f)에 의해 제2 샤프트(37B)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B)는 스토퍼 부재(57)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축부(40B)가 지지편부(22A)의 샤프트 삽통부(22c)에 좌측에서 삽입되고, 스토퍼 부재(57)가 지지편부(22A)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힌지 기구(16B)에서는 힌지 기구(16)와 달리, 고정 부재(4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지지통부(28)에 회전 부재(44), 탄성 부재(45) 및 커버(46)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37B)의 삽입축부(40B)가 회전 부재(44)의 삽입공(44a), 탄성 부재(45) 및 커버(46)의 피취부공(46a)을 차례로 관통한다. 관통된 삽입축부(40B)는 선단부가 커버(46)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고, 취부홈(40a)에 이탈 방지 링(47)이 취부된다. 따라서, 탄성 부재(45)는 회전 부재(44)와 커버(46)에 탄력 접촉되고, 회전 부재(44)는 탄성 부재(45)에 의해 좌측 방향(도35에 도시한 화살표 L방향)으로 탄력을 갖게 되어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에 가압된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 22A)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29B), 제2 샤프트(37B) 및 그 제1 샤프트(29B), 제2 샤프트(37B)에 조립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B)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B)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하는 것 외에, 카메라 장치(17B)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기구(16B)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16)를 이용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힌지 기구(16B)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 22A)와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힌지 기구(16B)에 있어서, 클릭 부재(34), 지지편부(21C) 및 클릭 부재(34)를 지지편부(21C)에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5)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카메라 장치(17B)는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48B)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48B)는 보유 케이스(49B)내에 소정의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지고, 보유 케이스(49B)는 커버측 케이스부(49d)와 베이스측 케이스부(49b)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커버측 케이스부(49d)는 베이스측 케이스부(49b)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기체부(50)와, 그 기체부(50)에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51B)와, 기체부(50)에서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52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피지지부(51B)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카메라 장치(17)의 보유 케이스(49)의 피지지부(51)와 달리, 피규제 돌출부(51a)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피지지부(52B)에는 좌우로 연장하는 샤프트 삽입공(52c)이 형성되어 있다. 그 샤프트 삽입공(52c)에는 180°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차단 커트부(52d, 52d)가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장치(17B)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1 샤프트(29B) 및 제2 샤프트(37B)에 조립된다.
우선, 제1 샤프트(29B)를 단축부(32B)가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의 샤프트 삽통공(21d)에 그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로 삽입하여 두고, 피취부부(52B)를 제2 샤프트(37B)의 취부부(38B)에 밖에서 끼우는 형태로 취부한다. 피취부부(52B)가 취부부(38B)에 취부된 상태에서는 샤프트 삽입공(52c)의 회전 차단 커트부(52d, 52d)와 취부부(38B)의 고정부(38c, 38c)가 각각 걸림 결합되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17B)가 제2 샤프트(37B)에 대해 회전 불능하게 된다. 이 때, 피지지부(51B)는 제1 샤프트(29B)의 바로 우측에 위치된다.
다음에, 제1 샤프트(29B)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축부(32B)를 카메라 장치(17B)의 피지지부(51B)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1A)의 우측 방향에서 제1 샤프트(29B)의 취부홈(30c)에 이탈 방지 링(36)을 취부한다.
카메라 장치(17B)가 회전될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e) 또는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f)와 회전 부재(44)의 걸림 결합 톨출부(44c)가 걸림 결합된다. 그리고, 카메라 장치(17B)가 각각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또는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카메라 장치(17B)가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스토퍼 부재(57)의 스토퍼부(57b)가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 편부(22A)에 설치된 회전 규제 돌출부(22g)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17B)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스트퍼 부재(57)와 지지 플레이트(19A)의 회전 규제 돌출부(22g)는 카메라 장치(17B)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16B)에 있어서는 카메라 장치(17B)의 조립시에 나사 고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 16B에 있어서는, 힌지 기구 16A와 마찬가지로, 지지 플레이트(19A)의 지지편부(22A)에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f)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제3 변형예]
다음에, 힌지 기구의 제3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도36 및 도38 참조). 이 제3 변형예에 관한 힌지 기구 16C는 상기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카메라 장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이 다른 점,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다른 점 및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의 형상이 다른 점 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힌지 기구 16과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 16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번호와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플레이트(19C)는 좌우 방향으로 긴 베이스부(20)와 그 베이스부(2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접혀진 지지편부(21C, 22C)와 베이스부(20)의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23, 23)로 이루어진다.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1C, 22C)의 선단부에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21e, 22h)이 형성되어 있다. 샤프트 삽통공(21e, 22h)에는 지지 플레이트(19)의 샤프트 삽통공(21a, 22a)과는 달리, 커트면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지지편부(22A)의 좌측면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i),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j)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k)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22A)의 중간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규제 돌출부(22l)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19C)는 카메라 장치(17B)의 회전시에 회전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지지 플레이트(19C)의 좌측 지지편부(21C)의 샤프트 삽통공(21e)에는 제2 힌지 기구(16B)와 동일한 제1 샤프트(29B)가 삽통된다.
지지 플레이트(19C) 우측의 지지편부(22C)의 샤프트 삽통공(22h)에는 제2 샤프트(37C)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37C)는 차례로 좌측부터 취부부(38C)와 플랜지부(39C)와 삽입축부(40C)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39C)는 취부부(38C) 및 삽입축부(40C)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취부부(38C)는 축방향으로 짧고, 둘레면의 180°반대측 부분에 각 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고정부(38d, 38d)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축부(40C)의 좌단부에는 다른 부분보다 지름이 한 사이즈 큰 끼움 결합부(40g)가 형성되어 있다. 그 끼움 결합부(40g)의 둘레면에는 180° 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커트부(40h, 40h)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C)의 끼움 결합부(40g)에는 스토퍼 부재(58)가 밖에서 끼우는 형태로 취부된다. 스토퍼 부재(58)는 카메라 장치(17B)와 일체가 되어 회전되는 회전부로서 기능한다. 스토퍼 부재(58)는 원환부(58a)와 그 원환부(58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부(58b)와 원환부(58a)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돌출부(58c)로 이루어 진다. 원환부(58a)에는 끼워넣기 구멍(58d)이 형성되어 있다. 그 끼워넣기 구멍(58d)의 180°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 형상으로 형성된 회전 차단면(58e, 58e)이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58)는 끼워넣기 구멍(58d)에 제2 샤프트(37C)의 끼움 결합부(40g)가 삽입되어 끼움 결합되고 그 끼움 결합부(40g)의 커트부(40h, 40h)에 의해 제2 샤프트(27C)에 대해 회전 불능하게 되어 있다.
