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959B1 - 폐열 회수 발전장치 - Google Patents

폐열 회수 발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959B1
KR100995959B1 KR1020080049422A KR20080049422A KR100995959B1 KR 100995959 B1 KR100995959 B1 KR 100995959B1 KR 1020080049422 A KR1020080049422 A KR 1020080049422A KR 20080049422 A KR20080049422 A KR 20080049422A KR 100995959 B1 KR100995959 B1 KR 100995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fluid
fluid passage
twenty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378A (ko
Inventor
김성완
김종현
Original Assignee
김성완
주식회사 자이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완, 주식회사 자이벡 filed Critical 김성완
Priority to KR1020080049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959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3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3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23/0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 F01K23/02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 F01K23/06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01K23/10Plants characterised by more than one engine delivering power external to the plant, the engines being driven by different fluids the engine cycles being thermally coupled combustion heat from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with exhaust fluid of one cycle heating the fluid in another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5/00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 F01K15/02Adaptations of plants for special use for driving vehicles, e.g. locomot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11/00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 F01K11/02Plants characterised by the engines being structurally combined with boilers or condensers the engines being turb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업 설비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폐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제1 유체를 내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1 유체통로, 상기 제1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으로 회전하는 터빈,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2 유체통로, 상기 제2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기체 상태의 상기 제2 유체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제2 유체통로를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유체의 내부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펌프를 포함한다.
터빈, 펌프, 제1 유체, 제2 유체, 폐열

Description

폐열 회수 발전장치 {Electricity Generating Apparatus for Waste Heat Recovery}
본 발명은 폐열 회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산업 설비에서 발생하는 폐열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철소를 비롯한 산업용 플랜트 설비는 여러 공정을 거치면서 최종 제품을 생산한다. 산업용 플랜트 설비는 가열, 가압, 또는 연소 공정을 수행하면서 고온의 배기가스 또는 고온의 냉각수를 발생시킨다. 즉 배기가스 또는 냉각수는 열 에너지, 즉 폐열을 함유한 상태로 배출된다.
산업용 플랜트 설비에서 버려지는 폐열을 회수하여 재사용하고, 또한 대기 오염 및 수질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산업용 플랜트 설비에 폐열 회수 장치가 설치된다.
예를 들면, 대형 제철소는 철광석에 함유된 철 성분을 추출하기 위하여, 용광로에서 철광석을 고온으로 용해시키는 공정을 수행하며, 고온 공정 도중에 고온의 배기가스와 고온의 냉각수를 대량으로 발생시킨다.
제철소에 설치되는 폐열 회수 발생장치는 고온의 배기가스 또는 고온의 냉각수를 보일러에서 열교환 작용으로 고온의 증기를 발생시키고, 고온의 중기로 터빈을 회전시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고온의 배기가스 또는 고온의 냉각수의 열교환 작용으로 증기를 발생시켜 터빈을 회전시키므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데 한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산업 설비에서 발생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키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폐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제1 유체를 내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1 유체통로, 상기 제1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으로 회전하는 터빈,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2 유체통로, 상기 제2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기체 상태의 상기 제2 유체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제2 유체통로를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유체의 내부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펌프 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체통로는 상기 터빈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11 유체통로와 제1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터빈 및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1 탱크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터빈 및 상기 제1 탱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제1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유입 체크 밸브와 제1 배출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유입 체크 밸브와 제2 배출 체크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터빈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상기 터빈을 향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탱크에 제1 분사노즐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의 상기 제1 유체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탱크에 제2 분사노즐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탱크 내의 상기 제1 유체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펌프와 제1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펌프와 제2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유체를 저장하는 제3 탱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탱크는 폐쇄 구조 또는 개방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펌프에서, 상기 유입 안내부는 상기 제3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펌프에서, 상기 유입부는 상기 제3 탱크에 연결되고, 상기 배출부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3 탱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와 제2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제21 유체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제22 유체통로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1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가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가 상기 제1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3 탱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와 제2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펌프에서 상기 제1 탱크 내부로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상기 제2 탱크 내에서 증발되고, 증발 후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3 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탱크, 상기 제1 펌프, 상기 제3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펌프에서 상기 제2 탱크 내부로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상기 제1 탱크 내에서 증발되고, 증발 후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3 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탱크, 상기 제2 펌프, 상기 제3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1 유체통로 및 상기 제22 유체통로의 공통 구간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산업 설비의 폐열을 흡수하는 제1 유체를 저장하는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제1 유체통로로 연결하고, 제1 탱크와 제2 탱크를 제2 유체통로로 연결하여, 제2 유체통로의 펌프를 통하여, 제1 탱크와 제2 탱크에 번갈아 제2 유체를 분사하여, 제1 유체통로에 방향을 번갈아 형성되는 제1 유체 흐름으로 제1 유체통로의 터빈을 회전시키므로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 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제1 탱크(1)와, 제2 탱크(2), 제1 유체통로(10), 터빈(T), 제2 유체통로(20), 펌프(30) 및 응축기(40)를 포함한다.
