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719B1 -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719B1
KR100997719B1 KR1020100020126A KR20100020126A KR100997719B1 KR 100997719 B1 KR100997719 B1 KR 100997719B1 KR 1020100020126 A KR1020100020126 A KR 1020100020126A KR 20100020126 A KR20100020126 A KR 20100020126A KR 100997719 B1 KR100997719 B1 KR 1009977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supply
case
circuit board
electronic device
output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찬
박성철
Original Assignee
김찬
파워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찬, 파워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찬
Priority to KR102010002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77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MAPPARATUS FOR CONVERSION BETWEEN AC AND AC, BETWEEN AC AND DC, OR BETWEEN DC AND DC, AND FOR USE WITH MAINS OR SIMILAR POWER SUPPLY SYSTEMS; CONVERSION OF DC OR AC INPUT POWER INTO SURGE OUTPUT POWE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H02M3/0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 H02M3/02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 H02M3/04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 H02M3/10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 H02M3/12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 H02M3/135Conversion of dc power input into dc power output without intermediate conversion into ac by static converters using discharge tubes with control electrode or semiconductor devices with control electrode using devices of a thyratron or thyristor type requiring extinguishing mean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6Pin or blade contacts for sliding co-operation on one side on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Dc-Dc Conver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전기기 또는 일반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전원을 출력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부품들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상기 전원부품들 및 회로기판을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상기 부품실장판에 실장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Description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MODULE FOR ELECTRIC DEVICES}
본 발명은 가전기기 또는 일반 전자장치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전기기나 일반전자기기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는 전자기기에 내장되는 부품실장판(회로기판)에 직접 배치되기도 한다.
그러나, 각각의 사양이나 크기에 따라 제조, 공급함에 따라 그 크기가 다양할 뿐만 아니라, 용도에 따라 여러 형태의 모양을 갖추고 있어서 사용자가 사용함에 있어서 매우 불편하다.
또한, 전원공급장치가 차지하는 면적이 넓어 전자기기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데 한계로 작용하기도 하며, 전원공급장치가 불량인 경우에도 부품실장판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문제가 발생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를 모듈화시켜 장착하도록 함으로써 규격화 및 표준화되기 용이하고, 부품의 교체나 수리가 용이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원을 출력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부품들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상기 전원부품들 및 회로기판을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상기 부품실장판에 실장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하단 개구된 인클로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품 사이의 절연내압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회로기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주입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마주 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1면과 구분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사양을 표시하는 라벨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공급장치에 의하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부품실장판에 돌출하도록 한 것이므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맞추어 실장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장치는 부품실장판에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통하여만 연결 및 장착되는 것이므로 전원공급장치를 초소형화하기 유리할 뿐만 아니라, 부품실장판과 독립되는 것이므로 전원공급장치의 이상시 부품실장판을 교체할 필요없이 전원공급장치만을 교체 또는 수리할 수 있게 되어 유지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장치를 케이스와 다른 부품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전원공급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공급장치가 장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1에 의하면, 부품실장판(10)은 적용될 전자기기의 기능과 관련된 부품들(11) 및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공급장치(100)를 포함하고 있다. 전원공급장치(100)는 모듈화되어 있음으로써 외관상으로는 단자들에 의하여만 부품실장판(10)에 연결 및 장착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에 의하면, 전원공급장치(100)는 내부의 부품을 둘러싸고 있는 케이스(101)에 의하여 외관을 형성하고 있다. 케이스(101)의 하부에는 전원의 입력과 출력을 위한 한 쌍의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가 연장되게 형성되어 있다.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는 전원공급장치(100)의 무게를 지지할 수 있는 강성을 보유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연장된 상태에서 부품실장판(10)의 요구 조건 또는 상태에 따라 임의의 방향으로 맞추어지기 용이하도록 도전성 금속과 같은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는 독립기능만을 담당하는 전자부품(예: 콘덴서, 저항, 등)의 리드(lead)와 같은 역할을 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전원공급장치(100)는 전체적으로는 개별 전자부품과 같이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에 의하여 전기적 연결 및 물리적 고정이 가능한 형태(예: 솔더링)를 가지며, 도 1과 같이, 다른 부품(11)과 같이 일종의 실장용 부품으로서 취급된다.
