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4242B1 -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4242B1
KR100994242B1 KR1020090077406A KR20090077406A KR100994242B1 KR 100994242 B1 KR100994242 B1 KR 100994242B1 KR 1020090077406 A KR1020090077406 A KR 1020090077406A KR 20090077406 A KR20090077406 A KR 20090077406A KR 100994242 B1 KR100994242 B1 KR 1009942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ing
sand
floating means
water
landf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74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기
Original Assignee
김용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기 filed Critical 김용기
Priority to KR10200900774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42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42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42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19/00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 E01C19/12Machines, tools or auxiliary devices for preparing or distributing paving materials, for working the placed materials, or for forming, consolidating, or finishing the paving for distributing granular or liquid materials
    • E01C19/20Apparatus for distributing, e.g. spreading, granular or pulverulent materials, e.g. sand, gravel, salt, dry bin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18Reclamation of land from water or marsh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Abstract

항로준설토를 이용한 매립지의 연약 지반 개량 작업 중 침출수 배수 및 장비 진입을 위한 기초층으로 작용하는 배수층 형성 및 바다해충 발생방지를 위한 복토층 형성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고 이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모래 및 골재 포설층을 형성하기 위한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으며, 공사 기간은 물론이거니와 공사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수상 모래포설방법을 개시한다.
이러한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은, 출원인에 의해 기 특허 취득(등록번호: 10-0672815-0000, 등록일자: 2007년 1월 16일)하였으나 초기 개념보다 진일보되고 보완된 개념으로 1)누수방지를 위해 보강된 호안법면에 방수비닐을 포설하는 공정, 2)수상에서 PET매트를 포설하는 공정, 3)바다파리 및 깔따구 등 해충발생 방지 및 수심유지를 위한 해수의 담수 및 배수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매립지에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나 골재를 포설하는 수상포설장치의 작동원리 등을 포함한다.
항로준설토, 연약지반 개량작업, 대차, 해수담수, 해수배수, 부유수단, 바다해충, 주윈치, 방수비닐, 공기압장치, 호퍼 배출구, 공사비 절감

Description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sand spreader apparatus and method on water}
출원인에 의해 기 특허 취득(등록번호: 10-0672815-0000, 등록일자: 2007년 1월 16일)한 내용에서 상세 설명하였듯이, 본 발명은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매립지의 연약지반 개량 작업에 사용되며, 특히 매립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고 이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모래 포설층을 형성하기 위한 포설 작업을 용이하게 진행할 수 있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항만의 매립 공사시 지반 개량을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모래를 포설하여 모래 포설층을 형성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러한 모래 포설층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벨트 콘베이어와 같은 모래 포설용 장비를 준설토 위에 직접 설치한 상태로 진행하는 포설 공법이 주로 사용되며, 이외에도 콤프레서의 공기압을 이용하여 포설하는 강압건식공법과 유체펌프의 압력을 이용하여 물이 섞인 상태로 모래를 포설하는 습식공법 등이 있다.
상기한 종래의 포설 공법들은 매립대상지에 준설토를 투기하고, 이 준설토에서 분 리된 해수를 배수시킨 다음, 배수된 상태로 일정기간 동안 방치한 후 준설토 위에 모래를 포설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모래 포설층의 포설 작업이 완료되면, 포설층 아래의 준설토층과 원지반층에 포함된 수분을 연직배수재 등을 이용하여 강제 배수시키는 통상의 배수 작업을 거치면서 매립지 위에 각종 도로 및 건축 부지의 조성이 가능한 강도가 유지되도록 지반이 개량된다.
상기한 포설 공법 중에서 포설용 장비가 직접 매립지 위에 진입한 상태로 진행하는 방법은 준설토의 허용 지지력이 중장비의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투기된 준설토의 건조를 위해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강압건식공법은 정밀 시공을 할 경우 모래의 박층 포설이 가능하지만 시공 거리의 한계가 있으며, 작업 중 먼지 비산(飛散) 등이 발생하여 각종 민원을 야기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습식공법은 펌프의 압력에 의해 수분이 함유된 상태로 포설 작업이 진행되므로 균일한 두께로 모래를 포설하기 어렵고, 수원(水源)으로부터 거리나 높이와 같은 주변 환경에 많은 제약이 따른다.
