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784B1 -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 Google Patents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784B1
KR101005784B1 KR1020080122335A KR20080122335A KR101005784B1 KR 101005784 B1 KR101005784 B1 KR 101005784B1 KR 1020080122335 A KR1020080122335 A KR 1020080122335A KR 20080122335 A KR20080122335 A KR 20080122335A KR 101005784 B1 KR101005784 B1 KR 101005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mounting plate
injection molding
molding machin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2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3951A (ko
Inventor
조지현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2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784B1/ko
Publication of KR20100063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3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34Auxiliary operations
    • B29C44/58Moulds
    • B29C44/586Moulds with a cavity increasing in size during foam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4/00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 B29C44/02Shaping by internal pressure generated in the material, e.g. swelling or foaming ; Producing porous or cellular expanded plastics articles for articles of definite length, i.e. discre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원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는 상코어와 하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용 사출기에 있어, 상기 상코어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백 취부판; 상기 상코어를 미세 개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코어 백 실린더; 및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락부재를 구비하는 락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종래 사용되는 유압용 사출기의 구성개량을 통해 발포사출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발포사출, 코어 백, 취부판, 락 실린더, 락부재

Description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INJECTION MOLDING MACHINE FOR EXPANSION INJECTION}
본 발명은 유압용 사출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발포사출제품의 생산을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용 사출기에서 생산 가능하도록 한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에 관한 것이다.
수지 발포체는 소재나 형성된 기포의 상태 등을 변화시킴으로써, 차열성, 단열성, 차음성, 흡음성, 방진성, 경량화 등의 모든 성능을 발현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여러가지 용도로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수지 발포체로서는 예를 들어, 화학발포제를 발포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발포 폴리우레탄, 발포 폴리프로필렌, 발포 폴리에틸렌, 발포 폴리염화비닐 등의 발포 수지의 표면에 폴리염화비닐이나 올레핀계 열사소성 엘라스토머 등으로 이루어지는 수지 시트나, 이와 같은 수지 시트에 패브릭 등을 표피재로 하여 부착한 복합 성형체로 이루어지는 쿠션재 등이 이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표피재를 부착한 것이 아니라, 화학 발포제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와 표피용 수지를 캐비티 무브법에 의해 사출성형함으로써 얻어지 는 표피 부착 발포체에 대해서도 제안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수지 발포체를 사출하는 방법이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금형의 고정측인 캐비티측에 형성된 스풀(1)에 수지의 용융 혼합물을 충전한다(a). 다음으로 용융 혼합물의 충전을 완료한(b) 후, 코어(2)를 후퇴시킴으로써(코어 백), 금형 내를 개방하도록 한다(c). 이어서, 용융 혼합물의 내부를 포함하는 수지를 발포 시킨(d) 후, 수지를 고화시켜(e), 발포성형체를 제작하고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발포사출제품을 생산하는 경우, 성형 기재를 발포사출하기 위해 형개폐가 가능한 전동사출기를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전동사출기는 유압으로 작동되는 일반 사출기와는 달리 전동 모터를 사용하여 사출 및 형개폐가 이루어지기 때문에 매우 정밀하게 제어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으로, 클로즈드 몰드(Closed mold) 발포성형을 하기 위해서는 먼저 소재에 발포제를 섞는 화학발포 방법과 사출기 실린더부에 이산화탄소(CO2), 질소와 같은 초임계가스를 주입하는 물리발포방법이 적용되는데 이 모두 금형이 닫힌 상태에서 수지를 주입하고,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포를 위해 금형을 순간적으로 개방을 하여, 발포를 행하도록 하고 있다. 즉,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개방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않으며 발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어려움이 있어 미세 개방 제어가 가능 한 전동사출기가, 발포사출제품을 생산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한편, 소형발포제품의 경우에는 국내에서도 전동사출기를 제작하고 있어 발포사출이 비교적 용이하지만, 자동차에 사용되는 도어트림과 같은 대형제품의 경우에 사용되는 전동사출기의 경우에는, 금형 무게의 관성으로 인해 미제 제어가 매우 어려워 현재 국산화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또한 관련된 대형 전동사출기의 가격이 매우 고가라는 점에서, 대형발포제품의 경우에는 이를 생산하기 위해 많은 비용이 소모된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출원인은 기존에 사용되는 일반사출기에서 대형발포제품의 사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안을 강구하게 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구성이 단순하면서도 코어의 미세 개방이 가능하도록 코어 백 구조를 개선한 일반사출기를 제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달성하도록 형성된 본원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는 상코어와 하코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용 사출기에 있어, 상기 상코어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백 취부판; 상기 상코어를 미세 개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코어 백 실린더; 및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락부재를 구비하는 락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락 실린더의 락부재는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의 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는 상기 락 실린더의 락부재는 제1단, 단차부 및 제2단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의 측면은 상기 락부재의 단차부에 대응하도록 상단, 연결단 및 하단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상기 락 실린더는 락부재의 제2 단이 코어 백 취부판의 하단과 맞물리도록 후퇴하고, 상기 코어 백 취부판은 락 부재의 단차부 만큼 상승하여, 상 코어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본원발명의 목적은 이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금형을 사용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일반사출기에서 대형발포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반사출기의 구성의 간단한 변형을 통해, 종래 전동사출기만을 통해 생산할 수 있었던 발포사출제품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상에서의 