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1323B1 -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 Google Patents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1323B1
KR101001323B1 KR1020080047888A KR20080047888A KR101001323B1 KR 101001323 B1 KR101001323 B1 KR 101001323B1 KR 1020080047888 A KR1020080047888 A KR 1020080047888A KR 20080047888 A KR20080047888 A KR 20080047888A KR 101001323 B1 KR101001323 B1 KR 10100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ne bed
temperature
switch
lamp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7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1806A (ko
Inventor
최주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장수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장수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장수산업
Priority to KR1020080047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1323B1/ko
Publication of KR20090121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1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132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or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natural stone or artificial ston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3/00Control of temperature
    • G05D23/19Control of temperature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1/00Details of electric heating devices
    • H05B1/02Automatic switch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to apparatus ; Control of heating devices
    • H05B1/0202Switch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으로서,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틸팅(tilting)시킬 수 있고, 돌침대에서 떨어진 원격지(예컨대, 거실 탁자나 테이블 등)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고 돌침대에 탈착 가능하며, 터치패드 형태의 조그 스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돌침대의 각종 작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는 돌침대에 탈착 가능하고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틸팅(tilting)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돌침대에서 떨어진 원격지(예컨대, 거실 탁자나 테이블 등)로 이동시켜 설치하고 몸체를 틸팅(tilting)시키면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장 발생 시 종래와 같이 온도 조절기를 침대판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돌침대에서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유지보수와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돌침대, 온도 조절기, 터치패드, 조그 스위치, 틸팅

Description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Detachable temperature controller for a stone bed}
본 발명은 돌침대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히는 돌침대와 온도조절기가 분리되어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하는 동시에 유지보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돌침대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침대판(10)과, 상기 침대판(10)의 상단 좌측과 우측에 설치되는 온도 조절기(20), 및 상기 온도 조절기(20)를 통해 구동 전원을 공급받아 작동이 제어되고 상기 침대판(10)의 아래쪽에 내장되는 전기 매트리스(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종래의 돌침대에 있어서, 상기 온도 조절기(20)는 침대판(10)과 일체형으로 설치되며, 상기 전기 매트리스(30)는 상용 AC 구동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서 온열 작동하여 상기 침대판(10)을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거나, 혹은 상용 AC 구동 전원이 공급됨에 따라서 전자석으로 작동하여 교번 자장을 발생시켜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자장 지압 효과를 부가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의 돌침대에 포함되는 온도 조절기(20)는 침대판(10)과 일체형으로 고정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온도 조절을 할 때마다 상기 침대판(10)에 다가가서 온도 조절기(20)를 조작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상기 온도 조절기(20)는 사용자가 손으로 눌러 작동시키는 버튼형 조작 패널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버튼을 오랫동안 사용하는 경우 오동작이 발생하기 쉽고, 특히 온도 조절기(20) 사용 중에 오작동 등의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온도 조절기(20)를 침대판(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에 수리해야 하므로 제품의 유지보수와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온도 조절기(20)는 버튼형 조작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어 어린아이들이 쉽게 조작 패널을 작동시켜 조적 패널을 파손시키는 일이 종종 발생하는 문제점과, 어린아이들이 임으로 온도 조절기(20)의 온도를 높여 놓고 돌침대에서 노는 과정에서 전기매트리스(30)의 표면에 어린아이의 신체 일부분이 접촉하여 화상을 입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틸팅(tilting)시킬 수 있고, 돌침대에서 떨어진 원격지(예컨대, 거실 탁자나 테이블 등)에서도 사용자의 조작이 가능하고 돌침대에 탈착 가능하며, 터치패드 형태의 조그 스위치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돌침대의 각종 작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하는 분리형 돌 침대 온도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의 크기를 최소로 제작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현장에서 바로 부품교환 및 오작동 테스트를 할 수 있으므로 유지보수가 신속하고 부품의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는 전원독립방식으로 전기적인 사고의 위험성을 최소화하면서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한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는, 받침판에 돌침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돌침대에 탈착 가능한 온도 조절 케이블이 설치되어 있고, 다단으로 조절 가능한 틸팅(tilting) 홈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 돌부가 상기 받침판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와; 상기 받침대의 받침 돌부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상기 틸팅 홈에 