그리고, 상기한 각 공법들은 매립지에 준설토를 투기한 후 이 준설토에서 분리된 해수를 배수하는 과정을 거친 상태에서만 원활한 포설 작업이 가능하며, 특히 배수 작업 후에는 일정한 기간 동안 방치하는 기간을 두어야 하므로 전체 공사 기간의 단축은 물론이거니와 공사 비용의 절감을 실현하기 어렵다. 이러한 건조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은 지반 개량 작업의 전체 공사 기간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준설토를 투기장에 투기 후 바다파리 및 깔따구와 같은 바다해충이 발생하여 투기장 주위 주민들의 생활 및 경제활동에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나, 바다해충 발생 후 처리방법은 성장억제재 살포 및 수상백호 등을 이용한 수로 형성으로 침출수를 강제 배수하는 방법 등 소극적 대응방법 뿐으로, 주민들의 민원제기 및 피해배상 요구로 인한 공기지연 및 국가예산 과투입, 신규 준설토 투기장 조성에 대한 예정지 주민과 환경단체의 반대여론 등을 줄이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준설토를 사용한 매립지의 지반 개량을 위한 포설 작업이 용이하고, 준설토 투기 후 조기에 바다해충 발생방지를 위한 복토층 형성이 가능하고, 특히 매립대상지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에 부유한 상태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포설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매립대상지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외부 호안 내에 해수를 공급하여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상한 상태로 직접 포설용 모래를 낙하시키는 수상 포설 방식으로 복토층 및 배수층 형성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수상 포설 작업은 기존의 포설 방식과 같이 준설토 투기 후 배수된 상태로 일정 기간 동안 방치하는 공정 등을 행하지 않아도 되므로 항로준설토를 이용한 매립공사시 지반 개량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 등을 대폭 절감할 수 있으며, 바다해충 발생을 근본적이며 친환경적으로 막을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출원인에 의해 기 특허 취득(등록번호: 10-0672815-0000, 등록일자: 2007년 1월 16일)한 내용의,
준설토가 투기된 매립지 위에 담수가 가능하도록 외부 호안을 이용하여 일정한 높이로 제방층을 형성하는 공정;
상기 매립지의 준설토 위에 일정량의 해수를 공급하는 공정;
상기 매립지의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공정;
상기 매립지에 담수된 해수를 외부로 배수하는 공정 등을 포함하는 기 출원한 수상 모래포설방법과 함께,
형성된 제방층에 담수된 해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준설토와 부직포 및 방수비닐을 포설하는 공정;
상기 매립지 내 수상에서 부유수단을 이용하여 PET매트를 포설하는 공정;
담수된 해수의 배수 후 도쟈포설에 의한 토사포설 공정;
그리고, 상기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출원인에 의해 기 특허 취득(등록번호: 10-0672815-0000, 등록일자: 2007년 1월 16일)한 내용을 추가하여,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2개의 대차에 설치된 윈치와 이송용 와이어로 연결되고 작동하는 주윈치;
상기 2개의 대차에 설치된 윈치와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된 주윈치에 연결되어 부유수단이 주윈치의 회전방향에 따라 구속되어 이동되어지게 하는 와이어;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되며 대차의 이동과 함께 부유수단이 와이어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작용하는 공기압장치;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되며 포설용 모래를 적재하여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된 벨트컨베이어에 모래를 공급하는 호퍼가 배출구의 개폐기능을 포함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를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들이 본 발명의 실시가 가능한 범위 내에서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이므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는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들로 인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출원인에 의해 기 특허 취득(등록번호: 10-0672815-0000, 등록일자: 2007년 1월 16일)한 내용을 추가하여,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수상 모래포설방법의 전체 작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면 부호 S5는 형성된 제방층에 담수된 해수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준설토(E2)와 부직포(V2) 및 방수비닐(V1)을 포설하는 공정을 지칭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작업은, 준설토층(E2) 위에 해수를 담수하였을 때, 제방층(L2)이 담수된 해수의 수압 및 모세관현상에 의한 누수로 인하여 액상화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방지하는 공정이다.