서술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한 것으로,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결합모습을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확대도를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가 후퇴한 모습을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코어 백 취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6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결합모습을 도시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개략도가 개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코어(110)와 하코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용 사출기에 있어, 상기 상코어(110)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백 취부판(150); 상기 상코어(110)를 미세 개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코어 백 실린더(160); 및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락부재(180)를 구비하는 락 실린더(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 부재(180)는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코어 백 실린더(160)가 부착되는 상원판(130)과 상기 하코어(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원판(140)을 추가로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기 상코어(110)의 미세 후퇴를 가능하게 하여 미세 개방을 행하도록 하는 것을 기술적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이와 같은 기술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기 상코어(110)에 코어 백 취부판(150)을 형성하고,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을 다수개의 코어 백 실린더(160)를 통하여 상하 이동을 가능하도록 하되, 상기 상하 이동을 본 발명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그 측면에 형성된 락부재(180)를 구비한 락 실린더(170)에서 제어가능하도록 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구성이 도 3, 도 4 및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를 사용하여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하 이동을 제어하도록 하되, 구체적으로,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는 제1단(180a), 단차부(180b) 및 제2단(180c)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측면은 상기 락부재(180)의 단차부에 대응하도록 상단(150a), 연결단(150b) 및 하단(150c)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하여, 그 맞물리는 부분을 움직임에 따라 서로 달리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도 3과 도 4에는 코어 백 취부판(150)이 전진되어 금형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한 상태에서 코어 백 취부판(150)과 락 실린더(170)와의 결합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바, 본 상태에서는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의 제2단(180c)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단(150a)과 맞물리도록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상기 락 실린더(170)가 측면으로 이동하여, 금형이 개방되는 경우에는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은 코어 백 실린더(16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백 취부판(150)의 하단(150c)이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의 제2단(180c)과 맞물리게 될 때까지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이 상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은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의 단차부(180b)에 해당하는 높이만큼만 상부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 이, 그 측면에 락부재(180)를 구비하는 락 실린더(170)를 형성하여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부방향으로의 이송을 미세하게 제어가능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용 사출기에 있어서도 발포사출제품의 생산을 가능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의 구체적인 동작이 도 2 내지 도 7에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을 참고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의 금형이 폐쇄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것으로, 상기 코어 백 실린더(160)가 코어 백 취부판(150)을 하방으로 밀도록 하는 것에 의해 금형이 폐쇄되어 있는 모습을 도시한다. 이 때,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과 상기 락부재(180)와의 결합된 모습이 도 3과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바, 상기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락부재(180)의 제2단(180c)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단(150a)을 누르도록 구성되어 있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이 뒤로 밀려나가는 것 없이 금형의 완전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도록 한다.
그 후, 사출이 완료되면 상기 락 실린더(170)는 락부재(180)의 제2단(180c)이 코어 백 취부판(150)의 하단(150c)과 맞물리는 범위까지 후퇴하게 된다. 도 5에는 락 실린더(170)가 후퇴하게 되어, 상기 금형이 개방되게 되기 전의 모습을 도 시한다.
이어서,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은 상기 코어 백 실린더(160)에 의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금형을 개방하게 되고, 상기 상코어(110)가 개방하는 만큼 기재는 발포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개방되는 양을 조절하고 상기 발포압에 의해 상기 상코어(110)가 밀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이 상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경우,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의 제2단(180c)과 맞물리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은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의 단차부(180b)에 해당하는 높이까지만 그 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단차부(180b)의 높이를 조정하는 것만으로, 상기 상코어(110)의 개방하는 양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며, 또한, 상기 상코어(110)가 상기 발포압에 의해 뒤로 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유압용 사출기(100)에 있어서도 종래 전동사출기에서 행할 수 있는 만큼의 상코어의 미세 개방을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100)는 그 기본적 구성의 변형이 많지 않다는 점에서도, 그 개량이 어렵지 않다는 점에서 비용상의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기술적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전동사출기를 이용한 발포사출제품의 제작공정을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결합모습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확대도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가 후퇴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코어 백 취부판이 상승한 모습을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따른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의 락 실린더와 코어 백 취부판의 결합모습을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110: 상코어
120: 하코어 130: 상원판
140: 하원판 150: 코어 백 취부판
160: 코어 백 실린더 170: 락 실린더
180: 락부재