제1 탱크(1)와 제2 탱크(2)는 제1 유체를 저장하며, 제1 유체를 통하여 산업 시설(미도시)로부터 폐열을 흡수한다. 제1 유체는 고온 고압 상태와 저온 저압 상태를 번갈아 형성하면서, 제1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여 터빈(T)를 회전시킨다. 예를 들면, 제1 유체는 오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탱크(1)와 제2 탱크(2)는 제1 유체통로(10)의 양측에 대칭적으로 배치되어, 제1 유체통로(10)과 제2 유체통로(20)에 연결되는 부분을 제외하고 밀폐 구조를 형성한다.
제1 유체통로(10)는 제1 탱크(1)와 제2 탱크(2)를 서로 연결하여, 제1 탱크(1)와 제2 탱크(2) 사이에서 제1 유체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며, 또한 제1 유체의 방향을 번갈아 전환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즉 제1 유체통로(10)는 제1 탱크(1)에서 제2 탱크(2)로 제1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고, 또한 제2 탱크(2)에서 제1 탱크(1)로 제1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며, 이 2가지 흐름을 번갈아 구현한다.
터빈(T)은 제1 유체통로(10)에 설치되어, 제1 유체의 흐름에 의하여 회전하며, 제1 유체의 반복적 전환에 따라 연속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터빈(T)에 발전기(G)를 연결하여, 터빈(T)의 회전으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유체통로(10)는 터빈(T)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하여 형성되는 제11 유체통로(11)와 제12 유체통로(12)를 포함한다. 즉 터빈(T)은 제11 유체통로(11)와 제12 유체통로(12)의 교차 지점에 설치되어, 2 통로 중 하나의 통로로 제1 유체의 흐름이 형성되는 경우에 회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제11 유체통로(11)는 제1 탱크(1)와 터빈(T) 및 제2 탱크(2)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제1 탱크(1)에서 배출되어 제2 탱크(2)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터빈(T)을 회전시킨다.
제12 유체통로(12)는 제2 탱크(2)와 터빈(T) 및 제1 탱크(1)를 연결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제2 탱크(2)에서 배출되어 제1 탱크(1)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터빈(T)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은 제1 유체의 흐름 형성을 위하여, 제11 유체통로(11)는 제1 탱크(1)에 연결되는 제1 유입구(111)와 제2 탱크에 연결되는 제1 배출구(112)를 포함한다.
제11 유체통로(11)는 제1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제1 유입구(111)와 제1 배출구(112)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유입 체크 밸브(C111)와 제1 배출 체크 밸브(C112)를 포함한다.
제12 유체통로(12)는 제2 탱크(2)에 연결되는 제2 유입구(121)와 제1 탱 크(1)에 연결되는 제2 배출구(122)를 포함한다.
제12 유체통로(12)는 제1 유체의 흐름을 단속하도록 제2 유입구(121)와 제2 배출구(122)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유입 체크 밸브(C121)와 제2 배출 체크 밸브(C122)를 포함한다.
