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3780B1 -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 Google Patents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3780B1
KR100993780B1 KR1020100017181A KR20100017181A KR100993780B1 KR 100993780 B1 KR100993780 B1 KR 100993780B1 KR 1020100017181 A KR1020100017181 A KR 1020100017181A KR 20100017181 A KR20100017181 A KR 20100017181A KR 100993780 B1 KR100993780 B1 KR 10099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ucket
guide
screen
fl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7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희
Original Assignee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종합기계(주) filed Critical 중앙종합기계(주)
Priority to KR1020100017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3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5/00Artificial water canals, e.g. irrigation canals
    • E02B5/08Details, e.g. gates, scree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24Separation of coarse particles, e.g. by using sieves or screens

Abstract

본 발명은 스크린에 걸려진 부유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수로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로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의 레일 상에서 버킷이 이송수단에 의해 수평 및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floating adulteration removable apparatus}
본 발명은 스크린에 걸려진 부유 협잡물을 제거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수로의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빗물펌프장이나 배수펌프장 등과 같은 우수처리시설물의 유입 수로에는 수로를 따라 흘러 내려오면서 물의 흐름을 방해하고, 수질을 오염시키는 각종 쓰레기나 나뭇가지 등의 부유 협잡물을 걸러내기 위하여 스크린이 설치된다.
이러한 수로에 설치되는 통상적인 스크린은 상하로 연속되며 일정간격으로 이격 설치되는 다수의 판재로 이루어지고, 수로의 폭에 따라 좌,우로 연속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단독으로 설치되게 된다.
이렇게,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은 점차 스크린의 전방에 쌓여 물의 흐름에 장애로 작용하므로 일정 량의 협잡물이 모일 경우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는 제거작업을 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는 종래의 장치는 본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하여 등록받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17722호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를 첨부된 도면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부유스크린에 걸린 부유 협잡물을 인양하는 협잡물 제거수단에는 수로(1)의 상부 측에 수로(1)를 가로지르며 평행하게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112)과, 상기 레일(112)에 결합되어 이동되는 본체프레임(110)과, 상기 본체프레임(110)의 상단에 고정되고 일측이 부유스크린(120)의 전방으로 돌출된 수평레일(114)과, 상기 수평레일(114)을 따라 이동하는 대차(130)와, 상기 대차(130)에 결합되어 상,하로 승강되면서 상기 부유스크린(120)에 걸린 부유 협잡물을 인양하는 버킷(140)이 구비된다.
상기에서, 버킷(140)은 스크린에 협잡물을 긁어내는 갈퀴부(142)와 레이크부(144)로 이루어져 부유물을 효과적으로 잡을 수 있으며, 상기 버킷(140)의 승강과 대차(130)에 따른 전후이동 및 본체프레임(110)의 수로 폭 방향의 이동에 따라 부유스크린(120)에서 걷어낸 부유 협잡물을 수로의 일측에 배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대차가 수평레일의 끝단까지 이동하여, 버킷에 의해 무거운 협잡물을 들어올리는 경우에 본체프레임의 모멘트가 크게 발생하여 제거수단이 불안정해지기 쉬운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모멘트에도 불구하고 안정되게 하기 위해서는 본체프레임의 하중을 크게 하여야 하는 데, 이 경우에는 무거운 제거수단을 수평 이동하기 위한 에너지가 크게 소요되는 단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레일과 본체프레임의 이동면은 지상 가까이에 설치됨에 따라 수로의 범람시에 협잡물이 레일과 본체프레임 사이에 개재되어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요소도 가지고 있었다.
더욱이, 종래의 기술과 같이 고정된 위치에 스크린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대차에 의한 전후방향 이동이 통상 필요하지 아니함으로써, 불필요한 구성에 의하여 제작비용이 증대되는 단점도 초래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안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스크린에 걸린 중대형 협잡물을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제거장치를 통하여 수로의 외부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버킷의 이동이 동일 평면상에서 수평 이동과 상하 이동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수평 이동시 중량에 대하여 안정적인 수평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협잡물 제거에 따른 버킷의 상하 이동시 스크린으로의 안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협잡물로 인한 상하 이동에 간섭됨 또한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버킷에 의해 협잡물을 인양시 버킷이 쉽게 벌어지지 않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버킷이 스크린으로 안내시 좌,우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버킷 상승시 이송 대차로의 삽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목적도 갖는다.
