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4263B1 -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 Google Patents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4263B1
KR101004263B1 KR1020040016034A KR20040016034A KR101004263B1 KR 101004263 B1 KR101004263 B1 KR 101004263B1 KR 1020040016034 A KR1020040016034 A KR 1020040016034A KR 20040016034 A KR20040016034 A KR 20040016034A KR 101004263 B1 KR101004263 B1 KR 101004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ing
spool
fishing line
spinning reel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60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1329A (ko
Inventor
스가와라켄이치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040081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1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4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4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Reels with pick-up, i.e. with the guiding member rotating and the spool not rotating during normal retrieval of the l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45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7/00Hand tools or apparatus using hand held tool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for spread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n, or for partially removing applied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surfaces
    • B05C17/02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 B05C17/0205Rollers ; Hand tools comprising coating rollers or coating endless belts characterised by the handle, e.g. handle shape or material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스피닝 릴의 발음(發音) 기구에 있어서,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발음시킨다.
[해결 수단]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90)는,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이 규제되어 스풀(4)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톱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91a)를 가지는 제1 발음부(91)와, 톱니부(91a)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톱니 멈춤쇠 부재(92a)를 가지는 제2 발음부(92)와, 제1 발음부(91)의 회전을 규제하는 마찰 부재(93)를 구비하고 있다. 톱니 멈춤쇠 부재(92a)는, 용수철 부재(92c)에 의하여 톱니부(91a) 방향으로 압박되어 있다. 마찰 부재(93)는, 제1 발음부(91)와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유지 부재(70) 간에 배치되어 있다.
스풀, 드래그 기구, 톱니부, 톱니 멈춤쇠, 용수철

Description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SPINNING REEL SOUND PRODUCING MECHANISM}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피닝 릴의 우측면도.
도 2는 상기 스피닝 릴의 좌측면 단면도.
도 3은 상기 스피닝 릴의 스풀의 확대 단면도.
도 4는 상기 스풀의 발음 기구의 측면 확대 단면도.
도 5는 상기 발음 기구의 배면 확대 단면도.
도 6은 상기 스풀의 지지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면의 주요한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릴 본체 4: 스풀
15: 스풀축 20: 환상 부재
56: 제1 베어링 57: 제2 베어링
60: 드래그 기구 70: 유지 부재
80: 간좌 부재 90: 발음 기구
91: 제1 발음부 91a: 톱니부
91b: 장착부 92: 제2 발음부
92a: 톱니 멈춤쇠 부재 92b: 지지 부재
92c: 용수철 부재 93: 마찰 부재
본 발명은, 스피닝 릴의 발음(發音) 기구, 특히,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과 스풀축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닝 릴은, 핸들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와, 로터와, 스풀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스풀을 구비하고 있다. 스피닝 릴의 스풀은, 릴 본체에 대해서 전후 이동 가능하고,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권사(卷絲) 몸통부와,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後端部)에 설치된 대경 통상(筒狀)의 스커트부를 구비하고 있다.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는,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스풀의 후방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풀 받이부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프론트 드래그형의 스피닝 릴에서는, 권사 몸통부의 내부에는, 복수의 드래그판으로 이루어지는 드래그 기구나, 드래그 기구 작동시에 발음하는 발음 기구 등을 가지고 있다 (특허 문헌 1 참조).
이러한 발음 기구는, 예를 들어 드래그 기구의 내부에 배치되고,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용수철 부재와, 용수철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는 원통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통 부재는, 권사 몸통부의 내주부(內周部)에 장착되어 있고, 용수철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내주측에 형성된 요철부(凹凸部)에 용수철 부재가 접촉하여 발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다른 발음 기구로서, 예를 들어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 배치된 스풀 받이부가 발음 기구를 겸용하고 있는 것이 있다. 이 종류의 발음 기구는, 권사 몸통부의 후단부에 장착된 합성 수지제의 판상 부재와, 판상 부재에 접촉하여 발음하는 원판 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이 원판 부재는, 내주에 스풀축이 회전 불가능하게 계합(係合)하고, 외주에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판상 부재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요철부에 판상 부재가 접촉하여 발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공개공보 2002-345368호 공보
상기 종래의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서는, 원판 부재의 외주에는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고, 드래그 기구 작동시, 즉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발음시킬 수 있다. 마찬가지로,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과 역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즉 스풀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발음한다.
