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9029B1 - 백업유닛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백업유닛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9029B1
KR100999029B1 KR1020080065692A KR20080065692A KR100999029B1 KR 100999029 B1 KR100999029 B1 KR 100999029B1 KR 1020080065692 A KR1020080065692 A KR 1020080065692A KR 20080065692 A KR20080065692 A KR 20080065692A KR 100999029 B1 KR100999029 B1 KR 100999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up unit
coupled
unit
backup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56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5597A (ko
Inventor
배광명
Original Assignee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래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미래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56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9029B1/ko
Publication of KR20100005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55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9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9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67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 H01L21/683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wafers during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electric solid state devices or components ; Apparatu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supporting or gripp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2Feeding of compon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upply And Installment Of Electrical Compon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표면실장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백업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리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들이 인쇄회기판에 정확하게 실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백업유닛, 인쇄회로기판, 표면실장기

Description

백업유닛 승강장치{Back-up unit Up/Down Apparatus}
본 발명은 표면실장기에 관한 것으로, 인쇄회로기판(PCB, Printed Circuit Board)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백업유닛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적회로, 저항기 또는 스위치 등의 전자부품(이하, '전자부품'이라 함)들은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이러한 전자부품들을 인쇄회로기판에 자동으로 실장하는 장비가 표면실장기이다.
상기 표면실장기는 인쇄회로기판에 실장될 전자부품들을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공급부에서 전자부품들을 픽업하여 인쇄회로기판에 실장하는 헤드부, 및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이송부를 포함한다. 상기 헤드부에 의해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은 실장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표면실장기는 실장위치에 설치되는 백업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유닛은,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이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되도록 한다. 상기 백업유닛은,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리거나 휘어짐으로 인해, 전자부품들이 정확하게 실장되지 못하거나, 인쇄회로기판에 휨변형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 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업유닛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상기 백업유닛(100)은 백업플레이트(101) 및 백업부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플레이트(101)는 승강장치(102)에 결합되어서, 상기 승강장치(102)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는 상기 백업플레이트(101)에 결합되고, 상기 백업플레이트(101)가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는, 상기 승강장치(102)에 의해 상승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P)의 양측 저면을 지지함으로써, 인쇄회로기판(P)이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홀딩되도록 한다.
상기 백업플레이트(101)에는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103)이 더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업핀(103)은, 인쇄회로기판(P)에서 상기 백업부재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백업핀(103)은 인쇄회로기판(P)이 수평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백업부재의 기능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백업핀(103)은 인쇄회로기판(P)의 중앙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P)이 그 크기에 비해서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로 이루어진 경우, 그 자체 중량에 의해 중앙 부분이 아래로 처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백업플레이트(101)에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103)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102)는 상기 백업유닛(100)을 승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장치(102)는, 인쇄회로기판(P)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P)이 상기 백업부재에 의해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백업유닛(100)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P)이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홀딩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102)는 전자부품들의 실장이 완료되면 상기 백업유닛(100)를 하강시킨다. 따라서, 전자부품들의 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P)이 다음 공정을 위한 장비로 이송되고, 새로운 인쇄회로기판(P)이 실장위치로 이송되는 것에, 상기 백업유닛(100)이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승강장치(102)는 이동부재(1021) 및 안내부재(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021)는 실린더(미도시)에 의해 수평방향(X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고, 상기 백업플레이트(101)에 복수개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022)는 수평방향(X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는 상기 이동부재(1021)가 승하강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승강장치(102)는 복수개의 안내부재(10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내부재(1022)는 소정의 원호를 이루며 형성되는 경사면(1022a)을 포함하여서, 상기 이동부재(1021)가 경사면(1022a)을 따라 이동되면서 승하강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102)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종래 기술에 따른 승강장치(102)는 복수개의 이동부재(1021)들 각각이 수평방향(X 화살표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로 이동되어야 상기 백업유닛(100)이 기울어지지 않고 승하강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이동부재(1021)들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른 거리로 이동되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됨에 따라, 상기 백업유닛(100)이 기울어지게 되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인쇄회로기판(P)이 기울어진 상태로 실장위치에 위치하거나, 헤드부가 전자부품들을 인쇄회로기판(P)에 실장하는 과정에서 인쇄회로기판(P)이 흔들리는 등 인쇄회로기판(P)이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수평상태로 홀딩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로 인해, 전자부품들이 정확한 위치에 실장되지 못하거나 실장 자체가 이루어지지 못할 수 있다.
