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970B1 -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 Google Patents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970B1
KR101000970B1 KR1020100023245A KR20100023245A KR101000970B1 KR 101000970 B1 KR101000970 B1 KR 101000970B1 KR 1020100023245 A KR1020100023245 A KR 1020100023245A KR 20100023245 A KR20100023245 A KR 20100023245A KR 101000970 B1 KR101000970 B1 KR 1010009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seat
car seat
bel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3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인수
Original Assignee
(주)동인기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동인기연 filed Critical (주)동인기연
Priority to KR1020100023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9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9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9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21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having a seat and a bas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03Adaptations for seat belts
    • B60N2/2806Adaptations for seat belts for securing the child seat to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4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with protection systems against abnormal g-fo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시트에서 시트부위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시트지지부위가 비철금속재질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현시켜, 시트부위의 지지기능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강한 보강기능까지 구비되며,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차량의 어깨측 벨트를 카시트의 배면에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를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주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에 관한 것으로,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씌워지는 시트부(2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지지시켜 주는 지지몸체(300)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Car seat with which the baby safe function is equipped}
본 발명은 카시트에서 시트부위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시트지지부위가 비철금속재질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현시켜, 시트부위의 지지기능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강한 보강기능까지 구비되며,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차량의 어깨측 벨트를 카시트의 배면에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를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주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 및 안전벨트는 일반적인 성인을 기준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유아들이 자동차에 탑승하여 착석하였을 때 몸에 비해 시트 및 안전벨트가 너무 크게 되어 안전하게 받쳐주지 못함은 물론 안전벨트가 유아들이 견딜 수 없을 정도로 압박하였던 바, 이를 감안하여 유아들의 몸에 맞는 사이즈로 안락한 시트부를 형성하고, 이 시트부에 자동차의 안전벨트를 연결하도록 한 카시트가 활용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시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시트는 유아인 착석자가 착석되는 것으로, 스펀지와 큐션재질로 이루어진 시트부(1), 시트부(1)를 지지하는 플라스틱 재질의 시트지지부(2) 및 그 시트지지부(2)를 지지하는 몸체부(3)로 이루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카시트를 이용하고자 할 경우 차량의 좌석에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카시트를 연결고정한 후 착석자를 시트부(1)에 착석시킨 상태에서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시트부(1)에 설치된 유아용 안전벨트를 착석자에 착용한 상태에서 차량운행을 수행하면 된다.
또한, 착석자가 유아보다 신체발육이 덜 발달된 신생아를 포함하는 영아인 경우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신체 중 상대적으로 연약한 가슴 및 머리 등에 충격이 가해지면 더 위험하기 때문에 이때에는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에 고정연결하여 사용한다.
도 2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연결하고자 할 경우 먼저 카시트를 뒤보기 상태로 좌석에 놓은 상태에서 차량의 안전벨트를 구성하는 어깨측 벨트(4) 및 허리측 벨트(5) 중 어깨측 벨트(4)가 뒤보기 상태로 놓인 카시트의 중앙부위를 가로지르게 놓은 상태에서 시트지지부(2)의 배면에 설치된 벨트고정수단(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어깨측 벨트(4)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허리측 벨트(5) 부근에 위치하는 차량용 텅플레이트(도시하지 않음)를 차량용 버클(도시하지 않음)에 결착하여 차량을 운행한다.
이러한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 운행 중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카시트는 어깨측 벨트(4)를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착석자의 머리가 시트부(1)에 지지되도록 제공함으로써 착석자의 목부분 꺽임현상을 줄여줄 뿐만 아니라 착석자의 신체 중 가장 견고한 등부분 쪽으로 충격이 주로 전달되게 하여 준다.
그러나 종래의 카시트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카시트를 구성하는 요소 중 시트지지부(2)는 큐션기능을 제공하는 시트부(1)의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것이 그 기능인데,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시트지지부(2)의 재질이 플라스틱(PP) 재질이기 때문에 차량안전사고가 발생할 경우 적은 외부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에 고정연결하여 사용 중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카시트는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4)를 통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주지만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한다.
