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694B1 -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 Google Patents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694B1
KR101001694B1 KR1020100059987A KR20100059987A KR101001694B1 KR 101001694 B1 KR101001694 B1 KR 101001694B1 KR 1020100059987 A KR1020100059987 A KR 1020100059987A KR 20100059987 A KR20100059987 A KR 20100059987A KR 101001694 B1 KR101001694 B1 KR 1010016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laying
piece
slip
packag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59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은창
Original Assignee
강대군
강은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대군, 강은창 filed Critical 강대군
Priority to KR10201000599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6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6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6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2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consolidating or finishing laid-down unset materials
    • E01C19/44Hand-actuated tools other than rollers, tampers, or vibrators, specially adapted for imparting a required finish to freshly-laid paving cours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1/00Details of pavings
    • E01C11/24Methods or arrangements for preventing slipperiness or protecting against influences of the wea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2Devices for making, treating or filling grooves or like channels in not-yet-hardened paving, e.g. for joints or markings; Removable forms therefor; Devices for introducing inserts or removable insert-supports in not-yet-hardened pav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23/00Auxiliary devices or arrangements for constructing, repairing, reconditioning, or taking-up road or like surfaces
    • E01C23/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 E01C23/08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 E01C23/082Devices or arrangements for working the finished surface; Devices for repairing or reconditioning the surface of damaged paving; Recycling in place or on the road for roughening or patterning; for removing the surface down to a predetermined depth high spots or material bonded to the surface, e.g. markings; for maintaining earth roads, clay courts or like surfaces by means of surface working tools, e.g. scarifiers, levelling blades using non-powered to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Road Pav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포장재 포설용 장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후면수직포설편의 수직부 하단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 포설돌기에 의해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시 결합제 내부에 들어 있는 골재와 결합제가 일정하게 분산되어 요철형태로 표면에 돌출되게 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 표면이 차량통과시 마찰력(미끄럼저항성)이 높아져 눈이나 비 또는 눈 등이 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포설)시 시공되는 두께가 균일하고, 3개의 수직포설편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높이며, 포설돌기의 전후운동으로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포함된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어 접착강도 및 도막강도가 높아지고 들뜸현상 및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시공성이 우수한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Non-slip pavement agent apparatus}
본 발명은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도로 등에 포설시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골재가 균일하게 돌출되어 표면이 요철형태로 일정하게 드러나도록 하고,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균일한 요철 형태가 형성되도록 하여 마찰계수를 높이고, 미끄럼방지 포장재 내부에 들어 있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함으로써 접착 강도와 도막 강도를 높이고, 도막층 및 들뜸 현상이나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없애주도록 구성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 등의 미끄럼방지 포장재 시공방법은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유리창 청소용 고무 밀대, 플라스틱 빗자루, 스프레이 및 롤러 등을 사용하여 시공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시공방법을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미끄럼방지 포장재 즉, 결합제(접착제)인 MMA수지, 에폭시, 우레탄수지 등을 작업통에 넣은 다음, 미끄럼방지골재(1-5mm입도 크기)를 적정비율로 넣고, 핸들믹서기로 충분하게 교반 후 도로 노면 등의 작업구간에 붓고 규정된 두께로 포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골재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는 고무 밀대로 일정한 두께로 요철이 발생하도록 하거나, 플라스틱 빗자루를 사용하여 요철무늬가 형성되도록 도포하거나, 롤러를 사용하여 미끄럼방지골재가 요철형태로 결합제 위에 드러나도록 시공을 하거나, 스프레이를 사용하여 엠보싱 형태로 요철이 발생하도록 시공하였다.