도2는 도1에서 제1 유체통로 및 터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제1 유체통로(10)에서 제11 유체통로(11)의 제1 유입구(111)와 제12 유체통로(12)의 제2 유입구(121)는 터빈(T)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터빈(T)을 향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제1 유입구(111) 및 제2 유입구(121) 중 어느 한 곳으로 제1 유체가 유입되어도 터빈(T)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한편, 제2 유체통로(20)는 제1 유체통로(10)에서 제1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유체통로(20)는 제1 유체통로(10)와 별도의 통로로 제1 탱크(1)와 제2 탱크(2)를 서로 연결하여, 제1 탱크(1)와 제2 탱크(2) 사이에서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함으로써, 제1 유체통로(10)에서 제1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전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통로(20)는 제3 탱크(3)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21)와 제22 유체통로(22)를 포함한다.
제21 유체통로(21)는 이에 설치되는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를 포함한다.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는 제21 유체통로(21)를 통하여 제2 탱크(2)에서 제3 탱 크(3)로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1 탱크(1)에서 제3 탱크(3)로 배출되는 제2 유체가 제2 탱크(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제22 유체통로(22)는 이에 설치되는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를 포함한다.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는 제22 유체통로(22)를 통하여 제1 탱크(1)에서 제3 탱크(3)로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제2 탱크(2)에서 제3 탱크(3)로 배출되는 제2 유체가 제1 탱크(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보다 효율적인 구동을 위하여, 제1 유체통로(10)는 제1 탱크(1)와 제2 탱크(2)의 하측을 서로 연결하고, 제2 유체통로(20)는 제1 탱크(1)와 제2 탱크(2)의 상측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펌프(30)는 제2 유체통로(20)에서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시키도록 제2 유체통로(20)를 제1 탱크(1)와 제2 탱크(2)에 선택적으로 연결하고, 선택된 탱크의 제1 유체에 제2 유체를 분사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면, 제2 유체는 제1 유체에 비하여 더 낮은 끓는점을 가진다. 따라서 제1 유체가 오일인 경우, 제2 유체는 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유체와 제2 유체를 상대적으로 비교해 보면, 제1 유체는 고비등점, 저점도 및 고비열을 가지며, 제2 유체는 저비등점, 저점도 및 저비열을 가진다. 또한 제2 유체는 액체와 기체 상태로 변화되므로, 액체 상태에서 제1 유체의 밀도는 제2 유체의 액체 상태 밀도보다 높다.
제1 탱크(1) 또는 제2 탱크(2)에서 증발한 제2 유체가 응축기(40)로 배출될 때, 미량의 제1 유체가 제2 유체와 함께 증기 상태로 배출된다. 응축기(40)로 들어 간 제1 유체는 응축기(40)에서 제2 유체와 함께 액체 상태로 응축되어 제2 유체가 저장되는 제3 탱크(3)에 포집된다.
포집된 제1 유체가 액체 상태의 제2 유체보다 비중이 작으면 제1 유체는 제2 유체의 상부에 떠있게 되고, 장시간 누적될 경우, 제3 탱크(3)에 제1 유체가 과다하게 누적되어 본 장치의 원활한 작동을 저해한다.
제1 유체가 액체 상태의 제2 유체보다 비중이 높으면, 제3 탱크(3)에 포집된 제1 유체는 펌프(30)에 의하여, 제1 탱크(1) 및 제2 탱크(2)로 각각 자연스럽게 공급되어 문제가 발생되지 않는다.
펌프(30)가 제1 탱크(1) 또는 제2 탱크(2) 내에 각각 저장되는 고온의 제1 유체에, 제1 유체의 온도보다 낮은 저온의 제2 유체를 분사하는 경우, 제2 유체가 분사된 탱크 내에서 제2 유체는 기화 팽창되어 압력을 상승시킨다.
