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596B1 -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596B1
KR101002596B1 KR1020080125231A KR20080125231A KR101002596B1 KR 101002596 B1 KR101002596 B1 KR 101002596B1 KR 1020080125231 A KR1020080125231 A KR 1020080125231A KR 20080125231 A KR20080125231 A KR 20080125231A KR 101002596 B1 KR101002596 B1 KR 101002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composition
meth
curable resin
weight
ep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25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6766A (ko
Inventor
김연수
유상현
한대만
김진수
이남희
백명기
김태진
성명석
송헌일
김지혜
여윤선
김동환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25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596B1/ko
Publication of KR2010006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5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59/00Polycondensate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C08G59/18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 C08G59/20Macromolecules obtained by polymerising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epoxy group per molecule using curing agents or catalysts which react with the epoxy groups ; e.g. general methods of curing characterised by the epoxy compounds used
    • C08G59/22Di-ep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3/00Compositions of epoxy resin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63/00Adhesives based on epoxy resins;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epoxy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65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2650/2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characterised by the initiator used in polymerisation
    • C08G2650/24Polymeric initiato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Epoxy Resin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조성물에 의한 접착제는 반응이 빠르며 굴절률이 높은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여 경화성이 개선되어 접착제 미경화에 의한 얼룩이 발생되지 않고 부착력이 우수하다. 또한 기재필름과 상기 수지 조성물의 굴절율이 유사하여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개선되며 박층 피착제 접착제, 특히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로의 적용에 유용하다.
Figure 112008085018565-pat00001
자외선 경화형 수지, 액정표시 소자,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Description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UV CURABLE RESIN COMPOSITION}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특징적 구조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져 경화속도 및 접착력이 우수하고, 접착제 용도에서 고굴절율에 해당하여 선명도 및 광투과도가 개선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소형의 휴대전화를 비롯하여 대화면의 표시 패널로서 경량, 고정세 화질의 특징을 갖는 액정표시 소자가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액정표시 패널의 액정 표시 셀을 밀봉하는 방법으로 2매의 ITO 유리기판을 액정 주입구 이외의 테두리 부분을 시일제로 시일 패턴을 형성하고 열경화시킨 후, 형성된 액정 주입구로 액정을 주입하고, 주입구 밀봉제로 액정 주입구를 밀봉하여 액정 표시 소자를 제조하는 방법이 일반적으로 적용된다.
그러나, 주입구 밀봉제를 사용하는 제조 방법은 액정을 주입하는 공정시간이 길고 열경화시에 150℃ 정도의 고온에서 가열하기 때문에 열변형에 의한 유기기판의 밀착성 저하, 위치 어긋남, 갭의 불균일 및 주입구 밀봉제에 의한 색 불균일 등의 문 제점이 있었다.
또한, 액정 표시 셀을 광경화만으로 경화시키는 광경화법은 경화 수축이 크고 접착강도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특히 패널 구조상 블랙 매트릭스에 의한 차광부에서의 미경화 문제점이 대두되어 실용화 되지 못하였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액정 표시 셀의 대형화 및 양산화를 위해 광경화 및 열경화 병용법이 검토 되었으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접착제가 대두었다. 그 일례로, 대형화와 공정 시간의 단축을 위해 사용되는 광경화 및 열경화를 병용한 시일제를 사용한 액정 적하 공법은 한쪽의 투명 기판에 시일제 패턴을 형성하고 내측에 액정을 적하하고, 다른 한쪽의 투명 기판을 겹쳐 밀봉하는 액정표시 셀의 제조방법이 있다.