제2 샤프트(37C)는 스토퍼 부재(58)가 취부된 상태에 있어서, 삽입축부(40C)가 지지편부(20C)의 샤프트 삽통공(22h) 및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8)에 좌측에서 삽입되고, 스토퍼 부재(58)가 지지편부(22C)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힌지 기구(16C)에 있어서는 힌지 기구(16)와 달리, 고정 부재(41), 회전 부재(44), 커버(46) 및 이탈 방지 링(47)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1C, 22C)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29B), 제2 샤프트(37C) 및 그 제1 샤프트(29B), 제2 샤프트(37B)에 부착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C)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C)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17B)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기구(16C)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16)를 이용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힌지 기구(16C)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1C, 22C)와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이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힌지 기구(16C)에 있어서, 클릭 부재(34), 지지편부(21C) 및 클릭 부재(34)를 지지편부(21C)에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힌지 기구(16C)가 이용된 경우에는 힌지 기구(16B)와 동일한 카메라 장치(17B)가 이용된다.
카메라 장치(17B)의 피취부부(52B)의 내부에는 탄성 부재(45)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2 샤프트(37C)의 취부부(38C)가 삽입된다(도38 참조). 따라서, 피취부부(52B)는 내부에 탄성 부재(45)가 배치되는 통부로서의 역할을 갖는다. 탄성 부재(45)는 커버측 케이스부(49d)내에 설치된 지지벽부(49e)와 제2 샤프트(37C)의 취부부(38C)의 선단면에 탄력 접촉된다. 제2 샤프트(37C) 및 스토퍼 부재(58)는 탄성 부재(45)에 의해 우측 방향(도37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되어, 스토퍼 부재(58)가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2C)에 가압된다.
카메라 장치(17B)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1 샤프트(29B) 및 제2 샤프트(37C)에 조립된다.
우선, 제1 샤프트(29B)를 단축부(32C)가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1C)의 샤프트 삽통공(21e)에 그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하여 두고, 내부에 탄성 부재(45)가 배치된 피취부부(52B)를 제2 샤프트(37C)의 취부부(38C)에 밖에서 끼우는 형태로 취부한다. 피취부부(52B)가 취부부(38C)에 취부된 상태에서는 샤프트 삽입공(52c)의 회전 차단 커트부(52d, 52d)와 취부부(38C)의 고정부(38d, 38d)가 각각 걸림 결합된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17B)가 제2 샤프트(37C)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된다. 이 때, 피지지부(51B)는 제1 샤프트(29B)의 바로 우측에 위치된다.
다음에, 제1 샤프트(29B)를 우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축부(32C)를 카메라 장치(17B)의 피지지부(51B)에 삽입한다.
마지막으로,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1C)의 우측 방향에서 제1 샤프트(29B)의 취부홈(30c)에 이탈 방지 링(36)을 취부한다.
카메라 장치(17B)가 회전될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2C)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i),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j) 또는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k)와 스토퍼 부재(58)의 걸림 결합 돌출부(58c)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17B)가 각각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또는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카메라 장치(17B)가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스토퍼 부재(58)의 스토퍼부(58b)가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 편부(22C)에 설치된 회전 규제 돌출부(22l)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17B)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스트퍼 부재(58)와 지지 플레이트(19C)의 회전 규제 돌출부(22l)는 카메라 장치(17B)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16C)는 힌지 기구(16B)와 마찬가지로, 카메라 장치(17B)의 조립시에 나사 고정 공정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조립 공정에 있어서의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 16C에 있어서는, 힌지 기구 16A 및 힌지 기구 16B와 마찬가지로,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2C)에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i), 제2 걸림 결함 오목부(22j)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22k)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기 위한 전용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16C)는 스토퍼 부재(58)에 걸림 결합 돌출부(58c)를 설치하여, 제1 걸림 결합 오목부(22i),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j) 또는 제2 걸림 결합 오목부(22k)에 걸림 결합시키도록 하고 있으므로, 걸림 결합 돌출부를 설치하기 위한 전용의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아,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더 한층 꾀할 수 있다.
또한, 힌지 기구(16C)는 탄성 부재(45)의 탄성력에 의해 제2 샤프트(37C)를 우측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하여 플랜지부(39C)를 스토퍼 부재(58)를 통하여 지지 플레이트(19C)의 지지편부(22C)에 가압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편부(22C) 및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8)로부터의 제2 샤프트(37C)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이탈 방지 링을 필요로 하지 않아, 그 만큼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탄성 부재(45)의 일단이 탄력 접촉되는 부분이 카메라 장치(17B)의 보유 케이스(49B)의 내부에 지지벽부(49)로서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한층 부품 가지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부가하여, 힌지 기구(16C)는 코일 스프링인 탄성 부재(45)를 카메라 장치(17B)의 보유 케이스(49B)의 피취부부(52B)내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피취부부(52B)의 내주측 공간을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배치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활용함으로써, 휴대 전화기(100)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기타 변형예]
다음에, 카메라 장치의 변형예에 대해 설명한다(도39 참조).