일반적으로, 릴을 사러 가는 사람이 가게 앞에서 릴을 선택할 때, 스풀을 릴에 대해서 양방향으로 손으로 돌려서 음을 확인한다. 따라서, 종래의 발음 기구는, 스풀을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음과 스풀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의 음이, 음량, 음질에 있어서 같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러나, 실제로 낚시를 할 때에는, 낚시꾼이 손으로 돌리지 않는 한, 스풀이 릴 본체에 대해서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은 있을 수 없다. 따라서, 낚시꾼이 실제로 낚시를 하고 있는 동안, 낚싯줄 감기 방향의 음을 듣는 일은 없다. 즉, 발음 기구가 스풀의 낚싯줄 감기 방향의 회전 사이에 나는 음은, 릴의 실제 사용시에는 어떠한 목적을 달성하는 것이 아니다. 게다가, 경험이 있는 낚시꾼은, 통상적으로 낚시를 할 때 스풀이 릴 본체에 대해서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는 일은 없는 것을 알고 있고, 따라서 릴을 가게에서 선택할 때에도 낚싯줄 감기 방향의 음은 확인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발음 기구가 내는 낚싯줄 감기 방향의 음은, 의미를 잃어가고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 발음시키는 것에 있다.
발명 1에 관련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는,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부품과,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2 부품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한쪽에 대해서 회전이 규제된 제1 발음부와, 제1 부품 및 제2 부품의 다른 쪽에 장착된 제2 발음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발음부는, 외주면(外周面)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고, 스풀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톱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를 가지고 있다. 제2 발음부는, 선단부(先端部)가 톱니부에 접촉 가능하게 스풀에 장착되고,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선단부가 톱니부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한다.
이 발음 기구는, 프론트 드래그식의 스피닝 릴의 경우, 예를 들어 제1 부품을 스풀로 하고, 제2 부품을 스풀축으로 했을 때, 스풀과 스풀축의 상대 회전에 의 하여 발음한다. 또한, 이 발음 기구는, 리어 드래그식의 스피닝 릴의 경우, 제1 부품을 스풀축으로 하고, 제2 부품을 릴 본체로 했을 때, 스풀축과 릴 본체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한다. 또한, 제1 발음부는, 예를 들어 원웨이 래칫 휠(ratchet wheel)이고, 스풀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발음부는 스풀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만, 즉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제2 발음부가 접촉하여 발음한다. 즉, 발음 기구는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음하고, 스풀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발음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발명 2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1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부품은 제2 발음부가 장착되는 스풀이고, 제2 부품은 제1 발음부의 회전이 규제되는 스풀축이다. 이 경우, 프론트 드래그식의 스피닝 릴에 있어서, 스풀과 스풀축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한다. 또한, 제1 발음부는 제2 부품인 스풀축에 대해 회전이 규제되고, 제2 발음부는 제1 부품인 스풀에 장착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발음부는 스풀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만, 즉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제2 발음부가 접촉하여 발음한다. 즉, 발음 기구는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할 때에만 발음하고, 스풀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에는 발음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발명 3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2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부 와 스풀축 간에 배치되고, 제1 발음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풀축의 외주에 형성된 홈부 등에 마찰 부재를 장착하고, 제1 발음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것에 의하여, 스풀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여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 규제된 제2 발음부와의 접촉에 의한 제1 발음부 및 제2 발음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 4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3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풀의 내주측에 배치된 베어링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마찰 부재는 제1 발음부와 유지 부재 간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유지 부재의 외주에 형성된 홈부 등에 마찰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발음부의 회전을 용이하게 규제할 수 있다.
발명 5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4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풀축은 단면이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의 내주면과 스풀축 간의 간극에 장착되는 간좌(間座)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다. 이 경우, 유지 부재의 내주면과 스풀축 간의 간극에 예를 들어 단면이 대략 반원형의 간좌 부재를 장착하는 것에 의하여, 유지 부재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발명 6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4 또는 발명 5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부의 내경은 베어링의 외경보다 크다. 이 경우, 제1 발음부를 베어링의 외경보다 대경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하여, 톱니부의 수를 늘리거나 피치(pitch)를 세세하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또렷한 발음을 실현할 수 있다.
