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7285B1 -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7285B1
KR100997285B1 KR1020080087197A KR20080087197A KR100997285B1 KR 100997285 B1 KR100997285 B1 KR 100997285B1 KR 1020080087197 A KR1020080087197 A KR 1020080087197A KR 20080087197 A KR20080087197 A KR 20080087197A KR 100997285 B1 KR100997285 B1 KR 10099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mold
transparent conductive
base
touch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71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26073A (ko
Inventor
마사루 이케베
시게오 구로세
야스노리 오노
Original Assignee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티디케이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2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72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e Of Switche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Abstract

비용의 저감 및 신뢰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 용 중간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기체부(2)와, 기체부(2)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3)을 구비하고, 투명 도전막(3)은, 베이스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된 기체부(2)의 일면에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붙여진 투명 도전층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그 단부(3a)가 노출된 상태에서 단부(3a)를 제외한 피복 영역(3b)이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여 있다.

Description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INTERMEDIATES FOR TOUCH SWITCH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INTERMEDIATES FOR TOUCH SWITCH}
본 발명은, 기체부(基體部)와 기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한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그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를 제조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정보 단말이나 현금 자동 입출금기 등의 수많은 전기 기기에는, 손가락끝을 접촉시킴으로써 (터치한다)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터치식의 조작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터치식의 조작부는, 광 투과성을 가지는 기체부의 일면에 투명 도전막을 설치하여 구성되고, CRT나 LCD 등의 디스플레이 상에 장착되는 터치 스위치(터치 패널)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정전 용량의 변화에 의거해 터치의 유무나 터치 위치를 검출하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는, 투명 도전막이 설치된 면이 디스플레이측에 위치하고, 투명 도전막이 설치되지 않은 면(손가락끝이 접촉되는 터치면)이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장착된다. 이 경우, 투명 도전막이 노출된 상태에서는, 투명 도전막이 손상되기 쉽고, 또,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도 받기 쉽다. 이 때문에, 이들에 기인하여, 투명 도전막의 표면 전기 저항값 즉 터치 스위치의 특성(안테나 특성 등)이 변화하여, 오작동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소 가능한 터치 스위치로서, 투명 도전막 위에 투명한 기판이나 보호층을 설치한 터치 스위치(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 공개 평 5-324203호 공보에 개시된 터치 패널)가 알려져 있다. 이 경우, 상기 공보에 개시된 터치 패널은, 투명 도전막, 보호막 및 전극 단자를 설치한 유리 기판과, 글레어 방지막 및 보호막을 형성한 유리 기판을 투명 접착재를 이용해 붙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일본국 특허 공개 평 5-324203호 공보(제2-3페이지, 도 1)
그런데, 상기의 터치 패널에는, 이하의 문제점이 있다. 즉, 이 터치 패널은, 2매의 유리 기판을 붙임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터치 패널에는, 붙이는 공정이 필요한만큼,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비용의 저감이 곤란하다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비용의 저감을 실현할 수 있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주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는, 기체부와, 당해 기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한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로서, 상기 투명 도전막은, 베이스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된 상기 기체부의 상기 일면에 당해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붙여진 당해 투명 도전층으로 구성됨과 더불어, 당해 투명 도전막의 전극 형성 영역이 노출된 상태에서 당해 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은, 기체부와 당해 기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한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를 제조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으로서, 베이스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인몰드 필름을 끼워넣은 상태의 인몰드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에 대해서 수지를 사출하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상기 기체부를 성형함과 더불어 당해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당해 기체부의 일면에 상기 투명 도전층을 붙임으로써 상기 투명 도전막을 형성한 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의 소정 부분을 떼어내 상기 투명 도전막의 전극 형성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당해 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당해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여진 상태로 유지한다.