그러나, 이와 같은 시공방법들은 여러 가지 작업공정을 거치므로 작업시간이 많이 걸리고, 결합제(접착제) 속에 배합되어 있는 미끄럼방지골재가 결합제 표면에 골고루 돌출되지 않아 미끄럼 방지층 표면이 요철형태로 일정하게 드러나지 않고, 골재가 한군데로 몰려있어 표면이 어떤 곳은 요철형태가 없이 미끄럽고, 어떤 곳은 요철형태가 이루어져 있어 차량통과시 적절한 마찰계수(BPN)를 얻을 수 없고, 미끄럼저항이 낮아 미끄럼방지기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 되었다. 또한, 미끄럼방지층 속에 포함되어 있는 기포를 완전히 제거할 수 없어, 도막층에 기포발생으로 인하여 접착 및 도막강도가 약하고, 이로 인해 도막층 들뜸이나 박리현상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도로 등에 포설시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골재가 균일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차량 통과시 마찰계수가 높아져 미끄럼 저항을 높이도록 구성한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은 체결수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포설하기 위한 포장재 포설부재; 및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의 상부에 경사지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포장재 포설부재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수직포설편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과 대응되게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포설편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과 후면수직포설편의 수직부 하단에 상호 엇갈리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후면포설돌기로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체결수단으로써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포설하기 위한 포장재 포설부재; 및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의 상부에 경사지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손잡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포장재 포설부재는 수평부와 수직부로 절곡 형성된 전면수직포설편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과 대응되게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중앙수직포설편과; 상기 중앙수직밀착편과 동일하게 수평부와 수직부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포설편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과 중앙수직포설편 및 후면수직포설편의 수직부 하단에 상호 엇갈리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면포설돌기, 중앙포설돌기 및 후면포설돌기로 구성된다.
본 발명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에 따르면, 전,후면수직포설편의 수직부 하단에 상호 어긋나게 형성된 포설돌기에 의해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시 결합제 내부에 들어 있는 골재와 결합제가 일정하게 분산되어 요철형태로 표면에 돌출되게 함으로써 미끄럼 방지층 표면이 차량통과시 마찰력(미끄럼저항성)이 높아져 눈이나 비 또는 눈 등이 올 때 미끄러지지 않도록 하였으며, 또한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시공(포설)시 시공되는 두께가 균일하고, 3개의 수직포설편을 사용할 수 있어 작업속도를 높이며, 포설돌기의 전후운동으로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포함된 기포가 완전히 제거되어 접착강도 및 도막강도가 높아지고 들뜸현상 및 박리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시공성이 우수한 것이다.
또한, 3개로 이루어진 수직포설편 하부의 포설돌기의 간격을 상호 다르게 구성하여 이 사이를 통하여 미끄럼방지 포장재(결합제+골재)가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혼합 분산이 이루어져 표면에 균일한 돌출면을 형성하여 마찰계수를 높이는 효과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요부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6a,6b,6c는 도 5의 요부 정면도.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8a,8b,8c는 도 7의 요부 정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는 체결수단(30)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포설하기 위한 포장재 포설부재(10)와; 포장재 포설부재(10)의 상부에 경사지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손잡이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10)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수평부(11)와 수직부(12)로 이루어진 전면수직포설편(13)과; 전면수직포설편(13)과 대응되게 수평부(11)와 수직부(12)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포설편(14)과; 전면수직포설편(13)과 후면수직포설편(14)의 수직부(12) 하단에 상호 엇갈리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후면포설돌기(20)(21)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후면포설돌기(20)(21)는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직부(12) 하단에 상호 엇갈리기 형성되고, 그 간격이 2.5~3.0cm를 유지하여 동일하게 형성되고, 그 높이가 3~5mm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30)은 포장재 포설부재(10)를 구성하는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평부(11) 양단과 중앙 영역에 형성된 나사체결공(32)과;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평부(11) 양단과 중앙 영역에 밀착되고, 나사체결공(32)과 대응되게 통공(41)이 형성된 좌,우측브라켓(40)(42) 및 중앙브라켓(44)과; 통공(41)과 나사체결공(32)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46)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재(50)는 중앙브라켓(44) 상부에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끼움구(52)와; 고정끼움구(52)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된 파지봉(54)과; 파지봉(54)의 상부 영역에 삽입되고,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56)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지부(56)는 장비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림공(56a)이 관통 형성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포장재 포설용 장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a,6b,6c는 도 5의 요부 정면도로서, 이는 도 1 내지 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끄럼 방지포장재 포설용 장비는 체결수단(80)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포설하기 위한 포장재 포설부재(60)와; 포장재 포설부재(60)의 상부에 경사지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손잡이부재(90)로 이루어진다.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60)는 "「" 형상으로 절곡 형성되고,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진 전면수직포설편(63)과; 전면수직포설편(63)과 대응되게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진 중앙수직포설편(64)과; 중앙수직밀착편(64)과 동일하게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포설편(65)과; 전면수직포설편(63)과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상호 엇갈리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미끄럼 방지포장재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로 이루어진다.
이때,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는 전면수직포설편(63)과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상호 엇갈리기 형성되고, 그 간격이 2.5~3.0cm를 유지하여 동일하게 형성되고, 높이가 3~5mm를 유지하게 된다.