이로 인해, 카시트는 도 2를 참조하여, 다시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쏠릴 경우 카시트를 고정시켜주는 수단이 없기 때문에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될 수 있어 착석자에게 신체적 위험을 야기시키는 인자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카시트에서 시트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시트지지부의 비철금속재질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현시켜, 시트부의 지지기능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강한 보강기능까지 구비된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좌석에 고정된 본 발명의 카시트는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어깨측 벨트를 카시트의 배면에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를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착석자에게 야기될 수 있는 신체적 위험을 최소화시켜주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사상으로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는, 시트걸이용 프레임,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을 포함하는 카시트용 프레임부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의 시트걸이용 프레임에 걸려지는 시트부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를 지지시켜 주는 지지몸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에는,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가 상기 지지몸체부에서 회동지지되게 제공하는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은,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의 타측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과;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이 놓여지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의 호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동공간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안내구와; 상기 지지몸체의 양측에 돌출설치된 상기 한 쌍의 회동안내구의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다수의 걸림홈이 이격형성되는 회동각도 조절단턱과; 상기 회동용 프레임이 상기 회동안내대의 회동공간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동안내구의 회동공간에 관통되는 고정축 및 그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롤러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와; 양측에 지지날개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부에 한 쌍의 힌지편이 연결된 평판, 상기 회동용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날개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 하부에 연결된 힌지편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회동각도 조절단턱의 걸림홈에 걸려지는 걸림봉이 하부에 구비된 회동단계조절용 레버와; 양측이 상기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 및 상기 회동단계조절용 레버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몸체의 바닥면에는 차량벨트를 이루는 허리측 벨트가 놓여지는 벨트관통공간이 형성되고, 그 벨트관통공간이 형성된 지지몸체(300)에는 벨트 내입홈이 형성되되, 그 형성된 벨트 내입홈이 상기 벨트관통공간과 연통된 들림방지구가 결착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에는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의 타측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은, 일단이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마다 연결되는 것으로,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수평프레임;들로 이루어진다.
상기 시트부에는 등 쪽에 상기 수평프레임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등측 끈관통홈들이 형성되고, 바닥 쪽에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 및 버클관통구멍이 형성되며, 양측에 지지날개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평판,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날개의 끝단이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단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착석자를 고정시켜주는 카시트용 안전끈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시트용 안전끈부는,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 및 상기 등측 끈관통홈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그 관통된 등측 끈관통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놓여지며, 텅 플레이트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어깨끈과;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 하면을 따라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의 배면에 놓여지는 길이조절끈과; 하측에 상기 길이조절끈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측 양쪽에 상기 한 쌍의 어깨끈이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시트부의 버클관통구멍을 노출되는 버클 연결끈과; 상기 버클 연결끈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어깨끈에 구비되는 텅 플레이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수행하는 버클 몸체;로 이루어진다.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 사이마다 연결되는 상기 수평프레임들의 간격은 착석자의 체중별로 구분한 착석자 체중별 간격으로서, 상기 수평프레임들 중 착석자의 체중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에 상기 한 쌍의 어깨끈이 놓여진다.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에는,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 상에 일측이 고정되는 길이조절끈의 길이를 조절시켜주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평판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과; 상기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에 고정연결되는 힌지축과; 상기 힌지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측에 상기 평판에 접촉되는 가압캠이 돌출된 손잡이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축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상기 평판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상기 손잡이의 가압캠을 복원력에 의해 상기 평판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의 배면 쪽에는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를 고정시켜 주는 배면측 벨트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면측 벨트고정부재는, 상기 수평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 고정돌기가 돌출되는 베이스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고정홈이 형성된 고정편이 힌지결합된 고정대;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편의 고정홈이 상기 베이스에 돌출된 고정돌기에 걸려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의 측면 쪽에는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를 고정시켜 주는 측면측 벨트고정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의 상측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부재는, 양측이 상기 수직프레임의 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으로, 어깨측 벨트가 인입될 수 있게 일부가 개구된 벨트 고정홈이 형성된 측면측 벨트고정구와;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구의 벨트 고정홈에 설치되는 고정축과; 상기 고정축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벨트 고정홈을 이루는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부가 돌출된 측면측 손잡이와; 상기 고정축에 끼워지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측면측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구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상기 평판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상기 측면측 손잡이의 누름부를 복원력에 의해 상기 평판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으로 이루어진 다.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부재가 고정된 상기 지지프레임의 외측에는 어깨측 벨트 가이드가 설치된다.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의 재질은 비철금속재질을 이용한다.
