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00138B1 -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 Google Patents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00138B1
KR101000138B1 KR1020070082332A KR20070082332A KR101000138B1 KR 101000138 B1 KR101000138 B1 KR 101000138B1 KR 1020070082332 A KR1020070082332 A KR 1020070082332A KR 20070082332 A KR20070082332 A KR 20070082332A KR 101000138 B1 KR101000138 B1 KR 101000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rylate
meth
color filter
acid
ink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23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17846A (ko
Inventor
유민아
하덕식
김재준
김한수
김미애
김대현
유지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KR10200700823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00138B1/ko
Publication of KR200900178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178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00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00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 G03F7/028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with photosensitivity-increasing substances, e.g. photoinitia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5Photosensitive materials with organic non-macromolecular light-sensitive compoun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issolution inhibito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047Photosensitive materials characterised by additives for obtaining a metallic or ceramic pattern, e.g. by fir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4Photosensitive materials
    • G03F7/027Non-macromolecular photopolymerisable compounds having carbon-to-carbon double bonds, e.g. ethylenic compoun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Inks, Pencil-Leads, Or Crayons (AREA)
  • Optical Fil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은, 산가가 5 내지 300 ㎎KOH/g인 바인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제조함에 있어서 잉크 토출구인 헤드 노즐이 폐색되어 공정 진행이 중단되거나 잉크의 불균일한 분사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가 해결되어 제조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간소하게 운용할 수 있으며, 높은 수율의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컬러 필터, 잉크, 잉크젯, 안료, 응집, 노즐, 산가, 바인더

Description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Ink composition for manufacturing of color filter}
본 발명은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일정한 범위 내의 산가를 갖는 바인더 폴리머를 포함함으로써 안료의 응집 문제가 해결되어 잉크젯을 이용한 인쇄 공정의 작업성을 개선하여 수율이 향상된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컬러 필터 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제조하는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은 다음과 같이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기판에 감광성 조성물을 코팅하고, 진공 건조 공정을 거치면서 코팅층 내의 용매 일부를 제거하고, 핫 플레이트에서 나머지 잔여 용매를 추가적으로 제거한다. 이후, 원하는 패턴 형상을 갖는 마스크를 통해 광에너지를 조사하고, 비노광부를 현상액으로 제거한 후 오븐을 이용하여 베이킹하여 각각의 화소를 제조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서는 노광 고정 후, 비노광부가 알칼리 현상액에 쉽게 용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카르복시기(-COOH)를 포함하고 있는 바인더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컬러 필터의 정교성과 재현성 측면에서는 우수하지만, 화소를 형성하기 위해, 3원색의 안료를 포함하는 각각의 감광성 조성물을 각각 코팅, 노광, 현상 및 경화하는 과정이 요구되어 제조 공정 라인이 너무 길어지고, 공정 간 제어 인자가 너무 많아짐에 따라 수율 관리가 용이하지 못하며, 높은 색 재현율 구현을 위해 두꺼운 코팅층 형성이 요구되어 실제 생산 공정에서 여러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잉크젯 헤드를 사용한 액상의 잉크를 기판 상에 프린팅하여 곧바로 원하는 패턴을 형성하는 잉크젯 방식이 제시되고 있다.