즉, 전면포설돌기(70)와 중앙포설돌기(71)는 그 간격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고, 전면포설돌기(70)와 후면포설돌기(72)는 동일하게 유지하게 된다.
상기 체결수단(80)은 포장재 포설부재(60)를 구성하는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평부(61) 양단과 중앙 영역에 형성된 나사체결공(81)과;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평부(61) 양단과 중앙 영역에 밀착되고, 나사체결공(81)과 대응되게 통공(82)이 형성된 좌측브라켓(83), 중앙브라켓(84) 및 우측브라켓(85)과; 통공(82)과 나사체결공(81)을 통하여 체결 고정되는 체결볼트(86)로 이루어진다.
상기 손잡이부재(90)는 중앙브라켓(84) 상부에 경사지게 고정된 고정끼움구(92)와; 고정끼움구(92) 내부에 분리 가능하게 나사 체결된 파지봉(94)과; 파지봉(94)의 상부 영역에 삽입되고, 외주연에 돌기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파지하기 위한 파지부(96)로 이루어진다.
이때, 파지부(96)에는 장비를 걸어 보관할 수 있도록 걸림공(96a)이 관통 형성된다.
도 7은 도 5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a,8b,8c는 도 7의 요부 정면도로서, 이는 도 5 및 도 6의 구성요소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고, 포장재 포설부재(60)를 구성하는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형성된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의 간격을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즉,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의 간격을 각각 다르게 구성하여 미끄럼방지 포장재의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 골재의 혼합이 용이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한 사용상태를 설명하면, 먼저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골재가 혼합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도로 등에 포설하기 위해서는 지하주차장, 도로의 커버 구간, 경사진 면, 인터체인지 램프 등에 적정량의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붓은 다음,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이루어진 장비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돌출되어 표면이 요철형태로 일정하게 드러나도록 하고,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되어 균일한 요철 형태와 균일한 두께가 유지되도록 포설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작업자가 장비의 손잡이부재(50)를 구성하는 파지부(56)를 파지한 다음, 미끄럼방지 포장재(결합제+골재)에 장비를 구성하는 포장재 포설부재(10)를 올려놓은 다음, 이를 전후방향으로 적절하게 밀거나 당기면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구성하는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 골재를 혼합시키면서 포설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포장재 포설부재(10)를 구성하는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직부(12) 하단에 상호 엇갈리게 형성된 전,후면포설돌기(20)(21)에 의해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구성하는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됨과 동시에 외부로 골재가 균일하게 돌출되어, 균일한 두께의 시공이 이루어져 마찰계수를 높이게 된다.
이러한 전,후면포설돌기(20)(21)는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직부(12) 하단에 상호 엇갈리기 형성되어 있고, 간격이 2.5~3.0cm가 유지되며, 높이가 3~5mm로 형성되어 이 사이로 미끄럼방지 포장재 내부에 포함된 기포가 외부로 신속하게 빠져나가게 되어 접착 강도와 도막 강도를 높이고, 도막층 및 들뜸현상이나 박리현상을 근원적으로 없애주게 된다.
한편, 이러한 포장재 포설부재(10)는 체결수단(30)을 구성하는 체결볼트(46)의 체결력을 해제시켜 좌,우측브라켓(40)(42) 및 중앙브라켓(44)을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도 1 내지 도 4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동작상태를 설명하면, 체결수단(80)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고,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로 이루어진 포장재 포설부재(60)의 수직부(62) 하단에 어긋나게 형성된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에 의해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구성하는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 골재가 균일하게 혼합됨과 동시에 외부로 골재가 균일하게 돌출되어, 빠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으며, 마찰계수를 높이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전,후면포설돌기(20)(21)는 전,후면수직포설편(13)(14)의 수직부(12) 하단에 상호 엇갈리기 형성되어 있고, 간격이 2.5~3.0cm가 유지되며, 높이가 3~5mm로 형성되어 이 사이로 미끄럼방지 포장재에 포함된 기포가 외부로 빠져나가게 된다.
또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내용은 포장재 포설부재(60)를 구성하는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형성된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의 간격을 다르게 구성한 것이다. 이에 대한 동작상태를 살펴보면,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의 간격이 다르게 이루어져 장비를 전후방으로 밀거나 당기면서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구성하는 결합제(접착제)와 미끄럼방지 골재가 3개로 이루어지고, 간격이 다르게 구성된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에 순차적으로 걸리게 되면서 효과적인 혼합이 이루어져 표면에 균일한 돌출면을 형성하여 마찰계수를 높이게 된다.