상기 제방층(L2)은 모래나 흙을 이용하여 조성된 것으로 방수비닐(V1)만을 설치하였을 경우 비닐이 찢어지고 구멍이 날 수 있으므로 점토층인 준설토를 이용하여 방수비닐을 위한 보호층을 형성하고, 부직포(V2)를 사용하여 방수비닐(V1)을 보호한 다.
상기 방수비닐(V2) 포설은 준설토층(E2)에 약 1.00m 이상 매립이 되도록 하며, 타단은 제방층(L2) 상단에 매립하여 고정하고, 바람에 의해 쉽게 하자가 날 수 있으므로 고정될 수 있도록 모래주머니 등을 끈으로 매달아 방수비닐(V1) 위에 고정시킨다.
상기 공정(S5) 후에는 상기 매립지(E1)에 해수를 공급하는 공정(S2)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방층(L2)들에 의해 형성된 담수 공간에 해수(W)를 공급한다.
상기 해수(W)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엔진펌프나 전기펌프를 이용하여 공급되어지며, 준설토를 투기한 후 6개월 이내에 바다해충 발생방지를 위해 수상모래포설방법으로 모래나 골재를 이용하여 복토층을 형성하거나, 준설토 투기 후 3년 이내에 연약지반처리공사 중 배수층을 수상모래포설방법으로 형성할 경우, 펌프를 이용하여 담수 및 배수를 지속적으로 행하여 바다해충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바다해충이 준설토의 침출수로부터 영양분을 공급받고, 햇빛 및 기온상승에 따른 수온상승, 빗물 및 웅덩이에 고여 있는 침출수의 표층이 담수화되어 바다해충이 대량 번식할 수 있는 원인을, 해수의 지속적인 공급과 배수를 통하여 해수흐름을 발생시키고, 수온을 낮추며, 수상포설을 통하여 해수 표면부와 내부가 섞이는 작용에 의해 담수층 형성을 차단하기 때문이다.
상기 매립지(E1)의 준설토층(E2) 위에 해수(W)가 공급되어 일정한 높이로 담수된 상태가 되면,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매립지(E1)의 준설토층(E2) 위에 PET매트(M1)를 포설하는 공정(S6)을 진행한다.
상기 포설 작업에는 도 4에서와 같이 담수된 해수면에서 부유수단(8)과 대차(L2)들을 이용하여 PET매트(M1)를 포설한다.
상기 부유수단(8)은 상부에 설치되는 각 장치 일부를 일시적으로 제거하고 부유수단(8)과 부유수단(8)을 H빔 등으로 연결하여 1회 PET매트(M1) 적재면적을 넓혀서 1회 PET매트(M1) 포설면적을 확대할 수 있으며, 대차(L2)에 설치된 윈치(6)에 부유수단(8)에 연결된 로프를 감는 방법으로 부유수단(8)을 끌면서 PET매트(M1)를 포설한다. 이때 연결된 부유수단(8) 위에 PET매트(M1)를 일정 폭으로 겹치는 형태가 반복되도록 포개고, 포설이 시작하는 제방층(L2) 상단에 부유수단 위에 적치된 PET매트(M1) 상단부를 매립한 후 부유수단(8)이 이동되면서 자연적으로 PET매트(M1)가 포설되는 방법을 사용한다.
상기 PET매트(M1)를 포설하는 공정(S6)이 끝나면 담수된 해수면에서 수상포설 작업이 가능한 장치를 이용하여 포설용 모래(Q)를 포설하는 공정(S3)을 진행한다.