또한,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 뿐만 아니라 부유 또는 침강된 협잡물의 제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목적도 갖는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로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의 레일 상에서 버킷이 이송수단에 의해 수평 및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에 설치된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수단에는 수로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서 수로의 폭 방향에 따라 연장 형성되는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프레임과; 상기 수평판의 하부에 결합되는 상기 레일과; 상기 레일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수평 이송부와, 상기 버킷을 승하강하는 승하강부가 구비되는 이송 대차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 이송부는, 구동원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이 레일의 일측 상면에 접촉되되, 레일의 밑면과 이송롤의 반대면 레일의 타측 상면에 지지되는 다수 개의 아이들롤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승하강부는 버킷에 연결되는 와이어와, 상기 와이어를 통하여 연결된 버킷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구동축에 와이어를 감김 및 풀어 주는 드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은 스크린에서 협잡물을 긁어내는 갈퀴부와, 상기 갈퀴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레이크부로 구성되되, 상기 갈퀴부의 상부에는 중량추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버킷의 양 측면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제1,2 안내롤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의 양 측단에는 상기 제1,2 안내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2 안내롤이 삽입되어 구름되는 안내홈이 형성된 안내레일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안내레일의 안내홈의 폭은 상기 제1,2 안내롤의 직경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대차의 밑면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안내레일의 상단까지 절첩되는 절첩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대차의 하부 양측에는 버킷이 안전하게 삽입되는 안전 가이드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송 수단에는, 수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주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과; 양단이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레일이 구비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킷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가 구비되는 이송 대차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수로의 가장자리 지면보다 높게 위치한 레일과 이송대차를 통하여 수로의 범람시에도 안정되게 협잡물의 인양작업이 이루어지고, 협잡물의 인양작업이 버킷의 승하강이동과 수평이동만으로 이루어져 설비가 간단하여 제작비용이 저렴하게 됨은 물론 제어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버킷은 지주와 가까운 고정된 거리인 수평판에 설치된 레일에서 상하 이동됨에 따라 지주에 발생하는 모멘트가 종래에 비하여 크게 발생되지 않아 더욱더 안정적인 인양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레일에 수평이동하도록 장착되는 수평 이송부는 레일의 전방과 후방 및 밑면으로 지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수평 이동시 중량에 대하여 안정적인 수평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 이송 대차 및 버킷에 대한 중량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져 레일로부터 이송 대차가 벌어지는 것과 같은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버킷에 구비되는 제1,2 안내롤과 안내레일의 안내홈에 의해 협잡물 제거에 따른 버킷의 상하 이동시 스크린으로의 안내가 용이하게 이루어짐은 물론 안내홈의 폭을 넓게 확보하여 안내홈으로 유입되는 협잡물에 의해서도 버킷의 상하 이동에 간섭됨 없이 원활하게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버킷의 갈퀴부에 구비되는 중량추부에 의해 협잡물을 인양시에도 버킷이 쉽게 벌어지는 않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버킷이 스크린으로 안내시 이송 대차에 구비된 절첩부재에 의해 버킷과 좌,우로의 움직임 없이 안정적으로 안내될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버킷 상승시 이송 대차에 구비되는 안전 가이드에 의하여 이송 대차로의 삽입이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서, 수평이동이 더욱더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또한, 버킷과 이송 대차를 수평 이송 뿐만 아니라 전,후방으로도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 뿐만 아니라 부유 또는 침강된 협잡물의 제거 또한 용이하게 이루어져 협잡물 제거의 효율성을 한층 높일 수 있는 효과도 갖는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정면도.