잉크젯 방법은 3원색의 안료(R, G 및 B)를 포함하는 잉크를 기판 상에 분사하여 각각의 잉크가 착색된 이미지 부분으로서 원하는 패턴의 화소를 형성하는 방법으로서, 그 제조 공정이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비하여 현저하게 간소화됨으로써 제조 비용의 절감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잉크젯 방법은 버블젯 방식과 피에조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버블젯 방식은 전기 열판에 전기를 가하여 수증기 거품을 발생시키고, 이들 수증기 거품이 잉크를 밀어내는 원리로서 수성 잉크에만 적용할 수 있는 한계가 있다. 피에조 방식은 세라믹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전기를 가함으로써 발생되는 압력을 이용하여 잉크를 밀어내어 프린팅하는 방식으로서, 버블젯 방식과는 달리 수성 잉크는 물론 유성 잉크 모두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컬러 필터 또는 블랙 매트릭스를 잉크젯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함에 있어서는, 노광 공정 및 현상 공정이 필요하지 않으며, 잉크젯 헤드의 노즐을 통해 기판 상에 곧바로 원하는 패턴의 잉크가 분사되어 형성되므로, 사용되는 바인더에 카르복시기가 반드시 포함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잉크젯 프린터의 잉크가 분출되는 헤드의 노즐부에서 잉크 내의 휘발성 용매가 너무 쉽게 제거되면서 잉크 조성물의 성분들이 서로 응집되어 노즐의 잉크 토출구가 막혀 공정 진행이 불가능해지거나, 불균일한 잉크의 토출이 일어남으로써 균일한 화소의 제조가 어려워지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에 대한 대책이 요구되고 있다. 또한, 잉크 조성물의 응집 현상이 과도하게 진행되는 경우에는 잉크 토출구는 물론, 잉크를 공급하는 배관 라인을 폐색시키는 문제까지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별도의 클리닝 공정을 진행하여야 하므로, 작업 공정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의 포토리소그래피 방법에 의한 패턴 형성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시되고 있는 잉크젯 방법에 있어서 잉크 토출구인 헤드 노즐이 폐색되어 공정 진행이 중단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기술적 배경하에서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잉크젯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제조함에 있어서 잉크 토출구인 헤드 노즐이 폐색되어 공정 진행이 중단되거나 잉크의 불균일한 분사로 인해 인쇄 불량이 발생되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에 있으며, 이러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할 수 있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을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컬러 필터제조용 잉크 조성물은, 산가가 5 내지 300 ㎎KOH/g인 바인더 폴리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은, 1 내지 20 중량%의 산가가 5 내지 300 ㎎KOH/g인 바인더 폴리머와, 10 내지 50 중량%의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2 내지 15 중량%의 착색제, 0.05 내지 5 중량%의 열중합개시제, 및 40 내지 86 중량%의 용매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미량의 계면활성제 및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및 상기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가 단독 또는 혼합된 물질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메타)아크릴산, 크로톤산, 이타콘산, 말레인 산, 푸마린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및 스티렌 술폰산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로서,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 (메타)아크릴레 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β-(메타)아실옥시에틸히드로겐 수시네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 등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괄호로 표시된 (메타)의 표시는 메타를 포함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동시에 표현하기 위한 것이며, 이하에서도 동일한 의미로 표시되었다.
또한,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열에 의해 형성된 라디칼에 의해 가교가 일어날 수 있도록 바인더 폴리머 내에 소정의 반응성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성기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 벤질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4-메틸-4,5-에폭시펜텐,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및 노보닐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 등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전체 조성물 중 1 내지 2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함량 미달로 인하여 완성된 컬러 패턴의 내화학성 및 막강도가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으며, 함량 초과로 인하여 완성된 컬러 패턴과 기판과의 밀착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그 산가가 5 내지 300 KOH ㎎/g이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에 도입된 산가의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이를 만족하면, 잉크젯 헤드의 노즐부에서 잉크 토출구인 헤드 노즐이 폐색되지 않고 인쇄 공정이 원활하게 진행되며, 잉크가 균일하게 분사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00,00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인더 폴리머의 중량평균분자량에 대한 수치범위를 만족하면, 적정한 함량으로서 바인더 폴리머로서의 기능이 충분하게 수행되며, 함량 미달로 인하여 완성된 컬러 패턴의 내화학성 및 