둘째, 종래 기술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102)는 상기 이동부재(1021)들이 상기 안내부재(1022)를 따라 반복적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이동부재(1021) 및 상기 경사면(1022a)이 부분적으로 마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업부재가 기울어지거나 인쇄회로기판(P)을 지지할 수 있는 높이까지 상승하지 못하게 되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셋째, 상기 백업유닛(100)이 상승되는 거리가 상기 경사면(1022a)에 의해 정하여지므로, 상기 경사면(1022a)을 정밀하게 가공해야 함은 물론 사용과정에서 경사면(1022a)의 정밀도를 유지시켜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부품들이 인쇄회로기판에 정확하게 실장될 수 있도록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표면실장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백업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는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 상기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표면실장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백업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백업유닛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백업유닛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자부품이 실장되는 동안 인쇄회로기판이 흔들리거나 휘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자부품들이 인쇄회기판에 정확하게 실장될 수 있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에 변형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표면실장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 및 백업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에서 고정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 도 7은 도 4에서 백업유닛을 하강시킨 모습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백업유닛을 하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결합사시도이다.
먼저, 도 2 및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1)에 의 해 승하강되면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백업유닛(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백업유닛(10)은 백업플레이트(11) 및 백업부재(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플레이트(11)는 상기 백업유닛 승강장치(1)에 결합되어서, 상기 백업유닛 승강장치(1)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12)는 표면실장기에서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이송장치(200)에 승하강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12)는 상기 백업플레이트(11)에 결합되고, 상기 백업플레이트(11)가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12)는 상기 백업플레이트(11)의 저면에 결합되는 연결부재(12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12)는, 상기 백업유닛 승강장치(1)에 의해 상승되었을 때 인쇄회로기판의 양측 저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은 그 양측 저면이 상기 백업부재(12)에 지지될 수 있고, 그 양측 상면이 이송장치(200)에 구비된 지지판(201)에 접촉될 수 있다. 즉,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백업부재(12) 및 지지판(201) 사이에 끼워져 홀딩될 수 있다.
상기 백업부재(12)는, 상기 백업유닛 승강장치(1)에 의해 상승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백업부재(12)는 인쇄회로기판을 상기 지지판(201)에 밀착시킴으로써, 인쇄회로기판이 실장위치에 홀딩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백업유닛(10)은 상기 백업플레이트(11)에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백업 핀(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백업핀(13)은, 인쇄회로기판에서 상기 백업부재(12)에 의해 지지되지 않는 다른 부분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백업핀(13)은, 인쇄회로기판의 중앙 부분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백업플레이트(11)에 적어도 하나가 결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1)는 승강유닛(2), 고정부(3), 지지부(4), 제1안내부재(5), 제2안내부재(6), 및 감지부(7)를 포함한다.
상기 승강유닛(2)은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10)을 승하강시킨다. 상기 백업유닛(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백업플레이트(11) 및 백업부재(12)를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백업핀(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2)은,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이 실장되는 동안 상기 백업유닛(10)이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백업유닛(10)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2)은, 전자부품들의 실장이 완료된 인쇄회로기판 및 새로운 인쇄회로기판이 이송되는 동안, 상기 백업유닛(10)을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2)은 승강부재(21) 및 탄성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1)는 동력원(B)에 의해 승하강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원(B)으로 공압실린더 또는 유압실린더가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승강부재(21)는 실린더 로드에 결합되어서 로드의 이동에 따라 승하강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동력원(B)으로 랙피니언기어 또는 풀리 및 벨트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상기 승강부재(21) 및 상기 백업유닛(10)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21)와 상기 백업유닛(10)을 탄성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상기 백업플레이트(1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면 상기 백업유닛(10)을 밀어서 상승시키고, 상기 승강부재(21)가 하강되면 상기 백업유닛(10)을 당겨서 하강시킬 수 있다. 상기 탄성부재(22)로 스프링이 이용될 수 있고, 상기 승강유닛(2)은 복수개의 탄성부재(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승강부재(21)와 상기 백업유닛(10)이 상기 탄성부재(22)에 의해 탄성적으로 연결되도록 구현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상기 승강부재(21)와 상기 백업유닛(10)이 직접 결합되면 상기 백업유닛(10)은 상기 승강부재(21)와 동일한 거리로 상승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는 거리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거나 상기 백업유닛(10)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추지 못하면, 상기 백업유닛(10)은 인쇄회로기판이 지지판(201)에 밀착된 이후에도 계속 상승되어 인쇄회로기판을 손상시킬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는 거리 또는 상기 백업유닛(10)의 길이를 정확하게 맞추어야 하는 부담이 있다.
