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5538B1 -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 Google Patents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5538B1
KR101005538B1 KR1020100001823A KR20100001823A KR101005538B1 KR 101005538 B1 KR101005538 B1 KR 101005538B1 KR 1020100001823 A KR1020100001823 A KR 1020100001823A KR 20100001823 A KR20100001823 A KR 20100001823A KR 101005538 B1 KR101005538 B1 KR 101005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ck
frame
civil construction
center frame
track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세연
Original Assignee
석정건설주식회사
황세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석정건설주식회사, 황세연 filed Critical 석정건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55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5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5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2Travelling-gear, e.g. associated with slewing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2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0Bogies;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5/00Endless track vehicles
    • B62D55/08Endless track units; Parts thereof
    • B62D55/14Arrangement, location, or adaptation of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토목건설기계의 무한궤도식 즉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크롤러 방식 하부 주행장치로는 적용 불가능했던 대형 토목건설기계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래땅이나 습지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고 그 구조 또한 매우 단순화 된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Crawler type lower traveling apparatus for big construction equipments and the big construction equipments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토목건설기계의 무한궤도식 즉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에 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래의 크롤러 방식 하부 주행장치로는 적용 불가능했던 대형 토목건설기계에도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래땅이나 습지 등에서도 활용 가능하고 그 구조 또한 매우 단순화 된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행장치는 토목건설기계의 여러 가지 가혹한 조건에서 주행하는 데 성능과 안전에 관계되는 장치가 결합된 것으로 동력전달장치, 조향장치, 현가장치, 제동장치, 트랙, 타이어 등으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주행장치에 따라 타이어방식 토목건설기계와 크롤러 방식 토목건설기계용으로 크게 구분되고, 이 타이어방식과 크롤러방식은 그 구조면에서 장비 각각의 특성을 갖고 있으나 기능면에서는 모두 동일한 역할을 한다.
종래 알려진 토목건설기계 중 유압 셔블을 예로 들어 그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유압셔블(11)의 측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도 1과 같이, 이동하기 위한 하부 주행장치(12)와, 그 상부에 탑재되어 선회 가능한 상부 선회장치(13)를 구비하고 있다.
특히 하부 주행장치(12)는 트랙 프레임(14)의 양단부에 구동륜(15)과 아이들러(유동륜; 16)가 각각 장착되며, 또한 구동륜(15)과 아이들러(16) 사이에는 크롤러 트랙(17)이 감겨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유압 셔블(11)은 동력원의 엔진을 구동시켜, 유압 펌프에 의해 유압으로 변환하여 주행 모터를 구동시켜서 구동륜(15)을 회전시킴으로써, 아이들러(16)에 의해 지지되는 크롤러 트랙(17)를 회전 이동시켜 주행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유압셔블(11)의 크롤러 트랙(17)을 회전시키는 아이들러(16)의 지지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트랙 프레임(14) 내측에 아이들러(16)의 중심축(16a)에 끼워진 연결부재(19)를 매개로 트랙스프링 하우징(20)이 설치되고, 이 트랙스프링 하우징(20)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측판(21)이 설치되어 상기 트랙스프링 하우징(20)을 고정하며, 상기 트랙스프링 하우징(20) 외주에는 길이방향으로 각각 트랙스프링(20a)이 설치되는 한편, 상기 트랙스프링 하우징(20)에 삽입된 연결부재(19)의 상하부에 가이드패널(22)이 각각 설치되어 트랙스프링 하우징(20)의 상하유동을 방지하도록 된 구조이다.