10,60 : 포장재 포설부재 11,61 : 수평부
12,62 : 수직부 13,63 : 전면수직포설편
14,65 : 후면수직포설편 20,21 : 전,후면포설돌기
30,80 : 체결수단 32 : 나사체결공
41 : 통공 40,42 : 좌,우측브라켓
44 : 중앙브라켓 46 : 체결볼트
50 : 손잡이부재 64 : 중앙수직밀착편
70,72 : 전,후면포설돌기 71 : 중앙포설돌기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체결수단(80)으로 분리 가능하게 조립되어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균일하게 포설하기 위한 포장재 포설부재(60); 및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60)의 상부에 경사지고,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 손잡이부재(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포장재 포설부재(60)는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절곡 형성된 전면수직포설편(63)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63)과 대응되게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진 중앙수직포설편(64)과;
    상기 중앙수직밀착편(64)과 동일하게 수평부(61)와 수직부(62)로 이루어진 후면수직포설편(65)과;
    상기 전면수직포설편(63),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상호 엇갈리고, 등간격을 유지하여 형성되어 미끄럼방지 포장재를 균일하게 혼합시키기 위한 다수의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면포설돌기(70), 중앙포설돌기(71) 및 후면포설돌기(72)는
    전면수직포설편(63)과 중앙수직포설편(64) 및 후면수직포설편(65)의 수직부(62) 하단에 간격이 2.5~3.0cm를 유지하고, 높이가 3~5mm를 유지하여 형성되며,
    상기 전면포설돌기(70)와 중앙포설돌기(71)는 그 간격이 상호 어긋나게 형성되고, 상기 전면포설돌기(70)와 후면포설돌기(72)는 간격이 동일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포장재 포설용 장비.
KR1020100059987A 2010-06-24 2010-06-24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KR1010016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87A KR101001694B1 (ko) 2010-06-24 2010-06-24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59987A KR101001694B1 (ko) 2010-06-24 2010-06-24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1694B1 true KR101001694B1 (ko) 2010-12-15

Family

ID=435129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59987A KR101001694B1 (ko) 2010-06-24 2010-06-24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69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6223U (ko) * 1974-03-06 1975-09-22
WO2006136627A1 (es) 2005-06-20 2006-12-28 Llorens Selles Jose Procedimiento y dispositivos para la colocación de baldosas
JP2007092376A (ja) 2005-09-28 2007-04-12 Tomosada Kenki:Kk 長柄用具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16223U (ko) * 1974-03-06 1975-09-22
WO2006136627A1 (es) 2005-06-20 2006-12-28 Llorens Selles Jose Procedimiento y dispositivos para la colocación de baldosas
JP2007092376A (ja) 2005-09-28 2007-04-12 Tomosada Kenki:Kk 長柄用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20073A (en) Pavement marking material and method of pavement marking
CA2066089A1 (en) Levelled Cement Spreader
KR102189689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KR101001694B1 (ko) 미끄럼방지 포장재 포설용 장비
CA2450534A1 (en) Flat paint pad apparatus
KR20140069690A (ko) 도막형 바닥재 도포용 롤러
MXPA05005201A (es) Esparciador para material de recubrimiento de pisos.
US20080011428A1 (en) Adhesive trowel
CA2982323C (en) Finisher box with blade assembly
US20070266937A1 (en) Device for Spreading Adhesive
AU752050B2 (en) Tackifying treatment for floor mats
KR101919935B1 (ko) 부착식 미끄럼방지용 바닥포장재 및 그의 제조방법
GB2467119A (en) Tile Spacer Punch Device
JP2852343B2 (ja) 舗道等の表面処理装置
JP3071565U (ja) マット
JP5770231B2 (ja) 路面塗装施工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路面塗装施工装置用骨材散布装置
US2859462A (en) Paste spreading machine
CN215803352U (zh) 一种砌筑砂浆布料工具
KR102165634B1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포설장비
CN211923412U (zh) 一种墙体拉毛工具
KR20220055660A (ko) 노면 미끄럼 방지 페인트 분사장비
KR102175677B1 (ko) 페인트용 이중 나이프 흙손
JP3463901B2 (ja) 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品の滑り止め加工方法及び該方法により滑り止め加工された繊維強化プラスチック製品
KR100462847B1 (ko) 바닥 미끄럼방지재 및 그 시공방법
CN206887672U (zh) 一种防止表面颗粒掉落的路面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