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627B1 -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627B1
KR101002627B1 KR1020090007942A KR20090007942A KR101002627B1 KR 101002627 B1 KR101002627 B1 KR 101002627B1 KR 1020090007942 A KR1020090007942 A KR 1020090007942A KR 20090007942 A KR20090007942 A KR 20090007942A KR 101002627 B1 KR101002627 B1 KR 1010026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er
pusher block
groove
forming
b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826A (ko
Inventor
강종구
강남식
Original Assignee
트루텍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트루텍 (주) filed Critical 트루텍 (주)
Priority to KR10200900079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627B1/ko
Publication of KR20100088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8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6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6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93Handling, conveying or loading, e.g. belts, boats, vacuum fing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maintenance of measuring instruments, e.g. of probe tip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6Testing of individual semiconductor devices
    • G01R31/2601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3Contacting devices, e.g. sockets, burn-in boards or mounting fix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55Environmental, reliability or burn-in testing
    • G01R31/286External aspects, e.g. related to chambers, contacting devices or handlers
    • G01R31/2865Holding devices, e.g. chucks; 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 G01R31/2867Handlers or transport devices, e.g. loaders, carriers, tr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푸셔블록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몸체성형홈을 갖는 하부몰드와, 푸셔블록의 푸셔부를 성형하기 위한 푸셔부성형홈를 갖는 상부몰드를 제작하는 제1단계; 하부몰드에 상부몰드를 푸셔부성형홈이 몸체성형홈과 연락하게 적치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푸셔블록의 몸체로부터 푸셔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의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는 제2단계; 및 푸셔블록주물을 푸셔블록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저렴한 가격의 푸셔블록을 공급할 수 있고, 푸셔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킬 수 있다.
테스트핸들러, 매치플레이트, 푸셔블록, 몰드, 가공기계

Description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TH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CONTACT PUSHER FOF THE MATCH PLATE}
본 발명은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몰드에 의한 성형과정을 거쳐 푸셔블록을 제조함으로써 공정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산라인에서 생산 완료된 반도체 소자(Device)는 출하전에 양품인지 또는 불량품인지의 여부를 판별하기 위한 테스트를 거치게 되는데, 한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특2003-0029266호 '테스트 핸들러',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10-0197941호 '테스트 핸들러의 디바이스 테스트장치',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801927호 '테스트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및 테스트핸들러' 등 다수 자료들을 통해 공개되어 있는 핸들러는 이러한 반도체 소자들을 테스트하는데 사용되는 장비로서, 테스트트레이에 담겨진 반도체 소자를 공정간에 자동으로 이송시키면서 테스트 영역의 테스트 소켓에 접속시키고 원하는 테스트를 실시한 후, 테스트 결과에 따라 분류하여 다시 테스트트레이에 언로딩하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반복 수행하며 테스트를 실 행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테스트 핸들러는 반도체 소자가 이용되는 환경이 다양화됨에 따라 자체에서 사용자가 요구하는 특정 온도 환경을 조성하여 즉, 상온에서 뿐만 아니라 고온(예컨대, 80℃ 이상의 고온) 또는 저온(예컨대, -50℃이하의 저온)의 특정 온도 환경을 조성하여 반도체 소자들의 성능을 테스트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테스트 핸들러는 푸셔블록을 주요 구성품으로 한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8-0002841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 한국 등록특허공보 10-0771474호 '테스트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등의 자료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푸셔블록은 매치플레이트(Match Plate)에 고정 설치되어, 테스트트레이에 고정 설치되는 인서트에 적치되는 반도체 소자를 지지하는 한편 테스트 소켓 측으로 미는 상태를 유지하여, 반도체 소자가 테스트 소켓에 적절히 정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서 전기적으로 접속시켜 테스트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도 1a와 도 1b,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블록은 몸체(10)와 푸셔부(20)로 대별되고, 반도체 소자의 물리적 규격 등에 따라 예컨대, 푸셔부(20)가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테스트 핸들러에서 상기의 기능을 수행한다.
도 1a와 도 1b는 몸체(10)에 1개의 푸셔부(20)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을 나타낸 것이고, 도 2a와 도 2b는 몸체(10)에 2개의 푸셔부(20)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을 나타낸 것이다.
이러한 푸셔블록은 몸체(10)의 하면에 형성되는 끼움홈(11)을 위치를 고정하 는 매치플레이트의 돌부에 끼운 후, 푸셔부(20)를 사이에 두고 끼움홈(11)의 바닥면과 몸체(10)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공들(13)을 통해서 매치플레이트에 나사 결합되는데, 하면에 거리를 두고 요입 형성되는 다수개의 홈(15)에 스프링을 개재하여 매치플레이트에 탄력적으로 설치된다.
