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5062B1 -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 Google Patents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5062B1
KR100995062B1 KR1020080107209A KR20080107209A KR100995062B1 KR 100995062 B1 KR100995062 B1 KR 100995062B1 KR 1020080107209 A KR1020080107209 A KR 1020080107209A KR 20080107209 A KR20080107209 A KR 20080107209A KR 100995062 B1 KR100995062 B1 KR 100995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groove
air pressure
side wall
low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072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48173A (ko
Inventor
윤원일
Original Assignee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금호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1072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5062B1/ko
Publication of KR201000481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481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5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5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3/00Devices for measuring, signalling, controlling, or distributing tyre pressure or temperature, specially adapted for mounting on vehicles; Arrangement of tyre inflating devices on vehicles, e.g. of pumps or of tanks; Tyre cooling arrangements
    • B60C23/06Signalling devices actuated by deformation of the tyre, e.g. tyre mounted deformation sensors or indirect determination of tyre deformation based on wheel speed, wheel-centre to ground distance or inclination of wheel axle
    • B60C23/063Generating directly an audible signal by deformation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60C13/02Arrangement of grooves or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2019/006Warning devices, e.g. devices generating noise due to flat or worn ty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트레드부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의 변형에 의해 입구폭의 크기가 변하며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타이어의 공기누설 시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지면서 차량의 자중에 의해 사이드월부가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변형되고, 이때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이 팽창하여 상기 홈의 입구는 벌어지고, 타이어가 회전을 하면 상기 홈의 공기저항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므로 운전자에게 타이어의 공기누설을 미리 알리고, 타이어 파열의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므로, 타이어 파열에 의한 차량의 파손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타이어, 널링, 공기압, 홈