따라서, 종래의 크롤러방식 하부주행장치는 일단부에 설치된 구동륜의 구동력에 의해서만 크롤러 트랙이 회전되어야 하므로 구동륜과 아이들러 사이에 다수의 기어박스를 필요로 하였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들러 자체를 지지하기 위한 매우 복잡한 구조를 필요로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크롤러방식 하부주행장치와 같은 구조에서는 1개의 구동륜만을 사용하므로 힘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아 즉 작업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하지 못하므로 안정성이 약하여 대형토목건설기계에는 적용하기에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종래에 알려진 하부 주행장치의 프레임 구조를 살펴보면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34249는 "크롤러식 주행체의 프레임은 상자형의 센터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의 양측부의 외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트랙 프레임과, 센터 프레임과 트랙 프레임을 연결하는 중공형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센터 프레임과 연결 부재와의 접합부에 있어서의 센터 프레임의 상면 또는 하면과 연결 부재의 센터 접합부의 상면 또는 하면과의 각각의 높이의 차 중 적어도 어느 한 쪽을 각각 센터 프레임의 상면판 또는 하면판의 두께정도 또는 그 이하의 치수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 기계"를 개시하고 있는데, 특히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선회장치가 장착되는 부착 링(7r)을 갖는 센터 프레임(7)이 중앙부에 배치되며, 그 양측부에는 트랙 프레임(4r, 4l)이 배치되고, 트랙 프레임(4r)은 2개의 연결 부재(8r, 9r)에 의해 센터 프레임(7)에 각각 연결되며, 트랙 프레임(4l)은 2개의 연결 부재(8l, 9l)에 의해 센터 프레임(7)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구조를 갖는 프레임(2F)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상기 특허에 개시된 프레임 구조는 가변되지 않는 연결부재에 의해 센터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이 용접 접합되므로 상부선회장치의 크기, 작업강도 또는 주행해야 할 노면의 상태 등 필요상황에 따라 센터 프레임과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연장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센터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은 별도의 연결부재에 의해 용접되어 접합되므로 작업공정 또한 복잡하였으며, 구조적으로도 작업시에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상술된 문제점이 해결된 새로운 구성의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에 대한 개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자는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프레임의 각 단부에 2개의 구동륜을 채용하여종래 아이들러 채용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다수의 구성부품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절감된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종래의 크롤러방식 하부주행장치와 달리 트랙프레임 하나 당 2개의 구동륜을 사용하므로 차체 자체의 하중 및/또는 작업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작업하중이 적절히 분산되어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적용뿐만 아니라 모래땅 및 습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구조의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부주행장치의 센터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이 가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필요상황에 따라 센터 프레임과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 즉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구조의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접지부재를 더 형성하여 모래땅 및 습지 등을 포함하여 넓은 접지면이 필요한 작업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작업 수행이 가능한 구조의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작업자가 승차하여 토목건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기, 동력부 및 작업자가 승차할 수 있는 운전석을 포함하는 상부선회장치가 그 상부에 장착되는 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장치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터프레임; 상기 센터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프레임과 연결되는 한 쌍의 트랙프레임; 상기 트랙프레임에 장착되어 상기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는 2개의 구동륜; 상기 트랙프레임과 상기 2개의 구동륜에 감겨지고 상기 2개의 구동륜이 구동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크롤러 트랙을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의 연결은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연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변연결부재는 상기 센터프레임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트랙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재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은 상기 상부선회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면에 구비되는 전체적으로 상자형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랙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랙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관통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센터프레임의 본체와 상기 센터프레임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트랙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가변연결부재가 더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랙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박스구조를 이루는데 상기 장방형 박스구조의 양단부 상부는 하부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2개의 구동륜은 상기 트랙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브래킷으로 지지되어 각각 장착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륜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기어장치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 각각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접지부재 및 상기 센터프레임 하부 측으로 형성되는 중심접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 1 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 토목건설기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의하면, 트랙프레임의 각 단부에 2개의 구동륜을 채용함으로써 종래 아이들러 채용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다수의 구성부품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통해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가 절감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의하면, 종래의 크롤러방식 하부주행장치와 달리 트랙프레임 하나 당 2개의 구동륜을 사용하므로 차체 자체의 하중 및/또는 작업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작업하중이 적절히 분산되어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적용 가능할 뿐만 아니라 모래땅 및 습지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의하면, 하부주행장치의 센터프레임과 트랙프레임이 가변연결부재에 의해 연결되어 필요상황에 따라 센터 프레임과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 즉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용이하며 작업시 가해지는 하중을 적절히 분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의하면, 별도의 접지부재를 더 형성하여 모래땅 및 습지 등을 포함하여 넓은 접지면이 필요한 작업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작업 수행이 가능하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유압셔블의 측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아이들러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측면도,
도 3은 종래기술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프레임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일측 트랙프레임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의 구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평면도,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주행장치 중 트랙프레임의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평면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 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일측 트랙프레임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의 구동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상태설명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하부주행장치 중 트랙프레임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의 평면도이다.