걸려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 노브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 상기 몸체의 전면에 배치되고, 돌침대 작동에 필요한 터치 패드 형태의 버튼과 스위치를 포함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 및 상기 몸체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 패널의 터치 패드 형태의 버튼이나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마이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조작 패널은 터치 패드 형태의 주전원 버튼과 터치 패드 형태의 조그 스위치, 터치 패드 형태의 선택 스위치, 돌침대의 작동 모드를 표시하는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 터치 패드 형태의 좌우 전기 매트리스 전원 버튼, 터치 패드 형태의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의 입력을 마이컴에 전달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와 스피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는 돌침대에 탈착 가능하고 몸체를 전후 방향으로 자유롭게 틸팅(tilting)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돌침대에서 떨어진 원격지(예컨대, 거실 탁자나 테이블 등)로 이동시켜 설치하고 몸체를 틸팅(tilting)시키면서 온도 조절을 할 수 있으며, 특히 고장 발생 시 종래와 같이 온도 조절기를 침대판으로부터 분리시킬 필요 없이 간단하게 돌침대에서 분리하여 수리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유지보수와 교체작업에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는 종래의 문제점을 모두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제품의 크기를 최소화하여 이동 및 설치가 간편하고, 조그 스위치에 손가락을 접속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돌침대의 각종 작동 모드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동시에 각종 작동 모드에 입력되는 숫자와 선택기능은 조그 스위치와 선택 스위치로만 작동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편의를 향상시킨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100)는 받침대(110)와, 몸체(120), 조작 패널(130), 마이컴(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받침대(110)는 받침판(111)에 전원 케이블(111a) 및 돌침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돌침대에 탈착 가능한 온도 조절 케이블(111b)이 설치되어 있고, 다단으로 조절 가능한 틸팅(tilting) 홈(112a)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 돌부(112)가 상기 받침판(111)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몸체(120)는 상기 받침대(110)의 받침 돌부(112)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상기 틸팅 홈(112a)에 걸려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 노브(12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조작 패널(130)은 상기 몸체(120)의 전면에 배치되고, 돌침대 작동에 필요한 터치 패드 형태의 버튼과 스위치를 포함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조작 패널(130)은 터치 패드 형태의 주전원 버튼(131)과 터치 패드 형태의 조그 스위치(132), 터치 패드 형태의 선택 스위치(133), 돌침대의 작동 모드를 표시하는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134), 터치 패드 형태의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 터치 패드 형태의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입력을 마이컴(140)에 전달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137)와 스피커(138)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134)는 교번 자장 램프, 기능선택 램프, 시계 램프, 알람 램프, 안전 램프, 잠금 램프를 포함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몸체(130)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 패널(130)의 터치 패드 형태의 버튼이나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주전원 버튼(131)이 선택된 후 상기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이 온되면, 상기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입력에 따라 온도를 설정하여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사용자가 상기 조그 스위치(132)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134)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킨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선택된 작동 모드로 돌침대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교번 자장 램프가 선택되면 돌침대의 전기 매트리스를 전자석으로 작동하여 교번 자장을 발생시키고 현재 교번 자장 상태를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기능선택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현재 설정된 온도에서 특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특정 온도만큼 낮추어 설정하는 취침기능<SLEEP>,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여름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여름모드<SUMMER>,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외출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외출기능<OUT>, 상기 취침기능<SLEEP>, 여름모드<SUMMER>, 외출기능<OUT>을 삭제하는 CLEAR<해제>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기능으로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선택된 기능을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시계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현재 시각을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알람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현재시간이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스피커(138)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안전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전원 자동 오프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해당 시간 후에 전기 매트리스 공급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잠금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스위치(133)만 작동 허용하고 상기 주전원 버튼(131), 조그 스위치(132),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작동을 제한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전기 매트리스의 단선, 합선을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경고메시지와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과열방지센서를 통해 전기 매트리스의 과열(예컨대, 80℃ 이상)을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경고메시지와 경고음을 출력한다.