막강도가 충분하게 발현되지 못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그 내부에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포함하고 있 으면 바람직하며, 전체 조성물 중 10 내지 50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와 관련하여,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하면, 함량 미달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불충분한 가교 진행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이중결합을 가지는 다관능성 모노머는, 그 분자 내에 적어도 1 개 이상의 부가중합 가능한 불포화기를 갖는 관능성 모노머가 이용되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성 모노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아크릴레이트, 또는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 등의 물질이 이용되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는, 전체 조성물 중 0.05 내지 5 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면 바람직하다. 상기 열중합 개시제의 함량에 대한 수치 범위를 만족하면, 라디칼이 충분하게 발생되어 열중합이 적절하게 진행되어 바람직하며, 함량 초과로 인해 열중합개시제가 용해되지 못하고 이로 인해 초래될 수 있는 컬러필터 막의 표면 불량의 문제, 경화에 참여하지 않은 라디칼에 의한 오염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아조계 열개시제가 사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용매는, 비점이 150℃ 이상의 휘발성이 적은 용매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용매는,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톡시 에탄올, 에톡시 에탄올, 부톡시 에탄올, 에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부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등이 이용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잉크젯 방법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소 패턴을 제조함에 있어서 잉크 토출구인 헤드 노즐이 폐색되어 공정 진행이 중단되거나 잉크의 불균일한 분사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가 해결되어 제조 공정을 보다 원활하고 간소하게 운용할 수 있으며, 높은 수율의 컬러 필터를 제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
하기 표 1과 같이 사용된 바인더의 분자량 및 산가를 달리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로 구분 설정한 후, 이에 따라 각각의 잉크 조성물을 제조한 후, 잉크 분사 특 성을 관찰하여 하기 표 1 내에 그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의 실시예로서, 청색 안료 분산액 30중량%(안료 함량 5 중량%), 바인더로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와 (메타)아크릴산이 70:30의 몰비로 형성된 공중합체에 알릴글리시딜 에테르가 부가된 중합체(산가 8.37 ㎎KOH/g, Mw = 21,000) 4 중량%, 다관능성 모노머로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아크릴레이트 10 중량%, 아조계 열중합개시제 0.5 중량%, 레벨링제로 계면활성제 0.1 중량%, 용매로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55.4 중량%를 혼합하였다. 이를 5 시간 동안 교반하여 청색의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바인더 폴리머의 산가를 1.35 ㎎KOH/g, 중량평균분자량을 24,000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잉크 조성물은 동일하다.
구 분 비교예 실시예
바인더 분자량 24,000 21,000
산가(㎎KOH/g) 1.35 8.37
잉크분사특성 (Jetting test) 노즐 젖음성(wetting),
미토출 노즐 다량 발생
잉크 분사 지속성 양호,
노즐개별제어 평가 양호
상기 표 1에 따라 준비된 각각의 잉크 조성물을 이용하여 잉크 분사 특성(Jetting Stability)을 관찰하여, 실시예에 따른 결과를 도 1 및 도 2를 통해 나타내었고, 비교예에 관해서는 도 3을 통해 각각 나타내었다.
잉크 분사 특성이라 함은, 동일한 인쇄 펄스 조건에서 잉크의 분출속도가 동일하게 재현되는 능력을 의미하며, 이러한 특성이 양호하게 평가되어야 균일한 패턴 인쇄가 안정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잉크 분사 지속성 항목은, 일정 시간 동안 미토출 발생 없이 안정적으로 잉크 분출 상태를 유지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10여분 동안 4회에 걸쳐 전노즐에서 잉크가 안정적으로 분출되는지 확인하였다. 또 다른 평가 항목으로서, 노즐 개별 제어(Driver Per Nozzle, 이하 DPN이라고도 약칭함) 항목은, 인쇄가 진행되는 동안 전 노즐의 속도 편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제어하여 인쇄된 패턴의 균일성을 확보하여 얼룩을 방지하는 것이다. 잉크가 인쇄 장치의 헤드 노즐부에서 응집되거나 잉크 배관 중간부에서 응집이 일어나게 되면, 전술한 3가지 평가항목에서 좋지 않은 평가를 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잉크 조성물을 이용한 잉크 분사 지속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에서, 세로축은 잉크의 적하속도(Droplet velocity, m/s)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노즐 번호를 나타낸다. 가로축에 나타낸 총 128개의 잉크 분사 노즐을 갖는 프린터 헤드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0여분 동안 4회(#1~4 scan)에 걸쳐 전 노즐에 대해 잉크의 분출 상황을 관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결과로부터, 스캔 회수에 무관하게 잉크의 분출 또는 적하 속도가 균일하게 나타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잉크 조성물의 노즐 개별 제어 특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에서, 세로축은 잉크의 적하속도(Droplet velocity, m/s)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노즐 번호를 나타낸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초기(start)에는 노즐에 따라서 잉크의 적하속도가 1m/s 이상의 편차를 보이고 있다. 