Description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Tire recognizing low air pressure}
본 발명은 타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타이어 사이드월부에 타이어의 공기누설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홈을 가지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의 적정 공기압의 안전 주행상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비용으로 TPMS(타이어 공기압 모니터링 시스템)를 설치해야 한다.
하지만 TPMS는 설치비용이 따로 들고, 신차 구입시 옵션 사항으로 특별히 지정하지 않은 경우 대부분의 차량에 장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타이어의 펑크나 공기 누설(AIR LOSS)을 운전자가 미리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타이어의 펑크나 공기 누설을 운전자가 인식하지 못하고서 자동차를 고속 주행시키면 타이어의 이상마모, 차량의 전복 등이 일어날 수 있어 차량과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타이어의 공기누설 등이 발생할 경우 TPMS 등의 기기를 사용하지 않고, 타이어 사이드월부에 홈을 형성하여 이상 소음을 발생시켜서 손 쉽게 운전자가 타이어의 이상징후를 인식할 수 있게 하기 위한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는, 트레드부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의 변형에 의해 입구폭의 크기가 변하며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홈들 사이에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산과 골 및 상기 산과 골을 연결하는 경사면을 갖도록 널링부가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홈은 상기 골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의 사이드월부의 표면으로부터 깊이가 0.7mm 내지 1.0mm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은 상기 홈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내부 널링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널링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에 따르면, 트레드부와 사이드월부 및 비드부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의 변형에 의해 입구폭의 크기가 변하며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홈이 형성되어 타이어의 공기누설 시 타이어의 공기압이 낮아지면서 차량의 자중에 의해 사이드월부가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변형되고, 이때 상기 사이드월부의 외측면이 팽창하여 상기 홈의 입구는 벌어지고, 타이어가 회전을 하면 상기 홈의 공기저항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하므로 운전자에게 타이어의 공기누설을 미리 알리고, 타이어 파열의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므로, 타이어 파열에 의한 차량의 파손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홈은 상기 골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어 상기 홈에 의한 소음이 상기 경사에 의해 증가하므로 상기 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상기 홈은 상기 홈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면이 맞물리게 형성되는 내부 널링을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내부 널링 사이의 충돌로 인한 2차 소음이 발생하므로 타이어 공기누설 시의 소음을 상승시킬 수 있고 상기 홈의 개수를 줄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공기압 상태의 타이어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사이드월부의 단면도이다.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는, 트레드부(11)와 사이드월부(12) 및 비드부(13)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12)에 홈(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144)은 도 1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홈(144)은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12)의 변형에 의해 입구폭의 크기가 변하며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타이어가 공기누설에 의해 차량의 자중에 의해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이 팽창하고, 이때 상기 홈(144)의 벌어진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작용은 제 2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제 2 실시예에서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한 제 1 실시예와 동일 및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 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널링부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정상공기압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저공기압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는, 상기 홈(144)들 사이에서 산(141)과 골(142) 및 상기 산(141)과 골(142)을 연결하는 경사면(143)을 갖도록 널링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널링부(14)는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에 원주방향을 따라 타이어 중심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널링부(14)는 산(141)과 골(142) 및 상기 산(141)과 골(142)을 연결하는 경사면(143)을 포함한다.
상기 널링부(14)는 상기 비드부(13)에서 기설정된 간격을 두고 타이어의 숄더부 근처까지 형성된다.
상기 산(141)과 골(142)은 타이어의 중심에서 외경 방향으로 방사형을 이루어 형성되고, 타이어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상기 산(141)에서 상기 경사면(143)들이 이루는 각도는 90 °가 일반적이며 상기 골(142)에서 상기 경사면(143)들이 이루는 각도는 90 °가 일반적이다. 다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발명의 목적에 맞게 다양한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기 산(141)의 사이드월부(12) 표면에서 높이는 0.5mm 내지 0.8mm 범위 이내로 형성된다.
상기 산(141)의 높이가 0.5mm 보다 낮게 형성이 되는 경우 상기 널링부(14)를 외관으로 식별할 수 없어 널링부로 기능할 수 없다.
또한, 상기 산(141)의 높이가 0.8mm 보다 높게 형성이 되는 경우 타이어 회전 시에 공기저항이 생겨 타이어의 이상소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홈(144)은 타이어의 저공기압 상태에서 상기 사이드월부(12)의 변형에 따라 입구폭이 변형되어 타이어 회전 시에 소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한다.
타이어가 정상 공기압 상태에서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공기압에 의해 차량의 자중이 분담되므로 사이드월부(12)의 형상이 변하지 않고, 상기 홈(144)의 입구는 서로 접촉한 상태로 있다. 이때에는 타이어가 회전을 하더라도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타이어가 저공기압 상태에서는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타이어의 공기압이 줄어들면서 차량의 자중을 사이드월부(12)가 분담하게 되어 사이드월부(12)가 타이어 외부측으로 돌출되게 힘을 받으면 이때 상기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이 팽창된다. 트레드부(11)의 접촉 면적도 증가한다.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이 팽창되어 변형되는 경우, 상기 홈(144)의 입구는 상기 사이드월부(12)의 변형에 의해 벌어진다. 이때에 타이어가 회전을 하면 상기 홈(144)의 공기저항으로 인해 소음이 발생한다.
상기에서 발생한 소음은 운전자에게 타이어의 공기누설을 미리 알리고, 타이 어 파열의 예측가능성을 보장하므로, 타이어 파열에 의한 차량의 파손 및 인명피해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홈(144)은 상기 널링부(14)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된다.
상기 홈(144)들 사이의 간격(a)은 15mm 내지 30mm 범위 이내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44)들 사이의 간격(a)이 15mm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144)의 개수가 많아져 타이어 사이드월부(12)의 강성을 저하시킨다.
또한, 상기 홈(144)들 사이의 간격(a)이 30mm 보다 크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144)의 개수가 적어져 타이어의 공기누설 시 발생하는 소음이 운전자에게 전달될 수 없다.
상기 홈(144)은 상기 골(142)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43)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홈(144)이 경사를 가지면, 타이어 회전 시 공기저항을 증가시켜서 큰 소음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상기 홈(144)의 개수를 줄이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홈(144)의 경사는 상기 경사면(143)의 경사에 따라 다양한 경사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홈(144)의 사이드월부(12)의 표면으로부터 깊이(H)가 0.7mm 내지 1.0mm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홈(144)의 깊이(H)가 0.7mm 보다 얕은 경우, 상기 홈(144)의 깊이가 충 분하지 않아 운전자가 주행 중에 들을 수 있는 충분한 소음을 발생시킬 수 없다.
상기 홈(144)의 깊이(H)가 1.0mm 보다 깊은 경우, 소음을 크게 발생시킬 수 있지만 타이어 사이드월부(12)의 강성을 저하시킨다.
상기 홈(144)의 폭(b)는 0.8mm 정도가 바람직하다.
상기 홈(144)의 바닥 부분은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된다.
타이어의 정상 공기압 상태에서 상기 홈(144)의 입구가 서로 접촉하게 된다. 이때 상기 홈(144)의 바닥에 응력이 발생하는데 상기 홈(144)의 바닥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되면 상기 홈(144)의 폭이 줄어들면서 생기는 응력을 바닥 전체에 분산시켜서 응력 집중에 의한 상기 홈(144)의 파열을 방지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며, 상기한 제 2 실시예와 동일 및 상당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널링부의 단면도이다.
도 7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실시예의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는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와 비교하여 상기 홈(144)은 내부 널링(145)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 널링(145)은 상기 홈(144)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내부 널링(145)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된다.
상기 내부 널링(145)은 타이어 회전 시 공기저항에 의한 1차 소음을 발생시 키고, 타이어 굴신에 의한 상기 내부 널링(145)들 사이의 충돌에 의한 2차 소음을 발생시킨다.
상기 홈(144)에 내부 널링(145)이 형성되면, 상기 내부 널링(145)들 사이에 2차 소음이 발생하므로 상기 홈(144)의 개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내부 널링(145)의 높이(c)는 상기 홈(144)의 폭(b)이 0.8mm인 경우, 0.3mm가 바람직하다.
상기 내부 널링(145)의 높이(c)가 0.3mm 보다 낮게 형성되는 경우 타이어의 굴신 시 내부 널링(145)들 사이의 충돌이 일어나지 않아 2차 소음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내부 널링(145)의 높이(c)가 0.3mm 보다 높게 형성되는 경우 상기 홈(144)이 벌어지더라도 내부 널링(145)들이 접촉한 상태로 있어서 충돌에 의한 2차 소음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 또는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저공기압 상태의 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을 따른 사이드월부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널링부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정상공기압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저공기압 상태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널링부의 단면도이다.
<주요 도면 부호의 설명>
11: 트레드부 12: 사이드월부
13: 비드부 14: 널링부
141: 산 142: 골
143: 경사면 144: 홈
145: 내부 널링