도 1b는 도 1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승하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버킷의 제1,2 안내롤이 안내레일에 삽입된 상태의 요부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
도 7은 종래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
도 8은 종래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에 구비되는 버킷과 승강수단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a는 본 발명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 정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에 따른 개략적인 요부 측면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승하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수로에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이 설치되어 수로를 따라 흘러 내려오면서 스크린으로 걸려지는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는 통상의 협잡물 제거장치에 있어,
본 발명은, 상기 스크린에 걸린 중대형 협잡물을 간단한 구성을 가지는 제거장치를 통하여 수로의 외부로의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수로(1)의 상부에 설치된 프레임(10)의 레일(R) 상에서 협잡물을 인양하도록 구성되는 버킷(140)이 이송수단(20)에 의해 수평 및 상하로 이동하면서 수로(1)에 설치된 스크린(S)에 걸려진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의 외부로 배출하여 임시 저장소(T)로 수용하여 제거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프레임(10)은 수로(1)의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지주(12)와, 상기 지주(12)의 상부에서 상기 수로(1)의 폭 방향에 따라 연장형성된 수평판(1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수평판(14)의 하부에 결합되는 레일은 중앙에 수직방향으로 웨브부(web)가 형성되고 상하단에 플랜지부(flange)가 수직으로 연장되는 통상적인 영문 알파벳의 "I"자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지주(12)는 수로(1)의 가장자리에 세워지거나 수로(1)의 상부까지 높게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세워지고, 통상의 프레임 골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는 앵커볼트 등의 고정수단을 통하여 지면 또는 콘크리트 구조물 상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지며, 하나 또는 다수가 수로의 폭 방향으로 세워질 수 있다.
상기 수평판(14)은 지주(12)의 상부에 결합되거나 지주의 상부에서 판재 형태로 수로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되고, 이 수평판(14)의 하부에는 상기 레일(R)이 통상적인 고정방식에 의해 고정된다. 이때 레일의 위치는 스크린의 상부 측에 위치하게 됨에 따라 버킷이 스크린의 상부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인양작업 전반에 걸쳐 수평판에 결합되는 레일과 기둥의 이격 간격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인양되는 협잡물과 버킷 및 이송 대차의 하중에 의한 지주 하단의 모멘트 발생 값이 종래 기술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될 수 있는 조건을 가진다.
레일(R)은 수로(1)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수로의 가장자리의 지면의 상부까지 연장되어 있으며, 상부는 수평판에 볼팅 등으로 고정되고 그 하부는 이송 대차의 수평 이송부에 의해 이송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수단(30)은 상기 레일(R)상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대차(21)와, 상기 이송대차(21)에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21)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송부(22)와, 승하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부(26)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수평이송부(22)는, 상기 레일(R)의 플랜지부의 일측 상면에 접촉되며 통상의 정회전 및 역회전되는 모터 등과 같은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23)과, 상기 레일(R)의 플랜지부 일측 밑면과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 상면과 밑면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 개의 아이들롤(24)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이송대차(21)는 상기 수평이송부(22)에 축결합되어 상기 구동원(M)의 회전에 의해 레일(R)상을 이동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수평이송부(22)를 갖는 레일(R)에 단순하게 걸쳐져 이송되는 것이 아니라 상이 이송롤(23)과 이이들롤(24)에 의해서 축지지되므로 이송대차(21) 및 버킷(140)의 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대응력을 가질 뿐만 아니라 레일(R)로부터 벌어지지 않고 지지되어 수평으로의 이송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승하강부(26)는 버킷(140)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풀리(141)에 감겨지도록 연결되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통하여 연결된 버킷(1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정,역회전하는 구동모터(27)와, 상기 구동모터(27)에 연결되는 구동축(27a)에 와이어(W)를 감김 및 풀어 주는 드럼(28)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구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드럼으로부터 와이어가 감기고 풀려 지면서 버킷을 