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199B1 - 플러그 및 리셉터클 - Google Patents

플러그 및 리셉터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199B1
KR101000199B1 KR1020040012088A KR20040012088A KR101000199B1 KR 101000199 B1 KR101000199 B1 KR 101000199B1 KR 1020040012088 A KR1020040012088 A KR 1020040012088A KR 20040012088 A KR20040012088 A KR 20040012088A KR 101000199 B1 KR101000199 B1 KR 10100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receptacle
shutter
frame portio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120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050A (ko
Inventor
우찌다신지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40078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38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 A46B15/004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signalling means with light signall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5/00Other brushes; Brushes with additional arrangements
    • A46B15/0002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 A46B15/0004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 A46B15/0006Arrangements for enhancing monitoring or controlling the brushing process with a controlling means with a controlling brush technique device, e.g. stroke movement measuring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Abstract

플러그는 통형의 플러그 프레임부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에 수용된 평판형의 헤더부와,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지지된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측에 형성된 훅부와, 상기 훅부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를 갖고 있다. 상기 플러그 셔터는 셔터 프레임부와, 한 쌍의 레버부와, 한 쌍의 볼록부를 갖고 있다. 상기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Figure R1020040012088
플러그, 플러그 하우징, 리셉터클, 쉘, 개구부, 훅부

Description

플러그 및 리셉터클 {PLUG AND RECEPTACLE}
도1은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도2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정면도.
도2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평면도.
도3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의 측면도.
도3b는 도2a의 Z-Z 단면도.
도3c는 도2a의 Y-Y 단면도.
도4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적용된 케이블용 플러그의 평면도.
도4b는 도4a의 종단면도.
도5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용 플러그의 프린트 기판의 평면도.
도6은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케이블용 플러그의 메탈 커버의 사시도.
도7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기 전 상태의 평단면도.
도7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평단면도.
도8a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된 상태의 평단면 도.
도8b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리셉터클로부터 인발되어 있는 상태의 평단면도.
도9는 상기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삽입되어 로크된 상태의 종단면도.
도10은 종래 기술에 관한 플러그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301 : 플러그 하우징
2, 302, 403 : 콘택트
3A, 3B : 레버부
4, 408 : 쉘
7A, 7B : 로크 아암
9, 400 : 리셉터클
12 : 부착판부
30, 90, 402 : 개구부
31 : 플러그 프레임부
33A, 34B, 73A, 73B : 훅부
44A, 45B : 오목부
74A, 74B : 작용 부재
300 : 플러그
303, 304 : 로크 스프링
305 : 셔터
306, 407 : 압축 코일 스프링
401 : 리셉터클 하우징
404, 405 : 슬라이드판
406 : 셔터판
본 발명은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플러그와, 이 플러그가 접속되는 리셉터클을 갖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이 커넥터에서는, 예를 들어 리셉터클을 전기 기기 혹은 전자 기기측에 실장한다.
이러한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확실하게 접속하기 위해, 로크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에서는 로크 기구가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이 로크 기구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 요구된다.
이상과 같은 로크 기구를 구비한 커넥터로서는, 예를 들어 다음 2개의 커넥 터가 알려져 있다.
제1 커넥터는 플러그 커버의 폭 방향 양측에 한 쌍의 로크 레버를 설치하는 동시에, 플러그를 접속하는 리셉터클에 결합부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로크 레버의 훅을 리셉터클의 결합부에 결합시키고, 각 로크 레버를 압박하면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착탈한다(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평6-29058호 공보 참조).
제2 커넥터는, 도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강제적으로 인발할 수 있는 마이크로 커넥터이다. 이 마이크로 커넥터는 플러그(300)와, 이 플러그(300)가 삽입 발출되는 리셉터클(400)을 갖는다.
플러그(300)는 평판형의 플러그 하우징(301)과, 이 플러그 하우징(301)의 기단부측을 덮는 동시에 플러그(300)의 삽입 방향에 따라서 진퇴 가능한 사각 통형의 셔터(305)와, 이 셔터(305)를 리셉터클(400)과 반대측으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306)을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 하우징(301)은 절연성이고, 판 스프링 형상의 콘택트(302)가 디알인라인 형태로 복수 배열되어 있다. 또한, 플러그 하우징(301)의 양측면에는 표면에 따라서 연장되는 로크 스프링(303, 304)이 설치된다.
로크 스프링(303, 304)의 기단부측은 플러그 하우징(301)의 측면에 고정되어 있고, 선단부측은 자유단부로 되어 있다. 이들 로크 스프링(303, 304)의 각각의 선단부에는 원호형의 훅부(33A, 34B)가 형성되어 있고, 이들 훅부(33A, 34B)는 원호 부분이 외측으로 팽출되어 있다.
또, 플러그 하우징(301)의 기단부측은 도시하지 않은 케이블 쉴딩 클램프(cable shielding clamp)에 접속되어 있다.
한편, 리셉터클(400)은 사각 통 형상의 절연성의 리셉터클 하우징(401)과, 이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외주면을 덮는 금속으로 된 쉘(408)과,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내벽면 중 대향하는 상하면에 배치된 평판형의 콘택트(403)를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일단부측은 플러그(300)의 플러그 하우징(301)이 삽입하기 위한 개구부(402)로 되어 있다. 또, 도10에서는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상면은 생략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내벽면 중 콘택트(403)가 배치되어 있지 않은 2개의 측면에는, 각각 슬라이드판(404, 405)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 슬라이드판(404, 405)에는, 각각 서로 대향하는 오목부(44A, 45B)가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내부에는, 축 방향에 따라서 진퇴하는 셔터판(406)과, 이 셔터판(406)을 개구부(402) 측으로 압박하는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407)이 설치된다.