먼저, 본 발명은 크롤러 방식 바퀴 하나당 하나의 구동륜과, 아이들러 즉 유동륜을 채택하고 있는 기존에 알려진 통상적인 크롤러 방식의 하부주행장치와는 달리 아이들러를 대체하여 구동륜이 더 사용됨으로써 크롤러 방식 바퀴 하나당 2개의 구동륜이 사용된 하부주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100)의 일측 트랙프레임(120)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150)을 회전시키기 위한 개략적인 구동관계를 살펴보면, 트랙프레임(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모두 구동륜(140)이 구비됨으로써 크롤러 트랙(150)에 균일하게 힘이 가해지고, 힘이 분산되게 되는 구성을 갖는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2개의 구동륜(140)은 트랙프레임(120)에 공지된 결합수단으로 장착되는데, 바람직하게는 트랙프레임(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브래킷으로 지지되어 각각 장착되는 것이다.
또한, 트랙프레임(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각각 장착된 2개의 구동륜(140)은 동일한 구성을 갖는데, 각 구동륜(140)의 구성은 토목건설기계에 채택되는 공지된 구동륜의 구성들 중 필요에 따라 적의 선택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하부주행장치(100)의 센터프레임(110)에 장착된 상부선회장치에 구비된 동력부의 엔진(A)이 구동되면 이와 연결된 오일펌프(B)가 작동되어 하부주행장치(100)가 구비된 토목건설기계의 동작을 제어하는 리모트 컨트롤밸브(C)에 오일을 공급하고, 운전자가 작동레버(D)나 페달을 조작하여 오일에 의한 유압으로 리모트 컨트롤밸브(C)의 유로를 개폐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리모트 컨트롤밸브(C)의 유로의 개폐를 통해 하부주행장치(100)의 트랙프레임(120)에 구비된 2개의 구동륜(140)을 구성하는 정역회전이 가능한 2 개의 주행모터들(141)을 동시에 가동시킬 수 있다.
주행 모터들(141)이 가동되면, 주행모터들(141)의 출력축에 각각 결합된 스프로켓과 같은 기어수단들(142)이 회전되고, 이 기어수단들(142)이 회전함에 따라 트랙프레임(120)과 그 양단부에 장착된 2개의 구동륜(140)에 의해 지지되어 감겨진 크롤러 트랙(150)이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상술된 일측 트랙프레임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150)의 회전구동을 위해 필요한 과정이 타측 트랙프레임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150)에서도 동일하게 수행되어 하부주행장치 즉 그 하부주행장치가 구비된 토목건설기계가 주행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하부주행장치(100)는 트랙프레임(1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모두 구동륜이 장착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트랙프레임의 후단부에 장착된 구동륜의 가동에 의해 발생된 힘이 전단부에 장착된 아이들러에 전달되는 구조를 갖는 종래의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와는 달리, 트랙프레임(120)에 감겨진 크롤러 트랙(150)에 균일한 힘이 동시에 분산되어 가해질 수 있으므로 트랙프레임(120)의 크기가 커져도 즉 크롤러 방식 바퀴가 대형화될 필요가 있는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적용되어도 주행 및 작업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되며, 하부주행장치(100)가 운행하는 노면이 습지 또는 모래땅이어도 주행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종래 아이들러 채용시 필수적으로 요구되었던 다수의 구성부품을 제거함으로써 단순한 구조를 갖게 되므로 제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생산원가 또한 절감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100)는 하부주행장치(100)의 프레임을 이루는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의 연결구조가 센터 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 사이의 거리 즉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가변 할 수 있는 구성을 갖는데 그 기술적 특징이 있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하부주행장치(100)가 센터프레임(110), 트랙프레임(120), 구동륜(140), 크롤러 트랙(150)을 포함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가변연결부재(13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먼저, 센터프레임(110)은 두 개의 크롤러방식 바퀴를 구성하는 한 쌍의 센터프레임(120) 사이에 배치되고 그 상부에 상부선회장치가 장착되는데, 그 구성을 크게 본체(111)와 다리부재(112)로 나눌 수 있다.