그러나, 상기 액정 적하 공법에서는 액정과 미경화 상태의 시일제가 상호 접촉이 일어나므로 시일제의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되어 액정의 오염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종래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특징적 구조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수지 조성물에 의한 점착제를 액정표시 셀에 적용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해결되고 접착제의 경화성이 우수하여 경화속도 및 접착력이 개선되고, 액정 표시 셀과 접착제의 굴절률이 유사하여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개선됨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25 내지 80 중량% ;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 무기분말 5 내지 35중량%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5018565-pat00002
(단, l = 1~3 이고, m = 1~5 이고, n = 1~5 이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메타)아크릴산 30 내지 90중량부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으며, 이때, 제조되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점도는 700 내지 50,000cps이 바람직하다.
상기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는 에틸 퍼옥사이드 또는 벤질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무기분말은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실리카, 탈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바륨, 산화아연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특징적 구조의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얻어진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 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짐으로써, 특히 접착제 용도에서 반응이 빠르며 경화성이 개선되어 미경화된 접착제에 의한 얼룩이 발생되지 않고 접착력이 우수하며, 기재필름과 접착제의 굴절률이 유사하여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및 열 경화형 개시제를 동시에 함유하여 표면경화성 및 심부경화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되는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25 내지 80 중량%;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 무기분말 5 내지 35중량%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85018565-pat00003
(단,l = 1~3 이고, m = 1~5 이고, n = 1~5 이다)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에 의해 제조되는 것으로, 일반적인 에폭시 수지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및 노블락형 에폭시 수지로 구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화학식1로 표현되는 비스페놀 A형의 에폭시 수지를 특정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l은 1~3의 정수 이고, m은 1~5의 정수이고, n은 1~5의 정수 범위이다.
상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는 반응이 빠르고, 굴절율이 높은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여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로 적용시에 경화물의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개선될 수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상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100 중량부에 (메타)아크릴산 30 내지 90중량부의 반응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메타)아크릴산의 함량이 30중량부 미만이면 수지 조성물이 경화 후에 쉽게 부스러지며 황변(yellowing)이 발생하여 바람직하지 않고, (메타)아크릴산의 함량이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부착력 및 경화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는 전체 조성에 있어서 25 내지 80중량%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량이 25중량% 미만이면 경화수축이 발생하여 밀착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80중량% 초과하면 온도에 대한 안정성 저하 및 점도가 높아 바람직하지 않다.
이때, 상기 에폭시 아크릴레이트의 점도는 700~50,000cps인 것이 부착성이 우수한 면에서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 후 수축이 적고 기재에 대한 젖음성(wetting)이 양호하며, 수지 조성물이 기재를 팽윤(swelling) 시켜 상호 침투성 조직(interpenetrating network)이 잘 형성될수록 기재와의 부착력이 향상된다.
이에, 본 발명은 광중합 개시제로서 하기 화학식2로 표현될 수 있는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를 특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는 자외선 경화도가 우수하여 표면 경화성이 뛰어나며, 339~375nm의 장파장 자외선을 투과할 수 있음에 따라 개시효율이 증가되어 개시종 발생이 증가하게 되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전체적인 가교도가 증가하여 경화효율이 개선된다.
