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6124B1 -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6124B1
KR100996124B1 KR1020050023656A KR20050023656A KR100996124B1 KR 100996124 B1 KR100996124 B1 KR 100996124B1 KR 1020050023656 A KR1020050023656 A KR 1020050023656A KR 20050023656 A KR20050023656 A KR 20050023656A KR 100996124 B1 KR100996124 B1 KR 1009961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ool
power
flow path
piezoelectric elemen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36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101974A (ko
Inventor
손명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0500236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6124B1/ko
Publication of KR20060101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101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6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61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62Details, componen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00Steering gears
    • B62D3/14Steering gears hydrauli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5/00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 B62D5/06Power-assisted or power-driven steering fluid, i.e. using a pressurised fluid for most or all the force required for steering a vehicle
    • B62D5/07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 B62D5/075Supply of pressurised fluid for steering also supplying other consumers ; control thereof using priority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4/00Optimising design; Manufacturing; Testing
    • B60Y2304/05Reducing production costs, e.g. by redesig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 In Accordance With Driving Conditions (AREA)
  • Power Steering Mechan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장치 구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압력제어밸브의 반력부 내에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차속에 따라 조절하여 조향감을 변화시키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의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1압전소자;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2압전소자; 상기 제1압전소자와 상기 제2압전소자에 차속에 따라 (+)전원과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반력제어, ECPS, 압력제어밸브, 유량조절, 압전소자, 전류, 변위, 유로, 개폐

Description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 {Flux Regulation Device of Pressure Control Valve for ECPS}
도 1 : 종래의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력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2 :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력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입력축 120 : 토션 바
130 : 피니언축 140 : 밸브 하우징
150 : 유량조절장치 151 : 하우징
152 : 스풀 153 : 제1압전소자
154 : 제2압전소자 155 : 전원수단
160 : 플런저 P,P' : 유로
R : 반력부
본 발명은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 관련된 기술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에서 반력부로 제공되는 압력을 제어하기 위하여 압력제어밸브에 대한 작동유의 공급량을 조절하는 유량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파워 스티어링 장치는 운전자의 조향 휠 조작력을 보조하는 배력장치를 구비함으로써 운행 조건에 따라 적절한 조향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파워 스티어링 장치중에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 장치(ECPS : Electronic Control Power Steering System)는, 차속에 따라 조향력을 변화시킴으로써 고속주행시에는 조향 휠의 조작을 무겁게 하여 조향 안정성을 확보하고 주차시에는 조향 노력(steering effort)을 가볍게 하는 기술을 구현하고 있다.
특히, ECPS는 유압 실린더에 가해지는 유압을 변화시켜 조향 배력을 조절하는데, 그 방법에 따라 유량 제어식과 반력 제어식으로 나뉘어지며, 특히 반력 제어식은 압력제어밸브의 밸브 하우징에 반력 플런저 내지 반력 피스톤을 구비하여 고속 주행 여부에 따라 입력축을 구속하거나 해제함으로써 고속주행시의 조향 휠 안정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러한 반력제어식 ECPS의 반력제어장치에 대한 일례가 첨부도면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축(10) 내에 장착된 토션 바(20)의 하단부에 피니언축(30)이 구비되어 있고, 입력축(10)과 피니언축(30)은 압력제어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4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입력축(10)과 피니언축(30) 및 밸브 하우징(40)에 의해 반력부(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력부(R)에는 유량조절장치(50)가 유로(P)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반력부(R) 내에 유로(P)의 토출구와 대향하여 플런저(60)가 설치되어 있어서, 차량의 주행 속도에 따라 유량조절장치(50)로부터 반력부(R) 내로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이 조절되어 그에 따른 유압 변화로 주행 안정성을 증가시키게 된다.