따라서 제2 유체가 분사된 탱크 내의 제1 유체는 짧은 시간 내에 제1 유체통로(10)를 통하여 제2 유체가 분사되지 않은 탱크로 이동된다.
제1 유체의 흐름이 신속하고 강력할수록 제1 유체통로(10)에 설치되는 터빈(T)은 강력하게 회전하여, 터빈(T)에 연결된 발전기(G)에서 강력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킨다.
폐열을 이용하여 보다 효과적으로 전기 에너지를 발생시키기 위하여, 펌프(30)는 제2 유체통로(20)의 제2 유체를 제1 탱크(1) 또는 제2 탱크(2)에 강력하게 분사할 필요가 있다.
한편, 펌프(30)는 하나로 형성되어 제1 탱크(1)와 제2 탱크(2)에 번갈아 제2 유체를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하나의 펌프(30)에서 2개의 제1 탱크(1) 및 제2 탱크(2)로 유로를 변경하는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미도시).
따라서 본 실시에에서는 제1 탱크(1)와 제2 탱크(2)에 각각 제2 유체를 분사하도록 2개로 형성되는 펌프(30)를 예시한다.
예를 들면, 펌프(30)는 제3 탱크(3)에 관로(24, 25)로 각각 연결되는 제1 펌프(31)와 제2 펌프(32)를 포함한다. 제1 펌프(31)는 제1 탱크(1)에 제1 분사노즐(N1)로 연결되어, 제1 탱크(1)에 내장된 고온의 제1 유체에 저온의 제2 유체를 분사한다. 제2 펌프(32)는 제2 탱크(2)에 제2 분사노즐(N2)로 연결되어, 제2 탱크(2)에 내장된 고온의 제1 유체에 저온의 제2 유체를 분사한다.
제1 펌프(31)와 제1 분사노즐(N1) 사이에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가 설치된다. 제1 펌프(31)에서 유입부는 관로(24)를 통하여 제3 탱크(3)에 연결되고, 배출부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를 통하여 제1 분사노즐(N1)에 연결된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는 제1 펌프(31)에서 제1 분사노즐(N1)을 통하여 제1 탱크(1) 내부로 제1 유체의 분사를 단속하고, 제1 탱크(1) 내의 제1 유체 압력에 의하여 제1 펌프(31)가 역구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 펌프(32)와 제2 분사노즐(N2) 사이에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가 설치된다. 제2 펌프(32)에서 유입부는 관로(25)를 통하여 제3 탱크(3)에 연결되고, 배출부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를 통하여 제2 분사노즐(N2)에 연결된다.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는 제2 펌프(32)에서 제2 분사노즐(N2)을 통하여 제2 탱크(2) 내부로 제2 유체 분사를 단속하고, 제2 탱크(2) 내의 제2 유체 압력에 의하여 제2 펌프(32)가 역구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펌프(30)가 설치되는 제2 유체통로(20)에는 제2 유체를 저장하는 제3 탱크(3)가 설치된다. 제3 탱크(3)는 제1 펌프(31)와 제2 펌프(32) 사이에 배치되어 제1 펌프(31)와 제2 펌프(32)를 서로 연결한다.
제21 유체통로(21)는 제1 탱크(1), 제1 펌프(31), 제3 탱크(3) 응축기(40) 및 제2 탱크(2)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제21 유체통로(21)는 제1 펌프(31)에서 제1 탱크(1) 내부로 제2 유체를 분사하는 통로와, 이와 같이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제2 탱크(2) 내에서 제2 유체가 증발되고, 증발 후 응축기(40)에서 응축된 제2 유체가 제3 탱크(3)로 유입되는 통로로 형성된다.
제22 유체통로(22)는 제2 탱크(2), 제2 펌프(32), 제3 탱크(3) 응축기(40) 및 제1 탱크(1)를 연결하여 형성된다. 즉 제22 유체통로(22)는 제2 펌프(32)에서 제2 탱크(2) 내부로 제2 유체를 분사하는 통로, 이와 같이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제1 탱크(1) 내에서 제2 유체가 증발되고, 증발 후 응축기(40)에서 응축된 제2 유체가 제3 탱크(3)로 유입되는 통로로 형성된다.