상기 수상 모래포설장치는,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대차(2)와, 이 대차(2) 위에 각각 위치하고 이들 사이를 이송용 와이어(4)로 연결하는 윈치(6)와, 상기 이송용 와이어(4)와 연결되며 이 와이어(4)를 따라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는 부유수단(8), 이 부유수단(8)에 설치되며 담수된 해수면에 포설용 모래(Q)를 낙하시키기 위한 포설수단(16,18), 부유수단(8)에 설치되며 부유수단(8)을 와이어(4)를 따라 이동하게 하는 주윈치(mw1), 부유수단(8)을 와이어(4)와 직각방향으로 이동하게 하는 공기압펌프(ac) 및 공기압탱크(act)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대차(2)는 위쪽에 일정한 크기의 작업대를 구비하고, 상기 매립지(E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하는 2개의 제방층(L2) 위에 각각 배치되어 이 제방층(L2)의 연결 구간을 따라 이동된다.
상기 대차(2)는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내부에 엔진과 같은 동력장치가 구비되어 장치의 동력이 바퀴 또는 캐터필러와 같은 무한궤도로 전달되면서 이동하는 이미 잘 알려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각 대차(2) 위에는 윈치(6)가 설치되며, 이 2개의 윈치(6)에는 상기 매립지(E1)를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도 7에서와 같이 이송용 와이어(4)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부유수단(8)은 상기 이송용 와이어(4)의 연결구간과 대응하도록 도면에서와 같이 배치된다.
상기 윈치(6)는 상기 이송용 와이어(4)를 연결한 상태에서 이 와이어(4)가 필요한 장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통상의 와인딩 작용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러한 윈치(6)의 조작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상기 대차(2)에는 상기 윈치(6)의 와인딩 동작시 작용하는 측면 인장력 등에 의해 상기 대차(2)의 자세가 변화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발란스 웨이트(14)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발란스 웨이트(14)는 콘크리트 블록이나 철괴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대차(2)에 요구되는 지지력의 확보가 가능한 크기 및 중량 범위로 선정하여 사용한다.
상기 부유수단(8)은 담수된 해수면 위에 부유된 상태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반 바지선과 같은 부선(艀船)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수단(8)은 상기 주윈치(mw1) 작동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도록 상기 이송용 와이어(4)와 연결된다.
상기 부유수단(8)에 설치된 주윈치(mw1)는 상기 이송용 와이어(4)와 도 7에서와 같이 연결된다.
상기 주윈치(mw1)는 도 7에서와 같이 2개의 드럼(d1, d2)이 설치된 구조로, 각각의 드럼에는 작동모터가 정착되어 있고 드럼의 표면에는 홈이 일정간격으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을 따라 이송용 와이어(4)가 도 6 및 도7에서와 같이 (대차 윈치(6)-a1-a2-a3-a4-a5-a6-대차 윈치(6)) 형태로 연결되어 있다. 이는 주윈치(mw1)의 드럼(d1,d2)에 이송용 와이어(4)가 서로 겹침이 없이 도 7에서와 같이 8자를 90도 회전한 형태로 감겨있어 작동모터의 회전속도에 따라 부유수단(8)의 이동거리가 일정하며, 작은 힘의 회전으로 큰 견인력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주윈치(mw1)는 도면에는 표시되어 있지 않지만 회전방향을 바꿀 수 있으며, 조작은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콘트롤러를 이용하여 제어가 가능하게 셋팅될 수 있다. 이러한 제어 구조는 해당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자라면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이므로 더욱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부유수단(8)은 상기 2개의 윈치(6) 사이에 연결된 이송용 와이어(4)를 부유수단(8)에 설치된 주윈치(mw1)가 어느 한 방향 또는 그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상기 부유수단(8)을 따라 이동하면서 담수된 해수면 위에 포설용 모래(Q)를 낙하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포설용 컨베이어(16)와 포설용 모래(Q)가 담겨지는 포설용 호퍼(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포설용 컨베이어(16)는 통상의 벨트컨베이어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부유수단(8) 즉, 바지선 위에서 도 11에서와 같은 자세로 설치되어 어느 하나의 단부를 통하여 도면에서와 같이 담수된 해수면을 향하여 포설용 모래(Q)를 낙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포설용 호퍼(18)는 내부에 일정량의 포설용 모래(Q)가 담겨질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고, 저장된 포설용 모래(Q)를 도 11에서와 같이 상기 포설용 컨베이어(16)의 일측 단부에 공급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포설용 호퍼(18)는 내부 공간에 채워진 포설용 모래(Q)가 중력에 의해 아래쪽으로 배출되도록 하는 구조이거나 이외에도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통상의 진동장치가 구비되어 진동에 의해 배출되도록 셋팅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포설용 호퍼(18)의 아래쪽 배출구는 도 10에서와 같이 모래나 골재를 포설용 호퍼(18)에 채울시 유출되지 않도록 개폐가 가능한 기능을 갖는다. 이는 상기 포설용 컨베이어(16)가 작동되기 전에 모래나 골재가 배출구 외부에 유출되었을 경우, 상기 포설용 컨베이어(16) 초기 작동시 모래 또는 골재와의 마찰력으로 상기 포설용 컨베이어(16)의 기능저하 및 고장을 초래하기 때문이다.