이 경우,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소정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컷팅부가 형성된 상기 인몰드 필름을 이용해 상기 인몰드 성형을 행한 후에, 상기 소정 부분을 상기 컷팅부를 따라서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기체부의 일면에 인몰드 필름의 투명 도전층을 붙여 형성한 투명 도전막의 전극 형성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투명 도전막에 있어서의 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음으로써,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는 달리, 2매의 유리 기판을 붙이는 번잡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하게 할 수 있는 결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에서는, 양 유리 기판을 간극없이 붙이는데 고도의 기술을 요하므로, 양자간에 간극이 생기기 쉽고,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적게 억제하는 것이 곤란한 결과, 오작동이 충분히 적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패널의 실현이 곤란하다. 이에 대 해서,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서는, 투명 도전막이 기체부 및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넣어진다. 따라서,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2매의 유리 기판의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는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적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결과, 오작동이 충분히 적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ATM 등과 같은 비교적 대형이고 특정한 부분에 설치하는 설비의 입력 장치에 이용하는데는 적합하지만, 휴대형 기기의 입력 장치로는,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점이나, 낙하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서,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서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기체부를 수지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중량이 가볍고 또한 파손되지 않는 터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에 컷팅부를 형성한 인몰드 필름을 이용해 인몰드 성형을 행한 후에, 베이스 필름의 소정 부분을 컷팅부를 따라서 떼어내 투명 도전막의 전극 형성 영역을 노출시킴으로써, 절취용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베이스 필름의 소정 부분을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결과, 제조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의 최선의 형태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최초에,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의 일례로서의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1)(이하, 간단히 「중간체(1)」라고도 한다)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2에 도시하는 중간체(1)는, 예를 들면, 전기 기기 등에 있어서의 터치식의 조작부로서 기능하는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에 이용되는 중간체로서, 상기 도면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체부(2), 투명 도전막(3) 및 보호막(4)을 구비하여 구성되고, 후술하는 인몰드 금형(102)(도 3 참조:이하, 간단히 「금형(102)」이라고도 한다)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제조된다.
기체부(2)는,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예를 들면 직사각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금형(102)의 캐비티(102a)(도 10 참조)에 투명성을 가지는 수지(일례로서 아크릴 수지)를 사출함으로써 성형된다.
투명 도전막(3)은, 후술하는 띠 형상의 인몰드 필름(30)(도 6 참조)에 있어서의 투명 도전층(33)의 잘려진 일부가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기체부(2)의 일면(2a)에 붙여짐으로써 형성(설치)된다. 보호막(4)은 인몰드 필름(30)에 있어서의 베이스 필름(31)이 절취된 일부에 의해서 구성되고, 도 1,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도면 외의 구동용 회로와 투명 도전막(3)을 접속하기 위한 전극이 형성되는 투명 도전막(3)의 단부(3a)(본 발명에 있어서의 전극 형성 영역)를 제외한 피복 영역(3b)을 덮도록 하여 투명 도전막(3) 상에 설치되어 있다. 즉, 이 터치 스위치 용 중간체(1)에서는, 투명 도전막(3)의 단부(3a)가 기체부(2)의 단부(2c)에 있어서 노출된 상태에서, 피복 영역(3b)이 베이스 필름(31)에 의해서 덮여져 있다. 이 경우, 투명 도전막(3)과 기체부(2)의 일면(2a)의 사이에는 인몰드 필름(30)의 열 용융성 수지층(34)이 존재하고, 보호막(4)과 투명 도전막(3)의 사이에는 인몰드 필름(30)의 앵커층(32)이 존재하는데, 도 1, 2에서는 그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또한, 베이스 필름(31)(즉 보호막(4)), 앵커층(32), 투명 도전층(33)(즉 투명 도전막(3)) 및 열 용융성 수지층(34)의 재료나 형성 방법 등에 대해서는 후에 상술한다.