셔터판(406)은 슬라이드판(404, 405) 및 2개의 콘택트(403)에 안내되어 진퇴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407)은 리셉터클 하우징(401)의 타단부측과, 셔터판(406)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슬라이드판(404, 405)의 개구부(402) 측의 단부는, 각각 약간 내측으로 절곡되어 있다. 이에 의해, 셔터판(406)이 개구부(402)로부터 돌출하는 것이 저지된다.
금속판의 쉘(408)은, 외주면에 도시하지 않은 터브가 형성되고, 이 터브는 프린트 기판에 용착되어 있다. 이에 의해, 리셉터클은 프린트 기판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마이크로 커넥터의 동작을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에 접속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플러그(300)의 플러그 하우징(301)의 선단부를, 도10 중 화살표 G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400)의 개구부(402)에 삽입한다.
그렇게 하면, 로크 스프링(303, 304)의 훅부(33A, 34B)는 슬라이드판(404, 405)에 내측으로 압박되고, 로크 스프링(303, 304)은 서로 접근하는 방향 즉 도10 중 화살표 P 방향으로 탄성 변형한다. 동시에, 플러그 하우징(301)의 선단부는 셔터판(406)을 압박하여 이 셔터판(406)을 후퇴시킨다.
또한, 플러그(300)의 셔터(305)는 리셉터클(400)의 개구부(402) 주위의 벽면으로 압박되어, 플러그 하우징(301)에 대해 도10 중 화살표 R 방향으로 후퇴한다.
플러그(300)의 플러그 하우징(301)의 선단부를, 도10 중 화살표 G 방향으로 더 이동시키면 훅부(33A, 34B)는 오목부(44A, 45B)에 끼워 맞추고, 로크 스프링(303, 304)의 탄성 복원력으로 플러그(300)와 리셉터클(400)은 로크된다.
또, 플러그(300)와 리셉터클(400)이 로크된 상태에서는, 셔터(305) 및 셔터판(406)은 각각 후퇴하고 있고, 이에 의해 콘택트(302)와 콘택트(403)가 각각 노출되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다음에,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로부터 제거할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에 접속한 상태로부터, 로크 스프링(303, 304)의 훅부(33A, 34B)와 오목부(44A, 45B)와의 걸림에 저항하여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로부터 인발한다. 그렇게 하면, 셔터(305)는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306)에 압박되어, 도10 중 화살표 F의 방향으로 전진한다. 또한, 셔터판(406)은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407)으로 압박되어, 도10 중 화살표 H의 방향으로 전진하여 개구부(402)를 덮는다.
그런데, 최근 마이크로 비디오 카메라나 휴대 정보 단말기 등과 같은 전자 기기는 급속하게 소형화되고 있다. 따라서, 이들의 전자 기기에 내장되는 커넥터도, 소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이 경우, 콘택트가 좁은 간격으로 배치되므로, 콘택트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과 직교 방향으로 다른 부품이 미끄럼 이동하면,이 부품에 의해 콘택트가 변형되어 오작동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제1 커넥터에서는 플러그의 로크 레버를 손가락으로 압박하면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한다. 즉, 실제로는 플러그의 인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를 흔들면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한다. 그렇게 하면, 이 동작에 의해 콘택트가 변형되어 플러그의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콘택트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상술한 제2 커넥터에서는 로크 스프링의 훅부와 오목부와의 걸림에 저항하여,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한다. 즉, 실제로는 플러그의 인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플러그를 흔들면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한다. 그렇게 하면, 이 동작에 의해 콘택트가 변형되어 플러그의 콘택트와 리셉터클의 콘택트 와의 접촉 불량이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
게다가, 도10에 도시한 제2 커넥터는 로크 스프링(303, 304)의 훅부(33A, 34B)와 오목부(44A, 45B)와 걸림에 의해,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에 로크하고 있으므로, 플러그(300)가 리셉터클(400)에 확실하게 로크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에 확실하게 로크하기 위해, 로크 스프링(303, 304)의 강성을 높이면, 플러그(300)를 리셉터클(400)로부터 인발할 때에, 큰 힘이 필요해진다.
또한, 로크 스프링(303, 304)의 강성을 높이면, 로크 스프링(303, 304)의 훅부(33A, 34B)와, 슬라이드판(404, 405)과는 서로 미끄러져 크게 마모된다. 또는, 슬라이드판(404, 405)의 개구(402) 측의 단부도, 훅부(33A, 34B)에 의해 마모되어 셔터판(406)이 개구부(402)로부터 돌출된 우려가 있다.
실용성을 고려하면, 플러그(300)는 리셉터클(400)에 대해, 적어도 8,000 내지 10,000회 삽입 발출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콘택트끼리의 접촉 불량을 저감할 수 있는 동시에, 리셉터클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플러그 및 리셉터클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자는, 상기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이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한다.
(1)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이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통형으로 절연성의 플러그 프레임부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에 수용되어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노출되는 평판형으로 절연성의 헤더부와,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지지된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는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표리면에 병렬 배치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여 상기 리셉터클의 오목부에 계지 가능한 훅부와, 상기 훅부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를 갖고,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헤더부를 덮는 통형의 셔터 프레임부와, 이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버부와, 상기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로크 아암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1)의 발명에 따르면, 다음 순서에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한다.
즉,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플러그 셔터를 리셉터클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킨다. 이보다,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의 헤더부를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한다.
그 후, 플러그 셔터를 리셉터클측을 향해 전진시키면, 이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의 훅부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리셉터클 개구부의 내벽에 설치된 오목부에 결합한다.