상기 마이컴(140)은 전원 케이블(111a)과 온도 조절 케이블(111b)을 통해 돌침대의 전기 매트리스로 전원이 공급될 때 상기 받침대(110)와 몸체(120), 조작 패널(130)의 도전체 부분을 자동 접지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100)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사용자가 주전원 버튼(131)을 온한 후, 상기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을 터치하면 좌우측 전원 버튼 램프와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 램프가 점등되며, 이때부터 상기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를 업/다운 조작하여 온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마이컴(140)은 설정 온도를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상기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 온 일때와 오프일 때를 구별하기 위해 스피커(138)를 통해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으며,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업/다운 조작시에도 서로 다른 멜로디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온도를 설정한 후 특정 시간(예컨대, 3초) 동안 스위치 동작이 없으면 다시 현재온도가 표시되며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운전한다.
상기와 같이 설정온도를 기준으로 운전하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조그 스위치(132)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134)를 순차적으로, 예컨대 교번 자장 램프→ 기능선택 램프→ 시계 램프→ 알람 램프→ 안전 램프→ 잠금 램프의 순서로 점 등시킨다. 이때, 모드 선택은 역방향으로도 가능하며, 사용자가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조작하여 특정 모드를 선택한 후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특정 시간(예컨대, 2초) 동안 터치하면 해당 모드가 설정된다. 또한, 선택한 모드에서 설정값을 변경할 경우 상기 조그 스위치(132)에 손가락을 올려놓고 좌측으로 회전하면 숫자가 다운되고, 우측으로 회전하면 숫자가 업 되면서 간편하게 숫자의 조절이 가능하며, 설정값을 확정할 경우에는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특정 시간(예컨대, 2초) 동안 터치하면 설정완료된다.
만약, 사용자가 교번 자장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돌침대의 전기 매트리스를 전자석으로 작동하여 교번 자장을 발생시키고 현재 교번 자장 상태를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교번 자장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교번 자장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교번 자장이 동작되어 침대에 누워있는 사용자에게 자장 지압 효과를 부가하며, 상기 표시부(137)의 중앙부분에 교번 자장 아이콘이 동작하는 모습이 표시된다. 이러한 교번 자장 동작시간은 1시간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해제하고자 할 경우에도 위와 동일하게 교번 자장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해제되며, 상기 표시부(137)의 교번 자장 아이콘이 사라진다. 참고로, 상기 전기 매트리스 공급 전원을 차단해도 교번 자장이 해제된다.
만약, 사용자가 기능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현재 설정된 온도에서 특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설정 온도를 특정 온도만큼 낮추어 설정하는 취침기능<SLEEP>,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여름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여름모드<SUMMER>,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외출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외출기능<OUT>, 상기 취침기능<SLEEP>, 여름모드<SUMMER>, 외출기능<OUT>을 삭제하는 CLEAR<해제>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기능으로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선택된 기능을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기능선택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기능선택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기능선택이 동작되며, 상기 표시부(137)의 좌측 하단부분에 CLEAR가 표시되면서 점멸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오른쪽으로 터치하면 SLEEP, SUMMER, OUT순으로 표시화면이 변경되며, 이 중 어느 하나의 기능을 선택할 때에는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여 설정한다.
참고로, CLEAR<해제> 기능은 지정된 기능을 삭제할 때 사용하고, 취침기능<SLEEP>, 여름모드<SUMMER>, 외출기능<OUT>에서 CLEAR<해제>를 선택하여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누르면 해제된다.
취침기능<SLEEP>은 예컨대, 현재 설정된 온도에서 2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설정온도가 2℃ 낮추어 설정되는 기능으로, 전원이 차단되면 자동으로 해제된다.
여름모드<SUMMER>는 예컨대, 자동으로 26℃로 온도를 설정하며, 이때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는 작동되지 않으며, 전원은 온/오프할 수 있고, 해제할 때에는 해제기능(CLEAR)으로 해제할 수 있다.
