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579B1 -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579B1
KR101004579B1 KR1020080064027A KR20080064027A KR101004579B1 KR 101004579 B1 KR101004579 B1 KR 101004579B1 KR 1020080064027 A KR1020080064027 A KR 1020080064027A KR 20080064027 A KR20080064027 A KR 20080064027A KR 101004579 B1 KR101004579 B1 KR 101004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baking
heater
steam generato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40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956A (ko
Inventor
이보웅
Original Assignee
(주)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부성 filed Critical (주)부성
Priority to KR10200800640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457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3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5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BBAKERS' OVENS; MACHINES OR EQUIPMENT FOR BAKING
    • A21B1/00Bakers' ovens
    • A21B1/02Bakers' ovens characterised by the heating arrangements
    • A21B1/06Ovens heated by radiators
    • A21B1/08Ovens heated by radiators by steam-heated radia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okers (AREA)
  • Commercial Cook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숙성이나 제빵 또는 재료의 해동을 위해 고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공급관(32)과 스팀배출관(33)이 연결된 본체(31)와, 이 본체(31)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히터(35)와, 이 히터(3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31) 내에 스팀실(S)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방열판(37)과, 상기 물공급관(32)에 연결되어 상기 방열판(37)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37) 상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노즐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식품숙성기, 제빵기, 스팀발생기, 히터, 방열판

Description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Steam generator for a food aging or baking}
본 발명은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간단한 구조에 의해 숙성이나 제빵 또는 재료의 해동을 위해 고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품숙성기나 제빵기는 단시간에 제과 또는 제빵용 반죽을 인위적으로 숙성시키거나 빵을 구울 수 있도록 온도 및 습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된 것으로, 반제품 또는 재료가 수납되는 고내에 열과 수분을 가하여 식품숙성이나 제빵 또는 재료의 해동을 부가적으로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식품숙성기 또는 제빵기에는 숙성 또는 제빵시에 고내로 수분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발생장치가 구비되는데, 종래의 스팀발생장치는 대개 소정의 크기로 구비되는 물탱크 내에 히터 또는 열선을 잠기도록 하고, 이에 의해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고내에 공급하는 것인데, 이는 물탱크 내에 물이 소정량 충전된 상태에서 가열을 행하게 되므로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데에 시간이 걸릴 뿐만 아니라 히터 또는 열선이 수중에서 부식이 발생하거나 이물질 등에 의해 물탱크 내의 물이 오염될 우려가 있어 비위생적인 문제점이 있는 것이었다.
또한 상기 물탱크 내에 수증기가 일정한 압력이 되면 밸브가 작동되도록 압력게이지 및 안전밸브 등을 추가적으로 구성하는 경우가 있어 구성이 복잡해질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작이 번거롭고 생산비용이 상승하는 요인이 되고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스팀의 생성 및 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한 구조에 의한 제작상의 번거로움 및 비용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물공급관(32)과 스팀배출관(33)이 연결된 본체(31)와, 이 본체(31)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히터(35)와, 이 히터(3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31) 내에 스팀실(S)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방열판(37)과, 상기 물공급관(32)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실(S)에 내장되도록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37) 상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노즐관(4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방열판(37)은 그 길이방향으로 하향된 만곡부(38)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35)는 상기 만곡부(38)의 하단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물공급관(32)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관(40)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39)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가 제공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31)에 내장된 히터(35)에 의해 그 상부에 구비되는 방열판(37) 상으로 분사되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됨으로써, 그 구조가 매우 간단하여 컴팩트하게 제작 가능할 뿐만 아니라 그에 따라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 및 제작상의 번거로움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으며, 고장의 우려가 적어 유지보수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37)은 본체(31)의 내부를 상하로 구획하여 그 상부에 스팀실(S)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히터(35)는 물에 직접적으로 잠기지 않는 상태에서 가열이 이루어지므로 히터(35)의 부식 및 그에 따른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보다 위생적으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열판(37)은 하향된 만곡부(38)가 형성되고, 이 만곡부(38)의 하단면에 상기 히터(35)가 설치됨으로써, 상기 방열판(37) 상으로 분사되는 물이 상기 만곡부(38)의 저면으로 흘러 내려 고이게 되고, 그 위치에 상기 히터(35)가 직접적으로 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므로 상기 히터(35)에 의한 가열효과를 최대로 발휘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하나의 히터(35)에 의해서도 원하는 스팀량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를 보다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물공급관(32)의 일측에는 노즐관(40)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39)가 더 구비됨으로써, 상기 방열판 (37) 상에 과도하게 물이 고이는 것을 방지하고, 이에 의해 상기 히터(35)의 부하를 줄임과 동시에 즉각적으로 물이 가열되어 원활한 스팀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발명의 설치상태의 일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빵용 식품숙성기(10) 또는 제빵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고내로 스팀을 공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스팀발생기(30)는 식품숙성기(10)의 용량에 따라 1개 또는 다수개가 구비될 수 있는 것으로, 상기 스팀발생기(30)는 물공급관(32)과 스팀배출관(33)이 연결된 본체(31)가 구비되고, 이 본체(31) 내에는 후술되는 히터(35) 및 방열판(37)에 의해 스팀을 생성하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스팀발생기(30)의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열재(34)가 구비된 본체(31) 내에는 방열판(37)에 의해 상하로 구획되는 가열실(H)과 스팀실(S)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가열실(H)에는 상기 방열판(37)의 저면에 접촉되도록 구비되는 히터삽입관(36)과 이 히터삽입관(36)에 내장되는 봉형상의 히터(35)가 구비되고, 상기 스팀실(S)에는 상기 물공급관(32)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노즐관(40)이 상기 방열판(37)의 상부에 이격된 상태로 내장되어 있다.
또한 상기 스팀실(S)의 일측에는 상기 식품숙성기(10)의 고내로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배출관(33)이 연결되고, 상기 물공급관(32)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관(40)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타이머 또는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39)가 결합되며, 상기 노즐관(40)에는 그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의 배출공(41)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물공급관(32)을 통하여 공급되는 물은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9)에 의해 소정의 시간동안 상기 노즐관(40)에 의해 분사되도록 구비되고(예를 들면, 3초 간격으로 0.3초 동안 분사되도록 상기 솔레노이드밸브(39)를 제어), 이 노즐관(40)에 의해 분사된 물을 상기 방열판(37) 상으로 낙하되어 상기 히터(35)의 가열에 의해 기화하여 스팀을 생성하게 된다.
특히, 상기 방열판(37)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길이방향으로 만곡부(38)가 하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히터(35)는 상기 만곡부(38)의 하단면에 길이방향으로 위치되도록 구비되는데, 이는 상기 만곡부(38)에 의해 물이 상기 방열판(37)의 중앙부로 흘러 내려 고이게 함으로써, 그 저면에 구비되는 히터(35)에 의한 가열효과를 최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에 의해 하나의 히터(35)에 의해서도 원하는 스팀량을 충분히 생성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설치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른 단면도