일례를 들면, 제3 탱크(3)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개방 구조의 제3 탱크(3)는 제1 유체통로(10) 및 제2 유체통로(20)로 들어간 비응축성 가스(예를 들면, 공기)의 자연 배출을 가능하게 하며, 제1 유체의 증기 및 제2 유체의 유실로 인하여 제1, 제2 유체를 보충할 필요성을 가지게 한다.
또한 제3 탱크(3)는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미도시). 밀폐 구조의 제3 탱크(3)는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보충하는 번거로움을 제거하며, 비응축성 가스 (예를 들면, 공기)의 배출을 위한 스팀 드레인(미도시)을 구비하고, 주기적으로 비응축성 가스를 배출할 필요성을 가진다.
한편, 응축기(40)는 제2 유체통로(20)에 설치되어 제1 탱크(1) 및 제2 탱크(2)에서 증발되는 각각의 제2 유체를 응축시키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응축기(40)는 제2 유체의 응축 과정에서 제2 유체통로(20)에 진공 압력을 발생시키며, 이 진공 압력은 제1 탱크(1) 및 제2 탱크(2)로 연결되는 제1 유체통로(10)를 통하여 제1 유체를 순환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한다.
즉,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가 폐쇄되고,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2 탱크(2)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가 응축기(40)에서 응축되면서, 제2 유체통로(20)의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 응축기(40),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 및 제2 탱크(2) 사이에는 진공 압력이 작용한다.
또한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가 폐쇄되고,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가 개방된 상태에서, 제1 탱크(1)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가 응축기(40)에서 응축되면서 제2 유체통로(20)의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 응축기(40),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 및 제1 탱크(1) 사이에는 진공 압력이 작용한다.
예를 들면, 응축기(40)는 수냉식 또는 공냉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냉식의 경우, 응축기(40)에서 회수된 열 에너지가 난방용으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회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공냉식의 경우, 응축기(40)에서 회수된 열 에너지가 연료가스 또는 공기의 예열로 활용될 수 있으므로 에너지 회수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도3은 제1 펌프 작동시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고, 도4는 제2 펌프 작동시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3 및 도4를 참조하여, 터빈(T) 및 발전기(G)를 구동시키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3을 참조하면, 제1 탱크(1) 및 제2 탱크(2)는 폐열을 받아 제1 유체를 고온 상태로 유지한다. 편의상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 밸브는 오프(off)시 폐쇄되고, 온(on)시 개방되는 구조를 가진다.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가 오프에서 온으로 개방 제어되면, 제1 펌프(31)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제2 유체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와 제1 분사노즐(N1)을 통하여 제1 탱크(1) 내의 저온 상태인 제1 유체에 분사된다. 분사 후, 제1 솔레노이드 밸브(S1)는 온에서 오프된다.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가 오프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1 탱크(1) 내에서 제2 유체는 고온 고압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제1 탱크(1) 내의 제1 유체는 제11 유체통로(11), 즉 제1 유입구(111), 제11 유입 체크 밸브(C111), 터빈(T) 및 제1 배출구(112)를 경유하여 제2 탱크(2)로 유입되면서, 터빈(T) 및 발전기(G)를 구동시킨다.
제11 유체통로(11) 중, 제1 탱크(1)에서 제1 유입구(111)와 터빈(T) 및 제2 유입 체크 밸브(C121) 사이 및 제12 유체통로(12) 중 제1 탱크(1)에서 제2 배출 체크 밸브(C122)사이에 각각 고압이 형성된다.
제11 유체통로(11) 중, 터빈(T)에서 제1 배출 체크 밸브(C112) 및 제2 탱 크(2) 사이, 제2 유입 체크 밸브(C121)와 제2 탱크(2) 사이에 각각 저압이 형성된다.