본체(111)는 전체적으로 그 형상이 모서리가 곡면을 이루는 상자형상을 이루는데, 상면에는 상부선회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111a)가 형성된다. 그 내부에는 본체(111)를 지지하기 위한 보강부재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장착부(111a)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리부재(112)는 상자형 본체(111)의 양측면에서 일체로 연장 형성되는데, 통상이기만 하면 형상은 제한되지 않지만 장방형 사각통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개 이상이기만 하면 그 개수 또한 제한되지는 않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프레임(120)과 인접하는 양측면 좌우 양단에서 각각 2개씩 4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경우에 따라서는 본체(111)의 양측면의 중앙부에 각각 1개씩 두 개가 형성될 수도 있고, 양측면에 각각 3개씩 즉 좌우 양단 및 중앙부에 각각 형성되어 6개가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여기서 다리부재의 길이는 센터프레임(110)이 위치한 중앙부 폭 즉 좌측 트랙프레임과 우측 트랙프레임 사이거리의 가변폭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다리부재(112)가 형성되지 않고 가변연결부재(130)에 의해서만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이 연결되거나 다리부재(112)와 함께 가변연결부재(130)가 형성되게 되는 경우에는, 본체(111)의 양측면에는 다리부재(112)를 대신하여 또는 다리부재(112)와 함께 가변연결부재장착부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다리부재(112)가 후술하는 트랙프레임(120)에 형성된 삽입부재(121) 내부로 삽입될 수 있게 구성됨으로써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이 연결될 수 있다. 그 결과 좌측 트랙프레임과 우측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 즉 중앙부 폭은 삽입부재(121)내부로 삽입되는 다리부재(112)의 삽입길이에 따라 가변될 수 있다.
이 때, 삽입부재(121) 내부로 삽입된 다리부재(112)는 삽입부재(121)와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 할 수 있으므로, 트랙프레임(120)의 삽입부재에 형성된 핀고정부재(121a)에서 핀고정이 가능하도록 다리부재(112)의 상면 및/또는 하면에는 일정 간격으로 핀고정홀이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한 쌍의 트랙프레임(120)은 센터프레임(110)의 좌우 양측에 배치되어 센터프레임과 연결되는데, 좌측 트랙프레임과 우측 트랙프레임은 방향성에서 서로 대향될 뿐 그 구조가 동일하므로 일측의 트랙프레임(120)을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트랙프레임(120)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박스구조를 이루는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방형 박스구조의 양단부 상부면은 하부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면을 통해 마찰저항을 줄일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경사면은 트랙프레임(120) 전체길이의 1/2이상을 이루는 중심부를 사이에 두고 좌우 양측으로 높이의 1/3이하로 테이퍼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때 트랙프레임(120)의 강도를 높이기 위해 박스구조 내부에는 다수의 격벽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트랙프레임(120)에는 센터프레임(110)에 구비된 다리부재(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그 중심부측의 대향되는 위치에 다리부재(112)의 개수만큼 트랙프레임(120)의 길이방향에 수직으로 삽입부재(121)가 관통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다리부재(112)없이 가변연결부재(130)에 의해서만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이 연결되거나 다리부재(112)와 함께 가변연결부재(130)가 형성되게 되는 경우에는, 삽입부재(121)를 대신하여 또는 삽입부재(121)와 함께 가변연결부재관통공(122)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재(121)는 다리부재(112)가 끼워질 수 있도록 다리부재(112)와 동일한 형상의 중공부를 형성하는데, 삽입부재(121)의 센터프레임(110)에 인접한 단부에는 핀고정부재(121a)가 트랙프레임(120)의 측면보다 돌출되어 통형상으로 더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핀고정부재(121a)의 상면 및 하면에는 삽입부재(121)로 삽입된 다리부재(112)와 고정될 수 있도록 핀고정홀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핀고정부재(121a)가 형성되면 삽입부재(121)내부로 삽입되는 다리부재(112)의 삽입길이에 따라 가변되는 좌측 트랙프레임과 우측 트랙프레임 사이 거리의 가변폭 조정시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의 고정을 매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센터프레임(110)의 다리부재(112)를 대신하여 또는 다리부재(112)와 함께 센터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가변연결부재(130)가 사용될 수 있다.
가변연결부재(130)는 실린더부재로서 바람직하게는 상부선회장치에 구비된 동력부의 유압에 의해 제어되는 유압실린더일 수 있는데, 가변연결부재(130)는 센터프레임(110)의 일측면과 그 일측면과 인접하지 않는 트랙프레임(120)의 타측면에 고정된다. 따라서 센터프레임(110)의 양측면에서 한 쌍의 트랙프레임(120)과 연결되어야 하므로 한 쌍으로 사용된다.