또한, 인쇄회로기판이 교체되는 경우, 상대적으로 두꺼운 인쇄회로기판이면 위와 동일한 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는 거리 또는 상기 백업유닛(1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등 추가 작업이 요구될 뿐만 아니라, 그 추가 작업이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어려 움이 있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1)는 상기 승강부재(21)와 상기 백업유닛(10)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상기 탄성부재(22)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탄성부재(22)는, 인쇄회로기판이 지지판(201)에 밀착되면 압축되어서,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더라도 상기 백업유닛(10)이 더 이상 상승되지 않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되는 거리 또는 상기 백업유닛(10)의 길이를 정확하게 조절해야 하는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두꺼운 인쇄회로기판으로 교체되는 경우에도, 인쇄회로기판의 두께에 따라 상기 승강부재(21)가 상승하는 거리 또는 상기 백업유닛(10)의 길이를 조절해야 하는 등 추가 작업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서, 실장 작업이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전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승강유닛(2)은 제1돌출부재(23) 및 제2돌출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3)는 상기 승강부재(21)에 결합되고, 상기 백업유닛(10)이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승강부재(21)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3)는 안내홈(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백업유닛(10)에 결합되고, 상기 승강부재(21)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백업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재 는 상기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백업유닛(10)은 상기 제1돌출부재(23) 및 상기 제2돌출부재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재(23) 및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22)의 내측에서 각각 상기 승강부재(21) 및 백업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탄성부재(22)를 설치하기 위해서 확보되어야 하는 공간을 활용하여, 상기 제1돌출부재(23) 및 상기 제2돌출부재를 각각 상기 승강부재(21) 및 백업유닛(10)에 결합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부재(21)의 크기가 커지지 않도록 하면서, 상기 백업유닛(10)이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승강유닛(2)은 복수개의 상기 제1돌출부재(23) 및 상기 제2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탄성부재(22)와 동일한 개수의 상기 제1돌출부재(23) 및 상기 제2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고하면, 상기 고정부(3)는 제1고정부재(31) 및 제2고정부재(32)를 포함한다.
상기 제1고정부재(31)는 상기 백업유닛(10)의 저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1고정부재(31)는 상기 백업유닛(10)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함께 승하강되지만,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는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제2고정부재(32)는 표면실장기 본체(W)의 상면에 결합된다. 상기 제2고정부재(32)는 상기 본체(W)에 고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승하강될 수 없고,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도 이동될 수 없다.
상기 지지부(4)는 상기 백업유닛(10)을 지지하고, 제1지지부재(41), 제2지지부재(42), 및 결합부재(43)를 포함한다.