Claims (5)

  1. 트레드부(11)와 사이드월부(12) 및 비드부(13)로 구성되는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월부(12)의 외측면에 방사형으로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두고 형성되고,
    타이어의 공기압 상태에 따른 상기 사이드월부(12)의 변형에 의해 입구폭의 크기가 변하며 주행 시 소음을 발생시키는 홈(144)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홈(144)들 사이에서 상기 타이어의 원주 방향을 따라 산(141)과 골(142) 및 상기 산(141)과 골(142)을 연결하는 경사면(143)을 갖도록 널링부(14)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144)은,
    상기 골(142)의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경사면(143)과 동일한 경사각을 이루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144)의 사이드월부(12)의 표면으로부터 깊이(H)가 0.7mm 내지 1.0mm의 범위 이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홈(144)은,
    상기 홈(144)의 내부에 서로 마주하는 면에 내부 널링(145)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 널링(145)은 서로 맞물리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KR1020080107209A 2008-10-30 2008-10-30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KR100995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09A KR100995062B1 (ko) 2008-10-30 2008-10-30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07209A KR100995062B1 (ko) 2008-10-30 2008-10-30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73A KR20100048173A (ko) 2010-05-11
KR100995062B1 true KR100995062B1 (ko) 2010-11-18

Family

ID=422749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07209A KR100995062B1 (ko) 2008-10-30 2008-10-30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5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27256A1 (fr) * 2014-10-21 2016-04-22 Michelin & Cie Dispositif de protection dun flanc de pneu
KR102561573B1 (ko) * 2021-07-14 2023-07-31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주식회사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48173A (ko) 2010-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48779B2 (ja) 空気入りタイヤ
EP2078623A1 (en) Pneumatic tire
KR101972174B1 (ko) 공기 타이어
JPH08258518A (ja) リム・ガードを備えた空気入りタイヤ
KR100995062B1 (ko) 저공기압 인식 타이어
JP2007038917A (ja) 空気入りタイヤ
US4121640A (en) Pneumatic tire for a vehicle wheel
JP6672718B2 (ja) 空気入りタイヤ
WO2018025854A1 (ja) 空気入りタイヤ
KR20190008694A (ko) 스터드 타이어
JP2018514454A (ja) 複数の切り込みを有するブロックを含むタイヤ用トレッド
CN109311352B (zh) 噪音降低胎面
JP200619311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06076401A (ja) ランフラットタイヤ
EP3446891B1 (en) Tire and tire mold
JP2010076474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0933700B2 (en) Pneumatic tire
US11505010B2 (en) Pneumatic tire
KR100557648B1 (ko) 자동차용 타이어의 런-플랫 장치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JP4338076B2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001100B2 (en) Pneumatic tire
KR100990126B1 (ko) 마멸 방지부를 가지는 안전 타이어
KR20220148629A (ko) 방열판 및 방열판이 장착된 타이어
US20210339577A1 (en) Pneumatic ti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