다음에, 제조 장치(101)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조 장치(101)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금형(102),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 및 사출 성형기(104)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금형(102)은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따라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중간체(1)를 제조 가능한 금형으로서, 고정측 금형(111) 및 이동측 금형(121)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금형(102)은, 사출 성형기(104)에 의한 1회의 성형 공정(1쇼트)으로 4개의 중간체(1)를 성형 가능(4개 취득)하게 구성되어 있다. 또, 금형(102)은,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에 의해서 이동되는 인몰드 필름(3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도 10 참조), 고정측 금형(111)의 본체부(113)와 이동측 금형(121)의 본체부(123)가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고정측 금형(111)은,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부(112) 및 본체부(113)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1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 출 성형기(104)의 고정측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13)는 베이스부(112)에 고정되고,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인몰드 필름(3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이동측 금형(121)의 본체부(123)와 접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동측 금형(121)은,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부(122), 본체부(123), 스페이서 블록(124) 및 이젝트 플레이트(125)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부(12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사출 성형기(104)에 있어서의 이동측 장착부(도시하지 않음)에 장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본체부(123)는, 스페이서 블록(124)을 통해 베이스부(12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본체부(123)의 금형면(123a)에는, 도 5, 9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캐비티(102a)를 구성하는 오목부(123b)가 4개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23)에는, 고정측 금형(111)의 스풀(113b)(도 4 참조)과 오목부(123b)의 가장자리부에 형성된 게이트(123c)를 연결하는 런너를 구성하는 홈(123d)이 형성되어 있다. 이젝트 플레이트(125)는, 베이스부(122)와 본체부(123)의 사이에 설치되고, 사출 성형기(104)에 의해서 베이스부(122)와 본체부(123)의 사이를 이동함으로써, 도면 외의 이젝트 핀을 본체부(123)의 전방으로 돌출시킨다.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측 금형(111)과 이동측 금형(121)의 사이에 있어서, 1회의 인몰드 성형(1쇼트)마다 소정의 길이(예를 들면, 도 7, 8에 표시하는 길이(L))만큼 인몰드 필름(3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인몰드 필름(30)은, 도 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한 베이스 필름(31), 앵커층(32), 투명 도전층(33) 및 열 용융성 수지층(34)으로 구성되어 있다. 베이스 필름(31)은, 투명성 및 가요성을 가지는 수지 필름으로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베이스 필름(31)의 재료로는, 폴리에틸렌텔레프탈레이트(PET) 등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필름, 폴리카보네이트 필름, 나일론 필름, 아크릴 필름, 셀로판 필름, 및 노보넨 필름(일례로서 JSR(주) 제 「아톤」(등록 상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베이스 필름(31)의 두께는, 5∼100㎛가 바람직하고, 취급 용이성이나 성형 안정성을 고려하면 15∼75㎛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도 7,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 필름(31)에는, 원형의 구멍(31a) 및 대략 장방형의 구멍(31c)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구멍(31a)은 인몰드 성형 시에 금형(102)에 대한 인몰드 필름(30)의 위치 결정을 행하기 위한 구멍으로서, 일례로서, 1회의 성형 공정에서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에 의해서 이동되는 길이(L)분의 영역(A)에 4개씩 형성되어 있다. 또, 구멍(31c)은, 1회의 성형 공정에서 성형되는 4개의 중간체(1)를 떼어내기 위한 구멍으로서, 상기한 영역(A)에 3개씩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각 구멍(31c)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각의 가장자리부와 금형(102)의 캐비티(102a)(동 도면에 일점 쇄선으로 표시한다)의 가장자리부가 동일한 위치가 되도록, 그 크기나 형성 위치가 규정되어 있다. 또한, 동 도면에서는,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캐비티(102a)의 가장자리부의 일부를 표시하는 일점 쇄선을 각 구멍(31c) 상에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동 도면에 도 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 필름(31)에는, 그 일부(본 발명에 있어서의 소정 부분에 상당하고, 후술하는 보호막(4)의 단부(4a))를 절취하기 위한 컷팅부(31d)가 형성되어 있다.