본 발명은 카시트에서 시트부를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 시트지지부의 비철금속재질을 갖는 프레임으로 구현시켜, 시트부의 지지기능과 더불어 외부충격에 강한 보강기능까지 제공하여 차량에 위급상황 발생시에도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좌석에 고정된 본 발명의 카시트는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어깨측 벨트를 카시트의 배면에 이중으로 고정시켜주는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를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시키는 수단을 구비하여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착석자에게 야기될 수 있는 신체적 위험을 최소화시켜주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구조에 지지되는 시트부의 착석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연령별에 맞게 착석자를 안착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연령별에 맞게 카시트에 구비된 끈의 위치를 프레임을 통해 상하 조절할 수 있어 착석자의 연령에 알맞게 놓여진 카시트의 끈을 통해 주행 중 착석자가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쾌적한 착석환경을 제공하여 줄 뿐만 아니라 급정거나 안전사고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프레임에 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은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좌석에 고정시킬 경우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에도 차량의 어깨측 벨트는 카시트의 측면에 이중으로 고정되어 있어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는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어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주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의 카시트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종래의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나타낸 결합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나타낸 저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카시트용 프레임부 쪽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지지몸체 쪽을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지지몸체 쪽을 나타낸 요부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지지몸체 쪽에 구비되는 지지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이용하여 시트부의 착석각도를 조절하는 단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카시트용 안전끈부를 나타낸 요부측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길이조절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5는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의 길이지조절부재를 이용하여 끈의 길이조절을 수행하는 단계를 나타낸 작동상태도,
도 16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배면측 벨트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7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측면측 벨트고정부재를 나타낸 요부사시도,
도 18은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측면측 벨트고정부재의 작동상태도,
도 19는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중 어깨측 벨트 가이드를 나타낸 요부단면도,
도 20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앞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
도 21은 차량의 안전벨트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한 상태를 나타낸 연결상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는 크게 카시트용 프레임부(100), 시트부(200) 및 지지몸체(300)로 이루어진다.
먼저,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는 후술되는 시트부(200)가 씌워질 수 있도록 시트부(200)의 테두리 형상을 갖는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및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타측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세부구성은 일단이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과,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 사이마다 연결되는 것으로,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수평프레임(122)들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이루는 각 구성은 그 재질이 비철금속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루미늄 합금재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처럼, 알루미늄 합금재질이 적용된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는 가벼우면서도 그 강도가 26.5㎏/㎟로 종래 카시트를 구성하는 시트지지부(2)의 재질인 플라스틱(PP)의 경우 그 강도가 2.89㎏/㎟인 바, 플라스틱보다 9배 이상의 강도를 갖음으로서, 차량안전사고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착석자를 보다 안전하게 보호하여주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의 하측에는 후술되는 시트부(200)의 바닥형상을 유지시켜주도록 시트부(200)의 바닥형상대로 절곡형성된 바닥형상 유지판(140)이 설치제공될 수 있다.
상기 시트부(200)는 신생아, 영유아 및 유아 등의 착석자가 착석할 수 있는 형상을 갖는 부재로서, 탄성을 갖으면서도 어느 정도 형상을 유지시켜주는 딱딱한 재질인 경연질의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내피(210)와 스펀지와 같은 쿠션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진 외피(22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내피(210) 및 외피(220)에는 등 쪽에 수평프레임(12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등측 끈관통홈(211,221)들이 형성되고, 바닥 쪽에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212,222) 및 버클관통구멍(223)이 형성된다.
또한, 내피(210) 및 외피(220)의 가장자리에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을 따라 씌울 수 있게 걸림부(도시하지 않음)가 일체로 연결되어 제공된다.
이때, 수평프레임(122)들은 보강기능과 더불어,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 사이마다 연결되는 수평프레임(122)들의 간격은 착석자의 체중별로 구분한 착석자 체중별 간격에 맞게 배치함으로써 영아 및 유아를 포함하는 착석자의 신장을 체중별로 구분하여 후술되는 한 쌍의 어깨끈(410)을 놓을 수 있어 착석자의 체중을 고려한 연령에 맞게 상하 조절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착석자의 연령에 알맞게 놓여진 한 쌍의 어깨끈(410)을 통해 주행 중 착석자가 흔들리지 않으면서도 쾌적한 착석환경을 제공하여 줄 뿐만 아니라 급정거나 안전사고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전달되는 외부 충격이 수평프레임에 주로 전달되게 함으로써 유아를 안전하게 보호하여 준다.
이러한 수평프레임(122)의 개수는 4개로서, 한 쌍의 어깨끈(410)은 체중이 8㎏ 이하의 신생아는 제일 아래인 첫 번째에 걸리도록 하고, 체중이 8㎏~10㎏ 정도의 영아는 두 번째에 걸리도록 하며, 체중이 10㎏~15㎏ 정도의 영아는 세 번째에 걸리도록 하고, 체중이 15㎏ 정도의 이상의 유아는 제일 위인 네 번째에 걸리도록 한다.