또, 상술한 순서와 역 순서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제거한다. 따라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흔들면서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하는 일도 없으므로, 다른 부품이 콘택트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하여 콘택트끼리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2) (1)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의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 셔터를 리셉터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설치하였으므로, 레버부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만으로 플러그 셔터가 리셉터클측을 향해 전진한다. 따라서,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더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3) (2)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각각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단면 대략 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부의 기단부측 면은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의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할 때에는 훅부의 외측 면이 리셉터클 개구부의 모서리에 안내되어 플러그를 리셉터클 내부에 원활히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가 리셉터클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훅부의 기단부측 면이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으므로, 훅부의 기단부측 면은 리셉터클 개구부의 내벽에 확실하게 계지하여 플러그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4)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프레임부는 상기 플러그 셔터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헤더부를 덮고, 상기 플러그 셔터가 후퇴한 상태에서는 상기 헤더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의 발명에 따르면, 헤더부가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는 플러그 셔터가 전진하고 있으므로, 셔터 프레임부에서 헤더부를 보호할 수 있다. 한편, 헤더부가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된 상태에서는 플러그 셔터가 후퇴하고 있으므로, 헤더부를 노출시켜 플러그의 콘택트를 리셉터클의 콘택트에 접촉할 수 있다. 또, 이 때 플러그의 콘택트는 리셉터클에 의해 덮여져 보호되어 있다.
(5) (1) 내지 (4)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기단부측에 접속되는 프린트 기판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의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콘택트를, 예를 들어 0.5 ㎜의 좁은 간격으로 배열하고, 이들 복수의 콘택트를 프린트 기판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여기서, 프린트 기판의 배선 패턴을 방사형으로 넓어지는 방향으로 형성함으로써, 프린트 기판을 용이하게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할 수 있다.
(6) (1) 내지 (5) 중 어느 하나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 및 상기 헤더부를 둘러싸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제1 쉘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의 발명에 따르면, 금속 박판의 제1 쉘로 플러그 프레임부 및 헤더부를 둘러쌌으므로, 플러그 프레임부 및 헤더부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동시에, 실드하고 있다.
또한, 헤더부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의 개구부를 금속판으로 둘러싼 경우에는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접속함으로써, 플러그와 리셉터클을 일체로 실드할 수 있다.
(7) (6)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을 덮는 통형의 메탈 커버와, 이 메탈 커버를 덮는 케이블 쉴딩 클램프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7)의 발명에 따르면, 프린트 기판을 통형의 메탈 커버로 덮고, 이 메탈 커버를 케이블 쉴딩 클램프로 덮었으므로, 플러그와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와 케이블 쉴딩 클램프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보수 점검이 간단하다.
(8) 개구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이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통형으로 절연성의 플러그 프레임부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에 수용되어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노출되는 평판형으로 절연성의 헤더부와,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지지된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는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 부에 삽입 가능하고, 표리면에 병렬 배치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의 오목부에 계지 가능한 훅부와, 상기 훅부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를 갖고,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헤더부를 덮는 통형의 셔터 프레임부와, 이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버부와, 상기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로크 아암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9) (8)의 리셉터클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는 금속으로 된 제2 쉘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절연성이라 함은,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성질을 의미한다.
헤더부 및 플러그 프레임부는 전기 절연체인 합성 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좋다. 또한,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성형된 후, 일부를 기계 가공되어도 좋다. 또한, 깎아 냄 가공에 의해 형성되어도 좋다.
콘택트는 0.6 ㎜ 정도의 좋은 간격으로 배열된 판 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콘택트를 핀으로 하면, 이 핀을 끼워 넣는 슬롯형 소켓 핀이 필요하게 되므로, 슬롯형 소켓 핀끼리가 접촉될 우려가 있어 0.5 ㎜ 정도의 좁은 피치로 콘택트 를 배열할 수 없다.
콘택트의 극수는 인터페이스 커넥터로서 이용되는 경우, 40극 정도, 즉 헤더부의 한 쪽에 20개 정도가 된다. 또, 커넥터의 용도에 따라서 헤더부의 한 쪽에 13개(26극)까지 콘택트를 배열할 수 있다.
셔터 프레임부, 한 쌍의 레버부 및 한 쌍의 볼록부는 일체로 성형되어 좋다.
또한, 플러그 셔터의 셔터 프레임부는 플러그 프레임부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각 레버부를, 리셉터클을 향함에 따라 셔터 프레임부측에 접근하는 형상으로서도 좋다. 이와 같이 하면, 레버부의 외측면에 손가락을 얹어 용이하게 플러그 셔터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 이 레버부에 주름 또는 무늬를 형성함으로써,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를 설치해도 좋다.
각 로크 아암은 플러그 프레임부에 압입함으로써, 플러그 프레임부에 고정해도 된다. 또, 각 로크 아암을 일체로 하여, 나사 등의 체결구로 플러그 프레임부에 고정해도 된다.
각 작용 부재는 로크 아암의 일부를 절곡하여 형성되어도 좋고, 로크 아암에 미리 형성되어도 좋다.
이하에,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를 도면을 기초로 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100)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2a는 플러그(100)의 정면도, 도2b는 플러그(100)의 평면도이다. 또, 도2b의 우측 절반은 도2a의 X-X 단면도로 되어 있다.
도3a는 플러그(100)의 측면도, 도3b는 도2a의 Z-Z 단면도, 도3c는 도2a의 Y-Y 단면도이다.
마이크로 콘택트는 리셉터클(9)과, 이 리셉터클에 삽입되는 플러그(100)를 구비하고 있다.
플러그(100)는 절연성의 플러그 하우징(1)과, 한 쌍의 로크 아암(7A, 7B)과,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3)와, 한 쌍의 압축 코일 스프링(8)과, 후술하는 제1 쉘(4)(도2 참조)을 구비하고 있다.