이 변형예에 관한 카메라 장치(17A)는 상기한 카메라 장치(17)와 비교하여, 회전 조작부 위치 및 형상만이 상이하므로, 카메라 장치(17)와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밖의 부분에 대해서는 카메라 장치(17)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부호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카메라 장치(17A)는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된 보호 커버(18A)와 그 보호 커버(18A)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48)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커버(18A)의 좌우 양단부에는 각각 널링 가공이 실시되고, 이 널링 가공이 실시된 부분이 회전 조작부(18b, 18b)로서 형성되어 있다. 회전 조작부(18b, 18b)는 보호 커버(18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카메라 장치(17A)에는 보호 커버(18A)의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된 회전 조작부(18b, 18b)에 손가락을 대어 카메라 장치(17A)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상기 한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있어서 행하는 실제로 구체화한 일예를 나타낸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도40 내지 도43 참조). 이 제2 실시 형태는 상기한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힌지 기구 및 카메라 장치의 구성이 일부 다른점이 상이하므로,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다른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동일 부분의 부여한 부호와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케이싱(1)의 내면에는 지지 플레이트(59)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는 좌우 방향으로 긴 베이스부(60)와 그 베이스부(6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각각 직각으로 접혀진 지지편부(61, 62)와 베이스부(60)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에서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63, 63)로 이루어진다. 지지편부(61, 62)의 선단부에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61a, 62a)이 형성되어 있다. 좌측에 위치하는 지지편부(61)의 중간부에는 그 좌측면에 클릭 오목부(61b)가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부(60)의 우단부에는, 취부 나사홀(60a)이 형성되어 있다. 피취부부(63, 63)에는 각각 피취부공(63a, 63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는 피취부공(63a, 63a)을 각각 삭통된 나사 부재에 의해 제1 케이스(5)의 리어 케이스(5b)에 취부되어 제1 케이스(5)내에 배치된다. 지지 플레이트(59)가 제1 케이스(5)내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지지편부(61, 62)가 각각 내측 힌지 통부(7, 7)내에 배치된다.
제2 케이싱(2)의 재부에는 지지 프레임(24)가 배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의 좌측 지지편부(61)의 샤프트 삽통공(61a)에는 제1 샤프트(64)가 삽통된다. 제1 샤프트(64)는 차례로 좌측부터 장축부(65)와 플랜지부(66)와 단축부(67)가 일차로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66)는 장축부(65) 및 단축부(67)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장축부(65)의 좌단 근접 위치에는 취부홈(65a)이 형성되어 있다.
제1 샤프트(64)는 장축부(65)가 지지편부(61)의 샤프트 삽통공(61a)에 우측에서 삽입되어, 플랜지부(66)가 지지편부(61)의 우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의 우측 가장자리부에는 클릭 부재(34)가 배치된다. 지지통부(27)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배치되어 있다. 그 압축 코일 스프링(35)은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과 클릭 부재(34)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통부(27)에 클릭 부재(34)와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샤프트(64)의 장축부(65)가 클릭 부재(34)의 중심 구멍(34c), 압축 코일 스프링(35) 및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의 관통공(27b)을 관통한다. 관통된 장축부(65)는 선단부가 좌측면(27a)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취부홈(65a)에 이탈 방지 링(36)이 취부된다. 따라서, 압축 코일 스프링(35)은 지지통부(27)의 좌측면(27a)과 클릭 부재(34)에 탄력 접촉된다. 그리고, 클릭 부재(34)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에 의해 우측 방향(도41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고 지지 플레이트(59)의 지지편부(61)에 가압된다.
지지 플레이트(59)의 우측 지지편부(62)의 샤프트 삽통공(62a)에는 제2 샤프트(68)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68)는 좌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69)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삽입축부(70)가 일체로 형성되고, 플랜지부(69)는 삽입축부(70)보다 외경이 크게 되어 있다. 삽입축부(70)의 우단 근접 위치에는 취부홈(70a)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샤프트(68)는 삽입축부(70)가 지지편부(62)의 샤프트 삽통공(62a)에 좌측으로부터 삽입되어, 플랜지부(69)가 지지편부(62)의 좌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삽입축부(70)는 선단부가 지지프레임(24)의 지지통부(28)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취부홈(70a)에 이탈 방지 링(47)이 취부된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59)의 지지편부(61, 62)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64), 제2 샤프트(68) 및 그 제1 샤프트(64), 제2 샤프트(68)에 부착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D)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D)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제1 샤프트(64) 및 그 제1 샤프트(64)에 조립되는 각 부재는 카메라 장치(71)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기구(16D)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16)를 이용한 상기한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힌지 기구(16D)에 있어서, 지지 플레이트(59)의 지지편부(61, 62)와 지지통부(27, 28)의 스토퍼 돌출부(27d, 28a)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과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되었을 때에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힌지 기구(16D)에 있어서, 클릭 부재(34), 지지편부(61) 및 클릭 부재(34)를 지지편부(61)에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카메라 장치(71)는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72)를 구비하고, 지지 플레이트(59)의 지지편부(61, 62)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가 제1 샤프트(64) 및 제2 샤프트(68)를 통하여 연결된 상태에서 지지편부(61, 62) 사이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된다.
카메라 본체(72)는 보유 케이스(73)내에 소정의 각 부가 배치되어 이루어진다. 보유 케이스(73)는 커버측 케이스부(74)와 베이스측 케이스부(75)가 결합되어 이루어진다.
커버측 케이스부(74)는 베이스측 케이스부(75)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기체부(76)와, 그 기체부(76)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77)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기체부(76)에는 렌즈 배치공(76a)이 형성되어 있다. 피지지부(77)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베이스측 케이스부(75)는 커버측 케이스부(74)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73)의 우측면부는 취부부(78)로서 형성되고, 그 취부부(78)의 중앙부에 배치 오목부(78a)가 형성되어 있다. 취부부(78)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3개의 나사홀(78b, 78b, 78b)이 형성되어 있다.
카메라 본체(72)는 촬상 렌즈(53)와 소정의 광학 소자를 갖고, 촬상 렌즈(53)가 커버측 케이스부(74)의 렌즈 배치공(76a)에 배치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73)의 취부부(78)에는 회전 부재(79)가 취부되어 있다. 회전 부재(79)는 거의 원판형으로 형성되고, 카메라 장치(71)와 일체가 되어 회전되는 회전부로서 기능한다. 회전 부재(79)의 중심부에는 삽입공(79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79)의 우측면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 돌출편(79b)이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재(79)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나사 삽입공(79c, 79c, 79c)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79)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각 1쌍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79d, 79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79e, 79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79f, 79f)가 각각 삽입공(79a)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회전 부재(79)는 나사 삽입공(79c, 79c, 79c)에 각각 삽입된 나사(80, 80)가 나사홀(78b, 78b, 78b)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카메라 장치(71)의 취부부(78)에 취부된다.