화학식 2
Figure 112008085018565-pat00004
(단, R은 탄소수 1~8의 알킬기)
상기 화학식 2로 표현되는 카바졸-페논 타입의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는 아데카 사의 옵토머 N(ADEKA사의 Optomer N) 시리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이를 사용함으로서 표면경화도 및 UV감도가 우수하여 최적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그 외에 사용할 수 있는 광중합 개시제로는 1-하이드록시사이클로헥실페닐케톤,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벤즈알데히드, 안트라퀴논, 3-메틸아세토페논, 4-클로로벤조페논, 4,4'-디메톡시벤조페논, 벤조인프로필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1-(4-이소프로필-페놀)-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티오잔톤, 벤조페논, 2,4,6-트리메틸베조일-디페닐포스핀 등이 있으며, 상업용으로 공급되는 제품으로 Irgacure184,651,500,819,907,1800(시바게이지사)등과 Darocure1116,1173(머크사), Lucirine LR8728(바스프사), Micure HP-8, TPO, CP-4, BK-6(미원상사) 등이 있으며 이들의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의 함량은 자외선에 대한 적절한 광활성을 고려하여 0.1~20중량%, 바람직하게는 1~10중량%가 사용될 수 있으며,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경화물의 경도가 저하되는 문제가 있고, 20중량%를 초과하면 경화물의 물리적 특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은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외에 열에 의해 라디칼을 형성하는 열 경화형 개시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광중합 개시제만을 사용했을 때 나타나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미흡한 심부경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자외선 경화기는 고압 수은 램프, 수은 램프, 메탈 할라이드 램프 중 하나가 사용되며, 상기와 같은 램프는 자외선 외에 소량의 적외선 파장을 내놓게 된다. 이 때 발생된 적외선 파장은 60℃~70℃의 온도에 해당하며, 상기의 온도 범위에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 개시제가 활성화 되어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의 표면경화성과 함께 심부경화성을 보완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열 경화형 개시제는 퍼옥사이드(peroxide)계로서 에틸 퍼옥사이드 또는 벤질 퍼옥사이드가 사용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기를 고려하였을 때 보다 저온에서 라디칼을 생성하는 에틸 퍼옥사이드가 바람직하다.
상기 열 경화형 개시제는 0.0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중량%가 사용될 수 있으며, 0.001중량% 미만이면 함유량이 충분하지 않아 효과가 미비하여 심부 경화에 문제가 나타나며, 10중량%를 초과하면 보관 안전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무기분말을 함유하며, 일반적인 무기분말은 열적 안정성, 전기 절연성 및 물리적 성질이 우수하여 코팅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가능한 많은 양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5중량%가 사용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무기분말의 일례로,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실리카, 탈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바륨, 산화아연, 벤토나이트 등이 있으며, 무기분말의 입자 형태 및 크기를 고려하여 하나 또는 2종 이상을 충분히 분산시켜 사용하며, 무기분말의 입자크기는 0.5㎛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점도조정 또는 도포후의 평활성 확보를 위 해 1종 또는 2종 이상 혼합의 유기 용제에 용해 또는 분산시켜 적용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에서 사용가능한 용매는 초산에틸, 초산부틸, 톨루엔, 크실렌,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아세톤, 메틸이소부틸케톤, 메틸에틸케톤, 시클로헥사논, 에틸셀로솔브 등과 같은 셀로솔브류,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등과 같은 프로필렌 글리콜 에테르류, 디아세톤 알코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이 적용될 수 있는 기재는 종래 광학용 필름의 기재로 사용되는 재질에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사용될 수 있으며, 그 일례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폴리에틸렌 필름, 폴리프로필렌필름, 셀로판, 디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필름, 아세틸셀룰로오스부틸레이트필름, 폴리염화비닐필름, 폴리염화비닐리덴필름, 폴리비닐알코올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공중합체필름, 폴리스티렌필름, 폴리카보네이트필름, 폴리메틸펜텐필름, 폴리설폰필름,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필름, 폴리에테르설폰필름, 폴리에테르이미드필름, 폴리이미드필름, 불소수지필름, 폴리아미드필름, 아크릴수지필름, 노르보르넨계 수지 필름, 시클로올레핀수지필름 등이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기재 상에 디스펜싱, 스크린 인쇄 방법, 스프레이, 커튼 및 롤러인쇄기를 적용한 방법으로 도포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스크린 인쇄 방법이 활용된다.