리셉터클(9)은 통형이며, 내벽면에 홈(9A, 9B)이 형성되어 있다. 리셉터클(9)의 일단부측은 플러그(100)의 후술하는 헤더부(1A)가 삽입되는 개구부(90)로 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9)은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제2 쉘(94)을 구비하고, 이 제2 쉘(94)은 리셉터클 하우징(9)을 둘러싸는 동시에, 개구부(90)의 모서리로부터 내벽면까지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하우징(1)은 통형으로 절연성의 플러그 프레임부(1B)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1B)에 수용되어 선단부가 리셉터클(9) 측으로 노출되는 평판형으로 절연성의 헤더부(1A)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헤더부(1A)와 플러그 프레임부(1B)와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헤더부(1A)는 선단부가 리셉터클(9)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평판형의 부착판부(12)와, 이 부착판부(12)의 선단부에 설치된 갓부(11)를 구비하고, 이들 부 착판부(12) 및 갓부(11)는 단면 T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도3c 참조).
부착판부(12)의 표리면에는 복수의 홈이 빗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들의 홈에 복수의 콘택트(2)를 압입함으로써, 콘택트(2)는 소위 듀얼인라인형으로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2)는 굴곡 판 스프링으로 형성되어 있고, 굴곡 판 스프링의 굴곡 부분(21)이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콘택트(2)의 굴곡 부분(21)은 탄성 변형 가능하고, 그 높이는 갓부(11)의 높이보다 약간 높다(도3c 참조). 따라서, 헤더부(1A)가 리셉터클(9)에 삽입되면, 굴곡 부분(21)은 리셉터클(9)의 암형 콘택트에 압박되어 이 리셉터클(9)의 암형 콘택트로 탄성 변형하면서 접촉한다.
또한, 한 쌍으로 병렬 배치되어 있는 복수의 콘택트(2)에 있어서의 각각의 기단부측은 헤더부(1A)의 기단부측으로부터 연장되어 있다.
플러그 셔터(13)는 통형의 셔터 프레임부(31)와, 이 셔터 프레임부(3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플러그 프레임부(31)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버부(3A, 3B)와, 셔터 프레임부(31)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로크 아암(7A, 7B)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볼록부(3E, 3F)를 갖고 있다.
셔터 프레임부(31)는 내벽의 양측면에 축 방향에 따라서 복수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양단부면은 개구부(30)로 되어 있다.
이 셔터 프레임부(31)는 플러그 프레임부(1B)에 수용되고, 플러그 프레임부(1B)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진퇴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이 셔터 프레임부(31)가 리셉터클(9)을 향해 전진한 상태에서는 셔터 프레임부(31)의 선단부는 헤더부(1A)를 덮고 있다.
셔터 프레임부(31)의 레버부(3A) 측의 측면에는 개구실부(3C)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개구실부(3C)의 선단부에 레버부(3A)가 형성되고, 개구실부(3C)의 중앙에 볼록부(3E)가 형성되어 있다.
셔터 프레임부(31)의 레버부(3B) 측의 측면에는 개구실부(3D)가 형성되어 있어 이 개구실부(3D)의 선단부에 레버부(3B)가 형성되고, 개구실부(3D)의 중앙에 볼록부(3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셔터 프레임부(31), 레버부(3A, 3B), 볼록부(3E, 3F) 및 개구실부(3C, 3D)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레버부(3A, 3B) 및 볼록부(3E, 3F)는 플러그 프레임부(1B)의 측면으로부터 각각 노출되어 있다.
레버부(3A, 3B)는 리셉터클(9)을 향함에 따라 내측에 접근하는 형상이다. 이에 의해, 레버부(3A, 3B)에 손가락을 얹어 용이하게 플러그 셔터(3)를 후퇴시킬 수 있다. 또한, 레버부(3A, 3B)에는 주름이 형성되어 있어 손가락의 미끄럼 방지가 되어 있다.
제1 로크 아암(7A, 7B)은 판 스프링이며, 플러그 프레임부(1B) 내에 압입되어 플러그 프레임부(1B)의 양측면에 지지된다. 제1 로크 아암(7A, 7B)은 각각 리셉터클(9)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71A, 71B)와, 이 본체(71)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플러그 프레임부(1B)로부터 돌출하여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내벽에 계지 가능한 훅부(73A, 73B)와, 훅부(73A, 73B)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74A, 74B)를 갖고 있다.
훅부(73A, 73B)는 각각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단면 대략 삼각형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훅부(73A, 73B)의 외측 면은 사면부(73C, 73D)이며,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모서리에 접촉한다. 또한, 훅부(73A, 73B)의 기단부측 면은 플러그(100)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고, 개구부(90)의 내벽에 형성된 홈(9A, 9B)에 계지한다.
플러그(100)를 리셉터클(9)에 접속할 때에는 훅부(73A, 73B)의 사면부(73C, 73D)가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모서리에 안내되고, 플러그(100)를 리셉터클(9) 내부에 원활하게 삽입할 수 있다.
한편, 플러그(100)이 리셉터클(9)에 접속된 상태에서는 훅부(73A, 73B)의 기단부측 면이 플러그(100)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으므로, 훅부(73A, 73B)의 기단부측 면은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내벽에 확실하게 계지하여 플러그(100)의 탈락을 방지할 수 있다.
작용 부재(74A, 74B)와 볼록부(3E, 3F)는 서로 대향하는 경사면을 갖고 있다. 셔터 프레임부(31)를 도2b의 상태로 후퇴시킴으로써, 볼록부(3E, 3F)도 후퇴하고, 볼록부(3E, 3F)의 경사면에서 후술하는 작용 부재(74A, 74B)의 경사면을 압박하여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탄성 부재로서의 압축 코일 스프링(8)은 플러그 셔터(3)를 리셉터클(9) 측으로 압박한다. 압축 코일 스프링(8)의 일단부는 플러그 셔터(3)의 개구실부(3C, 3D)에 삽입되어 개구실부(3C, 3D)의 내벽에 접촉하고 있다. 압축 코일 스프링(8)의 타단부는, 후술하는 쉘(4)의 절곡 부재(4A, 4B)에 접촉하고 있다.