상기 제1지지부재(41)는 일측(41a)이 상기 제1고정부재(3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41b)이 상기 본체(W)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일측(41a)은 상기 제1고정부재(31)를 지지함으로써, 상기 백업유닛(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1)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일측(41a)이 상기 제1고정부재(31)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타측(41b)이 상기 제1고정부재(31)를 기준으로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1)는 그 타측(41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부재(4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부재(411)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타측(41b)이 이동될 때,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일측(42a)이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42b)이 상기 백업유닛(1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타측(42b)은 상기 백업유닛(10)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일측(42a)이 상기 제2고정부재(32)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고, 타측(42b)이 상기 제2고정부재(32)를 기준으로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그 타측(42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회전부재(4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회전부재(421)는, 상기 백업유 닛(10)이 승하강됨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타측(42b)이 이동될 때,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마찰로 인해 상기 백업유닛(10)이 마모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는 상기 제1지지부재(41)와 상기 제1지지부재(42)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41)와 상기 제2지지부재(42)를 결합시킨다. 상기 제1지지부재(41)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상기 결합부재(43)를 기준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결합부재(43)는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지지부재(41)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지지부재(41)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1지지부재(41)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가 서로 연동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41)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는 동일한 회전각으로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타측(41b)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타측(42b)이 동일한 거리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일측(41a)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a)의 타측이 동일한 거리로 승하강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일측(41a) 및 상기 제2지지부재(42a)는 상기 백업유닛(10)이 기울어짐 없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인쇄회로기판의 저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지지부재(42) 및 상기 제1지지부재(41)는 상기 백업유닛(10)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백업유닛(1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승강유 닛(2)이 백업유닛(10)을 승하강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상기 지지부(4)가 작동되어 상기 백업유닛(10)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승강유닛(2) 및 상기 지지부(4)가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면서, 상기 백업유닛(10)이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상태를 유지하면서 승하강될 수 있도록 하고, 인쇄회로기판이 실장위치에 정확하게 수평상태로 홀딩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7을 참고하면, 상기 제1안내부재(5)는 상기 본체(W)의 상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41) 타측(41b)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1안내부재(5)는 전체적으로 'ㄱ'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타측(41b)이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안내부재(6)는 상기 백업유닛(10)의 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42) 타측(42b)의 이동을 안내한다. 상기 제2안내부재(6)는 전체적으로 'ㄴ'형태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타측(42b)이 수평방향(C 화살표 방향)으로만 이동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상기 제2안내부재(6) 및 상기 제1안내부재(5)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재(411)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됨에 따라 회전되는 제1회전체(4111) 및 제2회전체(4112)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부재(412)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됨에 따라 회전되는 제3회전체(4121) 및 제4회전체(41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회전체(4111)는 상기 본체(W)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2회전체(4112)는 제1안내부재(5)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회전체(4111)는 상기 제1안내부재(5)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2회전체(4112)는 상기 본체(W)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상기 제1회전체(4111) 및 상기 제2회전체(411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1지지부재(41)의 타측(41b)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3회전체(4121)는 상기 백업유닛(10)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고, 상기 제4회전체(4122)는 제2안내부재(6)에 접촉되어 회전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회전체(4121)는 상기 제2안내부재(6)에 접촉되지 않고, 상기 제4회전체(4122)는 상기 백업유닛(10)에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될 때, 상기 제3회전체(4121) 및 상기 제4회전체(4122)가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제2지지부재(42)의 타측(42b)이 원활하게 이동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8을 참고하면, 상기 감지부(7)는 상기 백업유닛(10)이 상승 또는 하강되었는지를 감지한다. 상기 감지부(7)가 상기 백업유닛(10)이 상승되었음을 감지하였을 때 인쇄회로기판에 전자부품들을 실장하는 작업이 시작될 수 있고, 상기 감지부(7)가 상기 백업유닛(10)이 하강되었음을 감지하였을 때 인쇄회로기판을 이송하는 작업이 시작될 수 있다.
상기 감지부(7)는 감지부재(71) 및 설치부재(72)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부재(71)는 상기 제1고정부재(31)에 결합되고, 상기 백업유닛(10)이 승하강됨에 따라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승하강된다.
상기 감지부재(7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유닛(10)이 상승되었을 때, 상기 제1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감지부재(71)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백업유닛(10)이 하강되었을 때, 상기 제2위치에 위치한다.