발명 7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3 내지 발명 5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마찰 부재는 환상(環狀)의 탄성체제(彈性體製) 부재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O링 등의 탄성체제 부재를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발음부의 회전을 확실히 규제할 수 있다.
발명 8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2 내지 발명 5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부는 통부(筒部) 외주면에 톱니부가 설치된 바닥이 있는 통상 부재이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스풀 내부에 와셔(washer) 등을 탈착하고, 스풀의 축 방향 위치를 조정하여도 통부 외주면에 톱니부를 길게 설치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발음부와 제2 발음부를 확실히 접촉시킬 수 있다.
발명 9에 관련되는 발음 기구는, 발명 2 내지 발명 5 중 어느 하나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2 발음부는, 선단부가 톱니부에 접촉 가능하게 스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톱니 멈춤쇠 부재의 선단부를 톱니부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를 가지고 있다. 이 경우, 제1 발음부와 제2 발음부를 간소한 구성으로 접촉시킬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채용한 스피닝 릴은,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핸들(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릴 본체(2)와, 로터(3)와, 스풀(4) (제1 부품의 일례)을 구비하고 있다. 로터(3)는, 릴 본체(2)의 앞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낚싯줄을 외주면에 감는 것이고, 로터(3)의 앞부분에 전후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릴 본체(2)는, 릴 몸틀(2a)과, 릴 몸틀(2a)로부터 비스듬히 상전방으로 연장되는 장대 장착 다리(2b)를 가지고 있다. 릴 몸틀(2a)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을 가지고 있고, 그 공간 내에는, 로터(3)를 핸들(1)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시키는 로터 구동 기구(5)와, 스풀(4)을 전후로 이동시켜 낚싯줄을 균일하게 감기 위한 오실레이팅 기구(6)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 구동 기구(5)는, 핸들(1)이 고정된 핸들축(10)과 함께 회전하는 페이스 기어(11)와, 이 페이스 기어(11)에 서로 맞물리는 피니언 기어(12)를 가지고 있다. 피니언 기어(12)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피니언 기어(12)의 앞부분은 로터(3)의 중심부를 관통하고, 너트(13)에 의해 로터(3)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 기어(12)는, 그 축 방향의 중간부와 후단부가, 각각 베어링(14a, 14b)을 통하여 릴 본체(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4)의 중심부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연결된 스풀축(15) (제2 부품의 일례)을 전후 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풀(4)을 같은 방향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오실레이팅 기구(6)는, 스풀축(15)의 하방에 평행하게 배치된 나축(螺軸)(21)과, 나축(2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더(22)와, 나축(21)의 선단에 고정된 중간 기어(23)를 가지고 있다. 슬라이더(22)에는 스풀축(15)의 후단이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중간 기어(23)는 피니언 기어(12)에 서로 맞물리고 있다.
로터(3)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통부(30)와, 원통부(30)의 측방에 서로 대향하여 설치된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을 가지고 있다. 원통 부(30)와 제1 로터 암(31) 및 제2 로터 암(32)은,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제이고 일체 성형되어 있다.
제1 로터 암(31)의 선단의 외주측에는, 제1 베일 지지 부재(40)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제1 베일 지지 부재(40)의 선단에는, 낚싯줄을 스풀(4)로 안내하기 위한 라인 롤러(41)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제2 로터 암(32)의 선단 내주측에는, 제2 베일 지지 부재(42)가 요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라인 롤러(41)와 제2 베일 지지 부재(42) 간에는 선재(線材)를 대략 U상으로 구부린 형상의 베일(43)이 고정되어 있다. 이들 제1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0, 42), 라인 롤러(41) 및 베일(43)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에 안내하는 베일 암(44)이 구성된다. 베일 암(44)은, 도 2에 도시하는 낚싯줄 안내 자세와 그것으로부터 반전한 낚싯줄 개방 자세 사이에서 요동 가능하다.
로터(3)의 원통부(30)의 내부에는 로터(3)의 역회전을 금지·해제하기 위한 역회전 방지 기구(50)가 배치되어 있다. 역회전 방지 기구(50)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륜이 공회전하는 롤러형의 원웨이 클러치(51)와, 원웨이 클러치(51)를 작동 상태 (역회전 금지 상태)와 비작동 상태 (역회전 허가 상태) 간에 전환하는 전환 기구(52)를 가지고 있다.