제1 쉘(4)은 판 두께 0.2 ㎜ 정도의 금속 박판을 절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제1 쉘(4)은 플러그 프레임부(1B) 및 헤더부(1A)의 외벽면에 밀착하여 포장하고 있다. 금속 박판의 제1 쉘(4)로 플러그 프레임부(1B) 및 헤더부(1A)를 둘러쌌으므로, 플러그 프레임부(1B) 및 헤더부(1A)를 구조적으로 보강하는 동시에, 실드할 수 있다.
또한, 쉘(4)의 하면의 대략 중앙에는 절곡 부재(4C, 4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 부재(4C, 4D)는, 후술하는 메탈 커버(61)의 관통 구멍(61C, 61D)에 끼워 맞추어진다.
쉘(4)의 하면 후단부측의 대략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재(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부재(41)는, 후술하는 절곡 부재(62C, 62D)에 끼워 넣어진다.
쉘(4)의 상면의 대략 중앙에는 절곡 부재(4E, 4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 부재(4E, 4F)는, 후술하는 메탈 커버(62)의 관통 구멍(62A, 62B)에 끼워 맞추어진다.
쉘(4)의 상면 후단부측의 대략 중앙에는 후방으로 돌출하는 돌출 부재(42)가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 부재(42)는, 후술하는 절곡 부재(61E, 61F)에 끼워 넣어진다.
쉘(4)의 상면의 돌출 부재(42)의 양측 및 하면의 돌출 부재(41)의 양측에는, 절곡 부재(4A, 4B)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 부재(4A, 4B)는 절곡되어 압축 코일 스프링(8)의 타단부를 지지한다. 또, 이들 절곡 부재(4A, 4B)는 개구실부(3C, 3D)에 압축 코일 스프링(8)을 삽입한 후에 절곡된다.
다음에, 플러그(100)가 적용된 케이블용 플러그(200)에 대해, 도4 내지 도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4a는 케이블용 플러그(200)의 평면도이며, 도4b는 도4a의 종단면도이다. 또, 도4a의 상측 절반은 평단면도로 되어 있다.
케이블용 플러그(200)는, 상술한 플러그(100)에다가 콘택트(2)의 기단부측에 접속되는 프린트 기판(5)과, 이 프린트 기판(5)을 덮는 메탈 커버(61, 62)와, 이 메탈 커버(61, 62)를 덮는 케이블 쉴딩 클램프(63)를 구비하고 있다.
도5는 프린트 기판(5)의 평면도이다.
프린트 기판(5)은 표리면에 배선(52)이 프린트되어 있다. 배선(52)은, 각각 콘택트(2)에 접속되는 라인 접속 단자(51)와,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되는 단말 랜드(53)를 구비하고 있다.
복수의 콘택트(2)는, 예를 들어 0.5 ㎜의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콘택트(2)의 기단부측에 라인 접속 단자(51)의 양면이 용착됨으로써, 프린트 기판(5)이 플러그(100)에 접속된다.
배선(52)은 방사형으로 넓어진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라인 접속 단자(51) 끼리의 간격은 좁고, 단말 랜드(53)끼리의 간격은 넓게 되어 있다. 이에 의해, 복수의 콘택트(2)를 케이블의 도체와 전기 접속할 때, 선 패턴(52)의 단말 랜드(53)를 케이블의 도체에 접속하는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즉, 이 프린트 기판(5)은 좁은 간격의 접속 단말을 넓은 간격의 접속 단말로 변환하는 중계 보드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프린트 기판(5)에 조정 저항이나 지연 소자 등의 전기 부품을 실장할 수도 있다.
도6은 케이블용 플러그(200)를 구성하는 메탈 커버의 사시도이다.
메탈 커버(61, 62)는 제1 메탈 커버(61)와, 제2 메탈 커버(62)가 조합되어 구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1)는, 예를 들어 두께 0.3 ㎜ 정도의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단면 역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1)는 바닥면(611)과, 이 바닥면(611)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측면(612, 613)을 갖고 있다.
바닥면(611)에는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61C, 61D)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61C, 61D)에는 제1 쉘(4)의 절곡 부재(4E, 4F)(도2a 참조)가 끼워 맞추어진다.
메탈 커버(61)의 관통 구멍(61C, 61D)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절곡 부재(61E, 61F)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 부재(61E, 61F)에는, 쉘(4)의 돌출 부재(42)(도3a 참조)가 끼워 넣어진다. 또한, 메탈 커버(61)의 절곡 부재(61E, 61F)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절곡 부재(61G)가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2)는, 예를 들어 두께 0.3 ㎜ 정도의 스테인레스 강판으로 단면 역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2)는 바닥면(621)과, 이 바닥면(621)의 양측에 세워 설치된 측면(622, 623)을 갖고 있다.
바닥면(621)에는 직사각형의 관통 구멍(62A, 62B)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관통 구멍(62A, 62B)에는 제1 쉘(4)의 절곡 부재(4C, 4D)(도2a 참조)가 끼워 넣어진다.
메탈 커버(62)의 관통 구멍(62A, 62B)의 후방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절곡 부재(62C, 62D)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절곡 부재(62C, 62D)에는 쉘(4)의 돌출 부재(41)가 끼워 넣어진다. 또한, 메탈 커버(62)의 절곡 부재(62C, 62D)의 후방에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절곡 부재(62E)가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1)의 측면(612, 613)에는, 각각 2개의 리브(61H)가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2)의 측면(622, 623)에는 내측으로 돌출하는 2개의 인덴트(62G)가 형성되어 있다.
메탈 커버(61)의 리브(61H)에 메탈 커버(62)의 인덴트(62G)가 끼워 맞춤으로써, 메탈 커버(61)와 메탈 커버(62)가 연결된다.