이와 같이 매치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는 푸셔블록은 상면 좌우측에 돌출되는 가이드핀(17)이 인서트의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반도체 소자와 대응하게 가공된 푸셔부(20)의 헤드로 인서트에 적치되는 반도체 소자를 지지하는 한편 테스트 소켓 측으로 미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푸셔부(20)의 상면과 끼움홈(11)의 바닥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로(30)는 공기가 푸셔블록의 내부를 관통해서 흘러나가도록 함으로서 장치로부터 푸셔블록이 받는 열을 식힌다.
이처럼 테스트 핸들러에서 주요 기능을 수행하는 푸셔블록은 철저히 가공기계(예컨대, 선반, 드릴링머신, 보오링머신 등)에 의존해서 제조되기 때문에, 제품단가가 높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제조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가공시간이 길고, 가공비가 많이 들며, 가공을 위한 대기시간이 길다는 등의 이유로 인해 제품단가가 높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푸셔블록은 일정 크기의 사각블록을 일일히 절삭해서 몸체(10)와 푸셔부(20)를 만들고, 정해진 순서에 따라 홈을 파거나 구멍을 뚫어 끼움홈(11), 나사공(13), 홈(15), 에어로(30), 푸셔부(20)의 헤드를 형성한 뒤, 가이드핀(17)을 몸체(10)에 조립방식으로 결합시켜 제작되기 때문에, 제조과정이 복잡해, 제품단가가 높고 생산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20-2008-0002841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도 3 및 도 5에서도 개시된 바와 같이, 가공단계에서 홈(15)의 바닥면과 몸체(10)의 상면을 관통하게 끼움공(12)을 형성한 뒤, 그 끼움공(12)에 가공기계로 가공한 가이드핀(17)을 빠지지 않게 삽입시켜 푸셔블록을 완성하기 때문에, 가공공정에 조립공정까지 더해져 제조과정이 복잡해짐으로써, 제품단가가 높고 생산성이 크게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몰드에 의한 성형과정을 거쳐 푸셔블록을 제조함으로써 공정수를 획기적으로 줄여 제품단가를 현저히 낮추고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하기 위한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하면에 끼움홈과 스프링홈을 갖는 사각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푸셔부와, 푸셔부를 사이에 두고 끼움홈의 바닥면과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공과, 끼움홈의 바닥면과 푸셔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로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셔블록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몸체성형홈을 갖는 하부몰드와, 상기 푸셔블록의 푸셔부를 성형하기 위한 푸셔부성형홈를 갖는 상부몰드를 제작하는 제1단계; 하부몰드에 상부몰드를 푸셔부성형홈이 몸체성형홈과 연락하게 적치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상기 푸셔블록의 몸체로부터 푸셔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의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는 제2단계; 및 푸셔블록주물을 상기 푸셔블록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푸셔블록의 끼움 홈을 성형하기 위한 끼움홈성형돌부가 몸체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돌기가 끼움홈성형돌부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1표시돌기가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나사공들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돌기들이 끼움홈성형돌부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2표시돌기들이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나사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나사공들을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상기 푸셔블록의 스프링홈을 성형하기 위한 홈성형돌부가 몸체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단계에서 상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몸체로부터 상기 푸셔블록의 가이드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의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가이드핀성형홈이 푸셔부성형홈을 사이에 두고 더 요입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제1단계에서 상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3표시돌기가 푸셔부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더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3표시돌기가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를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해결 수단에 의해, 가공기계에 의한 공정수가 줄고 이에 의해 가공시간이 짧아지는 등의 이유로 인해 공정수가 획기적으로 줄어, 제품단가가 현저히 낮아지고, 생산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표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서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도 4에서 Ⅰ-Ⅰ선 단면도, 도 6은 도 3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몰드에 용융금속이 주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8로부터 성형되는 푸셔블록주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0는 도 9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푸셔블록주물을 가공기계로 가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1단계> 몰드 제작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은 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제작하는 단계로부터 시작된다.