이처럼, 한 쌍의 어깨끈(410)을 착석자의 체중별로 구분하여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22)에 놓는 사항은 권장사항으로서, 정해진 기준이 아니며,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수평프레임(122)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4개로 표현되었으나, 선택에 따라 증가 또는 감소되는 등 다양한 개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지몸체(300)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지지하되, 시트부(200)의 착석각도를 조절시켜 주는 부재로서, 카시트용 프레임부(100)가 회동지지될 수 있게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은 상기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과, 지지몸체(300)의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것으로,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이 놓여지도록, 그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의 호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동공간(311)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안내구(310)와, 지지몸체(300)의 양측에 돌출설치된 상기 한 쌍의 회동안내구(310)의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홈(321)들이 이격형성되는 회동각도 조절단턱(320)과, 회동용 프레임(130)이 회동안내구(310)의 회동공간(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회동안내구(310)의 회동공간에 관통되는 고정축(331) 및 그 고정축(3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롤러(332)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330)와, 양측에 지지날개(341)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부에 한 쌍의 힌지편(342)이 연결된 평판(343), 상기 회동용 프레임(130)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지지날개(341)의 끝단에 연결되는 한 쌍의 고정단(344)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일측이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343) 하부에 연결된 힌지편(342)에 힌지연결되고, 회동각도 조절단턱(320)의 걸림홈(321)에 걸려지는 걸림봉(351)이 하부에 구비된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와, 양측이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343) 및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36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을 이용하여 시트부(200)의 착석각도를 조절하고자 할 경우 먼저,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를 상측으로 올려 회동각도 조절단턱(320)의 걸림홈(321)에 걸린 걸림봉(351)를 걸림해제시킨다. 이때, 상측으로 올려진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와 평판(343) 사이에 놓여진 탄성스프링(360)은 압착된 상태이다.
이후, 올려진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를 앞으로 당기거나 뒤로 밀면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은 한 쌍의 회동안내구(310)에 형성된 회동공간(311) 내에서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착석자의 연령에 맞게 시트부(200)의 착석각도를 조절한 상태에서 올려진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를 놓으면, 탄성스프링(360)은 복원되고, 이로 인해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는 복원력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하게 됨으로써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의 걸림봉(351)이 회동각도 조절단턱(320)의 걸림홈(321)에 놓여져 걸림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착석자의 연령을 고려하여 다양한 착석각도를 갖게 시트부(200)를 조절하여 사용한다.
여기서, 이탈방지부재(330)의 개수는 도면에 도시된 것처럼 4개로 표현되었으나, 선택에 따라 2개에서 6개 등 다양한 개수를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착석자가 유아보다 신체발육이 덜 발달된 신생아를 포함하는 영아를 위한 뒤보기 방식으로 카시트를 차량에 고정연결하여 사용 중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야기되는 관성력이나 반발력에도 카시트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몸체(300)의 바닥면에 차량벨트 중 허리측 벨트(5)가 놓여지는 벨트관통공간(301)을 형성시키고, 그 벨트관통공간(301)이 형성된 지지몸체(300)의 양측에는 벨트 내입홈(371)이 형성되되, 그 형성된 벨트 내입홈(371)이 벨트관통공간(301)과 연통된 들림방지구(370)를 결착시킴으로서, 들림방지구(370)를 통해 차량벨트 중 허리측 벨트(5)를 내입시켜 지지몸체(300)를 고정시켜 줌으로써 반발력이 발생할 경우에도 지지몸체(300)가 이동되는 것을 예방하여 준다.
또한, 본 발명의 카시트에는 안착된 착석자를 고정시켜주는 카시트용 안전끈부가 설치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카시트용 안전끈부는 일측이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타측이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212,222) 및 등측 끈관통홈(211,221)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통되어 여러 수평프레임(122)들 중 그 관통된 등측 끈관통홈(211,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22)에 놓여지며, 텅 플레이트(41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어깨끈(410)과, 일측이 지지부재의 평판(343)에 고정되고, 타측이 지지부재의 평판(343) 하면을 따라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배면에 놓여지는 길이조절끈(420)과, 하측에 길이조절끈(420)의 타측이 고정되고, 양쪽에 한 쌍의 어깨끈이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430)와, 일측이 지지부재의 평판(343)에 고정되고, 타측이 시트부(200)의 버클관통구멍(213,223)을 노출되는 버클 연결끈(440)과, 버클 연결끈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한 쌍의 어깨끈(410)에 구비되는 텅 플레이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수행하는 버클 몸체(4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버클 몸체(450)의 세부구성은 주지관용의 기술로서 여기서는 언급을 제외하기로 한다.
이때, 신장의 크기가 비슷한 또래보다 체중이 많이 나가거나 또는 적게 나가는 착석자의 체형에 맞게 한 쌍의 어깨끈(410)의 길이가 조절되도록 지지부재의 평판(343) 상에 일측이 고정되는 길이조절끈(420)의 길이를 조절시켜주는 길이조절부재가 제공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길이조절부재의 세부구성은 평판(343)에 형성되는 길이조절끈 관통홈(510)과, 평판(343)의 길이조절끈 관통홈(510)과 조금 떨어져 설치되는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520)과,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520)에 고정연결되는 힌지축(530)과, 힌지축(5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측에 상기 평판(343)에 접촉되는 가압캠(541)이 돌출된 손잡이(540)와, 일측이 손잡이(540)와 연결되고, 타측이 힌지축(530)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평판(343)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손잡이(540)의 가압캠(541)을 복원력에 의해 평판(343)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55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가압캠(541)에는 고정용 이빨을 형성하여 한 쌍의 어깨끈(410)을 잡아당겨도 길이조절끈(420)이 움직이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제공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길이조절부재를 이용하여 한 쌍의 어깨끈(410)의 길이조절을 수행하고자 할 경우 먼저, 손잡이(54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평판(343)에 접촉된 손잡이(540) 쪽 가압캠(541)의 접촉을 해제한다. 이때, 손잡이(540)와 힌지축(530)에 연결된 비틀림스프링(55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손잡이(540)에 의해 탄성신장된 상태이다.
