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2137B1 -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2137B1
KR101002137B1 KR1020040059198A KR20040059198A KR101002137B1 KR 101002137 B1 KR101002137 B1 KR 101002137B1 KR 1020040059198 A KR1020040059198 A KR 1020040059198A KR 20040059198 A KR20040059198 A KR 20040059198A KR 101002137 B1 KR101002137 B1 KR 101002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oks
customer
order
information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591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0478A (ko
Inventor
김덕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591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2137B1/ko
Publication of KR200600104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04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2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2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터넷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되는 서적들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류, 발송등의 물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입고와 출고가 분리된 기존 물류처리방식의 단점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이동을 최소화할 뿐아니라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해도 이미 반입된 책을 부분적으로 처리할수 있도록 구성된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도서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수신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재고 확보 목적으로 주문된 서적을 보관하는 관리 재고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 고객 그룹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된 서적을 보관하는 출고 대기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면 출고대기서가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출고지시서를 출력하는 물류관리컴퓨터로 구성되어, 고객의 책이 주문의 완성과 관계없이 출고대기서가로 모두 이동되므로 처리시간이 단축되며, 주문완성시에는 해당주문에 속한 모든 책들이 출고대기서가에 있으므로 동선이 매우 짧게 되며, 고객의 주문을 받은 책과 재고로 가지고 있는 책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관리재고를 베스트셀러등으로 유지하는 경우 책 재고가 크게 감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바코드, 출고 대기 서가, 관리 재고 서가

Description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LOGISTICS SYSTEM IN THE INTERNET BOOKSTOR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에 의해 물류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
본 발명은 인터넷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문되는 서적들에 대한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인 분류, 발송등의 물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인터넷 서점은 다른 인터넷 쇼핑몰과 비교할 때 한가지 뚜렷한 특징이 존재한다. 일반적인 인터넷 쇼핑몰에서는 소비자가 한가지 제품을 주문하는 경우가 많은데 비하여 인터넷 서점에서는 서로 다른 종류의 책을 여러 가지 주문하는 경우가 매우 많다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 서점의 배송비 정책에 기인하는 바가 많다. 구매 금액이 일정액 이상이면 배송비를 면제해주는데 배송비 면제선이 대부분 책을 3-4권 사야 가능하기 때문이다.
기존 인터넷 서점의 물류 처리는 서적 입고와 출고를 대부분 완전히 분리하고 있으며 출고는 고객의 주문에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서가는 출판사별이나 서적 이름별로 분리하여 비치하는 것이 보통인데 위에서 언급한 구매특성은 이와 같은 기존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에 몇가지 문제점을 만든다.
첫 번째는 고객의 주문을 처리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서너종류의 책을 서가에서 뽑아내야 하므로 주문별로 책을 뽑아내는 작업이 사실상 물류 창고 전체를 대상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작업자의 동선이 길어지는 것은 물론이고 주문이 과도하게 증가하게 되면 작업량도 선형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단점이 있다.
둘째로는 주문된 책중에서 아직 창고로 반입이 안된 책이 있는 경우 고객의 주문은 완성되지 않았기 때문에 이미 반입된 책에 대해서도 처리가 지연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위에서 언급한 입고와 출고가 분리된 기존 물류처리방식의 단점을 해소하고, 작업자의 이동을 최소화할 뿐아니라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지 않았다고 해도 이미 반입된 책을 부분적으로 처리할수 있도록 구성된 물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서가를 출판사별이나 서적이름별로 구분하는 관리재고서가와 고객의 주소지에 따라 구분되는 출고대기서가로 나누어지는 이중서 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서적의 입고시에 입고된 서적이 고객의 주문에 따라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출고대기서가로 보낼것으로 작업자에게 지시하고, 그렇지 않고 재고확보목적으로 발주된 것일때는 관리재고서가로 보낼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입고된 서적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고객의 주문과 비교하여 주문이 완성된 고객의 주문에 대해서 자동으로 영수증과 출고지시서를 출고대기서가별로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출고지시서에 출고대기서가의 이름과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도서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수신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재고 확보 목적으로 주문된 서적을 보관하는 관리 재고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 고객 그룹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된 서적을 보관하는 출고 대기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면 출고대기서가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출고지시서를 출력하는 물류관리컴퓨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가 도서 카테고리 필드, 도서별 위치 정보 필드, 도서별 수량 정보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가 고객 그룹 정보 필드, 고객 정보 필드, 도서명 필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객 그룹 정보가 고객의 주소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고객 그룹 정보가 고객의 구매 빈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의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출고지시서가 영수증을 겸할수 있도록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존의 물류처리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특징이 있다.