도 5 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가변연결부재(130)가 센터프레임의 다리부재(112)와 함께 사용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도 5에서는 센터프레임(110) 본체(111)의 양측면 좌우 양단에 형성된 4개의 다리부재(112)와 한 쌍의 트랙프레임(120)이 연결된 구성에 본체(111)의 양측면 중심부에 가변연결부재(130)가 더 형성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때 경우에 따라서는 4개의 다리부재(112) 내부에 각각 도시된 바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가변연결부재(130)를 더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구동륜(14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랙프레임(120)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브래킷으로 지지되어 각각 장착되는데, 이들 2개의 구동륜은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141)와 모터(141)의 출력축에 결합된 기어수단(142)을 포함한다. 구동륜(140)에 대해서는 상술된 설명으로 대신하기로 한다.
또한, 크롤러 트랙(150)은 트랙프레임(120)과 그 양단부에 장착된 2개의 구동륜(140)에 감겨지고 그 2개의 구동륜(140)이 구동됨으로써 회전 구동되는 구성으로서 롤러부재(151)와 트랙부재(152)를 포함하는데 공지된 구성의 통상적인 크롤러 트랙이 사용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경우 롤러부재(151)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하부롤러부재와 소수의 상부롤러부재(미도시)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100)의 구조에 대해 살펴보면, 중앙부에 형성된 가변연결부재(130)가 제외된 것을 제외하면 나머지 구성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므로 상술된 설명으로 대신한다.
다만, 도 5와 비교하여 볼 때 도 7에서는 센터 프레임(110)과 트랙프레임(120) 사이의 거리 즉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는 좁혀진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주행장치(100)는 다리부재(112) 내부에 가변연결부재(130)인 실린더부재가 더 형성된 구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은 또 다른 기술적 특징을 갖는데, 즉 본 발명의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100)는 모래땅 및 습지 등을 포함하여 넓은 접지면이 필요한 작업 장소에서도 원활하게 작업 수행이 가능하도록 별도의 접지부재를 더 형성한 구조를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별도의 접지부재로 한 쌍의 트랙프레임 각각의 외측에 연결 배치되는 한 쌍의 측면접지부재와 센터프레임 하부 측에 연결 배치되는 중심접지부재 중 어느 하나 또는 양자가 모두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측면접지부재는 스키형상을 갖고 중심접지부재는 스노우보드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측면접지부재 및 중심접지부재는 상부선회장치의 동력부와 연결되어 유압에 의해 접었다 펼 수 있는 공지된 연결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한데, 즉 작업자가 보다 넓은 접지면이 필요하다고 판단될 때는 측면접지부재 및/또는 중심접지부재를 펼쳐서 지면에 닿게 하고 필요 없다고 생각되면 접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하부주행장치(100)는 각종 크롤러 방식으로 구동되는 토목건설기계에 적용될 수 있는데, 특히 대형토목건설기계에 적용되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상술된 구성을 갖는 하부주행장치(100)의 센터프레임(110)의 장착부(111a)에 작업자가 승차하여 토목건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기, 동력부 및 작업자가 승차할 수 있는 운전석을 포함하는 상부선회장치가 장착된 대형토목건설기계는 차체 자체의 하중 및/또는 작업시에 차체에 가해지는 작업하중이 적절히 분산되어 매우 안정적으로 작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여기서 토목건설기계의 종류는 유압셔블, 불도저, 굴삭기, 천공기 등 크롤러 주행방식을 채택하기만 하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0 : 하부주행장치
110 : 센터프레임 111 : 본체
111a: 장착부 112 : 다리부재
112a: 중공부 112b : 핀고정공
120 : 트랙프레임 121 : 삽입부재
121a: 핀고정부재 122 : 가변연결부재관통공
130 : 가변연결부재 140 : 구동륜
141 : 주행모터 142 : 기어수단
150 : 크롤러 트랙 151 : 롤러부재
152 : 트랙부재

Claims (11)

  1. 작업자가 승차하여 토목건설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작업기, 동력부 및 작업자가 승차할 수 있는 운전석을 포함하는 상부선회장치가 그 상부에 장착되는 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부선회장치가 선회 가능하게 장착되는 센터프레임;
    상기 센터프레임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센터프레임과 연결되는 한 쌍의 트랙프레임;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 각각에 2개 씩 장착되어 상기 동력부에 의해 구동되는 두 쌍의 구동륜; 및
    상기 트랙프레임과 상기 트랙프레임에 장착된 2개의 구동륜에 감겨지고 상기 2개의 구동륜이 구동됨으로써 회전구동되는 한 쌍의 크롤러 트랙을 포함하는데,