앵커층(32)은 박리성을 가지는 층으로서, 예를 들면, 실리콘계, 아크릴계 및 멜라민계 등의 각종 열 경화형 하드 코팅제를 용제에 용해한 액체를 베이스 필름(31) 상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높은 경도를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우수한 실리콘계 하드 코팅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불포화 폴리에스테르수지계 및 아크릴계 등의 라디칼 중합성 하드 코팅제, 및 에폭시계 및 비닐 에테르계 등의 양이온 중합성 하드 코팅제 등의 각종 자외선 경화형 하드 코팅제를 열 경화형 하드 코팅제에 대신하여 이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경화 반응성이나 표면 경도의 점에서 우수한 아크릴계의 라디칼 중합성 하드 코팅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앵커층(32)은 도 8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베이스 필름(31)의 일면에 있어서의 각 구멍(31c)의 형성 부위간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층(33)은, 투명성 및 도전성을 가지는 박막으로서, 앵커층(32) 위, 즉 상기한 각 구멍(31c)의 형성 부위간에 있어서 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투명 도전층(33)의 재료로는, 주석 도프 산화 인듐(ITO), 갈륨 도프 산화 인듐 및 아연 도프 산화 인듐등의 산화 인듐의 미립자, 안티몬 도프 산화 주석(ATO) 및 불소 도프 산화 주석(FTO) 등의 산화 주석의 미립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 아연(AZO), 갈륨 도프 산화 아연(GZO), 불소 도프 산화 아연, 인듐 도프 산화 아연 및 붕소 도프 산화 아연 등의 산화 아연의 미립자, 및 산화 카드뮴 등의 각종 도전성 무기 미립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뛰어난 도전성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ITO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혹은, ITO나 ATO를 황산바륨 등의 투명성을 가지는 미립자의 표면에 코팅한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이들 미립자의 입자 직경은 요구되는 광학 특성 및 전기 특성에 따라 임의로 규정할 수 있지만, 양호한 광학 특성(헤이즈값)을 얻기 위해서는, 1.0㎛이하로 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nm∼100nm으로 규정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nm∼100nm으로 규정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열 용융성 수지층(34)은 소정의 온도(예를 들면 90℃정도)에서 용융 상태로 되는 수지 재료를 투명 도전막(33) 상에 용융된 상태로 도포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열 용융성 수지층(34)에 이용하는 수지 재료로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올레핀계 수지, 질산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염화 고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및 염화 비닐-아세트산비닐계 공중합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기체부(2)를 구성하는 수지(일례로서 아크릴 수지)와의 상용성이 양호한 것을 열 용융성 수지층(34)용의 수지로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열 용융성 수지층(34)의 형성 과정에 있어서, 상기한 용융된 열 용융성 수지층(34)용의 수지를 투명 도전막(33) 상에 도포했을 때, 투명 도전막(33)을 구성하는 미립자간의 간극에 수지가 함침된다. 이 때문에, 이 인몰드 필름(30)에서는, 투명 도전층(33)이 유연성을 가지고 구성된다.
사출 성형기(104)는, 일례로서 횡형의 사출 성형기로서, 고정측 장착부, 이 동측 장착부, 형 체결 기구, 사출 기구 및 이젝트 기구(모두 도시하지 않음)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조 장치(101)(금형(102))를 이용해 본 발명에 관한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따라서 중간체(1)를 제조하는 공정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사출 성형기(104)에 있어서의 도면 외의 고정측 장착부 및 이동측 장착부에 금형(102)의 고정측 금형(111) 및 이동측 금형(121)을 각각 장착한다. 이어서, 베이스 필름(31)을 고정측 금형(111)의 금형면(113a)(도 4, 9 참조)에 대향시키도록 하고, 인몰드 필름(30)을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에 세트하여,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를 작동시킨다. 이 때,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가, 금형(102)의 고정측 금형(111)과 이동측 금형(121)의 사이에 있어서 인몰드 필름(30)을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기(104)를 작동시킨다. 이 때, 사출 성형기(104)의 형 체결 기구가 이동측 장착부를 고정측 장착부를 향해서 이동시킴으로써,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고정측 금형(111)과 이동측 금형(121)이 인몰드 필름(30)을 끼워넣은 상태에서 상호 접합된다.
이어서, 사출 성형기(104)의 사출 기구가, 유동 상태의 수지를 압송한다. 이 때, 사출 성형기(104)로부터 압송된 수지가 스풀(spool)(113b) 및 런너를 통과하여, 이동측 금형(121)에 있어서의 본체부(123)에 형성되어 있는 게이트(123c)로부터 캐비티(102a) 내에 사출된다. 계속해서, 게이트(123c)로부터 캐비티(102a) 내에 사출된 수지가, 인몰드 필름(30)을 캐비티(102a) 구성하는 고정측 금형(111)에 있어서의 본체부(113)의 금형면(113a)을 누르면서 캐비티(102a)에 충전된다. 또, 사출된 수지의 열에 의해서 인몰드 필름(30)의 열 용융성 수지층(34)이 용융하여 수지와의 사이에서 상용 상태로 된다. 이 때문에, 성형 후의 기체부(2)의 일면(2a)에 열 용융성 수지층(34)을 통해 투명 도전층(33)이 확실하게 붙여진다.