즉, 하나의 서가만을 사용하며, 입고자는 서적이 반입되면 입고 처리만을 담당하여 단일 서가를 통합 재고 형식으로 운용하고, 출고자는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면 시스템이 자동으로 출력하는 출고지시서를 가지고 전체서가를 뒤져서 고객이 주문한 책들을 찾아온다. 이때 출고지시서에는 각각의 책이 위치한 서가정보가 표시된다. 다으므로, 찾아온 책들은 포장대로 이동되어 포장되고 각각의 주소지로 배송되는 방식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서가를 출판사별이나 서적이름별로 구분하는 관리재고서가와 고객의 주소지에 따라 구분되는 출고대기서가로 나누어지는 이중서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출고대기서가가 고객의 월평균 주문횟수에 따라 구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서적의 입고시에 입고된 서적이 고객의 주문에 따라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출고대기서가로 보낼것으로 작업자에게 지시하고, 그렇지 않고 재고확보목적으로 발주된 것일때는 관리재고서가로 보낼 것을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관리재고서가의 책들중 고객의 주문이 있어 새롭게 입고처리할 관리재고출고지시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입고된 서적들을 자동으로 검색하여 고객의 주문과 비교하여 주문이 완성된 고객의 주문에 대해서 자동으로 영수증과 고객주문 출고지시서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시스템은 출고지시서에 출고대기서가의 이름과 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서 반입부(101), 관리재고 데이터베이스(102), 출고대기 데이터베이스(103), 웹 서버(104), 물류 관리 컴퓨터(105), 포장부(106), 및 배송부(107)을 도시하고 있다.
반입부(101)는 반입되는 서적에 따라 고객의 주문에 따라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출고 대기 서가(103')로 보낼 것으로 지시하고, 재고확보 목적으로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관리재고 서가(102')로 보낼 것으로 지시한다.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102) 및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103)는 각각 관리 재고 서가(102') 및 출고대기 서가(103')에 도달한 서적에 대해 각각 업데이트를 한다. 여기서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102)와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103)의 구조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웹 서버(104)는 온라인 상에서 고객들에게 도서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수신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한다.
물류 관리 컴퓨터(105)는 출고 대기 서가에서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는 자동으로 출고대기서가별로 완성된 고객의 주문 내역을 담을 출고 지시서를 출력한다. 이 출고 지시서는 영수증으로 대용이 가능하다.
포장부(106)는 완성된 각각의 고객의 주문 서적들을 배송할 수 있도록 포장, 라벨링한다.
배송부(107)는 포장된 주문 상품을 전문 배송 업체 등을 통해 각각의 고객으로 배송하는 역할을 한다.
도 2의 블럭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는 도서 카테고리 필드, 도서명 필드, 도서 위치 정보 필드 및 도서별 수량 정보 필드를 포 함한다.