도 3∼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몰드는 대량 생산을 위해 매치 플레이트형으로 제작됨이 바람직하고, 하부몰드(100)와 상부몰드(200)로 이루어지는데, 하부몰드(100)는 푸셔블록의 몸체(10)를 성형하기 위한 몸체성형홈(111)을 갖도록 제작되고, 상부몰드(200)는 1개의 푸셔블록의 푸셔부(20)를 성형하기 위한 푸셔부성형홈(211)을 갖도록 제작되어, 몸체성형홈(111)과 푸셔부성형홈(211)이 서로 연락하게 하부몰드(100) 위에 상부몰드(200)가 적치되면, 내부에 도 1a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10)에 1개의 푸셔부(20)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의 일부를 성형하기 위한 주형공간이 형성된다.
이때, 하부몰드(100)는 푸셔블록의 끼움홈(11)을 성형하기 위한 끼움홈성형돌부(113)가 몸체성형홈(11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끼움홈성형돌부(113)는 푸셔부성형홈(211)과 대향하게 형성된다.
또한, 하부몰드(100)는 홈의 형태로 푸셔블록의 에어로(30)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돌기(117)가 끼움홈성형돌부(113)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제1표시돌기(117)는 도면과 같이 하부몰드(100)에 몸체성형홈(111)과 연락하게 구멍(121)을 뚫은 후 그 구멍(121)에 선단이 몸체성형홈(111)으로부터 돌출되게 핀(123)을 박아 형성될 수 있고, 끼움홈성형돌부(113)로부터 직접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몰드(100)는 홈의 형태로 푸셔블록의 나사공들(13)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돌기들(119)이 제1표시돌기(117)를 사이에 두고 끼움홈성형돌부(113)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한데, 제2표시돌기들(119)은 제1표시돌기(117)와 같이 하부몰드(100)에 핀을 박아 형성될 수 있고, 도면과 같이 끼움홈성형돌부(113)로부터 직접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몰드(100)는 푸셔블록의 스프링홈(15)을 성형하기 위한 홈성형돌부(125)가 끼움홈성형돌부(113)를 사이에 두고 몸체성형홈(11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몰드(200)는 푸셔블록의 가이드핀(17)을 성형하기 위한 가이드핀성형홈(213)이 푸셔부성형홈(211)을 사이에 두고 요입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가이드핀성형홈(213)은 홈성형돌부(125)와 대향하게 형성된다.
또한, 상부몰드(200)는 제1표시돌기(117)와 더불어, 홈의 형태로 푸셔블록의 에어로(30)의 가공위치를 더 정확하게 표시하기 위한 제3표시돌기(217)가 푸셔부성형홈(211)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3표시돌기(217)는 제1표시돌기(217)와 수직선상에 놓이게 돌출 형성된다.
<2단계> 푸셔블록주물 성형
몰드가 제작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몰드(100)에 상부몰드(200)를 적치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푸셔블록주물(300)을 성형한다.
예컨대, 알루미늄(Al)에 규소(Si), 철(Fe), 구리(Cu), 망간(Mn), 마그네슘(Mg), 아연(Zn), 니켈(Ni), 주석(Sn)을 첨가하여 녹인 용융금속을 주입로(171)를 통해서 하부몰드(100)와 상부몰드(200)가 서로 접해 형성하는 주형공간에 압력 등을 이용해 주입한 후 응고시켜 푸셔블록주물(300)을 성형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블록주물(300)은 푸셔블록의 몸체(10)로부터 푸셔부(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 즉, 푸셔블록의 몸체(10)와 대응하는 몸체(310)로부터 푸셔블록의 푸셔부(20)와 대응하는 푸셔부(320)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ㅗ형의 형태로 성형된다.
이때, 푸셔블록주물(300)의 몸체(310)의 하면에는 하부몰드(100)의 끼움홈성형돌부(113)에 의해 푸셔블록의 끼움홈(11)과 대응하는 끼움홈(311)이 요입 성형되고, 하면 좌우 양측에는 하부몰드(100)의 홈성형돌부(125)에 의해 푸셔블록의 스프링홈(15)과 대응하는 스프링홈(315)이 요입 성형된다.
또한, 끼움홈(311)에는 하부몰드(100)의 제1표시돌기(117)에 의해 푸셔블록의 에어로(30)의 가공위치를 표시하는 제1표시홈(330)이 요입 성형되고, 그 제1표시홈(330)을 사이에 두고 하부몰드(100)의 제2표시돌기들(119)에 의해 푸셔블록의 나사공들(13)의 가공위치를 표시하는 제2표시홈(313)이 요입 성형된다.
또한, 몸체(310)의 상면에는 상부몰드(200)의 가이드핀성형홈(213)에 의해 푸셔블록의 가이드핀(17)과 대응하는 가이드핀(317)이 돌출 성형되고, 푸셔블록주물(300)의 푸셔부(320)의 상면에는 상부몰드(200)의 제3표시돌기(217)에 의해 푸셔블록의 에어로(30)의 가공위치를 표시하는 제3표시홈(323)이 요입 성형된다.