이후, 길이조절끈(420)을 잡아당기면 길이조절끈(420) 쪽과 연결된 한 쌍의 어깨끈(410)도 당겨지면서 조여지게 되고, 길이조절끈(420)을 평판(343)의 길이조절끈 관통홈(510) 쪽으로 밀어넣게 되면 길이조절끈(420) 쪽과 연결된 한 쌍의 어깨끈(410)도 느슨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한 쌍의 어깨끈(410)의 길이가 착석자한테 알맞은 정도의 길이를 갖도록 조정한 후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손잡이(540)를 놓으면 탄성신장된 비틀림스프링(550)은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손잡이(54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가압캠(541)이 길이조절끈(420)에 접촉고정된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착석자의 체형을 고려하여 한 쌍의 어깨끈(410)의 길이를 다양하게 조절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배면 쪽에는 차량의 좌석에 뒤보기 방식으로 카시트 연결 시 이용되는 어깨측 벨트(4)를 고정시켜 주는 배면측 벨트고정부재가 설치제공된다.
이처럼, 제공되는 배면측 벨트고정부재(600)의 세부구성은 수평프레임(122)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 고정돌기(611)가 돌출되는 베이스(610)와, 일측이 베이스(610)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고정홈(621)이 형성된 고정편(622)이 힌지결합된 고정대(620)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배면측 벨트고정부재(600)를 이용하여 어깨측 벨트(4)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베이스(610)의 고정돌기(611)에 걸린 고정편(622)을 힌지회동하여 베이스(610)로부터 고정대(620)의 고정을 해제한다.
이후, 베이스(610)에 연결된 고정대(620)를 힌지 회동하여 벌린 상태에서 어깨측 벨트(4)를 베이스(610)와 고정대(62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베이스(610)에 연결된 고정대(620)를 반대방향으로 힌지 회동하여 베이스(610)와 고정대(620)를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고정대(620)의 고정편(622)을 힌지회동하여 베이스(610)의 고정돌기(611)에 걸리게 함으로써 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또한,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구성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측면 쪽에는 차량의 좌석에 앞보기 방식으로 카시트 연결 시 이용되는 어깨측 벨트(4)를 고정시켜 주는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가 설치제공된다. 이를 위해,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의 상측에 지지프레임(111)이 연결제공되어야 하며,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가 고정된 지지프레임(111)의 외측에는 어깨측 벨트 가이드(750)를 설치하여 연결고정되는 어깨측 벨트(4)가 흩날리지 않게 안내하여 준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는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의 세부구성은 양측이 수직프레임(121)의 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어깨측 벨트(4)가 인입될 수 있게 일부가 개구된 벨트 고정홈(711)이 형성된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와,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의 벨트 고정홈(711)에 설치되는 고정축(720)과, 고정축(720)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것으로, 벨트 고정홈(711)을 이루는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부(731)가 돌출된 측면측 손잡이(730)와, 고정축(7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일측이 측면측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이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평판(343)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측면측 손잡이(730)의 누름부(731)를 복원력에 의해 평판(343)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740)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를 이용하여 어깨측 벨트(4)를 고정하고자 할 경우 먼저, 어깨측 벨트(4)를 어깨측 벨트 가이드(750)에 끼운 상태에서 측면측 손잡이(730)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벨트 고정홈(711)을 이루는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의 측면에 접촉된 측면측 손잡이(730) 쪽 누름부(731)의 접촉을 해제한다. 이때, 측면측 손잡이(730)와 고정축(720)에연결된 비틀림스프링(55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측면측 손잡이(730)에 의해 탄성압축된 상태이다.
이후, 어깨측 벨트(4)를 접촉해제된 측면측 손잡이(730)의 누름부(731)와 벨트 고정홈(711)을 이루는 측면측 벨트고정구(710) 사이에 위치시킨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측면측 손잡이(730)를 놓으면 탄성압축된 비틀림스프링(550)은 복원력에 의해 복원되어 측면측 손잡이(73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면서 누름부(731)가 어깨측 벨트(4)에 접촉고정시켜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카시트를 차량에 장착하고자 할 경우 착석자의 체중에 따라 앞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할 것인지 또는, 뒤보기 방식으로 연결할 것인지가 정해진다.