이어서, 소정의 냉각 시간이 경과한 후에, 사출 성형기(104)의 형 체결 기구가 고정측 장착부로부터 이반되는 방향으로 이동측 장착부를 이동시킴으로써, 고정측 금형(111)과 이동측 금형(121)의 접합이 해제되고, 이동측 금형(121)이 고정측 금형(111)으로부터 이반된다. 이 때, 사출된 수지가 고화함으로써 성형된 성형품(4개의 기체부(2)) 및 인몰드 필름(30)이 이동측 금형(121)과 함께 고정측 금형(111)으로부터 분리된다. 계속해서, 사출 성형기(104)의 이젝트 기구가 이동측 금형(121)의 이젝트 플레이트(125)를 본체부(123)측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도면 외의 이젝트 핀이 본체부(123)의 전방으로 돌출되고, 인몰드 필름(30)을 통해 연결된 상태의 4개의 기체부(2)가 인몰드 필름(30)과 함께 이동측 금형(121)으로부터 취출된다.
이어서, 인몰드 필름 이동 장치(103)가, 인몰드 필름(30)을 소정의 길이만큼 이동시킨다. 계속해서, 예를 들면, 도 11에 도시하는 파선의 부분에서 인몰드 필름(30)을 절단한다. 이에 따라,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절단된 인몰드 필름(30)(즉, 투명 도전막(3) 및 보호막(4))이 붙여진 상태의 4개의 기체부(2)가 떼어진다. 이어서,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보호막(4)(베이스 필름(31)의 단 부(4a)를 절취한다. 이에 따라, 단부(4a)의 아래에 위치하는 투명 도전막(3)(투명 도전층(33))의 단부(3a)가 노출된다. 또, 투명 도전막(3)에 있어서의 단부(3a)를 제외한 피복 영역(3b)은, 보호막(4)(베이스 필름(31))에 의해서 덮여진 상태로 유지된다. 이상에 의해, 중간체(1)의 제조가 완료된다.
이 경우, 이 인몰드 필름(30)에서는, 베이스 필름(31)에 컷팅부(31d)가 미리 형성되어 있으므로, 절취용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보호막(4)의 단부(4a)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다. 또, 열 용융성 수지층(34)에 의해서 투명 도전막(3)(투명 도전층(33))이 기체부(2)의 일면(2a)에 확실하게 붙여진다(붙어 있다). 이 때문에, 보호막(4)의 단부(4a)의 절취에 수반해 투명 도전막(3)이 기체부(2)로부터 벗겨지는 사태가 확실히 방지된다.
또,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서는, 인몰드 필름(30)의 베이스 필름(31)의 절취한 일부를 보호막(4)으로서 이용하여 투명 도전막(3)의 피복 영역(3b)을 그 보호막(4)에 의해서 덮고 있다. 이 때문에,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는 달리, 2매의 유리 기판을 붙이는 번잡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이 간략화되는 결과, 제조 비용의 저감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에서는, 양 유리 기판을 간극없이 붙이는데 고도의 기술을 요하므로, 양자간에 간극이 생기기 쉽고,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적게 억제하는 것이 곤란한 결과, 오작동이 충분히 적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패널의 실현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서, 이 중간체(1)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서는, 베이스 필름(31)과 투명 도전층(33)이 앵커층(32)을 통해 밀착되어 있는 인몰드 필름(30)을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기체부(2)의 일면(2a)에 밀착되도록 설치하고 있다. 즉, 간극이 없는 상태에서 투명 도전막(3)이 기체부(2) 및 보호막(4)에 의해서 끼워넣어져 있다. 이 때문에, 2매의 유리 기판의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는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는 달리,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적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결과, 오작동이 충분히 적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에서는, 유리 기판을 이용하고 있으므로, ATM 등과 같은 비교적 대형이고 특정한 부분에 설치하는 설비의 입력 장치에 이용하는데는 적합하지만, 휴대형 기기의 입력 장치로서는, 중량이 커진다는 문제점이나, 낙하나 충격에 의해서 파손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대해, 이 중간체(1)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서는, 기체부(2)가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수지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중간체(1) 및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중량이 가볍고 또한 파손되지 않는 터치 스위치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계속해서, 중간체(1)에 있어서의 기체부(2)의 타면(2b)(터치면이 되는 면:도 2 참조)에 손상 방지용의 하드 코팅 가공, 및 반사 방지 가공을 실시한다. 이어서, 기체부(2)의 단부(2c)에 있어서 노출되어 있는 투명 도전막(3)의 단부(3a)에 금속막을 형성하여 전극으로 하고, 이 전극과 구동용 회로를 접속한다. 이상에 의해 터치 스위치가 완성된다.