한편, 반력부(R)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종래의 유량조절장치(50)는 솔레노이드(51)와 스프링(52) 및 이들 사이에 설치된 스풀(53)로 이루어져 있다. 특히, 스풀(53)은 위쪽과 아래쪽의 직경이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솔레노이드(51)에 의한 힘과 스프링(52)에 의한 힘 그리고 스풀(53)의 직경차로 인해 발생하는 힘이 평형을 이루게 된다. 이러한 유량조절장치(50)는, 차속에 따라서 솔레노이드(51)에 공급되는 전류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반력부(R)로 공급되는 유량을 제어하여 차속에 따른 조향감을 달리하게 된다. 즉, 저속시에는 솔레노이드(51)의 미는 힘이 스프링(52)의 탄발력보다 커서 스풀(53)이 위쪽으로 밀리게 되고, 반력부(R)로 통하는 유로(P)가 스풀(53)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유량 공급이 저지된다. 그리고, 고속시에는 솔레노이드(51)가 미는 힘이 스프링(52)의 탄발력보다 작아서 스풀(53)이 아래쪽으로 밀리게 됨에 따라 반력부(R)로 통하는 유로(P)가 개방됨으로써, 작동유가 반력부(R)의 플런저(60)를 밀어주게 되어 스티어링 휠이 무거워지는 조향감이 부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유량조절장치(50)에 사용되고 있는 솔레노이드(51)는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단가면에서도 고가이어서 장치의 가 격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를 갖고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장치 구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는, 압력제어밸브의 반력부 내에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차속에 따라 조절하여 조향감을 변화시키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의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1압전소자;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2압전소자; 상기 제1압전소자와 상기 제2압전소자에 차속에 따라 (+)전원과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된 반력제어장치를 나타내고 있다.
도면에 나타난 바와 같이, 입력축(110) 내에 장착된 토션 바(120)의 하단부에 피니언축(130)이 구비되어 있고, 입력축(110)과 피니언축(130)은 압력제어밸브를 구성하는 밸브 하우징(140) 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입력축(110)과 피니언축(130) 및 밸브 하우징(140)에 의해 반력부(R)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반력부(R)에는 유량조절장치(150)가 유로(P)를 통해 연결되어 있고, 반력부(R) 내에 유로(P)의 토출구와 대향하여 플런저(160)가 설치되어 있다.
특히, 반력부(R)로 공급되는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유량조절장치(150)는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먼저, 상기 압력제어밸브의 밸브 하우징(140)에 구비된 유로(P)와 연통되는 유로(P')가 형성되어 있는 하우징(151)이 구비된다. 그리고, 이 하우징(151) 내에는 스풀(152)이 수용되는데, 이 스풀(152)은 부분적으로 직경이 다른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하우징(151) 내에서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하게 되며, 슬라이딩 작동시 직경차에 의해 상기 유로(P')를 개폐하게 된다. 더욱이, 이 스풀(152)은 통전이 가능한 금속과 같이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 리고, 하우징(151) 내에서 스풀(152)의 일측단부에는 제1압전소자(153)가 설치되는데, 이 제1압전소자(153)에 (+)전원이 흐르게 되면 제1압전소자(153)는 수축변형하여 유로(p')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스풀(152)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이 흐르게 되면 팽창변형하여 유로(p')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풀(152)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또, 마찬가지로 하우징(151) 내에서 스풀(152)의 타측단부에는 제2압전소자(154)가 설치되는데, 이 제2압전소자(154)에 (+)전원이 흐르게 되면 제2압전소자(154)는 팽창변형하여 유로(P')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스풀(152)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이 흐르게 되면 수축변형하여 유로(P')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스풀(152)을 슬라이딩시키게 된다. 이들 제1압전소자(153)과 제2압전소자(154)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전기적 에너지가 가해지면 물리적으로 변형이 일어나는 재료로서, 티탄산바륨 ·로셸염 ·인산이수소암모늄 ·타르타르산에틸렌디아민 등의 결정체가 사용되며, 공급되는 전원의 종류와 전류값에 따라 수축변형 또는 팽창변형하는 재료를 적절하게 선택하여 적용하면 된다. 한편, 이들 제1압전소자(153)와 제2압전소자(154)에 대해 차속에 따라 (+)전원과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155)이 구비되는데, 이 전원수단(155)은 제1압전소자(153)와 직접 접촉하고 있으며, 제2압전소자(154)는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는 스풀(152)을 통해 전원수단(155)으로부터 간접적으로 전류를 공급받게 된다.
위와 같은 구성 요소들에 의해 유량이 조절되는 작동 관계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차속이 저속인 경우에는, 전원수단(155)으로부터 제1압전소자(153)와 제2압전소자(154)에 각각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제1압전소자(153)는 팽창변형되는 반면 제2압전소자(154)는 수축변형되어 이들 압전소자(153,154) 사이에 있는 스풀(152)이 도면상에서 위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반력부(R)로 통하는 유로(P,P')가 스풀(152)에 의해 차단됨으로써 유량 공급이 저지된다.