일예로, 앞보기 방식에 해당하는 착석자의 체중이 9㎏~25㎏ 정도일 경우 해당될 수 있으며, 뒤보기 방식은 10㎏ 이하일 때 해당될 수 있는데 이처럼, 앞보기 방식과 뒤보기 방식을 적용하기 위해 언급한 착석자의 체중은 권장사항으로서, 정해진 기준이 아니며, 사용자의 판단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감안하여 앞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 도 20을 참조하여, 카시트를 차량좌석에 앞을 보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4)를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에 고정시킨 후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시트부(200) 사이로 통과시켜 차량용 텅플레이트를 차량용 버클(도시하지 않음)에 결착한다.
이때, 허리측 벨트(5)도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시트부(200) 사이로 통과된 상태로서, 견고하게 차량좌석에 카시트가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 좌석에 연결하고자 할 경우 도 21을 참조하여, 카시트를 차량좌석에 뒤을 보게 안착시킨 상태에서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4)를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에 1차 고정시킨 후 배면측 벨트고정부재(600)에 2차 고정시킨다.
이처럼, 이중으로 어깨측 벨트(4)를 고정시키는 주된 이유는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전달되는 외부충격이 하나의 고정부재에 집중될 경우 야기될 수 있는 파손을 방지하고자 즉, 외부충격을 분산시킴과 더불어 견고하게 고정시켜주기 위함이다.
이후, 허리측 벨트(5)의 선측부를 지지몸체(300)의 일측에 설치된 들림방지구(370)의 내입홈(371)에 내입시키고, 허리측 벨트(5)의 종측부를 지지몸체(300)의 타측에 설치된 들림방지구(370)의 내입홈(371)에 내입시키면, 허리측 벨트(5) 부분은 지지몸체(300)의 바닥에 형성된 벨트관통공간(301)에 놓여짐으로써 지지몸체(300)가 이동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차량용 텅플레이트를 차량용 버클(도시하지 않음)에 결착한다.
이처럼, 뒤보기 방식으로 차량좌석에 고정된 본 발명의 카시트는 급정거와 같은 위급상황 발생 시 관성력에 의해 주행방향으로 주행방향으로 외부충격이 전달될 경우 어깨측 벨트(4)가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부 이중으로 설치된 고정부재(600,700)에 각각 고정되어 있어 전달되는 충격에도 차량진행방향 쪽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줄 뿐만 아니라 이후, 급정거로 인한 관성력 이후에 바로 반발력에 해당하는 외부충격이 발생할 경우에도 카시트는 지지몸체(300)가 차량 좌석의 바닥에 고정된 상태이기 때문에 카시트가 차량의 등쪽 좌석으로 이동되는 것 또한 방지하여 착석자에게 야기될 수 있는 신체적 위험을 최소화 시켜준다.
100 : 카시트용 프레임부 110 : 시트걸이용 프레임
111 : 지지프레임 120 : 등받이용 프레임
121 : 수직프레임 122 : 수평프레임
130 : 회동용 프레임 140 : 바닥형상 유지판
200 : 시트부 210 : 내피
220 : 외피 211,221 : 등측 끈관통홈
212,222 : 바닥측 끈관통홈 213,223 : 버클관통구멍
300 : 지지몸체 301 : 벨트관통공간
310 : 회동안내구 311 : 회동공간
320 : 회동각도 조절단턱 321 : 걸림홈
330 : 이탈방지겸용 회동안내부재
331,720 : 고정축 332 : 안내롤러
341 : 지지날개 342 : 힌지편
343 : 평판 344 : 고정단
350 : 회동단계 조절용 레버 351 : 걸림봉
360 : 탄성스프링 370 : 들림방지구
371 : 내입홈 600 : 배면측 벨트고정부재
410 : 어깨끈 411 : 텅 플레이트
420 : 길이조절끈 430 : 연결구
440 : 버클연결끈 450 : 버클몸체
510 : 길이조절끈 관통홈 520 : 평판측 힌지편
530 : 힌지축 540 : 손잡이
541 : 가압캠 550,740 : 비틀림스프링
600 : 배면측 벨트고정부재 610 : 베이스
620 : 고정편 621 : 고정홈
700 : 측면측 벨트고정부재 710 : 측면측 벨트고정구
711 : 벨트 고정홈 730 : 측면측 손잡이
731 : 누름부

Claims (13)

  1. 삭제
  2.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씌워지는 시트부(2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지지시켜 주는 지지몸체(300); 이루어지되,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가 상기 지지몸체부(300)에서 회동지지되게 제공하는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용 회동지지수단은,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타측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과;
    상기 지지몸체(300)의 양측에 돌출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이 놓여지도록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의 호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회동공간(311)이 형성된 한 쌍의 회동안내구(310)와;
    상기 지지몸체(300)의 양측에 돌출설치된 상기 한 쌍의 회동안내구(310)의 마주보는 측면에 설치되는 것으로, 걸림홈(321)들이 이격형성되는 회동각도 조절단턱(320)과;
    상기 회동용 프레임(130)이 상기 회동안내구(310)의 회동공간(31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회동안내구(310)의 회동공간에 관통되는 고정축(331) 및 그 고정축(331)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안내롤러(332)로 이루어진 이탈방지부재(330)와;
    양측에 지지날개(341)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되고, 하부에 한 쌍의 힌지편(342)이 연결된 평판(343)을 갖는 지지부재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343) 하부에 연결된 힌지편(342)에 힌지연결되고, 상기 회동각도 조절단턱(320)의 걸림홈(321)에 걸려지는 걸림봉(351)이 하부에 구비된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와;