케이블 쉴딩 클램프(63)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각 통형이고, 메탈 커버(61, 62)를 덮고 있다.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의 상면측에는 오목부(63E)가 형성되어 있다.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의 하면측에는 오목부(63G)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오목부(63G, 63E)에 메탈 커버(61, 62)의 절곡 부재(61G, 62E)가 각각 끼워 맞추고 있다.
플러그(100)와 케이블은, 이하의 순서로 접속된다.
메탈 커버(61, 62)를 연결하고, 이 연결된 메탈 커버(61, 62)를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에 삽입함으로써, 메탈 커버(61, 62)를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에 부착한다.
다음에,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에 케이블을 삽입 관통하고, 이 케이블의 선단부측을 플러그(100)의 프린트 기판(5) 접속한다. 그 후, 케이블의 기단부측을 인장함으로써, 플러그(100)의 프린트 기판(5)을 메탈 커버(61, 62) 내에 수용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100)를 케이블 쉴딩 클램프(63)에 용이하게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100)와 케이블 쉴딩 클램프(63)를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으므로, 배선 공사나 보수 점검이 간단하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100)의 극수를 40극으로 하고, 콘택트(2)의 피치를 0.5 ㎜로 할 수 있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9)에 삽입하는 동작을 도7 및 도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플러그(100)의 레버부(3A) 측으로만 설명하지만, 플러그(100)의 레버부(3B) 측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도7a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9)에 삽입되기 전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7b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9)에 삽입되어 있는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9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9)에 삽입되어 로크된 상태의 종단면도이다.
도7a에서는 리셉터클(9)의 셔터(91)는 압축 코일 스프링(92)에 압박되어 개구부(90)를 향해 전진하고 개구부(90)를 폐쇄하고 있다.
이 상태로부터, 도7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3A)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플러그 셔터(3)를 리셉터클(9)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킨다. 이에 의해, 헤더부(1A)가 노출된다. 동시에, 플러그 셔터(3)의 볼록부(3E)는 로크 아암(7A)의 작용 부재(74A)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로크 아암(7A)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로크 아암(7A)의 훅부(73A)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00)의 헤더부(1A)를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에 삽입한다.
그 후, 레버부(3A)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만으로 플러그 셔터(3)가 압축 코일 스프링(8)에 압박되어 리셉터클(9) 측을 향해 전진한다. 그렇게 하면, 이 플러그 셔터(3)의 볼록부(3E)는 로크 아암(7A)의 작용 부재(74A)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7A)의 훅부(73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여 개구부(90)의 내벽에 형성된 홈(9A)에 계지한다. 이에 의해, 플러그(100)는 리셉터클(9)에 로크된다.
동시에, 전진한 플러그 셔터(3)의 셔터 프레임부(31)는 압축 코일 스프링(8)에 의해, 리셉터클(9)을 향해 전진하고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주위의 벽면에 접촉하여 정지한다. 이 플러그 셔터(3)는 압축 코일 스프링(8)에 의해, 리셉터클(9)을 향해 압박되어 있으므로, 플러그(100)와 리셉터클(9)의 로크 상태가 유지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플러그 셔터(3)가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의 주위의 벽면에 압박되어 후퇴하고 있으므로, 헤더부(1A)가 노출되어 있지만, 이 헤더부(1A)는 리셉터클(9)로 덮여져 보호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는,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100)의 헤더부(1A)가 리셉터클(9)의 개구부(90)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플러그(100)의 제1 쉘(4)과 리셉터클(9)의 제2 쉘(94)이 접속되어, 플러그(100)와 리셉터클(9)을 일체로 실드하고 있다.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관한 플러그(100)를 리셉터클(9)로부터 인발하는 동 작을, 도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8a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9)에 삽입된 상태의 평단면도이고, 도8b는 플러그(100)가 리셉터클(9)로부터 인발되어 있는 상태의 평단면도이다.
도8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부(3A)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플러그 셔터(13)를 리셉터클(9)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킨다. 이에 의해, 도8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셔터(3)의 볼록부(3E)는 로크 아암(7A)의 작용 부재(74A)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로크 아암(7A)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로크 아암(7A)의 훅부(73A)를 내측으로 이동시킨다. 이 상태에서, 플러그(100)의 헤더부(1A)를 리셉터클(9)의 개구부(90)로부터 인발한다.
그 후, 레버부(3A)로부터 손가락을 떼는 것만으로 플러그 셔터(3)가 압축 코일 스프링(8)으로 압박되어 리셉터클(9) 측을 향해 전진한다. 그렇게 하면, 이 플러그 셔터(3)의 볼록부(3E)는 로크 아암(7A)의 작용 부재(74A)로부터 이격하기 때문에, 로크 아암(7A)의 훅부(73A)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전진한 플러그 셔터(3)의 셔터 프레임부(31)는 헤더부(1A)를 보호한다.
본 발명의 플러그 및 리셉터클에 따르면, 이하와 같은 효과가 있다.