도 2에 의하면, 대체로 케이스(101)는 육면체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일면에는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의 사양을 표시하는 라벨(105)이 형성되어 있다. 라벨(105)에 표시될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의 사양은 표준화될 수 있다. 이러한 라벨(105)은 별도의 인쇄된 스티커를 부착하거나 케이스(101)에 직접 형상가공함으로써 구현할 수 있다. 후자의 방법의 경우 전원공급장치(100)의 원가 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전원공급장치를 케이스와 다른 부품으로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전원공급장치(100)는 입력전원을 출력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부품들을 실장하고 있는 회로기판(113)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기판들은 일 면또는 양면에 콘덴서(116) 또는 코일(117) 등이 장착되어 있는 제1기판(112)과,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 또는 다른 부품들이 고정되어 있는 제2기판(1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제1기판(112)은 제2기판(113)에 대하여 직각을 이루며 고정되어 있는 모습으로 되어 있다.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3)의 부품들(116,117)은 입력단자(131) 및 출력단자(132)를 통하여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간접적으로 연결된다는 점에서 부품실장판에 일정 면적과 부피를 차지하며 직접 실장되어 있는 종래의 예와 차이가 있다. 다른 일 예로서, 제2기판(113)은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케이스(101)의 내부에 절연재를 채우고 아울러 절연재가 단자들을 고정하도록 구성하거나, 외부로부터의 전원인입선을 통하여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101)는 이러한 기판들(113)을 둘러쌀 수 있게 인클로저(enclosure)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에는 전원부품들(116,117)이 기판들(113)에 장착된 상태에서 삽입될 수 있게 개구(101a)가 형성되어 있다. 제2기판(113)은 대체로 케이스(101)의 개구(101a)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되어 있어, 제1기판(112)은 케이스(101)에 수용되면, 제1기판(112)과 직각을 이루는 제2기판(113)에 의하여 케이스(101)의 개구(101a)를 폐색하게 된다.
케이스(101)의 개구(101a)는 형상면에 있어서 제2기판(113)에 형성되는 로케이터 돌기(113b,113c)를 수용할 수 있게 수용홈(107,108)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한 로케이터 돌기(113b,113c) 및 수용홈(107,108)은 제1기판(112)과 제2기판(113)의 어셈블리가 용이하게 케이스(101)에 장착되면서도 어셈블리가 케이스(101)에 대하여 견고하게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이외에도 케이스(101)의 개구(101a)의 형상은 제2기판(113)을 고정하기 위한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임의의 모양을 갖는 브라켓 또는 클램프 등이 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전원공급장치의 저면도이고, 도 5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단면도이다.
도 4와 같이, 전원공급장치(100)의 저면을 이루는 제2기판(113)에는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의 사양 및 위치를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특히, 전원공급장치(100)의 조립과정에서 조립자에 의하여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가 바뀌어지지 않도록, 케이스(101)의 마주보는 두 면중 어느 하나의 면에 경사면(101b)을 형성하여 두 면이 구분되도록 하고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가 각각의 면에 배치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와 다른 예로서, 경사면(101b)은 어느 한 쪽에만 두는 것도 가능하며, 경사면(101b)이 아닌 홈 형태, 라운드 형태, 단차 형태 등이 될 수 있다.
또한,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 중 어느 하나는 케이스(101)의 가로방향을 따라 배치한다면 다른 하나의 단자는 케이스(101)의 세로방향을 따라 배치함으로써 단자들을 구분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에 따른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의 배치는 도 4와 달리 다양한 경우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구분의 명확성을 위하여 입력단자들(131) 사이의 간격과 출력단자들(132) 사이의 간격은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의하면, 출력단자들(132) 사이의 간격은 입력단자들(131) 사이의 간격에 비하여 좁게 형성되어 있다.