Claims (7)

  1. 상코어(110)와 하코어(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유압용 사출기에 있어,
    상기 상코어(110)에 부착되어 있는 코어 백 취부판(150);
    상기 상코어(110)를 미세 개방하도록 하기 위해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을 상하로 이동시키도록 하는 복수개의 코어 백 실린더(160); 및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상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락부재(180)를 구비하는 락 실린더(17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는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측면과 맞물리도록 형성되고,
    상기 락 실린더(170)의 락부재(180)는 제1단(180a), 단차부(180b) 및 제2단(180c)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되고,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의 측면은 상기 락부재(180)의 단차부에 대응하도록 상단(150a), 연결단(150b) 및 하단(150c)으로 구성되는 단차부를 갖도록 구성되며,
    상기 코어 백 취부판(150)은 락 부재(180)의 단차부(180b) 만큼 상승하여, 상 코어(110)를 개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락 실린더(170)는 락부재(180)의 제2단(180c)이 코어 백 취부판(150)의 하단(150c)과 맞물리도록 후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는 코어 백 실린더(160)가 부착되는 상원판(13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는 상기 하코어(12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하원판(14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KR1020080122335A 2008-12-04 2008-12-04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KR101005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335A KR101005784B1 (ko) 2008-12-04 2008-12-04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2335A KR101005784B1 (ko) 2008-12-04 2008-12-04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51A KR20100063951A (ko) 2010-06-14
KR101005784B1 true KR101005784B1 (ko) 2011-01-06

Family

ID=4236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2335A KR101005784B1 (ko) 2008-12-04 2008-12-04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78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28B1 (ko) * 2011-07-11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16A (ko) * 2001-01-20 2001-04-06 김동순 발포수지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25716A (ko) * 2001-01-20 2001-04-06 김동순 발포수지 성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2628B1 (ko) * 2011-07-11 2013-07-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내장재 성형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3951A (ko) 2010-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52430B2 (ja) 射出成形方法
KR100207865B1 (ko) 다층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1293923B1 (ko) 자동차용 내장재 발포사출성형방법, 발포사출성형 금형 및 이의 가스 역압 제어장치
US6126769A (en) Film laminated plastic moulding as well as process and device for its manufacture
CN101077603B (zh) 制备发泡塑料制品的方法
KR101860907B1 (ko) 고광택 경량화 사출성형 장치
KR101005784B1 (ko) 발포사출용 유압용 사출기
GB2474026A (en) Injection Molding Method
KR20130017151A (ko) 다중 발포 사출공법을 이용한 자동차용 사이드 가니쉬 제조 장치 및 방법
EP0900640B1 (en) Process for producing hollow resin molded article
KR100706424B1 (ko) 자동차용 도어트림의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JP2010201726A (ja) シートパッド成形型およびその成形型を用いたシートパッドの製造方法
KR100842932B1 (ko) 차량 등받이 제조용의 사출금형
AU2010286558A1 (en) Method of compression molding a plastic closure from foamed polymeric material
US200600681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a trim panel with a self-skinning blown elastomer component
US8460587B2 (en) Method for producing a foamed article
JP4883404B2 (ja) 表皮付発泡成形体の製造方法
KR101891682B1 (ko) 자동차용 내장재의 제조 장치
JP4671328B2 (ja) 発泡樹脂成形品の成形方法及び成形金型
KR102146258B1 (ko) 다단 강압 성형품 제조 방법
KR101947502B1 (ko) 코어 백을 이용하는 발포 사출금형 및 이의 사출방법
CA2083944A1 (en) Process and device for manufacturing plastic mouldings
KR20070023618A (ko) 발포성 사출물의 사출방법
JP4933907B2 (ja) 成形装置及び成形方法
KR100704683B1 (ko) 차량용 내장재의 제조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