이때,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가 오프에서 온으로 개방 제어되면서, 제2 탱크(2) 내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는 제21 유체통로(21)를 경유하여, 즉 응축기(40)에서 응축되어 제3 탱크(3)로 흐른다.
제2 탱크(2)에서 제2 유체가 증발할 때, 제2 탱크(2) 내의 제2 유체에 포함된 제1 유체는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 및 제21 유체통로(21)를 통하여 제3 탱크(3)에 포집된다.
제2 유체통로(20) 중,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에서 응축기(40)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 및 제2 탱크(2) 사이에는 진공 압력이 형성된다.
고압에서 저압으로 흐르는 제1 유체로 터빈(T)을 구동시키며, 이때, 진공압력이 제2 탱크(2)의 제1 유체에 작용하여 제1 유체의 더욱 강한 흐름을 형성하여 터빈(T)을 구동시킨다.
또한,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제2 탱크(2)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가 제1 탱크(1)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제1 탱크(1) 내의 제1 유체 온도는 제2 탱크(2) 내의 제1 유체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유체의 반대 방향 흐름을 준비한다.
도4를 참조하면,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가 오프에서 온으로 개방 제어되면, 제2 펌프(32)에서 고압으로 공급되는 제2 유체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와 제2 분사노즐(N2)을 통하여 제2 탱크(2) 내에 저온 상태인 제1 유체에 분사된다. 분사 후, 제2 솔레노이드 밸브(S2)는 온에서 오프된다.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가 오프되어 폐쇄 상태를 유지하므로 제2 탱크(2) 내에서 제2 유체는 고온 고압으로 팽창한다. 따라서 제2 탱크(2) 내의 제1 유체는 제12 유체통로(12), 즉 제2 유입구(121), 제12 유입 체크 밸브(C121), 터빈(T) 및 제2 배출구(122)를 경유하여 제1 탱크(1)로 유입되면서, 터빈(T) 및 발전기(G)를 구동시킨다.
제12 유체 통로(12) 중, 제2 탱크(2)에서 제2 유입구(121)와 터빈(T) 및 제1 유입 체크 밸브(C111) 사이 및 제12 유체통로(12) 중 제2 탱크(2)에서 제1 배출 체크 밸브(C112)사이에 각각 고압이 형성된다.
제12 유체통로(12) 중, 터빈(T)에서 제2 배출 체크 밸브(C122) 및 제1 탱크(1) 사이, 제1 유입 체크 밸브(C111)와 제1 탱크(1) 사이에 각각 저압이 형성된다.
이때,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가 오프에서 온으로 개방 제어되면서, 제1 탱크(1) 내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는 제22 유체통로(22)를 경유하여, 즉 응축기(40)에서 응축되어 제3 탱크(3)로 흐른다.
제1 탱크(1)에서 제2 유체가 증발할 때, 제1 탱크(1) 내의 제2 유체에 포함된 제1 유체는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 및 제22 유체통로(22)를 통하여 제3 탱크(3)에 포집된다.
제2 유체통로(20) 중,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에서 응축기(40) 제22 솔레노이드 밸브(S22) 및 제1 탱크(1) 사이에는 진공 압력이 형성된다.
고압에서 저압으로 흐르는 제1 유체로 터빈(T)을 구동시키며, 이때, 진공 압력이 제1 탱크(1)의 제1 유체에 작용하여 제1 유체의 더욱 강한 흐름을 형성하여 터빈(T)을 구동시킨다.
또한, 제21 솔레노이드 밸브(S21)는 오프 상태를 유지하여 제1 탱크(1)에서 증발되는 제2 유체가 제2 탱크(2)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제2 탱크(2) 내의 제1 유체 온도는 제2 탱크(2) 내의 제1 유체 온도보다 낮은 상태를 유지하여, 제1 유체의 반대 방향 흐름을 준비한다.