상기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수상 모래포설장치는, 상기 부유수단(8)이 상기 2개의 대차(2)측에 연결된 이송용 와이어(4)를 따라 도 7에서와 같이 담수된 해수(W)의 수면에서 부유한 상태로 이동하면서 상기 포설수단(10)을 이용하여 상기 매립지(E1)의 해수면 위로 포설용 모래(Q)를 낙하시키면서 포설 작업을 진행한다.
그리고, 상기 부유수단(8)은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대차(2)의 이동과 도 11의 공기압펌프(ac)에 의해 발생하여 공기압탱크(act)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압축공기배출구(aco)를 통해 배출하는 방법을 조합하여 상기 제방층(L2)의 연결 구간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가 옮겨지면서 상기 매립지(E1) 전체 면적에 대응하여 포설용 모래(Q)를 간단하게 포설할 수 있다. 즉, 상기 부유수단(8)의 하부에는 도 11에서와 같이 압축공기배출구(aco)가 해수(W)에 담겨질 수 있는 상태로 제공되어, 상기 압축공기배출구(aco)를 통해 압축공기를 배출하면 배출압력에 의해 압축공기의 배출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상기 부유수단(8)이 움직이면서 상기 이송용 와이어(4)의 연결 방향과 대략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위치가 옮겨질 수 있도록 셋팅된다.
이와 같이 상기 매립지(E1)에 담겨진 해수(W)의 수면 위에 상기 부유수단(8)이 부유된 상태로 이동하면서 수상 포설 작업을 진행하면, 매립지(E1)에 투기된 준설토층(E2)에서 분리된 잔여 해수를 배수하고 일정기간을 두고 방치한 상태로 진행하는 종래의 포설 방식에 비하여 매립지(E1)의 포설 작업을 위한 이동 공간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포설 작업시 준설토층(E2)의 지반 강도를 확보하지 못하여 발생하는 각종 안전사고 등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상 모래포설장치를 이용한 포설 작업에 의해 담수된 해수면 아래로 낙하된 포설용 모래(Q)는 도 5에서와 같이 매립지(E1)의 준설토층(E2) 위에 쌓이면서 일정한 두께의 모래포설층(E3)을 형성한다. 이 포설층(E3)은 상기 준설토층(E2) 위에서 요구되는 두께 범위로 형성되도록 포설용 모래(Q)를 낙하시면서 포설 작업을 진행한다.
상기와 같이 포설 작업이 완료되면, 상기 수상 모래포설장치를 철거한 다음 상기 매립지(E1)에 담겨진 해수(W)를 배수하는 공정(S4)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도 5에서와 같이 초기 제방층(L2)을 형성할 때 미리 매설한 배수관(B1)을 이용하여 배수하거나, 집수정을 설치하여 외부로 해수(W)를 배수한다.
이러한 배수 작업은, 상기 포설 작업에 의해 준설토층(E2) 위에 일정한 두께로 포 설된 포설층(E3)이 도 5에서와 같이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배수한다.
이와 같이 배수 작업에 의해 준설토층(E2) 위에 형성된 모래포설층(E3)은 배수가 진행됨에 따라 물다짐 상태로 형성되어 흐트러지지 않고 일정강도를 갖는 상태로 시공된다.