상기 감지부재(71)는 상기 제2고정부재(32)를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제1부재(711) 및 상기 제1부재(711)에서 상기 설치부재(7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제2부재(7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위치는 상기 제2부재(712)가 상승되었을 때의 위치를 의미하고, 상기 제2위치는 상기 제2부재(712)가 하강되었을 때의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설치부재(72)는 상기 제2고정부재(32)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설치부재(72)에 설치되는 센서가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상기 제2부재(712)가 위치하는지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로는 광센서가 이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백업유닛의 동작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표면실장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 및 백업유닛이 설치된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의 결합사시도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에서 고정부 및 지지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도 3의 A 화살표 방향으로 도시한 본 발명에 따른 백업유닛 승강장치
도 7은 도 4에서 백업유닛을 하강시킨 모습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도 3에서 백업유닛을 하강시킨 모습을 나타낸 결합사시도

Claims (9)

  1.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표면실장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백업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 및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가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상기 제1지지부재와 상기 제2지지부재를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지지부; 및
    상기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승강유닛은 동력원에 의해 승하강되는 승강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백업유닛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백업유닛을 탄성적으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유닛은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고, 안내홈이 형성되어 있는 제1돌출부재; 및
    상기 백업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안내홈에 이동 가능하게 삽입되는 제2돌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돌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승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2돌출부재는 상기 탄성부재의 내측에서 상기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결합되고 상기 제1지지부재 타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안내부재 및 상기 백업유닛에 결합되고 상기 제2지지부재 타측의 이동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안내부재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1지지부재는 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회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2지지부재는 그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회전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회전부재는 상기 백업유닛이 승하강됨에 따라 회전되는 제1회전체 및 제2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1회전체는 상기 본체에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2회전체는 상기 제1안내부재에 접촉되어 회전되며;
    상기 제2회전부재는 상기 백업유닛이 승하강됨에 따라 회전되는 제3회전체 및 제4회전체를 포함하되, 상기 제3회전체는 상기 백업유닛에 접촉되어 회전되고, 상기 제4회전체는 상기 제2안내부재에 접촉되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백업유닛이 상승 또는 하강되었는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백업유닛이 승하강됨에 따라 제1위치 및 제2위치 사이에서 승하강되는 감지부재; 및
    상기 제2고정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위치 또는 상기 제2위치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에 센서가 설치되어 있는 설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8. 인쇄회로기판을 지지하는 백업유닛을 승하강시키는 승강유닛;
    상기 백업유닛에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 및 표면실장기 본체에 결합되는 제2고정부재를 포함하는 고정부; 및
    일측이 상기 제1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지지부재 및 일측이 상기 제2고정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백업유닛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지지부재를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는 상기 백업유닛의 승하강에 연동하여 회전되면서 상기 백업유닛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서로 교차하는 상기 제1지지부재 및 상기 제2지지부재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업유닛 승강장치.
KR1020080065692A 2008-07-07 2008-07-07 백업유닛 승강장치 KR100999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92A KR100999029B1 (ko) 2008-07-07 2008-07-07 백업유닛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5692A KR100999029B1 (ko) 2008-07-07 2008-07-07 백업유닛 승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97A KR20100005597A (ko) 2010-01-15
KR100999029B1 true KR100999029B1 (ko) 2010-12-09

Family

ID=418149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5692A KR100999029B1 (ko) 2008-07-07 2008-07-07 백업유닛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902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1Y1 (ko) * 2003-11-05 2004-02-25 한상관 목재 투입 및 적재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3101Y1 (ko) * 2003-11-05 2004-02-25 한상관 목재 투입 및 적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5597A (ko) 201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937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JP4887324B2 (ja) 印刷装置
KR100787400B1 (ko) 프로브 카드의 조정 기구 및 프로브 장치
KR101685468B1 (ko) 카메라 모듈용 자동 테스트 소켓
JP4835573B2 (ja)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搬送方法
KR100415324B1 (ko) 백업플레이트 승강장치
KR100999029B1 (ko) 백업유닛 승강장치
JP2009135215A (ja) 基板位置決め装置及び基板位置決め方法
JP2017220498A (ja) 部品実装装置及び部品実装方法
KR101549679B1 (ko)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JP2006179571A (ja) 基板載置装置
JP5223819B2 (ja) 基板固定装置及び電子部品実装装置
CN116148505A (zh) Pcb板线路自动检测装置
TW201919914A (zh) 網版印刷裝置及網版印刷方法
KR20110065538A (ko) 프리얼라이너 장치
KR101575264B1 (ko) 틸팅 기능을 갖는 xy 이송 모듈 및 이를 갖는 부품 실장기
KR101594083B1 (ko) 전자 부품 제조 장치
KR102094542B1 (ko) 비전검사장치
KR101126756B1 (ko) 칩마운터용 백업테이블
WO2021064922A1 (ja) 基板支持ピン設置用治具、基板支持ピン設置方法
CN219216587U (zh) 整平装置及测量载具
KR20000038348A (ko) 간격 조절기능을 가지는 모듈 디바이스용 척킹장치
KR100465785B1 (ko) Pcb용 납땜검사장치
JP4316336B2 (ja) 部品実装ヘッド及び部品実装装置
KR20090098222A (ko) 칩 트레이 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3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02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