스풀(4)은,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제1 로터 암(31)과 제2 로터 암(32) 간에 배치되어 있고, 스풀축(15)의 선단에 드래그 기구(60)를 통하여 장착되어 있다. 스풀(4)은,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대소 2단의 원통상의 스풀 본체(7)와, 스풀 본체(7)의 전단에 장착된 대경의 플랜 지부(8)와, 플랜지부(8)를 스풀 본체(7)에 고정하기 위한 플랜지 고정 부재(9)를 가지고 있다.
스풀 본체(7)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예를 들어 알루미늄 합금을 시보리 가공 등의 프레스 가공하여 얻어진 대소 2단의 원통상의 부재이고,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에 의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스풀 본체(7)는, 외주에 낚싯줄이 감기는 통상의 권사 몸통부(7a)와, 권사 몸통부(7a)의 후부에 일체로 형성된 대경 통상의 스커트부(7b)를 가지고 있다.
권사 몸통부(7a)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금속 박판에 의해 통상으로형성된 통상부(16)와, 통상부(16)의 내주측에 별체로 접착된 합성 수지제의 원통부(17)와, 원통부(17)의 후단측에 원통부(17)와 일체 성형된 환상의 내주부(18)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17)의 내주면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랜지 고정 부재(9)를 장착하기 위한 암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다. 내주부(18)의 내측에는, 바닥이 있는 통상의 지지부(19a, 19b)가 전후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지지부(19a, 19b)의 내측에는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이 장착되어 있고,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은 통상의 유지 부재(70)를 통하여 스풀축(15)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0)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의 이동이 규제되어 장착된 환상 부재(20)가 접촉하고 있다. 나아가,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에는, 스풀(4)과 스풀축(15)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하는 제1 발음부(91) 및 제2 발음부(92) (후술), 마찰 부재(93)로부터 이루어지는 발음 기구(90)가 장착되어 있다.
환상 부재(2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에 전후 이동이 불가능하게 장착된 금속제의 링 부재이다. 환상 부재(20)는 제2 베어링(57)의 후단에 접촉하고 있다. 환상 부재(20)를 스풀축(15)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드래그 기구(60)에 의하여 내주부(18)가 후방으로 눌려도, 스풀(4) 전체를 받을 수 있다.
유지 부재(70)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후단부가 환상 부재(20)에 접촉하고 내주부(18)에 의하여 후방으로 눌리는 통상의 부재이다. 유지 부재(70)는, 외주에 제1 베어링(56) 및 제2 베어링(57)이 유지되고, 내주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유지 부재(70)는, 내주가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는 원통부(71)와, 원통부(71)의 외주에 설치되어 전측면이 내주부(18)에 눌리는 원판부(72)를 가지고 있다. 원통부(71)는, 원판부(72)의 전측에 설치되고 외주에 제1 베어링(56)이 배치되는 제1 원통부(71a)와, 원판부(72)의 후측에 설치되고 외주에 제2 베어링(57)이 배치되는 제2 원통부(71b)를 가지고 있다.
유지 부재(70)는, 제1 원통부(71a)에 형성된 관통공(71c)을 관통하고, 스풀축(15)에 형성된 암나사(15a)에 나사로 감합(嵌合)하는 육각구멍 붙이 멈춤 나사 등의 핀 부재(75)에 의하여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핀 부재(75)가 장착된 제1 원통부(71a)에는, 원판부(72)의 전측면과 내주부(18) 간에는, 3매의 간좌 부재(76)가 장착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유지 부재(70)의 내주면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스풀축(15)은 단면이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지 부재(70)의 내주면과 스풀축(15) 간의 2개소의 간극에는, 단면이 대략 반원형의 간좌 부재(80)가 각각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 해, 유지 부재(70)의 덜걱거림을 억제할 수 있다.
발음 기구(90)는, 도 4 및 도 5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스풀축(15)에 대해서 회전이 규제된 제1 발음부(91)와, 제1 발음부(91)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92)와, 제1 발음부(91)의 회전을 규제하는 마찰 부재(9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발음부(9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바닥이 있는 통상의 래칫 휠이고, 통부 외주면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스풀(4)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톱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91a)와, 바닥부 내주면에 스풀축(15)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유지 부재(70)에 회전이 규제되어 장착되는 장착부(91b)를 가지고 있다. 제1 발음부(91)의 통부 내주측에는, 제2 베어링(57)이 간극을 두고 배치되어 있고, 즉 제1 발음부(91)의 내경은 제2 베어링(57)의 외경보다 크게 되어 있다.