이에 대해 노즐 개별 제어를 통해 적정한 보정 과정(# 1~4 calibration)을 진행하면서 전 노즐에서의 잉크 적하 속도 편차가 10% 범위 이내로 안정화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비교예 잉크 조성물의 노즐 개별 제어 특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시된 바에서, 세로축은 잉크의 적하속도(Droplet velocity, m/s)를 나타내며, 가로축은 노즐 번호를 나타낸다. 가로축에 나타낸 총 128개의 잉크 분사 노즐을 갖는 프린터 헤드로 실험을 진행하였으며, 10여분 동안 4회(#1~4 scan)에 걸쳐 전 노즐에 대해 잉크의 분출 상황을 관찰한 것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볼 수 있듯이 잉크의 미토출이 다량 발생하였다. 잉크의 적하속도가 0 m/s로 표시된 것은 잉크의 미토출을 의미한다. 미토출이 다량 발생하여 DPN 제어가 불가능함을 알 수 있다.
도 4 및 5는 비교예 및 실시예 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1 주일 동안 대기 중에 방치한 후에 관찰한 각각의 사진들이다.
도시된 바에 따르면, 비교예의 경우(도 4)에는 잉크 조성물은 내부적으로 응집 현상이 발생되면서 그 점도가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는 반면, 실시예의 경우(도 5)에는 잉크 조성물의 응집이 없이 초기 액상의 점도가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로부터, 본 발명에 따르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의 경우에는 패턴 인쇄시 헤드 노즐부나 배관부에서의 응집 현상이 발생되지 않아 종래와 같은 인쇄 불량의 문제가 해결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최적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사용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전술한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시키기 위한 자료로서 제시되는 것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만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않아야 함은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잉크 조성물의 분사 지속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잉크 조성물의 노즐 개별 제어 특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대비되는 비교예 조성물의 분사 지속성을 관찰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5는 비교예 및 실시예에 따른 잉크 조성물을 1 주일 동안 대기 중에 방치한 후에 관찰한 각각의 사진들이다.

Claims (11)

  1. 산가가 5 내지 300 ㎎KOH/g인 바인더 폴리머를 포함하며,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고,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린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및 스티렌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며,
    잉크 적하 속도 편차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2. 1 내지 20 중량%의 산가가 5 내지 300 ㎎KOH/g인 바인더 폴리머;
    10 내지 50 중량%의 에틸렌성 불포화 결합을 갖는 중합성 화합물;
    2 내지 15 중량%의 착색제;
    0.05 내지 5 중량%의 열중합개시제; 및
    40 내지 86 중량%의 용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 및 이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와의 공중합체에서 선택된 하나의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고,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는, 크로톤산, 이타콘산, 푸마린산, 모노메틸 말레인산, 이소프렌 술폰산 및 스티렌 술폰산으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이며,
    잉크 적하 속도 편차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그 중량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4. 삭제
  5. 삭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산기를 포함하는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는, 스티렌, 클로로 스티렌, α-메틸 스티렌, 비닐톨루엔, 메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 (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닐 (메타)아크릴레이트, 2-페녹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퍼프릴 (메타)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클로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아실옥틸옥시-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 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트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디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p-노닐페녹시폴리프로필렌글리콜 (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1,1,1,3,3,3-헥사플루오로이소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 (메타)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 (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 (메타)아크릴레이트, β-(메타)아실옥시에틸히드로겐 수시네이트, 메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에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프로필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 및 부틸 α-히드록시메틸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 폴리머는, 글리시딜 (메타)아크릴레이트, 비닐 벤질글리시딜 에테르, 비닐 