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995B1 -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 Google Patents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995B1
KR101005995B1 KR1020100030596A KR20100030596A KR101005995B1 KR 101005995 B1 KR101005995 B1 KR 101005995B1 KR 1020100030596 A KR1020100030596 A KR 1020100030596A KR 20100030596 A KR20100030596 A KR 20100030596A KR 101005995 B1 KR101005995 B1 KR 1010059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utton
blocking rod
rotated
photograp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0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준
박형식
육동철
Original Assignee
박동준
육동철
박형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동준, 육동철, 박형식 filed Critical 박동준
Priority to KR1020100030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9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는 차단 봉을 포함하는 차량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단 봉은,
상기 차량차단기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수직회동체와, 일단은 상기 수직회동체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회동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며, 타단의 중심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회동체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질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수평회동체의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 바와, 상기 수평회동체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수직회동체와 일직선으로 유지되는 원위치로 상기 수평회동체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으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서,
상기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의 진행방향인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면서 진행하면, 차량의 미는 힘에 차단 봉이 자연적으로 수평 회동되어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 종래에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에 운전자의 급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 접촉되는 차단 봉의 안전 바는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차량과 차단 봉이 접촉시 충격으로 상호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얌체 운전자가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에는 촬영카메라를 통해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얌체 운전자의 통행료를 별도를 징수할 수 있어 얌체 운전자로 인한 한국도로공사의 금전적인 손해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복합기능 차량차단기{A compositeness facility vehicle crossing gate}
본 발명은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의 진행방향인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면서 진행하면, 차량의 미는 힘에 차단 봉이 자연적으로 수평 회동되어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 종래에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에 운전자의 급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 접촉되는 차단 봉의 안전 바는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차량과 차단 봉이 접촉시 충격으로 상호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고속도로나 대형빌딩, 공공 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에는 차량의 출입을 통제 관리하고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목적으로 차량차단기가 설치 운용되고 있다.
통상 상기 차량차단기는 고속도로나 대형빌딩, 공공 시설물, 전용 주차장 등의 입구에 설치되어 진입하는 차량에서 요금을 징수하거나 통행권을 발급받으면 상기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져 차량이 안정적으로 진입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상기 차량차단기는 종종 오작동으로 인해 차량에서 정상적으로 요금을 징수하거나 통행권을 발급받더라도 차단 봉이 작동되지 않아 운전자가 불편을 겪는 문제가 발생할 뿐만 아니라 상기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차량사고로 인명의 피해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최근 고속도로에는 차량의 원활한 소통을 위해서 하이패스 시스템(Hipass-System)이 적용 시행되고 있는데, 이러한 하이패스 시스템은 차량에 하이패스 단말기를 설치한 차량이 통행료를 징수 받는 요금소에 정차하지 않고 시속 30㎞ 정도로 서행하여 통과하게 되면 자동으로 하이패스 단말기에서 통행료가 정산되고, 통행료가 정산되면 상기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올려져 차량이 통과하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즉, 상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이 하이패스 시스템이 적용되는 고속도로에서 발생하게 되면, 다른 장소에 비해 더욱 큰 사고가 발생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차량이 통상 시속 30㎞ 정도로 진행하면서 요금소를 통과하는데 상기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인해 차단 봉이 작동되지 않으면, 운전자는 다급하게 급정지하여 차단 봉과 차량의 접촉으로 인한 접촉사고뿐만 아니라, 급정차한 차량의 후미에서도 또 다른 차량이 시속 30㎞ 정도로 진입하면서 급정지되어 차량과 차량의 접촉되는 대형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실정으로 인해 최근에는 상기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을 항시 개방하여 안전사고를 방지하도록 하였으나, 이를 악의적으로 이용하여 차량에 하이패스 단말기를 설치하지 않은 얌체 운전자가 통행료를 징수하지 않고 통행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하여 한국도로공사에서 손해가 누적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은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의 진행방향인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면서 진행하면, 차량의 미는 힘에 차단 봉이 자연적으로 수평 회동되어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 종래에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에 운전자의 급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 접촉되는 차단 봉의 안전 바는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차량과 차단 봉이 접촉시 충격으로 상호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얌체 운전자가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에는 촬영카메라를 통해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얌체 운전자의 통행료를 별도를 징수할 수 있어 얌체 운전자로 인한 한국도로공사의 금전적인 손해를 해소할 수 있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는 차량의 접근을 감지하고, 차량의 안정적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는 차단 봉을 포함하는 차량차단기에 있어서,