플러그를 리셉터클에 확실하게 접속할 수 있고, 또한 플러그를 리셉터클로부터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플러그를 흔들면서 리셉터클로부터 인발하는 일도 없으므로, 다른 부품이 콘택트에 대해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하지 않는다. 따라서, 콘택트의 변형을 방지하여 콘택트끼리의 접촉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9)

  1.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되는 플러그이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통형으로 절연성의 플러그 프레임부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에 수용되어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노출되는 평판형으로 절연성의 헤더부와,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지지된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는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표리면에 병렬 배치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의 오목부에 계지 가능한 훅부와, 상기 훅부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를 갖고,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헤더부를 덮는 통형의 셔터 프레임부와, 이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버부와, 상기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로크 아암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과 반 대측을 향해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압박하는 탄성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훅부는 각각 선단부를 향함에 따라 가늘어지는 삼각형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훅부의 기단부측 면은 상기 플러그의 삽입 발출 방향으로 직교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셔터 프레임부는 상기 플러그 셔터가 전진한 상태에서는 상기 헤더부를 덮고, 상기 플러그 셔터가 후퇴한 상태에서는 상기 헤더부를 노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의 기단부측에 접속되는 프린트 기판을 더 구비하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 및 상기 헤더부를 둘러싸는 금속 박판으로 형성된 제1 쉘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프린트 기판을 덮는 통형의 메탈 커버와, 이 메탈 커버를 덮는 케이블 쉴딩 클램프를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
  8. 개구부에 플러그가 삽입되는 리셉터클이며,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개구부의 내벽에 오목부를 갖고,
    상기 플러그는 통형으로 절연성의 플러그 프레임부와, 이 플러그 프레임부에 수용되어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측으로 노출되는 평판형으로 절연성의 헤더부와,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지지된 한 쌍의 로크 아암과,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에 대해 삽입 발출 방향에 따라서 진퇴 가능하게 설치된 절연성의 플러그 셔터를 구비하고,
    상기 헤더부는 선단부가 상기 리셉터클의 개구부에 삽입 가능하고, 표리면에 병렬 배치된 콘택트를 갖고,
    상기 한 쌍의 로크 아암은 각각 상기 리셉터클을 향해 연장되는 본체와, 이 본체의 선단부측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고 상기 리셉터클의 오목부에 계지 가능한 훅부와, 상기 훅부보다도 기단부측에 형성된 작용 부재를 갖고,
    상기 플러그 셔터는 상기 헤더부를 덮는 통형의 셔터 프레임부와, 이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프레임부로부터 돌출하는 한 쌍의 레버부와, 상기 셔터 프레임부의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각 로크 아암에 대향 배치된 한 쌍의 볼록부를 갖고,
    상기 레버부를 손가락으로 압박하여 상기 플러그 셔터를 상기 리셉터클과 반대측을 향해 후퇴시킴으로써, 상기 플러그 셔터의 볼록부는 상기 로크 아암의 작용 부재를 내측으로 압박하여 상기 로크 아암을 내측으로 탄성 변형시키고, 상기 로크 아암의 훅부를 내측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의 모서리는 금속으로 된 제2 쉘로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셉터클.
KR1020040012088A 2003-02-25 2004-02-24 플러그 및 리셉터클 KR1010001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3-00048125 2003-02-25
JP2003048125A JP4102680B2 (ja) 2003-02-25 2003-02-25 プラグのロック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50A KR20040078050A (ko) 2004-09-08
KR101000199B1 true KR101000199B1 (ko) 2010-12-10

Family

ID=327677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12088A KR101000199B1 (ko) 2003-02-25 2004-02-24 플러그 및 리셉터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866535B2 (ko)
EP (1) EP1453148A3 (ko)
JP (1) JP4102680B2 (ko)
KR (1) KR101000199B1 (ko)
CN (1) CN100362705C (ko)
TW (1) TWI24231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61868U (en) * 2004-06-18 2005-04-11 Advanced Connectek Inc An electrical connector with a latch device
DE102004046259B3 (de) * 2004-09-23 2006-03-09 Harting Electronics Gmbh & Co. Kg Verriegelung für eine Steckverbindung
US8109883B2 (en) 2006-09-28 2012-02-07 Tyco Healthcare Group Lp Cable monitoring apparatus
US8668651B2 (en) 2006-12-05 2014-03-11 Covidien Lp ECG lead set and ECG adapter system
SG152104A1 (en) * 2007-11-07 2009-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SG152103A1 (en) * 2007-11-07 2009-05-29 3M Innovative Properties Co Connector
CA2646037C (en) 2007-12-11 2017-11-28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electrode connector
JP2009153776A (ja) * 2007-12-27 2009-07-16 Chinontec Kk 内視鏡および内視鏡の製造法ならびに内視鏡のコネクタ脱着用治具
JP5080336B2 (ja) * 2008-04-04 2012-11-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基板実装用コネクタ
KR101407733B1 (ko) 2008-08-27 2014-06-16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커넥터 어셈블리
USD737979S1 (en) 2008-12-09 2015-09-01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CN201440526U (zh) * 2009-05-11 2010-04-21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5327461B2 (ja) * 2009-05-13 2013-10-30 第一精工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US8694080B2 (en) * 2009-10-21 2014-04-08 Covidien Lp ECG lead system
CA2746944C (en) 2010-07-29 2018-09-25 Tyco Healthcare Group Lp Ecg adapter system and method
JP5134098B2 (ja) * 2011-01-19 2013-01-30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フラットケーブルコネクタ組立体
CN103687537B (zh) 2011-07-22 2016-02-24 柯惠有限合伙公司 Ecg电极连接器
US8634901B2 (en) 2011-09-30 2014-01-21 Covidien Lp ECG leadwire system with noise suppression and related methods
JP5500744B1 (ja) * 2013-02-21 2014-05-21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US9093787B2 (en) * 2013-03-15 2015-07-28 Amphenol Corporation Latching connector assembly
US9408546B2 (en) 2013-03-15 2016-08-09 Covidien Lp Radiolucent ECG electrode system
USD771818S1 (en) 2013-03-15 2016-11-15 Covidien Lp ECG electrode connector