그리고, 차속이 고속인 경우에는, 전원수단(155)으로부터 제1압전소자(153)와 제2압전소자(154)에 각각 (+)전원이 인가된다. 그러면, 제1압전소자(153)는 수축변형되는 반면 제2압전소자(154)는 팽창변형되어, 이들 압전소자(153,154) 사이에 있는 스풀(152)은 도면상에서 아래쪽으로 슬라이딩하게 됨에 따라, 반력부(R)로 통하는 유로(P,P')가 개방됨으로써, 작동유가 반력부(R)의 플런저(160)를 밀어주게 되어 스티어링 휠이 무거워지는 조향감이 부여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스풀(152)을 이동시켜 압력제어밸브에 대한 공급 유량을 조절하는 수단이 한쌍의 압전소자(153,154)에 의해 구현되는데, 압전소자(153,154)는 종래의 유량조절장치에 적용되던 솔레노이드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비용 또한 저렴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는, 구조가 간단하고 장치 구성의 비용이 저렴하므로 원가절감에 기여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압력제어밸브의 반력부 내에 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의 유량을 차속에 따라 조절하여 조향감을 변화시키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로를 개폐할 수 있도록 슬라이딩 작동이 가능한 도전성 재질의 스풀;
    상기 스풀을 수용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일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1압전소자;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스풀의 타측단부에 설치되며, (+)전원 인가시 팽창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고, (-)전원 인가시 수축변형하여 상기 유로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풀을 슬라이딩시키는 제2압전소자;
    상기 제1압전소자와 상기 제2압전소자에 차속에 따라 (+)전원과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 유량조절장치.
KR1020050023656A 2005-03-22 2005-03-22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KR1009961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6A KR100996124B1 (ko) 2005-03-22 2005-03-22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3656A KR100996124B1 (ko) 2005-03-22 2005-03-22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74A KR20060101974A (ko) 2006-09-27
KR100996124B1 true KR100996124B1 (ko) 2010-11-23

Family

ID=37632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3656A KR100996124B1 (ko) 2005-03-22 2005-03-22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612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96B1 (ko) * 2007-03-15 2012-05-21 주식회사 만도 반력 제어식 동력 보조 조향장치의 콘트롤 밸브 어셈블리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574U (ko) 1985-03-14 1986-09-20
JP2005178453A (ja)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配備アクチュエータ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2574U (ko) 1985-03-14 1986-09-20
JP2005178453A (ja) 2003-12-17 2005-07-07 Toyota Motor Corp ステアリングシステム配備アクチュエ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101974A (ko) 2006-09-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1020B1 (ko) 액압 제어장치 및 이것을 사용한 브레이크장치
KR100373870B1 (ko) 클로우즈드 센터식 유압파워스티어링시스템.
EP2238371B1 (en) Hydraulic control system of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KR100540301B1 (ko) 솔레노이드밸브의제어방법및제어장치
CN105431339A (zh) 主缸设备
CN104913082B (zh) 控制液力变矩器的锁止离合器的控制阀
KR100996124B1 (ko)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의유량조절장치
CN210634627U (zh) 一种液压转向装置及工程车辆
US7249608B2 (en) Flow control for power steering
EP1484232B1 (en) Flow control device for power steering
KR20060032280A (ko) 반력제어식 전자제어 파워 스티어링용 압력제어밸브
US5332055A (en) Power steering apparatus having hydraulic reaction mechanism
JP3994045B2 (ja) 流量制御装置
KR0166072B1 (ko) 동력조향장치의 조향력제어장치
KR100243762B1 (ko) 차속 감응형 파워 스티어링장치
JP3596151B2 (ja) 動力舵取装置
JPH024864Y2 (ko)
JP3125224B2 (ja) 動力舵取装置の操舵力制御装置
KR960015707B1 (ko) 서보 보조 시스템용 가변 보조 증분 제어장치
JP2696336B2 (ja) 動力舵取装置
KR20060089052A (ko) 파워스티어링장치의 유량조절밸브
KR20080007979A (ko) 펌프의 유량제어밸브
US20050050885A1 (en) Servo steering system for motor vehicles
JPS638072A (ja) パワ−ステアリング装置
KR20070059759A (ko) 조향축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