상기 공정(S4) 후에는 상기 모래포설층(E3)에 도쟈포설에 의한 토사포설 공정(S7)을 진행한다. 이 작업은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방층(L2)에서 운반장비에 의해 공급되는 토사를 도쟈포설하는 형태로 시공된다. 이는 수상 포설 방식으로 포설된 모래포설층의(E3) 두께가 PET매트(M1)조합으로도 후속되는 연직배수재 타설장비와 기타 건설장비의 접지압이 부족할 경우에 토사포설 각 단계별로 접지압이 안전한 도쟈를 선정하여 시공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한 각 공정을 거치면서 매립지(E1)의 연약 지반 개량을 위한 전처리 작업으로 진행하는 모래포설층(E3)을 수상 포설 방식으로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으므로 포설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하는 수상 모래포설방법의 개선된 전체 작업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제방층의 누수방지를 위한 방수비닐포설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매립지에 해수를 공급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수상에서 부유수단을 이용한 PET매트 포설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매립지 외부로 해수를 배수하는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도쟈포설에 의한 토사 포설 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수상 모래포설장치의 부유수단에 설치되어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부유수단을 움직이게 하는 주윈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7의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수상 모래 포설장치에 설치된 이송용 와이어가 대차윈치와 부유수단에 설치된 주윈치와 연결되는 상태 및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7의 포설용 모래를 포설하는 공정에 사용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의 부유수단에 설치된 호퍼의 배출구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7의 부유수단을 이송용 와이어가 설치된 방향과 직각방향으로 이동시키 기 위해 설치된 공기압장치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Claims (10)

  1. 준설토를 투기하여 조성한 매립지 측에 담수된 해수에 의해 제방층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준설토와 부직포 및 방수비닐을 포설하는 공정;
    상기 매립지 내 수상에서 부유수단을 이용하여 PET매트를 포설하는 공정;
    담수된 해수의 배수 후 도쟈포설에 의해 토사를 포설하는 공정;
    을 포함하며,
    상기 준설토를 투기하여 조성한 매립지 측에 담수된 해수에 의해 제방층의 누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준설토와 부직포 및 방수비닐을 포설하는 공정은,
    담수된 해수와 접하는 제방층의 사면에 준설토와 부직포 및 방수비닐을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매립지 내 수상에서 부유수단을 이용하여 PET매트를 포설하는 공정은, 부유수단과 부유수단을 H빔 등으로 연결하여 1회 포설 폭을 확대한 후, 그 위에 일정 폭으로 겹치는 형태로 PET매트를 적재한 상태로 대차에 설치된 윈치가 부유수단과 연결된 로프를 감는 방법으로 부유수단을 끌면서 PET매트를 포설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담수된 해수의 배수 후 도쟈포설에 의해 토사를 포설하는 공정은, 후속되는 연직배수재 타설장비와 건설장비의 접지압이 부족할 경우에 토사포설 각 단계별로 접지압이 안전한 도쟈를 선정하여 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방법.
  5. 삭제
  6. 매립대상지의 마주하는 외부 호안을 따라 각각 이동하는 대차 윈치들 사이에 연결된 1개의 이송용 와이어의 연결구간 내에 배치되는 부유수단 측에 설치되어 회전 구동에 의해 상기 이송용 와이어의 연결방향을 따라 상기 부유수단을 해수면 위에서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주윈치;
    상기 부유수단에 설치되는 공기압펌프에 의해 발생하여 공기압탱크에 저장된 압축공기를 압축공기배출구를 통해 배출하여 상기 이송용 와이어의 연결방향과 직각 방향으로 상기 부유수단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형성된 공기압장치;
    상기 부유수단 상에 배치되는 벨트컨베이어 측에 포설용 모래를 공급할 수 있도록 형성된 호퍼를 포함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주윈치는, 2개의 드럼으로 형성되며, 드럼에 형성된 원형 홈을 따라 이송용 와이어가 8자를 90도 회전시킨 형태로 감겨있으며, 드럼의 회전방향으로 부유수단을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호퍼는, 포설용 모래를 배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 배출구가 벨트컨베이어의 작동 후 열리고, 포설용 모래의 배출 후에는 닫히도록 셋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장치는, 상기 부유수단의 하부에서 해수면 아래로 담겨질 수 있는 상태로 압축공기배출구가 제공되어, 이 압축공기배출구에서 배출되는 압축공기의 배출압력에 의해 상기 부유수단을 압축공기의 배출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상기 이송용 와이어의 연결 방향과 직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셋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상 모래포설장치.