도 5와 같이, 입력단자(131)와 출력단자(132)의 길이(L2)는 케이스(101)의 길이(L1)에 비하여 상당한 정도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본 발명과 관련된 전원공급장치(100)를 장착할 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또는 부품실장판의 여건에 따라 다양한 장착(예: 자르기, 굽히기 등)이 가능할 수 있다.
도 6에 의하면, 케이스(101)의 내부에는 부품과 부품 사이의 절연내압을 유지할 수 있도록 절연재(140)가 채워져 있다. 절연재(140)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등이 가능하며, 에폭시 수지를 제2기판(113)에 형성된 관통공(113a)을 통하여 주입한 후 경화시켜 구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전원공급장치(100)를 이루는 케이스(101)는 적절한 형태로 규격화 및 표준화가 가능하며, 케이스(101) 내부에 전원공급 관련 부품들을 고밀도로 장착함으로써 초소형화를 이룰 수 있다. 입,출력단자를 갖는 모듈화된 전원공급장치(100)는 제조면에 있어서 원가를 개선할 수 있으며, 고장 진단 또는 부품의 교체 면에 있어서 간이하고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본 발명과 관련된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위와 같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전원공급장치 101: 케이스
105: 라벨 112: 제1기판
113: 제2기판 113a: 관통공
116,117: 전원부품 131: 입력단자
132: 출력단자

Claims (6)

  1. 전자기기의 부품실장판에 장착될 수 있게 형성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원공급장치는,
    입력전원을 출력전원으로 변환하기 위한 전원부품들이 장착된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
    상기 전원부품들 및 회로기판을 둘러쌀 수 있게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회로기판에 형성되는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는 상기 부품실장판에 실장될 수 있는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는 하단 개구된 인클로저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케이스의 개구를 폐색하도록 장착되고,
    상기 회로기판에는 로케이터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에서 상기 개구를 형성하는 형상면에는 상기 로케이터 돌기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상기 전원부품 사이의 절연내압을 유지하기 위한 절연재가 충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에는 관통공이 형성되며, 상기 절연재는 상기 관통공을 통하여 주입되어 경화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마주 보는 제1면 및 제2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면에는 상기 제1면과 구분되도록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입력단자는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 중 어느 하나에 배치되고, 상기 출력단자는 상기 제1면 또는 제2면 중 다른 하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는 상기 입력단자 및 출력단자의 사양을 표시하는 라벨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20100020126A 2010-03-05 2010-03-05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0997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26A KR100997719B1 (ko) 2010-03-05 2010-03-05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0126A KR100997719B1 (ko) 2010-03-05 2010-03-05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7719B1 true KR100997719B1 (ko) 2010-12-02

Family

ID=435122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0126A KR100997719B1 (ko) 2010-03-05 2010-03-05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771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5584B1 (en) Electronic control unit
KR20090041176A (ko) 정전용량 스위치 모듈
CN105959887B (zh) 一种扬声器模组
JPWO2017204065A1 (ja) コンデンサ
JP4697163B2 (ja) 電子装置
US8923010B2 (en) Electronic component for surface mounting
JP2014187100A (ja) 電子装置
US6885538B1 (en) Capacitor mounting structure
WO2017208836A1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JP2005080354A (ja) 回路構成体
JP2010038920A (ja) バックプレート及びバックプレート付きソケット装置
JP2016201506A (ja) 電子制御装置および電子制御装置の製造方法
KR100997719B1 (ko) 전자기기용 전원공급장치
JP2009070887A (ja) 電気機器
JP2003282361A (ja) コンデンサモジュール
JP2012253221A (ja) 電子制御装置
KR101948101B1 (ko) 전자 제어 장치
JP2009009982A (ja) プリント配線基板、電気機器および放電灯点灯装置
JP2007311427A (ja) 電気回路機器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07666817B (zh) 控制器组件、控制盒及风机
JP2006340411A (ja) 分電盤
CN210351759U (zh) 加固框架、结构组件和模块设备
KR102155637B1 (ko) 적층 구조를 포함하는 소형 센서모듈
JP2018206999A (ja) 回路基板の収容構造
JP4515153B2 (ja) 端子台、ノイズフィルタ装置及びインバ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4 Invalidation trial for patent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2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