WO2014149548A1 (en) 2013-03-15 2014-09-25 Covidien Lp Electrode connector with a conductive member
KR101486412B1 (ko) * 2013-07-26 2015-01-26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컨넥터
FR3017252B1 (fr) 2014-02-03 2016-03-11 Nicomatic Connecteur et ensemble connecteur correspondant
US9735494B2 (en) * 2014-04-30 2017-08-15 Te Connectivity Corporation Pluggable connector having a protective front wall
US9520669B2 (en) * 2014-05-19 2016-12-13 Yazaki North America, Inc. Connector assembly with male terminal protector
US10026630B2 (en) * 2014-05-27 2018-07-17 Applied Materials, Inc. Retention and insulation features for lamp
US9419362B2 (en) * 2014-08-06 2016-08-16 Foxconn Interconnect Technology Limited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10424863B1 (en) 2018-11-13 2019-09-24 Eaton Intelligent Power Limited Electrical receptacle and tamper-resistant shutter assembly therefor
TWI727689B (zh) * 2020-03-04 2021-05-11 宏致電子股份有限公司 電連接器之扣合結構
CN113437564B (zh) * 2020-03-18 2023-02-03 昆山宏致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的扣合结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58A (ja) * 1992-07-10 1994-02-04 Fujitsu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
JPH0817102A (ja) * 1994-06-29 1996-01-19 Sony Corp 駆動力伝達切り換え機構及びテーププレーヤ装置
JP2001319726A (ja) * 2000-05-08 2001-11-16 Smk Corp シャッター付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て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44181B (en) * 1990-04-13 1994-12-21 Oki Electric Cable Double lock male/female type connector
JPH0589926A (ja) 1991-09-27 1993-04-09 Fujikura Ltd 低挿入力コネクタ
DE4238202C2 (de) 1991-11-11 1994-10-20 Kansei Kk Elektrischer Steckverbinder
JP2514466Y2 (ja) 1991-11-29 1996-10-1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保護コネクタ
JPH0729636A (ja) 1993-07-07 1995-01-31 Toshiba Corp コネクタ装置
US5435744A (en) 1994-05-19 1995-07-25 The Whitaker Corporation Sliding boot assembly for electrical connector
US5626482A (en) * 1994-12-15 1997-05-06 Molex Incorporated Low profile surface mountable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5599207A (en) * 1995-04-24 1997-02-04 Lai; Chin T.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mounting device
JPH0963694A (ja) 1995-08-21 1997-03-07 Honda Tsushin Kogyo Kk ロック機構を有するコネクタ
US5749746A (en) * 1995-09-26 1998-05-12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Cable connector structure
FR2747518B1 (fr) 1996-04-12 1998-06-05 Framatome Connectors France Connecteur blinde du type comprenant une fiche et une embase et muni d'un organe de verrouillage/deverrouillage
DE19621614C1 (de) * 1996-05-30 1997-12-18 Itt Cannon Gmbh Steckverbinder
CN2269650Y (zh) * 1996-06-27 1997-12-03 鸿海精密工业股份有限公司 电缆连接器
JP3331406B2 (ja) 1998-05-18 2002-10-0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ロック用バネ着脱治具
JP2001217040A (ja) 2000-01-31 2001-08-10 Itt Cannon:Kk 多芯コネクタ
TW440076U (en) * 2000-03-03 2001-06-07 Hon Hai Prec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FR2806218B1 (fr) * 2000-03-10 2004-09-10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d'entree/sortie du type fiche
NL1015918C2 (nl) * 2000-08-11 2002-02-12 Fci Mechelen N V Kabelconnector en kit voor het maken van een kabelconnector.
JP2002110295A (ja) * 2000-10-02 2002-04-12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組立体およびこれに用いられる雄コネクタ
JP3431608B2 (ja) 2001-03-06 2003-07-28 山一電機株式会社 カードコネクタ
US6786755B2 (en) * 2002-03-27 2004-09-07 Molex Incorporated Differential signal connector assembly with improved retention capabilities
US6589066B1 (en) * 2002-07-30 2003-07-08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latch mechanism
US6743053B2 (en) * 2002-08-09 2004-06-01 Hon Hai Precision Ind. Co., Ltd. Electrical connector with improved space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9058A (ja) * 1992-07-10 1994-02-04 Fujitsu Ltd ロック機構付コネクタ
JPH0817102A (ja) * 1994-06-29 1996-01-19 Sony Corp 駆動力伝達切り換え機構及びテーププレーヤ装置
JP2001319726A (ja) * 2000-05-08 2001-11-16 Smk Corp シャッター付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て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40166711A1 (en) 2004-08-26
EP1453148A3 (en) 2009-09-23
EP1453148A2 (en) 2004-09-01
TWI242313B (en) 2005-10-21
JP2004259552A (ja) 2004-09-16
US6866535B2 (en) 2005-03-15
CN100362705C (zh) 2008-01-16
TW200505103A (en) 2005-02-01
JP4102680B2 (ja) 2008-06-18
CN1525607A (zh) 2004-09-01
KR20040078050A (ko)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00199B1 (ko) 플러그 및 리셉터클
US7238032B2 (en) Connector arrangement between a flat flex cable and a component
US5934939A (en) Shielded connector, notably of the type comprising a plug and a socket designed to be attached to a flat support
JP6190245B2 (ja) 端子金具、及び、それを備える電気コネクタ
EP1662621A1 (en) Electrical connector
US6386905B1 (en) Flat cable connector
JP4479989B2 (ja) コネクタ
JP2004165046A (ja) 平型導体の接続のための電気コネクタ
JP2018120686A (ja) コネクタ
US7044783B2 (en) Electrical system with device for preventing electrostatic discharge
WO2015112975A1 (en) Electrical connector
US4576427A (en) Zero insertion and extraction force connector
CN110739585B (zh) 具有反冲件的高频连接器
JP2006216434A (ja) ロックコネクタ
TWI294198B (en) Electrical card connector
WO1994029929A1 (en) Quick connect and disconnect electrical terminal
KR20010062541A (ko) 전기 커넥터 조립체
JP6356504B2 (ja) コネクタ
US7351079B2 (en) Card connector
WO2014171303A1 (ja) シールドコネクタ
US6957975B2 (en) Plug connector housing with locking mechanism and plug connector having such housing
EP0004708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ejector mechanism
JP2006114437A (ja) カードコネクタ
JP2757121B2 (ja) ソケットコネクタ
JPH052869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