즉,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에폭시기로부터 라디칼 중합으로 경화가 이루어짐에 따라 경화성이 개선되어 고온 및 고습 조건 하에 있어서도 우수한 접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얻어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짐으로써, 경화속도 및 부착성이 개선되어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로의 활용이 우수하며 특히 액정 적하 공법에 적용시 접착제의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되어 액정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굴절율이 높은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여 경화물의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우수하여 광학용 기재 등의 박층 피착체의 접착에 유용하고, 특히 액정표시장치 후 공정에 있어서 조성물의 굴절율이 액정 모듈 및 최외각 상판과의 굴절율과 유사하여 액정표시 조사 제조용 접착제로 활용시 광학특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화학식 1(l = 2, m = 1, n = 1)의 비스페놀 A타입의 에폭시 수지 500g과 (메타)아크릴산 150g을 60℃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를 형성하고, 에탄올에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25중량%, 카바졸-페논타입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일본 ADEKA 사, N-1414) 10중량%, 에틸 퍼옥사이드 5중량%, 황산바 륨(SAKAI CHEMICAL 사, B-34)15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화학식 1(l = 2, m = 3, n = 3)의 비스페놀 A타입의 에폭시 수지 500g 과 (메타)아크릴산 150g 이 반응하여 형성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70중량%에 카바졸-페논타입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일본 ADEKA 사, N-1414) 10중량%, 에틸 퍼옥사이드 5중량%, 황산바륨(SAKAI CHEMICAL 사, B-34)15중량%를 혼합하여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ADEKA 사의 EP 4000S) 700g 과 (메타)아크릴산 210g이 반응하여 형성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70중량%,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MERCK 사, Darocur 1173) 10중량%, 에틸 퍼옥사이드 5중량%, 황산바륨(SAKAI CHEMICAL 사, B-34) 15중량%를 혼합하여 액정표시장치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Yuka Shell 사, Epikote 4003) 700g과 (메타)아크릴산210g이 반응하여 형성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70중량%,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MERCK 사, Darocur 1173) 10중량%, 에틸 퍼옥사이드 5중량%, 황산바륨(SAKAI CHEMICAL 사, B-34) 15중량%를 혼합하여 액정표시장치 접착제용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조성물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학식1의 에폭시 25 70
비스페놀A형 에폭시 70
비스페놀F형 에폭시 70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카바졸-페논계 10 10
Darocur 1173 10 10
열 개시제 에틸 퍼옥사이드 5 5 5 5
무기분말 황산바륨 15 15 15 15
<실험예>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조성물을 양면 프라이머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 TOYOBO, 두께 50㎛)필름 상에 바코터에 의해 10㎛의 두께로 도포하고, 자외선 램프의 광량 3J/㎠으로 2분간 조사하여 필름을 제작하여, 얻어진 필름의 성능평가결과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1. 투과율 측정
분광광도계(일본 무라카미 사, HM-150)를 이용하여 전광선투과율(Total Transmittance) 및 헤이즈(Haze)를 측정하였다.
2. 경화성 측정
자외선 경화 후 밀착력이 있고 끈적임이 없으면 "○", 밀착력이 나쁘고 약간의 끈적임이 발생하면 "△", 끈적임이 크게 발생하고 손톱으로 약하게 밀었을 때 조성물이 밀려나가면 "×"로 표기하여 구분하였다.
3. 밀착성 측정
크로스컷 테스트(Crosscut test)를 적용하여 기재에 대한 밀착력을 측정하였다.
4. 굴절률 측정
굴절계(아타고 사의 아베형 굴절계 NAR-4T)를 이용하여 기재에 대한 굴절률을 측정하였다.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필름 두께(㎛) PET(50㎛) PET(50㎛) PET(50㎛) PET(50㎛)
전광성 투과율(%) 92.9 93.3 92.1 91.9
헤이즈 0.2 0.1 0.2 0.2
경화성
밀착성 100/100 100/100 98/100 98/100
굴절률 1.54 1.55 1.51 1.50
상기 실험결과에 따라, 본 발명의 특정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적용한 실시예 1 내지 2는 경화성 및 밀착성이 우수하면서 굴절율이 높아 광투과율이 92.9% 보다 바람직하게는 93%이상으로 개선되었다.