상기 차량차단기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수직회동체와, 일단은 상기 수직회동체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회동체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도록 힌지결합되며, 타단의 중심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는 수평회동체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질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수평회동체의 삽입홈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 바와, 상기 수평회동체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수직회동체와 일직선으로 유지되는 원위치로 상기 수평회동체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을 포함하는 차단 봉; 및
상기 수직회동체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회동체가 회동되면 상기 수평회동체의 일단과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회동체에 힌지결합되는 회동버튼과, 상기 회동버튼이 회동되면 상기 회동버튼과 접촉되어 눌러지는 촬영버튼과, 상기 촬영버튼이 눌러지면, 상기 차단 봉을 통과하는 차량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카메라로 구성되는 영상수집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회동버튼은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회동체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이 회동되면서 상기 촬영버튼을 누르게 되며,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수평회동체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원위치 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이 회동되더라도 상기 촬영버튼을 누르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촬영카메라에 촬영된 촬영정보는 유·무선을 통하여 촬영정보를 보관 관리할 수 있는 통합서버로 전송하거나, 상기 촬영카메라에 촬영된 촬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칩을 내장하고, 상기 메모리 칩의 수거를 통해 상기 통합서버로 촬영정보가 수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에 의하면,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의 진행방향인 수평으로 회동 가능하게 구성함으로,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으로 차단 봉이 상부로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 차량이 정지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면서 진행하면, 차량의 미는 힘에 차단 봉이 자연적으로 수평 회동되어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 종래에 차량차단기의 오작동에 운전자의 급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과 접촉되는 차단 봉의 안전 바는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차량과 차단 봉이 접촉시 충격으로 상호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얌체 운전자가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고 차단 봉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에는 촬영카메라를 통해서 차량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얌체 운전자의 통행료를 별도를 징수할 수 있어 얌체 운전자로 인한 한국도로공사의 금전적인 손해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A-A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사시도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로 차량이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과 접촉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을 차량이 강제로 밀고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강제로 밀고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후방으로 수평회동 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을 차량이 강제로 밀고 통과하여 차단 봉이 원위치 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도 8c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어 원위치 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를 도시한 것으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사시도를,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사시도를,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분리 사시도를,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의 A-A 단면도를,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사시도를, 도 6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로 차량이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6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차량과 접촉이 없는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를, 도 7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을 차량이 강제로 밀고 진입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7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강제로 밀고 진입하는 차량에 의해 후방으로 수평회동 된 상태의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 8a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을 차량이 강제로 밀고 통과하여 차단 봉이 원위치 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을, 도 8b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를, 도 8c는 도 5에 도시된 복합기능 차량차단기의 차단 봉이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어 원위치 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는 차량(2)의 접근을 감지하고, 차량(2)의 안정적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는 차단 봉을 포함하는 차량차단기(1)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단 봉(110)은,