상기와 같은 작동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면서 본 실시예의 폐열 회수 발전장치는 폐열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발생시킬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도1에서 제1 유체통로 및 터빈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3은 제1 펌프 작동시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4는 제2 펌프 작동시 폐열 회수 발전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2, 3 : 제1, 제2, 제3 탱크 10, 20 : 제1, 제2 유체통로
11, 12 : 제11, 제12 유체통로 111, 121 : 제1, 제2 유입구
112, 122 : 제1, 제2 배출구 21, 22 : 제21, 제22 유체통로
30 : 펌프 40 : 응축기
T : 터빈 G : 발전기
N1, N2 : 제1, 제2 분사노즐 S1, S2 : 제1, 제2 솔레노이드 밸브
S11, S12 : 제11, 제12 솔레노이드 밸브
S21, S22 : 제21, 제22 솔레노이드 밸브
C111, C121 : 제1, 제2 유입 체크 밸브
C112, C122 : 제1, 제2 배출 체크 밸브

Claims (13)

  1. 폐열에 의하여 가열되는 제1 유체를 내장하는 제1 탱크 및 제2 탱크;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상기 제1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1 유체통로;
    상기 제1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유체의 흐름으로 회전하는 터빈;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를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의 연결부에 연결되는 제3 탱크를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에 더 연결하여,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제2 탱크 사이에서 상기 제3 탱크에 저장되는 제2 유체의 흐름 방향을 번갈아 전환하는 제2 유체통로;
    상기 제2 유체통로에 설치되어, 기체 상태의 상기 제2 유체를 액체 상태로 응축시키는 응축기; 및
    상기 제3 탱크를 상기 제1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 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제1 유체의 내부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펌프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통로는,
    상기 터빈을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11 유체통로와 제1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1 탱크와 상기 터빈 및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1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서 배출되어 상기 제1 탱크로 유입되는 제1 유체의 흐름으로 상기 터빈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2 탱크와 상기 터빈 및 상기 제1 탱크를 연결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는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는 제1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1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1 유입 체크 밸브와 제1 배출 체크 밸브를 포함하며,
    상기 제1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 연결되는 제2 유입구와 상기 제1 탱크에 연결되는 제2 배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유입구와 상기 제2 배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제2 유입 체크 밸브와 제2 배출 체크 밸브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입구와 상기 제2 유입구는 상기 터빈 회전의 접선 방향으로 상기 터빈을 향하여 배치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는,
    상기 제1 탱크에 제1 분사노즐로 연결되어 상기 제1 탱크 내의 상기 제1 유체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제1 펌프 및
    상기 제2 탱크에 제2 분사노즐로 연결되어 상기 제2 탱크 내의 상기 제1 유체에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하는 제2 펌프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3 탱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와 제2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펌프와 제1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펌프와 제2 분사 노즐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탱크는
    상기 제1 펌프와 상기 제2 펌프 사이에 연결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탱크는 폐쇄 구조 또는 개방 구조로 형성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펌프에서,
    유입부는 상기 제3 탱크에 연결되고, 배출부는 상기 제1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며,
    상기 제2 펌프에서,
    유입부는 상기 제3 탱크에 연결되고, 배출부는 상기 제2 솔레노이드 밸브에 연결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3 탱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와 제2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펌프는 상기 제21 유체통로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펌프는 상기 제22 유체통로에 배치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1 탱크 에서 상기 제2 유체가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1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의 배출을 가능하게 하면서 상기 제2 탱크에서 상기 제2 유체가 상기 제1 탱크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설치되는 제22 솔레노이드 밸브를 포함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통로는,
    상기 제3 탱크를 사이에 두고 서로 교차 형성되는 제21 유체통로와 제22 유체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21 유체통로는,
    상기 제1 펌프에서 상기 제1 탱크 내부로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상기 제2 탱크 내에서 증발되고, 증발 후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3 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1 탱크, 상기 제1 펌프, 상기 제3 탱크 및 상기 제2 탱크를 연결하고,
    상기 제22 유체통로는,
    상기 제2 펌프에서 상기 제2 탱크 내부로 상기 제2 유체를 분사할 때, 상기 제1 탱크 내에서 증발되고, 증발 후 상기 응축기에서 응축되어 상기 제3 탱크로 유입되는 상기 제2 유체의 흐름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탱크, 상기 제2 펌프, 상기 제3 탱크 및 상기 제1 탱크를 연결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13.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응축기는 상기 제21 유체통로 및 상기 제22 유체통로의 공통 구간에 설치되는 폐열 회수 발전장치.