도 3의 블럭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그룹 필드, 고객 정보 필드, 주문 도서명 필드, 도서 위치 정보 필드 및 도서별 수량 정보 필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것처럼, 도 1에서의 반입부(101)에서 반입되는 서적에 따라 재고확보 목적으로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관리재고 서가(102')로 보내지는데, 이때 반입되는 서적이 미리 지정된 도서 카테고리 중 하나로 분류되며 이에 따른 도서 위치 정보가 지정된다. 관리재고 데이터베이스(102)에 존재하는 도서의 경우에는 도서 수량 정보 필드만이 업데이트되고, 존재하지 않는 도서의 경우에는 도서명 필드도 업데이트된다. 도서 위치 정보 필드의 경우에는 도서 카테고리 필드와 도서명 필드에 따라 임의의 방식으로 자동으로 위치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것처럼, 도 1에서의 반입부(101)에서 반입되는 서적에 따라 고객의 주문에 따라 발주된 서적인 경우에는 출고 대기 서가(103')로 보내지는데, 이때 반입되는 서적은 고객 그룹 필드에 따라 분류되며 이에 따른 도서 위치 정보가 지정된다.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103)에 존재하는 도서의 경우에는 도서 수량 정보 필드만이 업데이트되고, 존재하지 않는 도서의 경우에는 도서명 필드도 업데이트된다. 도서 위치 정보 필드의 경우에는 고객 그룹 필드와 도서명 필드에 따라 임의의 방식으로 자동으로 위치 지정될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에 의해 물류처리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구성도를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도서가 반입되는 단계 (401), 반입 도서가 관리 재고인지 출고 대기인지 판단하는 단계(402), 반입되는 서적이 관리 재고의 경우 관리 재고 서가(102')로 보내지고 분류하며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102)를 업데이트하는 단계(403), 관리 재고 서가(102')내에서 주문된 서적을 뽑아 출고 대기 서가로 보내는 단계(403'), 반입되는 서적이 출고 대기에 해당하는 서적인 경우 출고 대기 서가(103')로 보내지고 분류하며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103)를 업데이트하는 단계(404), 각 주문자별로 주문 서적이 완성된지를 판단하는 단계(405) - 완성된 경우 웹 서버로 분류 완성을 통지 - , 완성된 사용자별 주문 서적을 포장부로 이송하는 단계(406), 발송하는 단계(407) - 웹 서버로 발송 통지 - 로 구성된다.
여기서, 물류 관리 컴퓨터(105)에서는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면 자동으로 출고대기서가별로 완성된 고객의 주문내역을 담은 출고지시서를 출력하며, 이는 영수증으로 대용가능하다.
다음으로는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물류처리시스템의 흐름을 구체적인 예를 들어 설명한다.
즉, 하루 2000명의 고객이 각자 3권을 책을 주문하는 경우,
종래의 방법에 따르면 6000권의 책을 입고하여 서가에 정리하고, 주문에 따라 6000번 책을 수집하여 6000번 분류하고, 이를 각각 포장하여 발송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당일 반입되는 서적중 1000권이 당일 주문된 책일 경우 바로 출고 대기 서가로 수집되며, 나머지 5000권은 관리 재고 서가에서 수집 된다. 그러므로, 표 1에서와 같이 1000권에 대해서는 입고와 수집이 동시에 이뤄지는 결과가 됨을 알 수 있다.
Figure 112004033686150-pat00001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출고 대기서가는 고객의 주소지 정보나 고객의 구매 빈도를 고객 그룹 정보 필드로 이용하여 효율적인 분류가 가능하다. 즉, 주소지 별로 그룹화한 출고 대기서가에서는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내에 고객 그룹의 서적들이 1차 분류되고, 이를 기준으로 최종 분류하게 되므로 분류를 위한 직원의 동선을 줄이게 되어 결과적으로 분류 시간을 줄이게 되는 것이다. 고객 그룹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는 꾸준히 고객의 주문 정보를 모니터링하여 상술한 것처럼 주소지 별로 하는 것보다 주문 빈도로 고객 그룹을 나눌 필요가 있다면 고객 그룹 필드를 주문 빈도 기준으로 나눌 수도 있다.