    양측이 상기 지지부재를 이루는 평판(343) 및 상기 회동단계조절용 레버(350)에 연결되는 탄성스프링(36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3.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씌워지는 시트부(2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지지시켜 주는 지지몸체(300);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몸체(300)의 바닥면에는 차량벨트를 이루는 허리측 벨트가 놓여지는 벨트관통공간(301)이 형성되고, 그 벨트관통공간(301)이 형성된 지지몸체(300)에는 벨트 내입홈(371)이 형성되되, 그 형성된 벨트 내입홈(371)이 상기 벨트관통공간(301)과 연통된 들림방지구(370);가 결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4.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일측이 연결되는 등받이용 프레임(120)을 포함하는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에 씌워지는 시트부(200)와;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를 지지시켜 주는 지지몸체(300); 이루어지되,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에는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 및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타측 간에 연결되는 것으로, 호형상을 갖는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을 포함하고,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은,
    일단이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의 상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에 각각 연결되는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과;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 사이마다 연결되는 것으로, 보강기능을 수행하는 수평프레임(122);들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200)에는 등 쪽에 상기 수평프레임(122)들과 대응되는 위치에 등측 끈관통홈(211,221)들이 형성되고, 바닥 쪽에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212,222) 및 버클관통구멍(223)이 형성되며,
    양측에 지지날개(341)가 하방으로 절곡형성된 평판(343)을 갖는 지지부재를 포함하고,
    착석자를 고정시켜주는 카시트용 안전끈부를 포함하되,
    상기 카시트용 안전끈부는
    일측이 상기 한 쌍의 회동용 프레임(130)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한 쌍의 바닥측 끈관통홈(212,222) 및 상기 등측 끈관통홈(211,221)들 중 어느 하나를 통해 관통되어 상기 수평프레임(122)들 중 그 관통된 등측 끈관통홈(211,221)에 대응되는 위치에 있는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22)에 놓여지며, 텅 플레이트(411)가 이동가능하게 구비된 한 쌍의 어깨끈(410)과;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343)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343) 하면을 따라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배면에 놓여지는 길이조절끈(420)과;
    하측에 상기 길이조절끈(420)의 타측이 고정되고, 상측 양쪽에 상기 한 쌍의 어깨끈(410)이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구(430)와;
    일측이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343)에 고정되고, 타측이 상기 시트부(200)의 버클관통구멍(213,223)을 노출되는 버클 연결끈(440)과;
    상기 버클 연결끈(440)의 타측에 고정되는 것으로, 상기 한 쌍의 어깨끈(410)에 구비되는 텅 플레이트의 고정 및 고정해제를 수행하는 버클 몸체(45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수직프레임(121) 사이마다 연결되는 상기 수평프레임(122)들의 간격은 착석자의 체중별로 구분한 착석자 체중별 간격으로서, 상기 수평프레임(122)들 중 착석자의 체중에 해당하는 어느 하나의 수평프레임(122)에 상기 한 쌍의 어깨끈(410)이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의 평판(343) 상에 일측이 고정되는 길이조절끈(420)의 길이를 조절시켜주는 길이조절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평판(343) 상에 설치되는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520)과;
    상기 한 쌍의 평판측 힌지편(520)에 고정연결되는 힌지축(530)과;
    상기 힌지축(53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 하측에 상기 평판(343)에 접촉되는 가압캠(541)이 돌출된 손잡이(540)와;
    일측이 상기 손잡이(540)와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힌지축(530)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상기 평판(343)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상기 손잡이(540)의 가압캠(541)을 복원력에 의해 상기 평판(343)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55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배면 쪽에는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4)를 고정시켜 주는 배면측 벨트고정부재(6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배면측 벨트고정부재(600)는,
    상기 수평프레임(122)에 고정되는 것으로, 일측에 고정돌기(611)가 돌출되는 베이스(610)와;
    일측이 상기 베이스(610)의 타측에 힌지연결되고, 타측에 고정홈(621)이 형성된 고정편(622)이 힌지결합된 고정대(620);로 이루어져, 상기 고정편(622)의 고정홈(621)이 상기 베이스(610)에 돌출된 고정돌기(611)에 걸려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용 프레임(120)의 측면 쪽에는 차량벨트 중 어깨측 벨트를 고정시켜 주는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걸이용 프레임(110)의 상측에 연결되는 지지프레임(111)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는,