본 발명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은 특징적 구조의 에폭시 수지와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얻어진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무기분말 및 잔량의 용매로 이루어짐으로써, 경화속도 및 부착성이 개선되어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로 활용하여 액정 적하 공법에 적용시 접착제의 성분이 액정으로 용출되어 액정을 오염시키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상기 에폭시 수지가 굴절률이 높은 방향족 작용기를 포함하여 접착제 경화시 선명도 및 광투과율이 우수하여 광학용 기재 등의 박층 피착체의 접착에 유용하고, 특히 액정표시장치 후 공정에 있어서 접착제의 굴절률이 액정 모듈 및 최외각 상판과의 굴절율과 유사하여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로서 유용하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기술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6)

  1. (A) 하기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및 (메타)아크릴산의 반응으로 제조된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 25 내지 80 중량% ;
    (B) 카바졸-페논계 라디칼 광중합 개시제 0.1 내지 20 중량%;
    (C)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 0.001 내지 10중량%;
    (D) 무기분말 5 내지 35중량%; 및
    (E) 잔량의 용매; 로 이루어진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85018565-pat00005
    (단,l = 1~3 이고, m = 1~5 이고, n = 1~5 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가 화학식 1의 에폭시 수지 100중량부에 (메타)아크릴산 30 내지 90 중량부의 반응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에폭시(메타)아크릴레이트의 점도가 700 내지 50,000cps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퍼옥사이드계 열 경화형 개시제가 에틸 퍼옥사이드 또는 벤질 퍼옥사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기분말이 황산바륨, 이산화티탄, 실리카, 탈크, 산화알루미늄, 탄산칼슘, 티탄바륨, 산화아연 및 벤토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6. 제 1항의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소자 제조용 접착제.
KR1020080125231A 2008-12-10 2008-12-10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002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31A KR101002596B1 (ko) 2008-12-10 2008-12-10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25231A KR101002596B1 (ko) 2008-12-10 2008-12-10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66A KR20100066766A (ko) 2010-06-18
KR101002596B1 true KR101002596B1 (ko) 2010-12-20

Family

ID=42365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25231A KR101002596B1 (ko) 2008-12-10 2008-12-10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5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5180B1 (ko) * 2019-04-10 2020-09-11 주식회사 케이씨씨 이중 경화 접착제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6766A (ko) 2010-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257087B (zh) 粘合剂组合物、偏光板和液晶显示器
KR101481211B1 (ko) 편광판용 접착제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903888B1 (ko) 광학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JP4920513B2 (ja) フィルム積層体及びその製造方法
TWI433822B (zh)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CN106661407A (zh) 可光固化的液态光学透明粘合剂组合物及其用途
CN103748487A (zh) 偏光板
CN103069307B (zh) 光学层叠体、偏振片和图像显示装置
KR20100055160A (ko) 하드코팅액, 이를 사용한 하드코팅 필름 및 화상표시장치
JP5847724B2 (ja) 接着剤
CN109423228A (zh) 粘着片、显示体及显示体的制造方法
CN106167680A (zh) 粘着片及显示体
JP2019044152A (ja) 粘着シートおよび表示体
KR101509855B1 (ko) 점착제 조성물
JP2020030342A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9112506A (ja) 光硬化性樹脂組成物、及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101002596B1 (ko) 자외선 경화형 수지 조성물
KR101716958B1 (ko)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101550756B1 (ko) 터치스크린 패널용 점착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점착 필름
TWI813770B (zh) 偏光薄膜之製造方法、附易接著層之偏光件、偏光薄膜、光學薄膜及影像顯示裝置
JP2009057504A (ja) ハードコートフィルム
KR20180036269A (ko) 하드코팅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하드코팅 필름
JP7445726B2 (ja) 感圧性粘着フィルム、及びこれを含む有機電子装置
JP2015223714A (ja) フレキシブル透明基板
WO2023042793A1 (ja) インクジェット用光硬化性組成物、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