KR1020090077406A 2009-08-21 2009-08-21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KR1009942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06A KR100994242B1 (ko) 2009-08-21 2009-08-21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7406A KR100994242B1 (ko) 2009-08-21 2009-08-21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4242B1 true KR100994242B1 (ko) 2010-11-12

Family

ID=43409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7406A KR100994242B1 (ko) 2009-08-21 2009-08-21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424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65A (ko) 2019-07-31 2021-02-10 임상영 골재투입장치
CN117702674A (zh) * 2024-02-06 2024-03-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624A (ja) * 1999-08-12 2003-02-25 ギ ネーグル 複数の輸送手段、ボート、および輸送網用の圧縮空気補充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輸送網
KR100429370B1 (ko) * 2001-05-16 2004-04-28 최귀봉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제체 축조를 위한 수중과 지상단위 재하재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507624A (ja) * 1999-08-12 2003-02-25 ギ ネーグル 複数の輸送手段、ボート、および輸送網用の圧縮空気補充ステーションを備えた輸送網
KR100429370B1 (ko) * 2001-05-16 2004-04-28 최귀봉 토목섬유를 이용한 호안 제체 축조를 위한 수중과 지상단위 재하재 및 이를 이용한 축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965A (ko) 2019-07-31 2021-02-10 임상영 골재투입장치
CN117702674A (zh) * 2024-02-06 2024-03-1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
CN117702674B (zh) * 2024-02-06 2024-04-05 交通运输部天津水运工程科学研究所 一种减少沙滩泥化的生态带构建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468325B (zh) 一种大面积临海滩涂海泥快速固化施工方法
US4521131A (en) Lightweight semi-flexible dike
KR102259699B1 (ko) 스톤백을 이용한 연약지반 개량시공방법
CN104759457A (zh) 铬污染土壤修复的异位反应系统及该系统的布置方法
WO2023109378A1 (zh) 一种废石与干尾砂联合处置露天坑方法
CN111206559A (zh) 沙漠地区地表固化方法以及结构
KR100994242B1 (ko)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CN113266028B (zh) 一种海域滩涂地段公路抛石围堰防渗体系施工方法
CN212612660U (zh) 危险废物填埋系统
CN114108705A (zh) 危险废物填埋系统和填埋方法
CN112458813A (zh) 一种临时道路结构及其施工方法
KR100672815B1 (ko) 수상 모래포설장치 및 그 방법
CN111676951A (zh) 浅软土层抛石挤淤结合砂袋井处理施工方法
KR20100016667A (ko) 수상 복토 포설을 이용한 연약 지반 개량 방법
CN116043624A (zh) 一种炭质泥岩路基填筑施工方法及施工装置
JP6593703B2 (ja) 石炭灰の埋立方法
JP4000780B2 (ja) 廃棄物の埋立方法
CN110344390B (zh) 一种用于高含水率粉质土的疏干系统的施工方法
CN110042859B (zh) 挡土墙反滤体及其施工方法
CN209935492U (zh) 危险废物刚性填埋系统及危险废物倒运系统
CN111827198A (zh) 一种潮汐湖水环境生态修复中控水换填的施工方法
KR200405514Y1 (ko) 수상 모래포설장치
KR100218901B1 (ko) 폐타이어를 이용한 배수 및 폐기물 매립방법
RU2176700C1 (ru) Способ защиты территории от затопления
KR200316779Y1 (ko) 해안의 연약지반에 준설토와 모래를 이용하여 지지력이강화된 매립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