승하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버킷(140)은, 스크린(S)에서 협잡물을 긁어내는 갈퀴부(142)와, 상기 갈퀴부의 상부에 통상적인 힌지결합방식으로 연결되고 실린더에 의해 벌어졌다 좁혀졌다 하도록 회전가능한 레이크부(144)로 구성되어, 스크린에 걸린 협잡물은 버킷에 의해 파지되어 인양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갈퀴부(142)의 상부에는 레이크부가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중량추부(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중량추부(30)는 갈퀴부의 상부에 형성되는 플랜지(142a)에서 중량추(32)가 삽입 고정되는 연결대(34)와, 상기 연결대(34)에 형성되는 장공(34a)에 의해 플랜지(142a)에서 연결대(34)를 전,후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갈퀴부의 상부에 구비된 중량추부에 의해 협잡물을 인양하고자 할 때 갈퀴부 측으로 레이크부가 좁혀진 상태에서 상기 중량추부의 중량추 중량에 의해 레이크부가 갈퀴부 측으로 밀착시킴에 따라 레이크부가 쉽게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량추부의 연결대를 플랜지로부터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하는 것은 필요에 따라 더욱더 무거운 중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르면 버킷의 이동이 수로를 가로지르는 평면 상에서 수직이동과 수평 이동만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설치가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유지보수 또한 쉬우며, 제어의 편의성 및 제작비용이 절감되는 장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버킷은 지주와 가까운 고정 거리상에서 상하 이동됨에 따라 지주에 모멘트가 종래 기술에 비하여 크게 발생하지 않게 되어 인양작업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가진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 버킷의 제1,2 안내롤이 안내레일에 삽입된 상태의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버킷이 협잡물을 인양하고자 스크린 측으로 하강하거나 승강될 때 스크린의 정확한 위치로 안내가 이루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버킷(140)의 양 측면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제1,2 안내롤(42)(44)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S)의 양 측단에는 상기 제1,2 안내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2 안내롤(42)(44)이 삽입되어 구름되는 안내홈(40a)이 형성된 안내레일(40)이 각각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 안내롤은 안내홈의 안쪽 수직면에 맞닿고, 제2 안내롤은 안내홈의 측면과 맞닿게 구비됨에 따라 제1,2 안내롤이 안내레일의 안내홈으로 삽입될 경우에는 버킷이 좌,우와 전,후로의 유동성 없이 스크린의 상부로부터 하부까지 정확한 위치로 안내하게 되고, 그로 인해 버킷은 스크린에 걸려진 협잡물을 남김없이 깨끗하게 인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40)의 안내홈(40a) 폭은 이 안내홈으로 삽입되는 상기 제1,2 안내롤(42)(44)의 직경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한다. 그에 따라 안내홈으로 협잡물의 일부가 유입되더라도 상기 제1,2 안내롤과 안내홈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에 의해 협잡물이 쉽게 빠져나가 끼지 않게 되어 제1,2 안내롤의 구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져 원활한 이송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 설명한 본원 발명은 수로의 깊이가 비교적 낮은 수로를 일 예로 설명하였으나, 수로의 깊이가 깊은 곳에서는 상기한 승하강부에 의해 승하강되는 버킷이 안내레일과 같이 거리 또한 상당히 멀게 위치함에 따라 버킷의 안내레일까지 흔들림 없이 안정적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대차(21)의 밑면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안내레일(40)의 상단까지 통상적으로 여러 개의 절첩대(52)가 서로 포개어 겹쳐져, 인입 및 인출될 수 있는 구조로 절첩되는 절첩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이때, 절첩부재는 버킷에 구비되는 제1 안내롤이나 또는 제2 안내롤 중 어느 하나와 접촉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필요에 따라 통상의 자동 안테나 등과 같이 구동수단에 의해 자동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것이 더욱더 바람직하다.
그에 따라 버킷과 스크린에 구비되는 안내레일 간의 거리가 멀 경우에도 상기 이송 대차에 구비되는 절첩부재를 인출하여, 상기 버킷에 구비되는 제1 안내롤 또는 제2 안내롤이 상기 절첩부재에 지지되어 버킷이 좌,우로의 유동없이 먼 거리에 위치하는 안내레일로의 안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버킷이 승강되어 이송 대차와 근접할 때 버킷이 이송 대차의 하부로 안전하게 위치할 수 위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이송 대차(21)의 하부 양측에는 버킷(140)이 안전하게 삽입되는 안전 가이드드(55)를 더 구비한다. 이때, 상기 버킷의 상부에는 상기 안전 가이드 사이의 폭과 대응되게 지지되는 지지구(56)를 구비하여 버킷이 안전 가이드에 안정되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버킷을 이송 대차의 하부로 위치시켜 이송시에도 버킷이 유동성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이송이 이루일 수 있는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요부도이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협잡물 제거장치의 구성은 하기에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것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는 협잡물을 제거하기 위한 장치의 구성은 하기에 설명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된 실시 예와 동일한 것이다.