외출기능<OUT>은 예컨대, 자동으로 30℃로 온도를 설정하며, 이때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는 작동되지 않으며, 전원은 온/오프할 수 있고, 해제할 때에는 해제기능(CLEAR)으로 해제하거나, 전원을 오프/온하여 해제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시계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현재 시각을 표시부(137)에 표시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현재 시각을 맞추기 위하여 시계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시계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시계 모드가 동작되며, 표시부(137)의 중앙 상단부분에 시간의 "시"부분이 점멸할 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시"를 선택하고 선택 스위치(133)를 터치하면 "분" 부분이 점멸하며, 이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분"을 선택한 다음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시간설정이 종료된다.
만약, 사용자가 알람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현재시간이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스피커(138)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한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알람 시간을 맞추기 위하여 알람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알람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알람 모드가 동작되며, 표시부(137)의 중앙부분에 시계그림과 함께 "00:00" 부분이 점멸할 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시"를 선택하고 선택 스위치(133)를 터치하면 "분" 부분이 점멸하며, 이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분"을 선택한 다음 선택 스위 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알람 시간설정이 종료된다. 상기 마이컴(140)은 현재시간이 설정한 알람 시간에 도달하였을 때 스피커(138)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하며, 해제할 때에는 어떠한 스위치를 터치해도 해제되며 알람 소리가 울린 후 특정 시간(예컨대, 1분)이 지나면 자동으로 종료된다. 또한 설정한 알람 시간은 전원을 오프/온하더라도 그대로 남아 있다. 참고로, 완전히 해제할 경우에는 알람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알람 모드가 완전 해제된다.
만약, 사용자가 안전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전원 자동 오프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해당 시간 후에 전기 매트리스 공급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안전 모드는 설정한 시간 후에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는 오프타이머 기능으로, 최대 24시간까지 설정가능하다.
도 9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특정 시간 후 자동으로 전원이 오프되는 오프타이머 기능을 설정하기 위하여 안전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안전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안전 모드가 동작되며, 표시부(137)의 중앙 하단부분에 시계그림과 함께 "12:00" 부분이 점멸할 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손가락으로 터치하여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시"를 선택하고 선택 스위치(133)를 터치하면 "분" 부분이 점멸하며, 이때 상기 조그 스위치(132)를 오른쪽으로 회전시켜 "분"을 선택한 다음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타이머 시간설정이 종료된다. 상기 마이컴(140)은 설정이 끝나면 바로 시간을 카운트다운하고, 카운트 종료 10초 전에 스피커(138)를 통해 예비 알람 소리를 특정 횟 수(예컨대, 3번) 출력하며 종료시간이 되면 전원을 오프시킨다. 참고로, 완전히 해제할 경우에는 안전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안전 모드가 완전 해제된다. 또한, 완전히 해제하기 전까지는 전원을 오프/온하면 기본적으로 12시간 오프타이머가 적용되게 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잠금 모드를 선택하면, 상기 마이컴(140)은 상기 선택 스위치(133)만 작동 허용하고 상기 주전원 버튼(131), 조그 스위치(132),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작동을 제한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실수나 어린이 장난 등으로 발생하는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잠금 램프가 점등될 때 상기 선택 스위치(133)를 2초간 터치하면 잠금 모드가 선택된다. 이때, 선택음과 함께 즉시 잠금 모드가 동작되며, 표시부(137)의 좌측 상단부분에 자물쇠 그림이 나타난다. 이때, 잠금 부분의 램프도 점등되어 잠금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잠금장치가 설정된 경우에는 선택 스위치(133) 이외에는 어떠한 스위치도 작동하지 않는다. 참고로, 잠금장치를 해제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 스위치(133)를 3초간 계속 터치하고 있으면 상기 마이컴(140)이 스피커(138)를 통해 효과음과 더불어 해제시까지 표시부(137)에 화살표로 진행상황을 표시해 주고, 해제되면 자물쇠 그림이 열린 상태로 나타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는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는 범위까지 그 기술적 정신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돌침대를 나타낸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의 배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의 사용 상태도.