글리시딜 에테르, 알릴글리시딜 에테르, 4-메틸-4,5-에폭시펜텐,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 γ-글리시독시 프로필 트리에톡시 실란, 및 노보닐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단일물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반응성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성 화합물은, 폴리에틸렌 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 필렌 글리콜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단관능성 모노머, 폴리에틸렌 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에탄 트리 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 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 트리 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 아크릴레이트, 및 디펜타에리트리톨 헥사 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중합개시제는, 아조계 열개시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그 비점이 150℃ 이상인 저휘발성 용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저휘발성 용매는, 부틸 카비톨 아세테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에테르 아세테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 메틸에테르 아세테이트, 메톡시 에탄올, 에톡시 에탄올, 부톡시 에탄올, 에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및 부톡시 에틸 아세테이트 로 이루어진 물질군으로부터 선택된 단일물 또는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KR1020070082332A 2007-08-16 2007-08-16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KR101000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32A KR101000138B1 (ko) 2007-08-16 2007-08-16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2332A KR101000138B1 (ko) 2007-08-16 2007-08-16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46A KR20090017846A (ko) 2009-02-19
KR101000138B1 true KR101000138B1 (ko) 2010-12-10

Family

ID=40686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2332A KR101000138B1 (ko) 2007-08-16 2007-08-16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0013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8607B1 (ko) * 2012-05-31 2016-08-16 주식회사 엘지화학 잉크 조성물, 이를 이용한 컬러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2128A (ja) * 2004-05-19 2006-01-0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ンクジェッ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02128A (ja) * 2004-05-19 2006-01-05 Mitsubishi Chemicals Corp インクジェット用硬化性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17846A (ko) 2009-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35175B2 (ja) インク組成物及び前記インク組成物を含むカラーフィルター
US9175181B2 (en) Thermal inkjet latex inks
JP5414367B2 (ja) 顔料分散物及びそれを用いたインク組成物
CN1555404A (zh) 用于喷墨印刷的水性着色油墨的聚合物分散剂
KR20120027267A (ko) 고 신장 열 성형 잉크-젯 잉크
KR100986287B1 (ko) 잉크젯 토출장치
JP5241810B2 (ja) インク組成物、インクセットおよび画像形成方法
US20040080574A1 (en) Ink jet printer, image recording method, ink for ink jet printer and recording head
EP2423278A1 (en) Ink composition, image forming method and printed matter
JP2008197506A (ja) カラーフィルター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クの評価方法
JP5446930B2 (ja) 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受容層形成用コート剤、それを用いた記録媒体及び印刷物
KR101000138B1 (ko) 컬러 필터 제조용 잉크 조성물
KR101171177B1 (ko) 잉크 조성물 및 상기 잉크 조성물을 포함하는 컬러 필터
KR101134488B1 (ko) 잉크젯 공정에 의한 컬러필터 형성방법
KR20180104558A (ko) 2성분 잉크 분사 가능한 프라이머 및 3d 물체 상에 인쇄하기 위한 잉크에 대한 접착 촉진제의 혼입
CN101669046B (zh) 滤色器用油墨及滤色器制造方法
KR100742121B1 (ko) 열경화성 잉크젯 잉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칼라필터
Chang et al. Influence of UV-curable compositions and rib properties on ink-jet-type color filter performance
JP2012118360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カラーフィルタ
JP5518292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の製造方法
WO2014136355A1 (ja) 水圧転写向け非水系インクジェット用インク組成物およびこれを用いた印刷物
JP4363043B2 (ja) 表示装置用カラーフィルタ
JP2007302863A (ja) インクジェット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組成物
JP2012203157A (ja) カラーフィルタ用インクジェットインキ
JP4819241B2 (ja) 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用着色樹脂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の製造方法及びカラーフィルター基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1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