카메라 장치(71)의 우측 방향에는 판형의 재료가 소정의 형상으로 접혀져 형성된 지지 부재(81)가 배치된다. 지지 부재(81)는 기초부(82)와 그 기초부에 대해 90°접혀진 연접부(83)와 그 연접부에 연속하는 지지부(84)로 이루어진다. 기초부(82)에는 나사 삽통공(82a)이 형성되어 있다. 연접부(83)에는 그 폭방향에서의 양단 가장자리에 각각 규제용 걸림 결합 가장자리(83a, 83a)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84)에는 그 중앙부에 지지공(84a)이 형성되고, 그 지지공(84a)을 사이에 둔 반대측 끝 가장자리에 각각 규제 오목부(84b, 84b)가 형성되어 있다.
지지 부재(81)는 기초부(82)의 나사 삽통공(82a)을 삽통된 취부용 나사(85)가 지지 플레이트(59)의 취부 나선형 구멍(60a)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9)에 취부된다.
회전 부재(79)와 지지 부재(81) 사이에는 탄성 부재로서의 접시 스프링(86)이 배치된다. 점시 스프링(86)은 카메라 장치(71)를 회전시에 회전 불능한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로서 이용된 접시 스프링(86)이 고정 부재로서도 기능하므로, 부품 가지수의 삭감 및 기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접시 스프링(86)은 원환상으로 형성된 스프링부(87)와 그 스프링부(87)의 반대측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규제 돌출부(88, 8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87)는 피규제 돌출부(88, 88)를 잇는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좌측 방향으로 팽창되고 있다. 스프링부(87)에는 그 중앙부에 축 삽통공(87a)이 형성되어 있다. 그 축 삽통공(87a)을 사이에 둔 서로 반대측 위치에 각각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 부재(79)와 접시 스프링(86)과 지지 부재(81)는 코오킹 축(89)에 의해 결합된다. 코오킹 축(89)은 좌측에 위치하는 장출부(張出部, 89a)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축부(89b)를 갖고 있다. 코오킹 축(89)은 축부(89b)가 차례로 회전 부재(79)의 삽입공(79a), 접시 스프링(86)의 축 삽통공(87a) 및 지지 부재(81)의 지지공(84a)을 삽통된 상태에서, 축부(89b)의 우단부가 체결되어 코오킹부(89c)로서 형성된다. 장출부(89a)는 카메라 장치(71)의 보유 케이스(73)의 배치 오목부(78a)에 배치된다. 이와 같이 회전 부재(79)와 접시 스프링(86)과 지지 부재(81)가 코오킹 축(89)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 있어서, 접시 스프링(86)의 피규제 돌출부(88, 88)가 각각 지지 부재(81)의 규제 오목부(84b, 84b)에 걸림 결합되어 접시 스프링(86)이 지지 부재(81)에 대해 회전 불능하게 되고, 카메라 장치(71)와 회전 부재(79)가 지지 부재(81)에 대해 코오킹 축(89)을 통하여 일체가 되어 회전된다. 또한, 접시 스프링(86)은 그 좌측 방향(도41에 도시한 화살표 L방향)에 위치하는 회전 부재(79)에 탄력 접촉된다.
카메라 장치(71)는 피지지부(77)의 제1 샤프트(64)의 단축부(67)가 삽입됨으로써, 제1 샤프트(64)가 지지 부재(81)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지지 플레이트(59)와 지지 프레임(24)이 힌지 기구(16D)를 통하여 연결됨과 동시에 카메라 장치(7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상태에서 본체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5)과 카메라용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56)이 각자 별도로 배치된다.
이하에 카메라 장치(71)은 회전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메라 장치(71)은 제2 회전 위치를 중간위치로 하여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 사이를 회전한다.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및 제3 회전 위치는 각각 상기 카메라 장치(71)의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및 제3 회전 위치와 같은 위치이다.
제1 회전 위치에 있어서, 회전 부재(79)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79d, 79d)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걸림 결합되어 있다. 이 때 회전 부재(79)의 스토퍼 돌출편(79b)이 지지 부재(81)의 한쪽 규제용 걸림 결합 가장자리(83a)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로 되어 있다.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71)를 제2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접시 스프링(86)에 대해 카메라 장치(71)와 함께 회전 부재(79)가 회전되고, 회전 부재(79)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79d, 79d)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79)에 의해 접시 스프링(86)이 압압되어 그 접시 스프링(86)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71)을 회전해 가면, 제2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접시 스프링(86)이 탄성 복귀하여 회전 부재(79)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79e, 79e)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71)가 제2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제2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71)를 제3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접시 스프링(86)에 대해 회전 부재(79)가 회전되고, 회전 부재(79)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79e, 79e)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79)에 의해 접시 스프링(86)이 압압되고 그 접시 스프링(86)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71)을 회전해 가면, 제3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접시 스프링(86)이 탄성 복귀하여 회전 부재(79)의 제3 걸림 결합 오목부(79f, 79f)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71)가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이 때, 회전 부재(79)의 스토퍼 돌출편(79b)이 지지 부재(81)의 다른쪽 규제용 걸림 결합 가장자리(83a)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71)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회전 부재(79)의 스토퍼 돌출편(79b)과 지지 부재(81)는 카메라 장치(71)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반대로, 제3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71)을 제2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 접시 스프링(86)에 대해 회전 부재(79)가 회전되고, 회전 부재(79)의 제3 걸림 결합 오목부(79f, 79f)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79)에 의해 접시 스프링(86)이 압압되어 그 접시 스프링(86)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71)을 회전해 가면, 제2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접시 스프링(86)이 탄성 복귀하여 회전 부재(79)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79e, 79e)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71)가 제2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제2 회전 위치로부터 카메라 장치(71)를 제1 회전 위치를 향하여 회전해 가면,접시 스프링(86)에 대해 회전 부재(79)가 회전되고, 회전 부재(79)의 제2 걸림 결합 오목부(79e, 79e)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의 걸림 결합이 해제된다. 회전 부재(79)에 의해 접시 스프링(86)이 압압되고 그 접시 스프링(86)이 약간 압축된다.