제2 발음부(92)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톱니부(91a)에 접촉 가능하게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갈고리상의 톱니 멈춤쇠 부재(92a)와, 톱니 멈춤쇠 부재(92a)를 요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 부재(92b)와, 톱니 멈춤쇠 부재(92a)의 선단부를 톱니부(91a)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92c)를 가지고 있다. 용수철 부재(92c)는, 일단이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에 입설(立設)된 보스부(7c) (도 5 참조)에 계지(係止)되고, 타단이 톱니 멈춤쇠 부재(92a)에 장착되어 있다. 또한, 권사 몸통부(7a)의 후단부에는 스톱퍼부(7d)가 입설되어 있고, 톱니 멈춤쇠 부재(92a)의 과도한 이동을 규제 하고 있다. 여기에서는, 스풀(4)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톱니 멈춤쇠 부재(92a)의 선단부가 톱니부(91a)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마찰 부재(93)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O링 등의 환상의 탄성체제 부재이고, 제1 발음부(91)의 회전을 규제하기 위한 부재이다. 마찰 부재(93)는, 제1 발음부(91)와 유지 부재(70) 간에 배치되어 있다. 마찰 부재(93)는, 유지 부재(70)의 외주에 형성된 홈부(71d)에 장착되고, 제1 발음부(91)의 장착부(91b) 내주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하여, 제1 발음부(91)의 회전을 규제하고 있다.
스커트부(7b)는,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로터(3)의 원통부(30)를 덮도록 통상으로 권사 몸통부(7a)와 일체 성형되어 있다. 스커트부(7b)는, 알루미늄 합금을 시보리 가공하여 얻어진 금속 박판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플랜지부(8)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외주로 갈수록 전방으로 경사하도록 형성된 금속제 또는 경질(硬質) 세라믹제의 잘 손상하지 않는 원판상의 부재이다. 플랜지부(8)는, 권사 몸통부(7a)의 암나사부(17a)에 나사로 감합하는 플랜지 고정 부재(9)에 의하여, 권사 몸통부(7a) 간에 협지(挾持)되어 고정되어 있다.
플랜지 고정 부재(9)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권사 몸통부(7a)의 암나사부(17a)에 나사로 감합하는 통상의 수나사부(9a)와, 수나사부(9a)의 내주측에 일체로 형성되고 드래그 기구(60)의 복수의 드래그판(62) (후술)을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을 내부에 가지는 통상의 드래그 수납부(9b)와, 수나사부(9a)의 선단에 플랜지부(8)에 접촉 가능하게 설치된 접촉부(9c)를 가지고 있다.
드래그 기구(60)는, 스풀(4)과 스풀축(15) 간에 장착되어 스풀(4)에 드래그력을 작용시키기 위한 기구이다. 드래그 기구(60)는, 드래그력을 손으로 조정하기 위한 손잡이부(61)와, 손잡이부(61)에 의해 스풀(4)측으로 눌리는 복수 매의 드래그판(62)을 가지고 있다.
다음으로 릴의 조작 및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캐스팅시에는 베일 암(44)을 낚싯줄 개방 자세로 반전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제1 베일 지지 부재(40) 및 제2 베일 지지 부재(42)는 요동한다. 이 상태로 낚싯대를 잡는 손의 집게손가락으로 낚싯줄을 걸면서 낚싯대를 캐스팅한다. 이렇게 하면 낚싯줄은 채비의 무게에 의하여 힘차게 방출된다. 채비가 착수(着水)한 후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로터 구동 기구(5)에 의해 로터(3)가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하고, 베일 암(44)이 베일 반전 기구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낚싯줄 감기 위치로 복귀하고 로터(3)의 역회전이 금지되어 있기 때문에 낚싯줄의 방출이 멈춘다.