    양측이 상기 수직프레임(121)의 측면 및 상기 지지프레임(111)에 고정되는 것으로, 어깨측 벨트(4)가 인입될 수 있게 일부가 개구된 벨트 고정홈(711)이 형성된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와;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의 벨트 고정홈(711)에 설치되는 고정축(720)과;
    상기 고정축(720)에 회동가능하게 관통되는 것으로, 상기 벨트 고정홈(711)을 이루는 측면에 접촉되는 누름부(731)가 돌출된 측면측 손잡이(730)와;
    상기 고정축(720)에 끼워지는 것으로, 일측이 상기 측면측 손잡이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구(710)에 연결되어 회동력에 의해 상기 평판(343)으로부터 접촉해제된 상기 측면측 손잡이(730)의 누름부(731)를 복원력에 의해 상기 평판(343)에 접촉되게 하는 비틀림스프링(7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측 벨트고정부재(700)가 고정된 상기 지지프레임(111)의 외측에는 어깨측 벨트 가이드(7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13. 제2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항에 있어서,
    상기 카시트용 프레임부(100)의 재질은 비철금속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KR1020100023245A 2010-03-16 2010-03-16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KR1010009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45A KR101000970B1 (ko) 2010-03-16 2010-03-16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3245A KR101000970B1 (ko) 2010-03-16 2010-03-16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00970B1 true KR101000970B1 (ko) 2010-12-13

Family

ID=43512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3245A KR101000970B1 (ko) 2010-03-16 2010-03-16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97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5852A (zh) * 2012-01-06 2012-07-1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KR101595115B1 (ko) * 2014-12-11 2016-02-17 정종락 쿠션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KR101627451B1 (ko) * 2015-02-03 2016-06-14 (주)동인기연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852A (en) 1985-12-17 1987-07-14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Remote harness web adjuster
JP2004331055A (ja) * 2003-05-01 2004-11-25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6335266A (ja) 2005-06-03 2006-12-14 Aprica Kassai Inc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79852A (en) 1985-12-17 1987-07-14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Remote harness web adjuster
JP2004331055A (ja) * 2003-05-01 2004-11-25 Wonderland Nurserygoods Co Ltd チャイルドシート
JP2006335266A (ja) 2005-06-03 2006-12-14 Aprica Kassai Inc 着脱式チャイルドシート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55852A (zh) * 2012-01-06 2012-07-1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CN102555852B (zh) * 2012-01-06 2015-10-21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汽车座
KR101595115B1 (ko) * 2014-12-11 2016-02-17 정종락 쿠션부가 구비된 유아용 카시트
KR101627451B1 (ko) * 2015-02-03 2016-06-14 (주)동인기연 위치변경이 가능한 유아용 카시트
US11072262B2 (en) 2018-07-16 2021-07-27 Dong-In Entech Co., Ltd. Portable car sea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904203B1 (en) Amusement device seat assembly
EP2329985B1 (en) Child car seat
CA1243930A (en) Collapsible infant seat
AU2011200690B8 (en) Child safety seat with structural support
AU2006292651B2 (en) Adjustable head rest for child car seat
JP5053280B2 (ja) 頭及び首の拘束システム及び装置
US4382595A (en) Swing seat adapter
US20140125107A1 (en) Rear-seat armrest locking apparatus
KR101000970B1 (ko) 유아안전기능이 구비된 카시트
EP0671291B1 (en) Vehicle seat for children
CN107072410A (zh) 面向后骑倒安全座椅
CN105882977A (zh) 车辆乘客支承装置
JP2003170769A (ja) 車両シート
KR100267798B1 (ko) 자동차용 통합형 3중 모드 아동용 좌석 조립체
US11535190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11072262B2 (en) Portable car seat
JPH0971166A (ja) 車両用ベンチシートの支持装置
KR101526393B1 (ko) 차량용 시트 조절장치
JP2004237820A (ja) 車両用シート
EP4074577A1 (en) Stroller
US20110140495A1 (en) Head and Neck Support Apparatus and Method
KR20220001972U (ko) Isofix+탑테더 방식의 카시트 사용이 편리한 탑테더 연장고리
KR20230096089A (ko) 차량 시트에 장착하기 위한 충격 실드가 있는 어린이 시트
AU2023200829A1 (en) Convertible car seat with adjustable headrest
KR960008991Y1 (ko) 승합자동차(乘合自動車)용 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