또한, 카메라 장치(71)을 회전해 가면, 제1 회전 위치까지 회전된 곳에서, 압축되어 있던 접시 스프링(86)이 탄성 복귀하여 회전 부재(79)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79d, 79d)와 접시 스프링(86)의 걸림 결합 돌출부(87b, 87b)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71)가 제1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이 때, 회전 부재(79)의 스토퍼 돌출편(79b)이 지지 부재(81)의 한쪽 규제용 걸림 결합 가장자리(83a)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71)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상기한 제2 실시 형태에서의 힌지 기구(16D)는 카메라 장치(71)가 제1 샤프트(64)와 지지 부재(81)에 지지되고, 제2 샤프트(68)에 지지되지 않고, 카메라 장치(71)를 지지하는 지지 기구와 본체부(3)의 지지 기구가 일부 분리되어 있기 때문에, 조립이 용이하며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제1 변형예]
다음에,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힌지 기구의 제1 변형예에 대하여 설명한다(도42 및 도43 참조). 이 제1 변형예에 관한 힌지 기구 16E는 상기한 힌지 기구 16D과 비교하여, 카메라 장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이 다른 점, 본체부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수단이 다른 점 및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로 유지하는 수단이 다르다는 점만이 상이하다. 따라서, 힌지 기구 16D과 비교하여 상이한 부분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하고, 그 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힌지 기구 16D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분에 부여한 번호와 동일 번호를 붙이고 설명은 생략한다.
지지 플레이트(59E)는 좌우 방향으로 긴 베이스부(60E)와 그 베이스부(60E)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직각으로 접혀진 지지편부(61, 61E)와 베이스부(60E)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로부터 좌측 방향 또는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취부부(63, 63)로 이루어진다.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의 선단부에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62b)이 형성되어 있다. 그 샤프트 삽통공(62b)의 180°반대측 부분에는 각각 평면형을 이루는 커트면(62c, 62c)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편부(62E)에는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각 한쌍의 제1 걸림 결합 오목부(62d, 6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62e, 62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62f, 62f)가 형성되어 있다. 제1 걸림 결합 오목부(62d, 6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62e, 62e) 및 제3 걸림 결합 오목부(62f, 62f)는 각각 샤프트 삽통공(62b)을 사이에 두고 반대측에 형성된 2개의 오목부로 구성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는 카메라 장치(71E)의 회전시에 회전 불능한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지지편부(62E)의 중간부에는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회전 규제 돌출부(62g)가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E)는 카메라 장치(71E)의 회전시에 회전불능인 상태에 있는 고정부로서 기능한다.
지지 프레임(24E)은 횡으로 놓인 기초부(25)와 그 기초부(25)의 상측에 설치된 프레임부(26)와 기초부(25)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돌출된 지지통부(27, 28E)로 이루어진다.
지지통부(28E)에는 그 우측 가장자리로부터 원호형을 이루는 스트퍼 돌출부(28b)가 우측 방향을 향하여 돌출되어 있다. 그 스토퍼 돌출부(28b)는 지지통부(27)에 설치된 스토퍼 돌출부(27d)에 대응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E)의 좌측 지지편부(61)의 샤프트 삽통공(61a)에는 제1 샤프트(90)가 삽통된다. 제1 샤프트(90)는 좌측에 위치하는 플랜지부(91)와 그 우측에 위치하는 축부(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축부(92)의 우단 근접 위치에 취부홈(92a)이 형성되어 있다.
지지플레이트(59E)의 우측 지지편부(62E)의 샤프트 삽통공(62b)에는 제2 샤프트(93)가 삽통된다. 제2 샤프트(93)는 차례로 좌측부터 지지축부(94)와 끼움부(95)와 삽입축부(9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지지축부(94)에는 취부홈(94a)이 형성되어 있다. 끼움부(95)는 외경이 지지축부(94)보다 크게 되어 있고, 180°반대측 부분에 각각 평면형을 이루는 커트면부(95a, 95a)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축부(96)은 외경이 끼움부(95)보다 크게되어 있고, 삽입축부(96)의 우단 근접 위치에 스토퍼 부재(97)가 취부되어 있다.
스토퍼 부재(97)에는 원환부(97a)와 그 원환부(97a)의 외주면으로부터 방사방향으로 돌출된 스토퍼부(97b)로 이루어지며 제2 샤프트(93)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되어 있다.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의 좌측에는 탄성 부재로서의 접시 스프링(86E)이 배치된다. 접시 스프링(86E)은 카메라 장치(71E)의 회전시에 그 카메라 장치(71E)와 일체가 되어 회전되는 회전부로서도 기능한다.
따라서, 탄성 부재로서 이용된 접시 스프링(86E)이 회전부로서도 기능하므로, 부품 가지수의 삭감 및 기구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접시 스프링(86E)은 원환형으로 형성된 스프링부(87E)와 그 스프링부(87E)의 180°반대측 양단 가장자리로부터 각각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규제 돌출부(88E, 88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87E)는 피규제 돌출부(88E, 88E)를 잇는 방향에서의 중앙부가 우측 방향으로 팽창되어 있다. 스프링부(87E)에는 그 중앙부에 축 삽통공(87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축 삽통공(87c)을 사이에 둔 서로 반대측 위치에 각각 우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 결합 돌출부(87d, 87d)가 설치되어 있다.
힌지 기구(16E)에는 지지 부재(81)는 설치되어 있지 않다.
카메라 장치(71E)는 보호 커버(18)와 그 보호 커버(18)에 의해 일부를 제외한 부분이 덮여진 카메라 본체(72E)를 구비하고 있다.
카메라 본체(72E)는 보유 케이스(73E)내에 소정의 각부가 배치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73E)는 커버측 케이스부(74E)와 베이스측 케이스부(75)가 결합되어 있다.
커버측 케이스부(74E)는 베이스측 케이스부(74)측으로 개구된 횡으로 놓인 얕은 상자형을 이루는 기체부(76)와, 그 기체부(76)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 피지지부(77)와 기체부(76)의 우측면에 설치된 취부부(78E)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취부부(78E)의 중앙부에는 축 관통공(78c)이 형성되어 있다. 취부부(78E)에는 축 관통공(78c)을 사이에 둔 반대측 위치에 각각 취부 오목부(78d, 78d)가 형성되어 있다. 취부부(78E)의 외주 가장자리에는 원호형을 이르는 규제용 돌출부(78e)가 설치되어 있다.
보유 케이스(73E)의 취부부(78E)에는 접시 스프링(86E)이 취부된다. 접시 스프링(86E)은 피규제 돌출부(88E, 88E)가 각각 취부 오목부(78d, 78d)에 걸림 결합되어 취부부(78E)에 취부되고, 카메라 장치(71E)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된다.