KR1020080049422A 2008-05-28 2008-05-28 폐열 회수 발전장치 KR100995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22A KR100995959B1 (ko) 2008-05-28 2008-05-28 폐열 회수 발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422A KR100995959B1 (ko) 2008-05-28 2008-05-28 폐열 회수 발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78A KR20090123378A (ko) 2009-12-02
KR100995959B1 true KR100995959B1 (ko) 2010-11-22

Family

ID=416856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422A KR100995959B1 (ko) 2008-05-28 2008-05-28 폐열 회수 발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95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24B1 (ko) 2011-02-08 2013-12-31 주필성 냉매엔진 및 그 제어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24576B1 (ko) * 2015-12-14 2017-04-07 주식회사 포스코 코크스 오븐 상승관의 열을 이용한 스팀생산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116A (ja) 2001-11-28 2003-06-06 Amada Eng Center Co Ltd 発電システム
WO2006104490A1 (en) 2005-03-29 2006-10-05 Utc Power, Llc Cascaded organic rankine cycles for waste heat utilization
KR100753333B1 (ko) 2006-10-23 2007-08-29 주식회사 포스코 중저온 배열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1116A (ja) 2001-11-28 2003-06-06 Amada Eng Center Co Ltd 発電システム
WO2006104490A1 (en) 2005-03-29 2006-10-05 Utc Power, Llc Cascaded organic rankine cycles for waste heat utilization
KR100753333B1 (ko) 2006-10-23 2007-08-29 주식회사 포스코 중저온 배열을 이용한 발전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6124B1 (ko) 2011-02-08 2013-12-31 주필성 냉매엔진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378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23398B1 (ko) 복합싸이클동력장치
JP3880653B2 (ja) 低温蒸気回収法および回収装置
CN102713167A (zh) 废热回收发电装置及具备该装置的船舶
CN102084093A (zh) 用于使热动力循环运行的方法以及热动力循环
UA92229C2 (uk) Спосіб і система для виробництва енергії з теплового джерела
KR20150028743A (ko) 증기 터빈 플랜트
CN101828090A (zh) 复压式冷凝器及冷凝水再热方法
JP2014047675A (ja) 冷却水供給システムおよびこれを備えたバイナリ発電装置
JPH09177566A (ja) 発電所のための冷却空気用冷却器
KR100854089B1 (ko) 폐수용 진공 증발농축 재생장치
JP2006194242A (ja) 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エネルギー供給方法、エネルギー供給システムの改造方法
KR100995959B1 (ko) 폐열 회수 발전장치
KR101244170B1 (ko) 스팀공급 및 폐열회수 시스템이 구비된 염색기
JP6788412B2 (ja) 排熱回収システム
WO2013114937A1 (ja) 二酸化炭素回収装置
CN113280525B (zh) 一种具有过冷和预热的喷射式大温差换热系统
KR101917430B1 (ko) 발전장치
KR20010012626A (ko) 가스 및 증기 터빈 장치 및 상기 방식 장치의 가스 터빈의냉각제 냉각 방법
CN206722889U (zh) 一种环冷机低温废气与烧结大烟道烟气余热综合利用系统
JP4095738B2 (ja) 原子力発電設備
JP2019209249A (ja) 発電設備用の蒸発濃縮装置及び方法ならびに発電設備
JP6997667B2 (ja) 発電装置および発電方法
JP4283633B2 (ja) 排熱回収器を有する二重効用形吸収式冷温水機
JP5367385B2 (ja) 復水回収装置
JP7198654B2 (ja) 復水器及び脱気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