낚싯줄을 감을 때에는, 핸들(1)을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면, 그 회전이 페이스 기어(11), 피니언 기어(12)를 통하여 로터(3)에 전달되어 로터(3)가 회전한다. 로터(3)가 회전하면, 라인 롤러(41)로 안내된 낚싯줄이 스풀(4)에 휘감긴다.
이러한 스풀(4)의 발음 기구에서는, 제1 발음부(91)는, 스풀(4)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제1 발음부(91)는 스풀(4)의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드래그 기구(60)가 작동하고 있을 때에만, 즉 스풀(4)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제2 발음부(92)가 접촉하여 발음하기 때문에, 낚시꾼은 드래그 기구(60)의 작동 상태를 확실히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
(a) 상기 실시예에서는, 천구(淺構) 스풀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모든 스피닝 릴의 스풀에 대해서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프론트 드래그식의 스피닝 릴을 이용하였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리어 드래그식의 스피닝 릴을 이용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제1 부품은 제1 발음부의 회전이 규제되는 스풀축이고, 제2 부품은 제2 발음부가 장착되는 릴 본체라도 무방하다. 여기에서는, 스풀축 (제1 부품의 일례)과 릴 본체(제2 부품의 일례)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한다.
(b) 상기 실시예에서는, 마찰 부재(93)는, 제1 발음부(91)와 유지 부재(70) 간에 배치되어 있었지만, 제1 발음부(91)와 스풀축(15) 간에 배치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마찰 부재(93)는, 환상의 탄성 부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규제 수단이라도 무방하다.
(c) 상기 실시예에서는, 제2 발음부(92)는, 톱니 멈춤쇠 부재(92a)를 톱니부(91a)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92c)를 가지는 구성이었지만, 용수철 부재(92c)를 가지지 않는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또한, 톱니 멈춤쇠 부재(92a)를 톱니부(91a)에 접촉 가능한 합성 수지제의 설상(舌狀) 부재로 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제1 발음부는, 스풀이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제2 발음부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스풀이 낚싯줄 감기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는 회전 불가능하게 되도록, 스풀과 릴 본체의 어느 한쪽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발음 기구는, 스풀이 릴 본체에 대해서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에만 발음한다.

Claims (9)

  1. 낚싯줄의 감기 및 방출을 행하는 스풀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제1 부품과, 릴 본체에 대해서 회전 불가능한 제2 부품의 상대 회전에 의하여 발음(發音)하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한쪽에 대해서 회전이 규제되고, 외주면(外周面)의 둘레 방향에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상기 스풀의 상기 낚싯줄 방출 방향의 회전만을 허용할 수 있도록 톱니상으로 형성된 복수의 톱니부를 가지는 제1 발음부와,
    선단부(先端部)가 상기 톱니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제1 부품 및 상기 제2 부품의 다른 쪽에 장착되고, 상기 스풀이 상기 낚싯줄 방출 방향으로 회전했을 때, 상기 선단부가 상기 톱니부에 접촉을 반복하여 발음하는 제2 발음부
    를 구비한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품은, 상기 제2 발음부가 장착되는 상기 스풀이고,
    상기 제2 부품은, 상기 제1 발음부의 회전이 규제되는 스풀축인,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부와 상기 스풀축 간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발음부의 회전을 규제하는 마찰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축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스풀의 내주(內周)측에 배치된 베어링을 유지하는 유지 부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마찰 부재는 상기 제1 발음부와 상기 유지 부재 간에 배치되어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부재의 내주면은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스풀축은 단면이 비원형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부재의 내주면과 상기 스풀축 간의 간극(間隙)에 장착되는 간좌(間座) 부재를 더 구비하고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부의 내경은 상기 베어링의 외경보다 큰,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7.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 부재는 환상(環狀)의 탄성체제(彈性體製) 부재인,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8.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발음부는 통부(筒部) 외주면에 상기 톱니부가 설치된 바닥이 있는 통상(筒狀) 부재인,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9.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발음부는, 선단부가 상기 톱니부에 접촉 가능하게 상기 스풀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톱니 멈춤쇠 부재와, 상기 톱니 멈춤쇠 부재의 상기 선단부를 상기 톱니부 방향으로 압박하는 용수철 부재를 가지고 있는,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1020040016034A 2003-03-14 2004-03-10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1010042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70183 2003-03-14