제2 샤프트(93)는 스토퍼 부재(97)가 취부된 상태에서 삽입통부(96)가 지지 프레임(24E)의 지지통부(28E)를 우측으로부터 삽입한다. 그리고, 끼움부(95)가 지지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의 샤프트 삽통공(62b)에 끼움 결합된다. 그리고, 지지축부(94)가 접시 스프링(86E)의 축 삽통공(87c), 카메라 장치(71E)의 축 관통공(78c)에 삽입되어 좌측 방향으로 돌출된다. 스토퍼 부재(97)는 지지편부(62E)의 우측면에 접한 상태가 된다.
제2 샤프트(93)는 끼움부(95)의 커트면부(95a, 95a)가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의 커트면(62c, 62c)내에 걸림 결합됨으로써, 지지 플레이트(59E)에 대해 회전불능하게 된다.
카메라 장치(71E)의 축 관통공(78c)에 삽입된 지지축부(94)의 취부홈(94a)에는 보유 케이스(73E) 내부에서 이탈 방지 링(98)이 취부된다. 따라서, 접시 스프링(86E)은 그 우측 방향(도43에 도시한 화살표 R방향)에 위치하는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에 탄력 접촉된다.
상기한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1, 62E)와 지지 프레임(24)의 지지통부(27, 28E)를 연결하는 제1 샤프트(90), 제2 샤프트(93) 및 그 제1 샤프트(90), 제2 샤프트(93)에 부착되는 각 부재에 의해 힌지 기구(16E)가 구성된다. 이 힌지 기구(16E)는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기구로서 기능한다. 또한, 카메라 장치(71E)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카메라 지지 기구로서도 기능한다.
힌지 기구(16E)를 이용한 경우의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의 개폐 동작에 대해서는 양자의 회동이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1), 제2 샤프트(93)에 취부된 스토퍼 부재(97) 및 지지 프레임(24E)의 지지통부(27, 28E)에 설치된 스토퍼 돌출부(27d, 28b)에 의해 규제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힌지 기구(16)를 이용한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힌지 기구(16E)에서는 지지 프레이트(59E)의 지지편부(61)와 지지통부(27, 28E)의 스토퍼 돌출부(27d, 28b)가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가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가 되었을 때에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또한, 힌지 기구(66E)에 있어서, 클릭 부재(34), 지지편부(61) 및 클릭 부재(34)를 지지편부(61)에 가압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35)이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유지하는 유지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카메라 장치(71E)는 피지지부(77)에 제1 샤프트(90)의 축부(92)의 우단부가 삽입되므로써, 제1 샤프트(90) 및 제2 샤프트(93)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된다.
카메라 장치(71E)가 회전될 때에는,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편부(62E)에 형성된 제1 걸림 결합 오목부(62d, 62d), 제2 걸림 결합 오목부(62e, 62e) 또는 제3 걸림 결합 오목부(62f, 62f)와 접시 스프링(86E)의 걸림 결합 돌출부(87d, 87d)가 걸림 결합되어, 카메라 장치(71E)가 각각 제1 회전 위치, 제2 회전 위치 또는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된다. 카메라 장치(71E)가 제1 회전 위치와 제3 회전 위치에 지지되었을 때에는, 카메라 장치(71E)의 취부부(78E)에 설치된 규제용 돌출부(78E)가 지지 플레이트(59E)의 지지 편부(62E)에 설치된 회전 규제 돌출부(62g)에 근접 또는 접한 상태가 되어, 그 이상의 카메라 장치(71E)의 불필요한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보유 케이스(73E)의 규제용 돌출부(78E)와 지지 플레이트(59E)의 회전 규제 돌출부(62g)는 카메라 장치(71E)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상 기재한 바와 같이, 힌지 기구(16E)는 카메라 장치(71E)에 접시 스프링(86E)을 취부하기 위한 취부부(78E)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제1 케이싱(1)과 제2 케이싱(2)을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제2 샤프트(93)가 카메라 장치(71E)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지지 부재(81)와 같은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는 전용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부품 가지수의 삭감을 꾀할 수 있다.
또, 상기에서 설명한 걸림 결합 오목부는 모두 회전부 또는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걸림 결합 돌출부가 회전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걸림 결합 오목부가 고정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걸림 결합 돌출부가 고정부에 설치됨과 동시에 걸림 결합 오목부가 회전부에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상기한 각 실시 형태에서 나타낸 각 부의 형상 및 구조는 모두 본 발명의 실시할 때 행하는 실제로 구체화된 일예를 나타내는 것에 불과하며,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이상의 기재로부터 명확해진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단말기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짐과 동시에 촬상 렌즈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메라 장치가 힌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로서, 상기 본체부에 대해 카메라 장치를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샤프트와, 카메라 장치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와, 샤프트의 축방향에 있어서 회전부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동시에 카메라 장치의 회전시에 회전불능한 상태에 있는 고정부와,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을 회전부와 고정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한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를 설치하여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다른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 가능한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여, 본체부에 대해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 오목부가 걸림 결합하여 카메라 장치를 당해 소정의 회전 위치에 지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카메라 장치를 회전했을 때에, 촬영자 자신이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를 확인하면서 결정할 필요가 없어, 정보 단말기기의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를 소정의 회전 위치에 지지한 후에 원하는 카메라 앵글로 촬영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촬영시에 있어서 외부로부터의 진동 등에 의해서도 카메라 장치의 회전 위치가 변동하지 않으므로, 상의 흔들림이나 초점의 흐려짐 등의 결함을 발생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에 의한 양호한 촬상 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이며, 그 접시 스프링을 고정부로서 이용하였기 때문에, 부품 가지수의 삭감 및 기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탄성 부재는 접시 스프링이며, 그 접시 스프링을 상기 회전부로서 이용하였기 때문에, 부품 가지수의 삭감 및 기구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소정의 회전 위치로서, 촬상 렌즈가 본체부에 차폐되는 제1 회전 위치와 촬상 렌즈가 촬영자측을 향하는 제2 회전 위치와 촬상 렌즈가 촬영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제3 회전 위치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1 회전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써, 카메라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촬상 렌즈를 차폐하여 보호할 수 있고, 제2 회전 위치 및 제3 회전 위치가 설정되어 있으므로써, 