상기 차량차단기(1)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수직회동체(111)와, 일단은 상기 수직회동체(111)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회동체(1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도록 힌지(112a)결합되며, 타단의 중심에는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수평회동체(112)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질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수평회동체(112)의 삽입홈(112b)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 바(113)와,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수직회동체(111)와 일직선으로 유지되는 원위치로 상기 수평회동체(112)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1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복귀수단(114)으로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결합되는 힌지(112a)에 나선형으로 감겨 형성되며, 양 끝단은 상기 수직회동체(111) 내부 상·하면에 결합 고정되는 비틀림 스프링이 사용되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비틀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용이하게 원위치로 복귀되도록 하나, 상기 복귀수단(114)을 비틀림 스프링으로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은 차량의 진행방향인 전후방향으로 수평 회동 가능하게 구성됨으로, 상기 차량차단기(1)의 오작동으로 상기 차단 봉(110)이 상부로 올려지지 않는 경우에 차량(2)이 정지하지 않고 상기 차단 봉(110)의 안전 바(113)를 밀면서 진행하면, 차량(2)의 미는 힘에 상기 차단 봉(110)의 수평회동체(112)가 자연적으로 수평 회동되어 안전하게 통과할 수 있어 종래에 상기 차량차단기(1)의 오작동에 운전자의 급정지로 인한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2)과 접촉되는 상기 차단 봉(110)의 안전 바(113)는 쿠션이 우수한 재질로 충격흡수가 용이하여 차량(2)과 상기 차단 봉(110)이 접촉시 충격으로 상호 파손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차량차단기(1)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면 상기 차량차단기(1)와 결합되는 상기 수직회동체(111)가 수직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차단 봉(110)이 상부로 올려져 안전하게 차량(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작동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차량차단기(1)의 오작동에 의해서 상기 차단 봉(110)이 올려지지 않는 경우 운전자가 느끼는 심리적 압박감을 해소하기 위해서, 상기 차단 봉(110)의 안전 바(113)는 내부에 공기가 충진되는 투명한 튜브로 구성하여 운전자가 시각적으로 상기 차단 봉(110)의 안전 바(113)의 식별을 곤란하게 하여 상기 차량차단기(1)의 오작동이 발생하더라도 운전자의 심리적 안정감을 유도하여 안전사고를 예방하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의 차량차단기(1)는 상기 차단 봉(110)과 결합구조로 "ㄷ"형상의 연결프레임(3)에 상기 차단 봉(110)의 끝단을 삽입하고, 상기 연결프레임(3)을 관통하는 볼트(3)로 상기 차단 봉(110)을 압착하는 구조를 가지는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의 끝단이 대략 사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하여 통상의 차량차단기(1)의 연결프레임(3)에 별도의 추가 장치 없이 용이하게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차량차단기(1)와 호환성이 우수하게 제작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회동체(111)의 타단에 위치되며, 수평 회동되는 상기 수평회동체(112)의 외면과 접촉되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충격에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충격흡수재(14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차단 봉(110)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직회동체(111)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회동되면 상기 수평회동체(112)의 일단과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회동체(111)에 힌지(121a)결합되는 회동버튼(121)과,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면 상기 회동버튼(121)과 접촉되어 눌러지는 촬영버튼(122)과, 상기 촬영버튼(122)이 눌러지면, 상기 차단 봉(110)을 통과하는 차량(2)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카메라(123)로 구성되는 영상수집부(12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회동버튼(121)은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면서 상기 촬영버튼(122)을 누르게 되며,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원위치 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더라도 상기 촬영버튼(122)을 누르지 않도록 구성되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후방으로 회동된 후에 다시 원위치 되는 동작에 상기 회동버튼(121)은 상기 촬영버튼(122)과 한번 접촉하여 상기 촬영버튼(122)을 눌러 상기 촬영카메라(123)에서 한번 촬영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촬영카메라(123)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의 운행에 방해되지 않도록 통행도로의 중앙 바닥에 위치하여 차량(2)의 전방을 촬영하도록 위치되나, 이러한 위치로 한정 설치되어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즉, 얌체 운전자가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고 상기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촬영카메라(123)를 통해서 차량(2)의 차량번호를 촬영하여 얌체 운전자의 통행료를 별도를 징수할 수 있어 얌체 운전자로 인한 한국도로공사의 금전적인 손해를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여기서, 상기 촬영카메라(123)가 작동하여 차량(2)을 촬영하는 경우는, 통행료는 정상적으로 정산되었으나 상기 차량차단기(1)가 오작동하여 차량(2)이 부득이하게 상기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 또는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은 얌체 운전자의 차량(2)이 고의로 상기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 작동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판별을 위해서,
상기 촬영카메라(123)에 촬영된 촬영정보는 유·무선을 통하여 촬영정보를 보관 관리할 수 있는 통합서버(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촬영카메라(123)에 촬영된 촬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칩(미도시)을 내장하고, 상기 메모리 칩의 수거를 통해 상기 통합서버(130)로 촬영정보가 수집되도록 하여,
관리자는 상기 통합서버(130)로 전송된 촬영정보를 분석 판독하여 얌체 운전자가 고의로 본 발명의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한 경우에는 별도로 통행요금 징수가 되도록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의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촬영카메라는 촬영된 촬영정보를 무선으로 상기 통합서버(130)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나, 이에 한정하여 사용하는 것은 물론 아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는 다음과 같이 동작한다.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이 본 발명의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가 설치된 요금소로 진입한 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을 강제적으로 밀고 통과하여 상기 차단 봉(110)이 후방으로 수평회동 되면, 상기 차단 봉(110)의 수평회동체(112)의 일단이 회동버튼(121)과 접촉되어 상기 회동버튼(121)을 회동시켜 촬영버튼(122)을 누르게 하고, 상기 촬영버튼(122)이 눌러지면 촬영카메라(123)가 전방에서 진입하는 차량(2)의 차량번호를 촬영하게 된다.