도 5는 교번 자장 모드 화면.
도 6은 기능선택 모드 화면.
도 7은 시계 모드 화면.
도 8은 알람 모드 화면.
도 9는 안전 모드 화면.
도 10은 잠금 모드 화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침대판 20: 온도조절기
30: 전기 매트리스 100: 온도 조절기
110: 받침대 111: 받침판
111a: 전원 케이블 111b: 온도 조절 케이블
112: 받침 돌부 112a: 틸팅(tilting) 홈
120: 몸체 121: 틸팅 조절 노브
130: 조작 패널 131: 주전원 버튼
132: 조그 스위치 133: 선택 스위치
134: 작동 모드 램프 135,135': 전기 매트리스 전원 버튼
136,136': 온도 조절 스위치 137: 표시부
138: 스피커 140: 마이컴

Claims (15)

  1. 받침판(111)에 전원 케이블(111a) 및 돌침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돌침대에 탈착 가능한 온도 조절 케이블(111b)이 설치되어 있고, 다단으로 조절 가능한 틸팅(tilting) 홈(112a)이 배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 돌부(112)가 상기 받침판(111) 상면에 형성되어 있는 받침대(110)와;
    상기 받침대(110)의 받침 돌부(112)와 틸팅 가능하게 결합되고, 배면에 상기 틸팅 홈(112a)에 걸려 틸팅 각도를 조절하는 틸팅 조절 노브(121)가 설치되어 있는 몸체(120);
    상기 몸체(120)의 전면에 배치되고, 돌침대 작동에 필요한 터치 패드 형태의 주전원 버튼(131)과 터치 패드 형태의 조그 스위치(132), 터치 패드 형태의 선택 스위치(133), 돌침대의 작동 모드 램프(134)에 교번 자장 램프, 기능선택 램프, 시계 램프, 알람 램프, 안전 램프, 잠금 램프가 표시되고, 터치 패드 형태의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을 포함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시청각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부(137)와 스피커(138)로 이루어진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조작 패널(130); 및
    상기 몸체(120)에 내장되어 상기 조작 패널(130)의 터치 패드 형태의 버튼이나 스위치의 입력에 따라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작동 상태를 상기 표시장치에 표시하는 마이컴(140);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40)은 주전원 버튼(131), 조그 스위치(132), 선택 스위치(133)의 선택에 의해서 작동하되, 상기 주전원 버튼(131)이 선택된 후 상기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이 온되면, 상기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입력에 따라 온도를 설정하여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조그 스위치(132)에 손가락을 접촉하여 손가락을 좌우회전시킴에 따라서 상기 복수의 작동 모드 램프(134)를 순차적으로 점등시키며,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교번 자장 램프가 선택되면 돌침대의 전기 매트리스를 전자석으로 작동하여 교번 자장을 발생시키고 현재 교번 자장 상태를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기능선택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현재 설정된 온도에서 특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특정 온도만큼 낮추어 설정하는 취침기능<SLEEP>,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여름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여름모드<SUMMER>, 자동으로 설정온도를 외출용 특정 온도로 고정하는 외출기능<OUT>, 상기 취침기능<SLEEP>, 여름모드<SUMMER>, 외출기능<OUT>을 삭제하는 CLEAR<해제> 중 어느 하나의 선택된 기능으로 돌침대의 작동을 제어하고 현재 선택된 기능을 표시부(137)에 표시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시계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현재 시각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알람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알람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현재시간이 알람 시간에 도달하면 스피커(138)를 통해 알람 소리를 출력하며,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안전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조그 스위치(132) 조작에 의해 설정된 전원 자동 오프 시간을 표시부(137)에 표시하고, 해당 시간 후에 전기 매트리스 공급 전원을 자동으로 차단하고, 상기 선택 스위치(133)에 의해 잠금 램프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 스위치(133)만 작동 허용하고 상기 주전원 버튼(131), 조그 스위치(132), 전기 매트리스 좌우 전원 버튼(135,135'), 좌우 온도 조절 스위치(136,136')의 작동을 제한하며, 상기 마이컴(140)은 온도감지센서를 통해 전기 매트리스의 단선, 합선의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과열방지센서를 통해 전기 매트리스의 과열을 감지하여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표시장치를 통해 경고메시지와 경고음을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080047888A 2008-05-23 2008-05-23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Active KR10100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888A KR101001323B1 (ko) 2008-05-23 2008-05-23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7888A KR101001323B1 (ko) 2008-05-23 2008-05-23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06A KR20090121806A (ko) 2009-11-26