Claims (3)

  1. 물공급관(32)과 스팀배출관(33)이 연결된 본체(31)와, 이 본체(31)에 내장되도록 설치되는 히터(35)와, 이 히터(35)의 상부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31) 내부를스팀실(S)과 가열실(H)로 구획 형성하도록 된 방열판(37)과, 상기 물공급관(32)에 연결되어 상기 스팀실(S)에 내장되도록 연장되며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배출공(41)이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37) 상으로 물을 분사하도록 구비된 노즐관(40)을 포함하며;
    상기 방열판(37)은 그 길이방향으로 하향된 만곡부(38)가 형성되고, 상기 히터(35)는 상기 만곡부(38)의 하단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가열실(H)에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공급관(32)의 일측에는 상기 노즐관(40) 측으로 공급되는 물의 양을 조절할 수 있도록 제어되는 솔레노이드밸브(39)가 더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KR1020080064027A 2008-07-02 2008-07-02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KR101004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27A KR101004579B1 (ko) 2008-07-02 2008-07-02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4027A KR101004579B1 (ko) 2008-07-02 2008-07-02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6A KR20100003956A (ko) 2010-01-12
KR101004579B1 true KR101004579B1 (ko) 2010-12-30

Family

ID=41813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4027A KR101004579B1 (ko) 2008-07-02 2008-07-02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45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497B1 (ko) * 2013-10-23 2015-09-03 유영로 스팀발생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037B1 (ko) * 2012-10-05 2014-04-04 주식회사 동양매직 스팀 파이프의 과열 방지 구조를 갖는 스팀 발생 장치
KR101334962B1 (ko) * 2013-09-12 2013-12-02 김항진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026A (ja) * 2001-08-02 2003-02-21 Kawasaki Steel Corp 水蒸気の発生装置および水蒸気の発生量調整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50026A (ja) * 2001-08-02 2003-02-21 Kawasaki Steel Corp 水蒸気の発生装置および水蒸気の発生量調整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49497B1 (ko) * 2013-10-23 2015-09-03 유영로 스팀발생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956A (ko) 201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26385B (zh) 蒸汽烹调器
US6497907B2 (en) Baking device and method
US8288690B2 (en) Oven steam generator systems and methods
CN105209827B (zh) 蒸汽产生装置
KR101004579B1 (ko) 식품숙성 및 제빵용 스팀발생장치
CN104603536B (zh) 蒸汽发生装置
WO2020010513A1 (en) Apparatus for baking bakery products including steam generator
US20120085244A1 (en) Steam-Baking Oven
KR101571080B1 (ko) 스팀 조리기
CN101799153A (zh) 高效蒸汽发生装置及其水位控制方法
KR101334962B1 (ko) 도넛 반죽물 숙성용 히팅장치
CN108158393B (zh) 煮饭器和使用该煮饭器进行保温的方法
CN211157362U (zh) 一种可清洗的中药附子煨蒸一体设备
JP2003319877A (ja) 加熱用調理器
KR20160097069A (ko) 증기 발생 장치 및 그를 갖는 오븐 장치
CN110897075A (zh) 一种蒸鱼方法
KR101307329B1 (ko) 순간조리기
KR200489793Y1 (ko) 건강빵을 제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컨벡션 오븐기
CN110664614A (zh) 一种可清洗的中药附子煨蒸一体设备及工艺
KR200216000Y1 (ko) 빵오븐기용 증기발생기
CN111692523B (zh) 一种用于sf6液体高速汽化的加热装置
KR910003230Y1 (ko) 제빵기의 수증기 공급장치
CN104622270A (zh) 蒸汽烹饪器具
KR101041256B1 (ko) 소형 오리 훈제 장치
CN217390441U (zh) 蒸汽烹饪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