그런 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2)이 상기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을 통과하면, 상기 차단 봉(110)은 복귀수단(114)에 의해서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어 원위치가 된다. 이때, 전방으로 수평회동 되는 수평회동체(112)의 일단은 상기 회동버튼(121)을 회동시키나 상기 회동버튼(121)은 상기 촬영버튼(122)의 접촉 없이 회동되어 원위치 되고, 상기 촬영카메라(123)에서 촬영된 촬영정보는 통합서버(130)로 전송된다.
여기서, 상기 촬영카메라(123)가 작동하여 차량(2)을 촬영하는 경우는, 통행료는 정상적으로 정산되었으나 상기 차량차단기(1)가 오작동하여 차량(2)이 부득이하게 상기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 또는 통행료를 정산하지 않은 얌체 운전자의 차량(2)이 고의로 상기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하는 경우 작동하는 것이므로, 정확한 판별을 위해서, 관리자는 상기 통합서버(130)로 전송된 촬영정보를 분석 판독하여 얌체 운전자가 고의로 본 발명의 복합기능 차량차단기(100)의 차단 봉(110)을 밀고 통과한 경우에는 별도로 통행요금 징수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을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권리를 청구하는 범위는 상세한 설명의 범위 내로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되는 청구범위와 이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한정될 것이다.
1. 차량차단기 2. 차량
3. 연결프레임 4. 볼트
100.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110. 차단 봉 111.수직회동체
112. 수평회동체 112a, 121a. 힌지
112b. 삽입홈 113. 안전 바
114. 복귀수단
120. 영상수집부 121. 회동버튼
122. 촬영버튼 123. 촬영카메라
130. 통합서버 140. 충격흡수재

Claims (7)

  1. 차량(2)의 접근을 감지하고, 차량(2)의 안정적인 출입을 통제하기 위해서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는 차단 봉을 포함하는 차량차단기(1)에 있어서,
    상기 차량차단기(1)와 결합되어 수직으로 상하 회동되도록 하는 수직회동체(111)와,
    일단은 상기 수직회동체(111)의 타단에 결합되되, 상기 수직회동체(111)에 대하여 전후방향으로 수평 회동되도록 힌지(112a)결합되며, 타단의 중심에는 삽입홈(112b)이 형성되는 수평회동체(112)와,
    외부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안정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쿠션재질을 가지며, 일단은 상기 수평회동체(112)의 삽입홈(112b)에 삽입 고정되는 안전 바(113)와,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면, 상기 수직회동체(111)와 일직선으로 유지되는 원위치로 상기 수평회동체(112)를 복귀시키는 복귀수단(114)을 포함하는 차단 봉(110); 및
    상기 수직회동체(111)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회동되면 상기 수평회동체(112)의 일단과 접촉되어 회동되는 것으로, 상기 수직회동체(111)에 힌지(121a)결합되는 회동버튼(121)과,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면 상기 회동버튼(121)과 접촉되어 눌러지는 촬영버튼(122)과,
    상기 촬영버튼(122)이 눌러지면, 상기 차단 봉(110)을 통과하는 차량(2)의 전방 또는 후방의 차량번호를 촬영하도록 하는 촬영카메라(123)로 구성되는 영상수집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버튼(121)은 전체적으로 삼각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후방으로 회동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면서 상기 촬영버튼(122)을 누르게 되며, 후방으로 회동된 상기 수평회동체(112)가 전방으로 회동되어 원위치 되는 동작에는 상기 회동버튼(121)이 회동되더라도 상기 촬영버튼(122)을 누르지 않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카메라(123)에 촬영된 촬영정보는 유·무선을 통하여 촬영정보를 보관 관리할 수 있는 통합서버(130)로 전송하거나,
    상기 촬영카메라(123)에 촬영된 촬영정보가 저장되는 메모리 칩을 내장하고, 상기 메모리 칩의 수거를 통해 상기 통합서버(130)로 촬영정보가 수집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6. 삭제
  7. 삭제
KR1020100030596A 2010-04-02 2010-04-02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KR101005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96A KR101005995B1 (ko) 2010-04-02 2010-04-02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0596A KR101005995B1 (ko) 2010-04-02 2010-04-02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995B1 true KR101005995B1 (ko) 2011-01-05

Family