이와 같이, 이 중간체(1)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인 몰드 필름(30)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기체부(2)의 일면(2a)에 투명 도전층(33)을 붙여 형성한 투명 도전막(3)의 단부(3a)를 노출시킴과 더불어 투명 도전막(3)의 피복 영역(3b)을 베이스 필름(31)에 의해서 덮음으로써,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는 달리, 2매의 유리 기판을 붙이는 번잡한 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제조 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는 결과, 제조 비용을 저감할 수 있다. 또, 이 중간체(1)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투명 도전막(3)이 기체부(2) 및 보호막(4)에 의해서 간극이 없는 상태로 끼워넣어지므로, 2매의 유리 기판의 사이에 간극이 생길 우려가 있는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온도나 습도 등의 주위의 환경 변화에 의한 영향을 충분히 적게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결과, 오작동이 충분히 적고 신뢰성이 높은 터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이 중간체(1)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유리 기판을 이용하는 종래의 터치 패널 및 제조 방법과는 달리, 기체부(2)를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수지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중량이 가볍고 또한 파손되지 않는 터치 스위치를 구성할 수 있다.
또, 이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에 의하면, 베이스 필름(31)에 컷팅부(31d)를 형성한 인몰드 필름(30)을 이용해 인몰드 성형을 행한 후에, 보호막(4)의 단부(4a)를 컷팅부(31d)를 따라서 떼어내 투명 도전막(3)의 단부(3a)를 노출시킴으로써, 절취용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보호막(4)의 단부(4a)를 용이하게 절취할 수 있는 결과, 제조 효율을 충분히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직사각형 판 형상으로 구성된 기체부(2)를 구비한 예에 대해서 상기했는데, 기체부(2)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형상으로 규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만곡 형상의 기체부를 채용할 수도 있고, 복수의 판 형상의 패널을 연결한 형상의 기체부를 채용할 수도 있다.
또, 띠 형상의 인몰드 필름(30)을 이용해 인몰드 성형을 행한 후에 인몰드 필름(30)을 절단하는 예에 대해 상기했는데, 기체부(2)에 끼워넣어지는 크기 및 형상으로 미리 절단된 인몰드 필름(30)을 이용해 인몰드 성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1은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1)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제조 장치(101)의 구성을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4는 고정측 금형(111)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이동측 금형(121)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인몰드 필름(30)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인몰드 필름(30)의 평면도이다.
도 8은 인몰드 필름(30)의 1개의 영역(A)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9는 금형(102)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고정측 금형(111)과 이동측 금형(121)을 접합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떼어내기 전의 중간체(1)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떼어낸 후의 중간체(1)의 평면도이다.
도 13은 보호막(4)의 단부(4a)를 절취한 상태의 사시도이다.