카메라 장치의 사용시에는 다른 모두에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기능성의 향상에 따른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회전을 규제하는 회전 규제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의 필요 이상의 회전이 규제되어, 정보 단말 기기의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카메라 장치의 필요 이상의 회전에 따른 각 부품의 이탈이나 파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소정 각도 열린 개방 상태에 있어서 양자의 회동을 규제하는 회동 규제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필요 이상의 회동이 규제되어, 정보 단말 기기의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의 필요 이상의 회전에 따른 각 부품의 이탈이나 파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양자가 소정 각도 열린 개방 상태 및 양자가 접혀진 폐색 상태의 각 위치에 각각 지지하는 지지 수단을 설치하였기 때문에,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을 힌지부를 지지점으로써 개폐했을 때,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개방 상태 또는 폐색 상태로 확실하게 유지되어, 정보 단말 기기의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촬상 렌즈를 보유하는 보유 케이스를 갖고, 그 보유 케이스에 거의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샤프트가 삽입되는 통부를 설치하고, 상기 탄성 부재로서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며, 그 코일 스프링을 보유 케이스의 통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통부의 외주측 공간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어, 배치 스페이스의 유효 활용에 의해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촬상 렌즈를 보유하는 보유 케이스를 갖고, 그 보유 케이스에 피취부부를 설치하고, 그 피취부부를 샤프트에, 그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하여 그 축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에서 착탈가능하게 하였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를 지지하는 기구의 각 부를 분해하지 않고 카메라 장치만을 샤프트로부터 분리할 수 있어, 카메라 장치의 수리 등이 필요한 경우에 카메라 장치만을 샤프트로부터 분리하면 되어 정비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는 촬상 렌즈를 보유하는 보유 케이스를 갖고, 그 보유 케이스에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통부를 설치하고, 그 삽입통부에 절결을 형성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피규제 가장자리를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가 회전되었을 때에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한쪽 피규제 가장자리에 걸림 결합 가능함과 동시에,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보유 케이스의 삽입통부의 외면측에는 돌출되지 않는 규제 돌출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규제 돌출부에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두루 감은 상태에 있어서, 규제 돌출부가 감겨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접촉하지 않고, 통부의 외주면측 공간을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배치하기 위한 스페이스로서 이용할 수 있어, 스페이스의 유효 이용을 도모함에 따른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정보 단말 기기는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짐과 아울러 촬상 렌즈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메라 장치가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로서, 카메라 장치의 본체부에 대한 회전 위치를 검출하여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촬상 렌즈를 통하여 취득되는 화상을 반전하기 위한 비접촉형 검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푸시 스위치를 이용한 경우와 같이 피조작 레버와 조작용 돌출부의 가동 스페이스를 필요로 하지 않고, 또한, 힌지부에 설치되는 기구 및 피조작 레버와 조작용 돌출부와의 간섭과 같은 우려도 없어, 그 만큼 정보 단말 기기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장치에의 급전을 위한 배선판의 충분한 배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고, 또한, 피조작 레버와 조작용 돌출부와의 간섭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지 않음으로, 배선판의 내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검출 수단이 비접촉형이기 때문에, 힌지부의 간극으로부터 침입할 우려가 있는 진애나 수분 등에 의한 영향이 적어, 검출 동작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비접촉형 검출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푸시 스위치 등의 접촉형 검출 수단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검출 수단의 내구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검출 수단을 마그네트와 자기 저항 소자로 구성하였기 때문에, 검출 수단이 간소한 구성이며, 정보 단말 기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기구의 간소화 및 내부 기구의 조립 작업에 있어서의 작업성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마그네트를 카메라 장치에 배치하고, 자기 저항 소자를 본체부에 배치하였기 때문에, 자기 저항 소자로의 급전을 위한 배선판 예를 들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과 전용 커넥터 등의 부품을 설치할 필요가 없어, 내부 구성의 간소화 및 부품 가지수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기 저항 소자로의 급전을 위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을 필요로 하지 않기 때문에, 카메라 장치를 회전하였을 때의 당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판에 대한 스트레스에 따른 내구성의 저하와 같은 문제도 발생하지 않아, 검출 수단에 의한 양호한 검출 동작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정보 단말 기기에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이 부여되었을 때에 자기 저항 소자의 크랙과 파손 등과 같은 결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부가하여, 카메라 장치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었을 때에도 일반적으로 마그네트 보다도 고가인 자기 저항 소자를 카메라 장치와 함께 교환할 필요가 없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를 보호 커버와 그 보호 커버내에 배치된 카메라 본체로 구성하고, 보호 커버의 외면에 널링 가공이 실시된 회전 조작부를 형성하였기 때문에, 회전 조작부에 손가락을 대어 카메라 장치의 회전 조작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검출 수단을 1개의 마그네트와 2개의 자기 저항 소자 또는 2개의 마그네트와 1개의 자기 저항 소자로 구성하고, 카메라 장치가 다른 소정의 회전 위치로 회전되었을 때에 카메라 장치를 사용불능 상태로 하였기 때문에, 필요할 때에만 카메라 장치로의 급전이 이루어져 소비 전력의 저감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카메라 장치의 사용 모드로서, 촬상 렌즈가 촬영자측을 향하는 자신측 촬영 모드와 촬상 렌즈가 촬영자의 반대측을 향하는 상대측 촬영 모드와 촬상 렌즈가 본체부에 차폐되는 차폐 모드를 설치하여, 자신측 촬영 모드와 상대측 촬영 모드 사이에서 화상의 반전을 행하고, 자신측 촬영 모드와 상대측 촬영 모드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사용가능 상태로 함과 동시에 차폐 모드에 있어서 카메라 장치를 사용불능 상태로 하였기 때문에, 각 모드에 있어서 촬영자에 의한 카메라 장치의 원하는 상태가 설정되어 사용 편리성의 향상을 꾀할 수 있다.
청구범위에 기재한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촬상 렌즈의 외주의 전체 둘레에 카메라 장치에 의한 촬영시에 발광가능한 발광부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발광부로 부터 출사된 광의 치우침이 없이 촬상 렌즈의 광측을 중심으로 한 균등한 광이 출사되어, 양호한 화상을 촬영할 수 있다.