ID=43615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0596A KR101005995B1 (ko) 2010-04-02 2010-04-02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99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41B1 (ko)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KR20160076088A (ko) 2014-12-22 2016-06-30 이기곤 차량 차단기
KR102063854B1 (ko) * 2018-02-08 2020-01-09 이신구 주차 및 교통 통제장치
KR102287038B1 (ko) * 2021-04-14 2021-08-06 포천시 울타리용 자동문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KR102343172B1 (ko) * 2021-01-22 2021-12-2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축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구조
IT202100000530A1 (it) * 2021-01-13 2022-07-13 Came Spa Dispositivo di sgancio per sbarre di barriere di controllo ingressi e barriera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CN114908695A (zh) * 2022-04-19 2022-08-16 夏梦 一种小区用安防门禁设备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58B1 (ko) * 2005-04-22 2006-12-28 김천일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070009911A (ko) * 2005-07-16 2007-01-19 이동성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100870672B1 (ko)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1758B1 (ko) * 2005-04-22 2006-12-28 김천일 튜브식 차단바를 구비한 안전차단장치
KR20070009911A (ko) * 2005-07-16 2007-01-19 이동성 토션스프링을 갖는 도어 완충기
KR100870672B1 (ko) * 2007-05-02 2008-11-26 포스데이타 주식회사 차량 차단 시스템의 자동 복구 장치 및 자동 복구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4641B1 (ko) 2013-10-04 2014-08-26 주식회사 대덕지에스 차단기
KR20160076088A (ko) 2014-12-22 2016-06-30 이기곤 차량 차단기
KR102063854B1 (ko) * 2018-02-08 2020-01-09 이신구 주차 및 교통 통제장치
IT202100000530A1 (it) * 2021-01-13 2022-07-13 Came Spa Dispositivo di sgancio per sbarre di barriere di controllo ingressi e barriera comprendente detto dispositivo.
EP4029993A1 (en) * 2021-01-13 2022-07-20 CAME S.p.A. Release device for entrance control barriers and barriers comprising said device
KR102343172B1 (ko) * 2021-01-22 2021-12-28 주식회사 넥스파시스템 일체형 축 링크 및 이를 포함하는 회전 구조
KR102287038B1 (ko) * 2021-04-14 2021-08-06 포천시 울타리용 자동문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
CN114908695A (zh) * 2022-04-19 2022-08-16 夏梦 一种小区用安防门禁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5995B1 (ko) 복합기능 차량차단기
CN205541483U (zh) 一种停车位管理系统
JP6374787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JP6859117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2012211498A (ja) 駐車場の管理機
CN110379027A (zh) 一种不停车收费系统
JP2005194779A (ja) 遮断機の阻止棒
CN112258887A (zh) 一种停车场智能管控系统
CN112017308B (zh) 一种非机动车无人值守收费设备
KR100638328B1 (ko) 보행자 안내용 입출차 차단기를 구비한 주차관리시스템
EP0354829B1 (fr) Système automatique d'enregistrement et gestion du stationnement et des véhicules, notamment en zone urbaine
JP6475563B2 (ja) ゲート装置及びゲート制御システム
JP4066873B2 (ja) 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の料金所端末装置、etc車載機、退場可否判定方法
KR102224643B1 (ko) 탄성 차단봉을 갖는 주차관리기
CN111042591A (zh) 一种减少非充电车占用的充电车位系统
JP2005115713A (ja) ナンバー読取式入庫管理システム
JP3664965B2 (ja) 道路課金システム及び路側装置
JPH09144353A (ja) 駐輪場入場管理システム
CN206411880U (zh) 基于车联网智能停车自动识别管理系统
DE202012103504U1 (de) Personenrufsystem
CN216083754U (zh) 一种利用etc实现路边停车无人收费的系统
CN214475148U (zh) 用于开放式停车位集约解析识别的智能停车收费管理系统
CN214401535U (zh) 一种智能闸机
EP1170702B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Erheben von Nutzungsgebühren
CN217640342U (zh) 一种道闸警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