이러한 출고 대기서가를 별도로 두는 본 발명의 경우, 입고시 당일 주문 서적을 우선적으로 출고 대기서가를 보내게 되면 단순히 입고, 수집에 드는 단계수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고가 부족할 경우 부득이 입고시까지 수집을 하지 못 하게 되는 종래의 방법과는 다르게 재고분에 대해 우선적으로 수집할 수 있게 되어, 전체 수집, 분류 시간을 줄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고객의 책이 주문의 완성과 관계없이 출고대기서가로 모두 이동되므로 처리시간이 단축되며, 주문완성시에는 해당주문에 속한 모든 책들이 출고대기서가에 있으므로 동선이 매우 짧게 되며, 고객의 주문을 받은 책과 재고로 가지고 있는 책이 명확하게 구분되고, 관리재고를 베스트셀러등으로 유지하는 경우 책 재고가 크게 감소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도서들의 정보를 제공하고, 주문을 수신하기 위한 웹 페이지를 제공하는 웹 서버;
    재고 확보 목적으로 주문된 서적을 보관하는 관리 재고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
    고객 그룹 정보를 바탕으로 분류된 서적을 보관하는 출고 대기 서가의 정보를 저장하는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 및
    고객의 주문이 완성되면 출고대기서가의 정보를 함께 표시하여 출고지시서를 출력하는 물류관리컴퓨터로 된 시스템으로서,
    상기 관리 재고 데이터베이스는 도서 카테고리 필드, 도서명 필드, 도서 위치 정보 필드 및 도서별 수량 정보 필드를 포함하고,
    상기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는 고객 그룹 정보 필드, 고객 정보 필드, 주문 도서명 필드, 도서 위치 정보 필드 및 도서별 수량 정보 필드를 포함하며,
    입고된 서적이 고객의 주문에 따라 발주된 서적인 경우, 고객 그룹 정보에 따라 분류되고 서적 위치 정보가 지정되어 출고 대기 데이터베이스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그룹 정보가 고객의 주소지 정보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객 그룹 정보가 고객의 구매 빈도인 것을 특징으로하는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고지시서가 영수증을 겸할수 있도록 출력되는 인터넷서점의 물류처리시스템.
KR1020040059198A 2004-07-28 2004-07-28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KR101002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198A KR101002137B1 (ko) 2004-07-28 2004-07-28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59198A KR101002137B1 (ko) 2004-07-28 2004-07-28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78A KR20060010478A (ko) 2006-02-02
KR101002137B1 true KR101002137B1 (ko) 2010-12-17

Family

ID=371207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59198A KR101002137B1 (ko) 2004-07-28 2004-07-28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213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435A (ja) 2001-09-13 2003-03-19 Fuji Xerox Ryutsu Kk 納入代行支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81435A (ja) 2001-09-13 2003-03-19 Fuji Xerox Ryutsu Kk 納入代行支援処理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0478A (ko) 2006-0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3690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the local return of remotely purchased products
US7885865B2 (en) System and method for mapping of planograms
JPH09265492A (ja) 家計管理支援システム
JP2006236014A (ja) 買い物リストを利用した買い物支援システム
CN115699048A (zh) 用于将给单个顾客的拆分递送自动合并的系统和方法
CN101236621A (zh) 对帐系统及方法
JP7153380B1 (ja) トレーサビリティ管理システム
KR101477662B1 (ko) 인터넷 쇼핑몰 관리 시스템에서의 주문상품 정보의 정렬방법
JP2002167047A (ja) ネットワークを用いた在庫管理方法及びその在庫管理システム
US20230245061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arranging merchandise at shelving locations
JP4855326B2 (ja) コ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コード管理方法
JP2000305989A (ja) 書籍販売システム
KR101002137B1 (ko) 인터넷 서점에서의 물류처리시스템
JP7258058B2 (ja) 保証配送時間の選択を表示および決定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化された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532615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상품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JP6081180B2 (ja) 自動発注システムおよび自動発注方法
JP2004206657A (ja) 直売所システム
JP5108360B2 (ja) コード管理システム、及びコード管理方法
JP4480511B2 (ja) トレーサビリティ情報取得システム
JP2001243286A (ja) 販売管理システム
JP6565026B1 (ja) 出品および納品を一括的に支援する方法、支援プログラムおよび支援システム
CN110738438A (zh) 一种双平台同步的零售管理装置
JP2004168433A (ja) 商品受注販売システム、商品受注販売方法、プログラム
JPWO2002027586A1 (ja) フランチャイズ方式による宅配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7392516A (zh) 一种图书配货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