<3단계> 푸셔블록주물 가공
이처럼 성형되는 푸셔블록주물(300)은 가공기계(400)로 가공되어 도 1a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푸셔블록을 완성한다.
즉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셔블록주물(300)을 가공기계(예컨대, 선반, 드릴링머신 등)(400)에 장착한 후 제1표시홈(330) 또는 제3표시홈(323)을 통해 푸셔블록주물(300)에 구멍을 뚫어 푸셔블록의 에어로(30)를 형성하고, 제2표시홈(313)을 통해 푸셔블록주물(300)에 나사 구멍을 뚫어 푸셔블록의 나사공들(13)을 형성하고, 푸셔블록의 푸셔부(20)의 헤드와 대응하게 푸셔부(320)의 헤드를 가공하면, 도 1a와 도 1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푸셔블록이 간단히 완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몰드로 푸셔블록의 몸체(10)와 푸셔부(20)에 대응하는 형태의 주물(300)을 성형하되, 푸셔블록의 끼움홈(11), 스프링홈(15), 가이드핀(17)과 대응하는 요소들이 몰드에 의해서 한번에 형성되게 주물(300)을 성형하고, 푸셔블록과 대응하는 나머지 나사공(13)과 에어로(30) 및 푸셔부(20)의 헤드는 주물(300)을 가공기계(400)로 가공해서 형성함으로써, 가공기계(400)에 의한 공정수를 줄여, 결국 제조과정을 단순화함으로써, 저렴한 가격의 푸셔블록을 공급하도록 하고, 푸셔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일정 크기의 사각블록을 가공기계로 일일히 절삭해서 푸셔블록의 몸체(10)와 푸셔부(20)를 만드는 과정, 홈을 파 푸셔블록의 끼움홈(11)과 스프링홈(15)을 형성하는 과정, 몸체(10)에 구멍을 뚫어 가이드핀(17)을 조립하는 과정 등을 없애 가공시간과 가공수(공정수) 등을 현저히 줄이고, 이로 인해 가공비가 크게 절감됨으로써, 저렴한 가격의 푸셔블록을 공급하고, 푸셔블록의 생산성을 크 게 향상 시킨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서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14는 도 12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평면도, 도 15는 도 12로부터 성형되는 푸셔블록주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은 도 2a와 도 2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은 몸체(10)에 2개의 푸셔부(20)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을 제조하기 위해, 상부몰드(200)에 2개의 푸셔부성형홈(211)을 형성하고, 하부몰드(100)에는 그 푸셔부성형홈들(211)에 대응하게 끼움홈성형돌부(113), 제1표시돌기(117), 제2표시돌기들(119), 제3표시돌기(217)를 형성한 것만 다를 뿐, 제1실시예의 제조방법과 동일하기 때문에,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저렴한 가격의 푸셔블록을 공급하고, 푸셔블록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 시키도록 한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도 1a와 도 1b는 몸체에 1개의 푸셔부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몸체에 2개의 푸셔부가 돌출 형성된 푸셔블록을 나타낸 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서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서 Ⅰ-Ⅰ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3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서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3의 몰드에 용융금속이 주입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8로부터 성형되는 푸셔블록주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는 도 9의 Ⅲ-Ⅲ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푸셔블록주물을 가공기계로 가공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서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몰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몰드에서 상부몰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몰드에서 하부몰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로부터 성형되는 푸셔블록주물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6은 도 15의 Ⅳ-Ⅳ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푸셔블록 몸체 11:푸셔블록 끼움홈
13:푸셔블록 나사공 15:푸셔블록 스프링홈
17:푸셔블록 가이드핀 20:푸셔블록 푸셔부
30:푸셔블록 에어로 100:하부몰드
111:몸체성형홈 113:끼움홈성형돌부
117:제1표시돌기 119:제2표시돌기
121:구멍 123:핀
125:홈성형돌부 171:주입로
200:상부몰드 211:푸셔부성형홈
213:가이드핀성형홈 217:제3표시돌기
300:푸셔블록주물 310:푸셔블록주물 몸체
313:제2표시홈 317:푸셔블록주물 가이프핀
311:푸셔블록주물 끼움홈 315:푸셔블록주물 스프링홈
320:푸셔블록주물 푸셔부 323:제3표시홈
330:제1표시홈 400:가공기계

Claims (7)

  1. 하면에 끼움홈과 스프링홈을 갖는 사각 형상의 몸체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푸셔부와, 푸셔부를 사이에 두고 끼움홈의 바닥면과 몸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나사공과, 끼움홈의 바닥면과 푸셔부의 상면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에어로와, 몸체의 상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이드핀으로 이루어진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푸셔블록의 몸체를 성형하기 위한 몸체성형홈을 갖는 하부몰드와, 상기 푸셔블록의 푸셔부를 성형하기 위한 푸셔부성형홈를 갖는 상부몰드를 제작하는 제1단계;