22 : 지지편부
23 : 피취부부
24 : 지지 프레임
25 : 기초부
24 : 프레임부
27, 28 : 지지통부
29 : 제1 샤프트
37 : 제2 샤프트
46 : 커버
48 : 카메라 본체
49 : 지지 케이스
50 : 기체부
51 : 피지지부
52 : 피취부부
53 : 촬상 렌즈

Claims (1)

  1. 본체부를 구성하는 제1 케이싱과 제2 케이싱이 힌지부를 통하여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폴딩이 자유롭게 이루어짐과 함께 촬상 렌즈를 갖고 본체부에 대해 회전가능한 카메라 장치가 힌지부에 인접하여 설치된 정보 단말 기기로서,
    상기 본체부에 대해 회전 불가능하게 설치된 제1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축선이 일치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된 제2 샤프트와,
    상기 제1 샤프트와 제2 샤프트에 의해, 제1 샤프트에 대해서는 회전이 자유로우며, 제2 샤프트에 대해서는 일체로 회전하도록 지지된 카메라 장치와,
    상기 카메라 장치와 일체로 회전하는 제2 샤프트의 회전에 수반하여 회전되는 회전부와,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인접하여 배치됨과 함께 상기 카메라 장치의 회전시에 회전불능한 상태에 있는 고정부와,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적어도 한쪽을 상기 회전부와 고정부가 서로 접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갖게 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회전부 또는 상기 고정부의 한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를 설치하고 상기 회전부 또는 고정부의 다른쪽에 걸림 결합 돌출부와 걸림 결합가능한 걸림 결합 오목부를 형성하고,
    상기 본체부에 대해 상기 카메라 장치가 소정의 회전 위치까지 회전되었을 때에 상기 걸림 결합 돌출부와 상기 걸림 결합 오목부가 걸림 결합하여 상기 카메라 장치를 당해 소정의 회전 위치에 유지하도록 하고,
    상기 카메라 장치는 촬상 렌즈를 보유하는 보유 케이스를 갖고,
    상기 보유 케이스에 제1 샤프트가 삽입되는 삽입통부를 설치하고,
    상기 삽입통부에 절결을 형성하여 둘레 방향으로 이격하여 위치하는 한쌍의 피규제 가장자리를 설치하고,
    카메라 장치가 회전되었을 때에 그 회전 방향에 따라 어느 한쪽 피규제 가장자리에 걸림 결합가능함과 함께, 제1 샤프트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되고 보유 케이스의 삽입통부의 외면측에는 돌출되지 않는 규제 돌출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단말 기기.
KR1020100096456A 2003-01-10 2010-10-04 정보 단말 기기 KR1010060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3004882A JP3950062B2 (ja) 2003-01-10 2003-01-10 情報端末機器
JP2003004883A JP3950063B2 (ja) 2003-01-10 2003-01-10 情報端末機器
JPJP-P-2003-004882 2003-01-10
JPJP-P-2003-004883 2003-01-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46A Division KR101012582B1 (ko) 2003-01-10 2004-01-09 정보 단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11657A KR20100111657A (ko) 2010-10-15
KR101006010B1 true KR101006010B1 (ko) 2011-01-05

Family

ID=3431555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46A KR101012582B1 (ko) 2003-01-10 2004-01-09 정보 단말 장치
KR1020100096456A KR101006010B1 (ko) 2003-01-10 2010-10-04 정보 단말 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1346A KR101012582B1 (ko) 2003-01-10 2004-01-09 정보 단말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2) KR101012582B1 (ko)
CN (1) CN152756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395281B2 (en) * 2005-10-28 2013-03-12 Sew-Eurodrive Gmbh & Co. Kg Device
KR20210091541A (ko) * 2020-01-14 2021-07-22 삼성전자주식회사 힌지 부분에 배치된 회전식 카메라를 포함하는 폴더블 전자 장치
CN115507264A (zh) * 2022-09-30 2022-12-23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电子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989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0094587A (ko) * 2001-06-12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16328B2 (ja) * 1997-08-22 2004-04-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情報通信端末装置
GB2358538B (en) * 1999-11-24 2003-11-05 Orange Personal Comm Serv Ltd Mobile communications
JP3739250B2 (ja) * 2000-01-31 2006-01-25 株式会社山本精密 ヒンジ
JP3751200B2 (ja) * 2000-12-28 2006-03-01 株式会社ケンウッド 折り畳み式移動体電話機
JP2002281142A (ja) * 2001-03-19 2002-09-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メラ機能付き携帯端末装置
JP3778490B2 (ja) * 2001-06-15 2006-05-24 コニカミノルタフォト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付き折畳式携帯機器
JP4578727B2 (ja) * 2001-06-19 2010-11-10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回動機能付きカメラを備えた情報端末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8989A (ko) * 1999-09-28 2001-04-06 윤종용 폴더형 휴대폰의 카메라 렌즈 장착장치
KR20020094587A (ko) * 2001-06-12 2002-12-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전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2582B1 (ko) 2011-02-07
KR20100111657A (ko) 2010-10-15
KR20040064628A (ko) 2004-07-19
CN1527567A (zh) 2004-09-08
CN1527567B (zh) 2010-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09124B2 (en) Optical module having image shake correction function
CN112327560B (zh) 镜头镜筒和相机机身
US6741287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having separable monitor device
US8314878B2 (en) Image pickup apparatus with impact resistance
WO2016121298A1 (en) Electronic device
KR101006010B1 (ko) 정보 단말 기기
CN112822363A (zh) 摄像头模组及电子设备
JP3950062B2 (ja) 情報端末機器
US8983284B2 (en) Lens barrel and image pickup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JP2004260631A (ja) 携帯端末装置
JP2014126582A (ja) 電子機器
JP3950063B2 (ja) 情報端末機器
JP7458835B2 (ja) 駆動装置、像ブレ補正装置及び撮像装置
JPWO2018230170A1 (ja) 羽根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JPWO2018230171A1 (ja) 羽根開閉装置及び撮像装置
JP2015144361A (ja) 電子機器
CN113260918A (zh) 成像装置
KR20070002523A (ko) 마그네틱 센서를 이용해 카메라와 플래시를 온/오프시키는이동통신 단말기
JP5212123B2 (ja) 電子機器および回転スイッチ機構
JP5921115B2 (ja) 電子機器
JP4679082B2 (ja) レンズ駆動装置
JP6016618B2 (ja) 電子機器
JP6172932B2 (ja) 電子機器
JP6935296B2 (ja) 撮像装置
JP4219233B2 (ja) 撮像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