KR101001323B1 true KR101001323B1 (ko) 2010-12-14

Family

ID=41604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7888A Active KR101001323B1 (ko) 2008-05-23 2008-05-23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132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933B1 (ko) * 2016-03-17 2018-02-13 (주) 파루 전열 제품의 온도 조절장치
KR101827934B1 (ko) * 2016-03-17 2018-02-13 (주) 파루 발열 제품용 터치 타입 온도 제어장치
KR20230142935A (ko) 2022-04-04 2023-10-11 주식회사 한빛나노의료기 자동 온도조절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9079B1 (ko) * 2010-12-28 2011-03-07 최점미 돌침대용 온열 제어장치
KR101349741B1 (ko) * 2012-02-17 2014-01-09 이장우 안전동작 표시기능을 갖는 시각장애인과 야간 사용이 편리한 온열매트용 컨트롤러
CN103653960A (zh) * 2013-12-27 2014-03-26 南通大学 温差舒适床
KR101652101B1 (ko) * 2014-07-31 2016-09-09 김은주 셀루스석을 포함하는 담열 테라피 장치
KR102361040B1 (ko) * 2020-08-21 2022-02-09 김관택 돌침대용 안전 온도 컨트롤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00B1 (ko) 2006-01-26 2006-09-19 이경복 협탁에서 온도조절하는 무전자파 및 초장파 발생 돌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1600B1 (ko) 2006-01-26 2006-09-19 이경복 협탁에서 온도조절하는 무전자파 및 초장파 발생 돌침대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27933B1 (ko) * 2016-03-17 2018-02-13 (주) 파루 전열 제품의 온도 조절장치
KR101827934B1 (ko) * 2016-03-17 2018-02-13 (주) 파루 발열 제품용 터치 타입 온도 제어장치
KR20230142935A (ko) 2022-04-04 2023-10-11 주식회사 한빛나노의료기 자동 온도조절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1806A (ko) 2009-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1323B1 (ko) 분리형 돌침대 온도 조절기
US6198080B1 (en) Glass touch cooktop dual element and bridge burner control
JP5368986B2 (ja) 加熱調理器
CA2755100C (en) Lockout system for surface burners of a cooking appliance
GB2385947A (en) Controller for a domestic appliance with time switch to prevent accidental adjustment
JP4198074B2 (ja) 加熱調理器
ES2714556T3 (es) Aparato calentador con mecanismo interruptor temporizado
US8604393B2 (en) Control panel for a cooking device
JP2003185152A (ja) 調理器
JP2008258047A (ja) 加熱調理器
JP2521367B2 (ja) 電気調理器のスイッチ装置
ES2913474T3 (es) Cocina y procedimiento para evitar el funcionamiento involuntario de una cocina
JP6080697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2006194481A (ja) ガスコンロ
JP2007280700A (ja) 加熱調理器
ES2319017B1 (es) Dispositivo con una unidad central para accionamiento de un aparato domestico y procedimiento para dicho accionamiento.
JP2022186956A (ja) 加熱調理器
JPH1187033A (ja) 加熱調理器
JP3830735B2 (ja) 加熱調理器
JP3264235B2 (ja) 加熱調理器
JP2006118819A (ja) 加熱調理器
JP2007200657A (ja) 加熱調理器
JP2003257600A (ja) 加熱調理器
JP2004321307A (ja) 調理器
JP2004028570A (ja) 加熱調理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523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005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011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012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012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3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0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512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05

Year of fee payment: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610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709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0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9

Year of fee payment: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0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08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08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09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