<부호의 설명>
1 :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2 : 기체부
2a : 일면 3 : 투명 도전막
3a : 단부 3b : 피복 영역
4 : 보호막 4a : 단부
30 : 인몰드 필름 31 : 베이스 필름
31d : 컷팅부 33 : 투명 도전층

Claims (3)

  1. 기체부(基體部)와, 당해 기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하고,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에 이용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로서,
    상기 기체부는, 베이스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인몰드 필름을 이용한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성형되고,
    상기 투명 도전막은, 상기 인몰드 필름의 상기 투명 도전층을 상기 기체부의 상기 일면에 상기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붙임으로써 형성되며,
    또한 상기 투명 도전막은, 전극이 형성되는 전극 형성 영역이 노출되고, 당해 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이 상기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여져 있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2. 기체부와 당해 기체부의 일면에 형성된 투명 도전막을 구비하고, 정전 용량식의 터치 스위치에 이용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를 제조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으로서,
    베이스 필름 상에 투명 도전층을 가지는 인몰드 필름을 끼워넣은 상태의 인몰드 성형용 금형의 캐비티에 대해서 수지를 사출하는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상기 기체부를 성형하고,
    상기 인몰드 성형에 의해서, 상기 기체부의 상기 일면에 상기 인몰드 필름의 상기 투명 도전층을 붙임으로써 상기 투명 도전막을 형성하며,
    그 후에, 상기 베이스 필름의 소정 부분을 떼어내고, 상기 투명 도전막에 있어서 전극이 형성되는 전극 형성 영역을 노출시킴과 더불어, 당해 전극 형성 영역을 제외한 영역을 당해 베이스 필름에 의해서 덮여진 상태로 유지하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필름의 상기 소정 부분을 다른 부분으로부터 떼어내기 위한 컷팅부가 형성된 상기 인몰드 필름을 이용해 상기 인몰드 성형을 행한 후에, 상기 소정 부분을 상기 컷팅부를 따라서 떼어내는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KR1020080087197A 2007-09-07 2008-09-04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KR10099728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232309A JP4973401B2 (ja) 2007-09-07 2007-09-07 タッチスイッチ用中間体製造方法
JPJP-P-2007-00232309 2007-09-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6073A KR20090026073A (ko) 2009-03-11
KR100997285B1 true KR100997285B1 (ko) 2010-11-29

Family

ID=40463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7197A KR100997285B1 (ko) 2007-09-07 2008-09-04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4973401B2 (ko)
KR (1) KR100997285B1 (ko)
CN (1) CN101383606B (ko)
TW (1) TW2009293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3730A (ko) * 2010-03-15 2011-09-21 (주)탑나노시스 터치센서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97926A (ja) * 2000-12-27 2002-07-12 Kanegafuchi Chem Ind Co Ltd 透明導電膜付き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
TW536926B (en) * 2001-03-23 2003-06-11 Fujikura Ltd Multilayer wiring board assembly, multilayer wiring board assembly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2004152221A (ja) * 2002-11-01 2004-05-27 Bridgestone Corp タッチパネル用電極基板の製造方法
JP4459122B2 (ja) * 2005-06-29 2010-04-28 尾池工業株式会社 透明導電膜付き樹脂成型品の製造方法
JP2007052974A (ja) * 2005-08-17 2007-03-01 Fujikura Ltd 静電容量式スイッチ装置
JP4809681B2 (ja) * 2006-01-26 2011-11-09 日東技研株式会社 静電容量型タッチ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0929302A (en) 2009-07-01
JP4973401B2 (ja) 2012-07-11
JP2009064693A (ja) 2009-03-26
CN101383606B (zh) 2011-11-16
KR20090026073A (ko) 2009-03-11
TWI361443B (ko) 2012-04-01
CN101383606A (zh) 2009-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20931B1 (ko) 압축 성형 방법 및 그 장치
KR102131962B1 (ko) 커버 윈도우의 제조장치 및 커버 윈도우의 제조방법
JP5066182B2 (ja) インサート成形用積層物とその製造方法、インサート成形品とその製造方法
CN104853896B (zh) 通过模内工艺制造的主体和用于制造该主体的方法
EP3335852A2 (en) Method of embedding electronics in a plastic via transfermolding from a polymer film
KR20140142633A (ko) 커버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US9597858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and molded article
JP2010012601A (ja) ハウジングケース、及び、ハウジングケースの製造方法
KR100985306B1 (ko)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CN101165520A (zh) 点胶装置用点胶器和点胶装置及其点胶方法
KR100997285B1 (ko)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KR100990803B1 (ko) 터치 패널용 중간체, 터치 패널, 인몰드용 금형 및 터치패널용 중간체 제조 방법
KR20080108009A (ko) 인몰드용 금형, 터치패널용 중간체 제조 방법, 터치패널용중간체 및 터치패널
KR100985252B1 (ko)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인몰드용 금형 및 터치 스위치용 중간체 제조 방법
US20170246818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touch panel
TWI439912B (zh) 觸控面板及其製造方法
WO2010001678A1 (ja) ハウジングケース、及び、ハウジングケースの製造方法
KR20200117609A (ko) 커넥터단자부 일체형 인몰드 전자회로 성형물의 제조방법
US7641831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plastic products
KR101645338B1 (ko) 도전 패턴이 형성된 투명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TW201233523A (en) Resin molded article and mold for manufacturing the same
TW201126232A (en) Touch panel module and manufacturing method electronic device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3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