    상기 트랙프레임에 장착되는 2개의 구동륜은 상기 트랙프레임의 전단부와 후단부에 브래킷으로 지지되어 각각 장착되고, 상기 2개의 구동륜은 각각 정역회전이 가능한 주행모터와 상기 모터의 출력축에 결합된 기어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의 연결은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가변연결부재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연결부재는 상기 센터프레임의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트랙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실린더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프레임은 상기 상부선회장치가 장착되는 장착부가 상면에 구비되는 전체적으로 상자형을 이루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양측면에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트랙프레임과 연결되는 다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프레임은 상기 다리부재가 삽입되는 삽입부재가 관통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다리부재의 내부에는 상기 센터프레임의 본체와 상기 센터프레임과 인접하지 않는 상기 트랙프레임의 타측면에 고정되는 가변연결부재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프레임은 전체적으로 장방형 박스구조를 이루는데 상기 장방형 박스구조의 양단부 상부는 하부측으로 테이퍼진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8. 삭제
  9. 삭제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트랙프레임 각각의 외측으로 형성되는 한 쌍의 측면접지부재 및 상기 센터프레임 하부 측으로 형성되는 중심접지부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하부주행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7항,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의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 토목건설기계.
KR1020100001823A 2010-01-08 2010-01-08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KR101005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823A KR101005538B1 (ko) 2010-01-08 2010-01-08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823A KR101005538B1 (ko) 2010-01-08 2010-01-08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5538B1 true KR101005538B1 (ko) 2011-01-04

Family

ID=4361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823A KR101005538B1 (ko) 2010-01-08 2010-01-08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553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16A (ja) * 1999-03-10 2000-09-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0563151B1 (ko) * 2004-06-10 2006-03-21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무한궤도와 바퀴를 이용한 주행시스템
JP2006290020A (ja) * 2005-04-06 2006-10-26 Kobelco Cranes Co Ltd クローラ式作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6348701A (ja) 2005-06-20 2006-12-2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クローラ式作業車両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57116A (ja) * 1999-03-10 2000-09-19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KR100563151B1 (ko) * 2004-06-10 2006-03-21 주식회사 한울로보틱스 무한궤도와 바퀴를 이용한 주행시스템
JP2006290020A (ja) * 2005-04-06 2006-10-26 Kobelco Cranes Co Ltd クローラ式作業機械の下部走行体
JP2006348701A (ja) 2005-06-20 2006-12-28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クローラ式作業車両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0978A (zh) 虾形六轮移动机器人
CN103192899A (zh) 一种可重构的轮螺行驶系统
JP2000505384A (ja) 接地車両
US8894452B2 (en) Drive means for amphibious equipment
DE10214731A1 (de) Rad-Arbeitsfahrzeug
CN101428652B (zh) 冰雪面移动机器人
KR101005538B1 (ko) 대형토목건설기계용 크롤러 방식 하부주행장치 및 상기 하부주행장치를 포함하는 대형토목건설기계
JP4745063B2 (ja) 小型クローラ式トラクタ
CN202879633U (zh) 多功能农机轮式行走机构以及履带式行走机构
JP2004074982A (ja) 車軸駆動装置
RU2652483C1 (ru) Крепление модуля на автомобиль и универсальный гусеничный модуль с этим креплением
WO2007049368A1 (ja) 小型クローラ式トラクタ
US7959169B2 (en) Chain driven independent suspension having an oscillation joint
CN210338039U (zh) 一种车辆转向系统
JP4805654B2 (ja) クローラ型トラクタ
CN202966429U (zh) 拖拉机底盘结构
CN102126526A (zh) 一种工程机械及其履带式行走机构
JP4627483B2 (ja) クローラ型トラクタ
JP4520338B2 (ja) 軌道走行可能な作業車両
JP4227224B2 (ja) 小型乗用農作業車
RU2712483C1 (ru) Система и способ для обеспечения возможности вращательного движения в транспортном средстве или передвижной рабочей машине
JP4869836B2 (ja) クローラ式作業車両
US1200438A (en) Crawling traction mechanism.
JP2007118910A (ja) 小型クローラ式トラクタ
US20230124346A1 (en) Arrangements for tractive elements of power mach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