    하부몰드에 상부몰드를 푸셔부성형홈이 몸체성형홈과 연락하게 적치한 후 용융금속을 주입하여 상기 푸셔블록의 몸체로부터 푸셔부가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의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는 제2단계; 및
    푸셔블록주물을 상기 푸셔블록으로 가공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푸셔블록의 끼움홈을 성형하기 위한 끼움홈성형돌부가 몸체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1표시돌기가 끼움홈성형돌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1표시돌기가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나사공들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2표시돌기들이 끼움홈성형돌부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2표시돌기들이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나사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나사공들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하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상기 푸셔블록의 스프링홈을 성형하기 위한 홈성형돌부가 몸체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몸체로부터 상기 푸셔블록의 가이드핀이 일체로 돌출 형성되는 형태의 푸셔블록주물을 성형하기 위한 가이드핀성형홈이 푸셔부성형홈을 사이에 두고 요입 형성되게 제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단계에서 상부몰드는 제2단계에서 푸셔블록주물에 홈의 형태로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의 가공위치를 표시하기 위한 제3표시돌기가 푸셔부성형홈의 바닥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게 제작되고, 제3단계에서 제3표시돌기가 형성한 홈을 통해 푸셔블록주물에 구멍을 뚫어 상기 푸셔블록의 에어로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KR1020090007942A 2009-02-02 2009-02-02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KR1010026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42A KR101002627B1 (ko) 2009-02-02 2009-02-02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942A KR101002627B1 (ko) 2009-02-02 2009-02-02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26A KR20100088826A (ko) 2010-08-11
KR101002627B1 true KR101002627B1 (ko) 2010-12-21

Family

ID=42754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942A KR101002627B1 (ko) 2009-02-02 2009-02-02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6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9788B1 (ko) * 2017-12-27 2018-08-17 (주)에스아이엠텍 테스트핸들러의 커스텀트레이용 고정지그의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54B1 (ko) 2005-01-28 2007-05-0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0869364B1 (ko) 2007-03-21 2008-11-19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754B1 (ko) 2005-01-28 2007-05-07 가부시키가이샤 아드반테스트 전자부품 시험장치
KR100869364B1 (ko) 2007-03-21 2008-11-19 (주)테크윙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826A (ko) 201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81273B (zh) 金属件及金属件成型方法
KR101002627B1 (ko) 테스트핸들러의 매치플레이트용 푸셔블록의 제조방법
JP4839492B2 (ja) コネクタの製造方法
CN210907673U (zh) 用于成型汽车轮罩外板的后支撑板的冲压模组
JP3125295U (ja) 発光ダイオードのケーシングの金型構造
CN203649863U (zh) 一种空调风机调节器上散热器的装配模具
CN110524628B (zh) 集成电路封装切筋成型模
CN210939674U (zh) 一种冲切工装的共用模架
CN206997503U (zh) 汽车冲压模具定位装置
US2850924A (en) Method of making matched sets of punches and dies for stencil cutting machines
KR101879788B1 (ko) 테스트핸들러의 커스텀트레이용 고정지그의 제조방법
CN203091558U (zh) 一种冲压成型模
CN215396536U (zh) 一种散热快的组合模胚
CN207983804U (zh) 一种平板硫化机用硅胶壳模具定位装置
CN205674439U (zh) 具有模仁定位结构的高精度注塑模具
CN111993001B (zh) 引线框架模具及成型凸模加工方法
CN215548083U (zh) 一种链轮加工的扩张式定位装置
CN211165090U (zh) 一种带有行位压块的模具
CN217166134U (zh) 一种汽车油泵壳体制造模具
CN210293019U (zh) 一种磁力模板感应器位置快速检查工具
CN210590282U (zh) 用于成型pcb板封装外壳的模具组件
CN210758870U (zh) 双工位曲面产品注塑模具
CN212045548U (zh) 一种带有定位结构的模具
CN218080372U (zh) 一种模具固定安装结构
CN215279448U (zh) 冲切型材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