JP2003070183A JP4173387B2 (ja) 2003-03-14 2003-03-14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1329A KR20040081329A (ko) 2004-09-21
KR101004263B1 true KR101004263B1 (ko) 2011-01-03

Family

ID=32959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6034A KR101004263B1 (ko) 2003-03-14 2004-03-10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971601B2 (ko)
JP (1) JP4173387B2 (ko)
KR (1) KR101004263B1 (ko)
CN (1) CN100563435C (ko)
MY (1) MY128253A (ko)
SG (1) SG123598A1 (ko)
TW (1) TWI3084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8339A1 (en) * 2004-06-09 2006-01-27 Shimano Kk Spinning-reel sounding mechanism
CN2798588Y (zh) * 2005-05-20 2006-07-26 陶宁 组合式渔线轮的线轮组件
US8534583B2 (en) * 2006-08-04 2013-09-17 Accurate Fishing Products Drag mechanism for a fishing reel
JP4870101B2 (ja) * 2008-02-12 2012-02-08 グローブライド株式会社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JP5258688B2 (ja) * 2009-07-14 2013-08-07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発音装置
JP5507374B2 (ja) * 2010-07-26 2014-05-28 株式会社シマノ 両軸受リールのドラグ発音装置
JP5596581B2 (ja) * 2011-01-28 2014-09-24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7032225B2 (ja) * 2018-04-26 2022-03-08 シマノコンポネンツ マレーシア エスディーエヌ.ビーエッチディー. 釣り用リールのトルク制限装置、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JP7133417B2 (ja) * 2018-09-26 2022-09-08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スピニングリール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5966U (ja) 1981-12-04 1983-06-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H0449966U (ko) * 1990-09-03 1992-04-27
JP2002345368A (ja) 2001-05-25 2002-12-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73317A (en) * 1977-03-18 1979-11-06 Shimano Industrial Company, Limited Sound generating mechanism for a spinning reel
GB2123661B (en) * 1982-07-22 1985-11-06 Brunswick Corp Drag for spinning reel
US6688545B2 (en) * 2002-01-22 2004-02-10 Shimano Inc. Fishing-reel sounding device
JP2003345368A (ja) 2002-05-28 2003-12-03 Media File Sha:Kk カラオケ装置および通信カラオケシステム
JP2004081097A (ja) * 2002-08-27 2004-03-18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5966U (ja) 1981-12-04 1983-06-10 株式会社シマノ スピニングリ−ル
JPH0449966U (ko) * 1990-09-03 1992-04-27
JP2002345368A (ja) 2001-05-25 2002-12-03 Shimano Inc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78290A1 (en) 2004-09-16
CN100563435C (zh) 2009-12-02
SG123598A1 (en) 2006-07-26
TW200423867A (en) 2004-11-16
JP4173387B2 (ja) 2008-10-29
MY128253A (en) 2007-01-31
KR20040081329A (ko) 2004-09-21
US6971601B2 (en) 2005-12-06
TWI308480B (en) 2009-04-11
JP2004275054A (ja) 2004-10-07
CN1530009A (zh) 2004-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1270B1 (ko) 낚시용 릴의 래칫 휠
KR101195809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TW200948267A (en) Reverse prevention mechanism for lever drag reel
US7090160B2 (en) Sound generating device for a dual bearing reel
KR101004263B1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KR20140071879A (ko) 드래그 손잡이, 및 이것을 이용한 낚시용 릴
US6612511B2 (en) Component assembly for fishing reel
JP6412680B2 (ja) 両軸受リール
TW200522862A (en) Spinning reel sounding mechanism
US6726137B1 (en) Spincast fishing reel having novel drag mechanism
KR101549601B1 (ko) 스피닝 릴의 스풀
JP2014212739A5 (ko)
JP4266718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457212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
KR101188627B1 (ko) 낚시용 릴의 스풀의 제동 조작 구조
KR20040019250A (ko) 스피닝 릴의 발음 기구
JP4901710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組立体
JP398132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スプール支持構造
JP438189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発音機構
JP2009148173A5 (ko)
US6299086B1 (en) Spincast fishing reel having novel drag mechanism
JP4638716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のドラグつまみ
JP6489885B2 (ja) スピニングリール
JP2000004734A (ja) 両軸受リールの発音機構及び両軸受リール
JP2003144020A (ja) 釣り用リールの発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