상기 이송 수단(20)에는, 수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이격되게 설치되는 지주(12)와; 상기 지주의 상부에 서로 평행하게 설치되는 레일(R)과; 양단이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수로의 길이 방향에 따라 전후레일(62)이 구비되는 슬라이딩바(60)와; 상기 레일에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버킷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26)가 구비되는 이송 대차(21)가 포함된다.
지주(12)는, 수로(1a)의 길이 방향에 따라 상류 측과 하류 측에 각각 설치되며, 상류 측에 설치되는 지주와 하류 측에 설치되는 지주는 수로의 폭 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가 설치될 수 있고, 상기 각 지주(12)는 수로(1a)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면에 설치되거나 수로를 가로지르게 형성된 콘크리트 구조물(2)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레일(R)은, 상류 측의 지주(12)와 하류 측의 지주(12)의 상부에 각각의 수로의 폭 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한 쌍의 레일(R)은 평행하게 설치된다. 이때 레일(R)은 수로의 폭의 일측 또는 양측을 벗어나 지면에까지 이르도록 수로의 폭 길이보다 길게 형성된다.
슬라이딩바(60)는, 양단이 상기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안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지 않는 레일 상에서 회전되는 바퀴부재와, 바퀴부재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이 포함된다. 또한 슬라이딩바에는 수로의 길이방향에 따라 전후레일(62)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송 대차(21)는 상기 전후레일(62)에 따라 이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송 대차(21)에는 전후레일을 타고 이동하기 위한 롤러와, 상기 롤러를 회전시키는 동력원이 구비되며, 또한 버킷(140)을 승하강시키는 승하강부(26)가 구비되어 있다.
이로써, 협잡물을 포집한 버킷(140)은 이송 대차(21)의 승하강부(26)에 의하여 상부로 이동되고, 슬라이딩바(60)가 레일(R) 상에서 이동됨에 따라 수로(1a)의 외측으로 포집된 협잡물을 수평 이동된 후 버킷(140)의 작동으로 협잡물이 투하되는 것이다.
또한, 이송 대차(21)가 슬라이딩바(60)의 전후레일(62)을 타고 이동됨으로써, 버킷(140)은 스크린(S)의 전방으로 이동할 수 있어, 우천시 등 스크린에 다량의 협잡물이 걸린 때에는 스크린의 전방에 쌓인 협잡물을 인양할 수 있게 됨에 따라 협잡물 제거의 작업범위가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또, 슬라이딩바(60)는 양단이 지주(12)에 의하여 지지되는 레일(R)에 걸쳐진 상태이므로, 지주(12)에 모멘트의 발생이 방지되어 무거운 협잡물의 인양 작업이 안정되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1,1a : 수로 2 : 구조물 10 : 프레임
12 : 지주 14 : 수평판 20 : 이송수단
21 : 이송 대차 22 : 수평 이송부 23 : 이송롤
24 : 아이들롤 27 : 구동모터 27a : 구동축
28 : 드럼 30 : 중량추부 32 : 중량추
34 : 연결대 34a : 장공 40 : 안내레일
40a : 안내홈 42 : 제1 안내롤 44 : 제2 안내롤
50 : 절첩부재 52 : 절첩대 55 : 안전 가이드
56 : 지지구 60 : 슬라이딩바 62 : 전후레일
140 : 버킷 141 : 풀리 142 : 갈퀴부
142a : 플랜지 144 : 레이크부 M : 구동원
R,112 : 레일 S : 스크린 T : 임시 저장소

Claims (10)

  1. 수로(1)의 상부에 프레임(10)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10)에 웨브부(web)와 플랜지부(flange)로 이루어진 레일(R)이 설치되며, 상기 레일(R)상에 수평이동이 가능하게 설치된 이송대차(21)와 상기 이송대차(21)에 축결합되어 상기 이송대차를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는 수평이송부(22)와 승하강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승하강부(26)로 이루어진 이송수단(20)에 의해 이동하면서 수로(1)에 설치된 스크린(S)에 걸려진 협잡물을 인양하여 수로(1)의 외부로 배출하여 제거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이송부(22)는 상기 레일(R) 플랜지부 일측 상면에 접촉되며 구동원(M)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롤(23)과, 상기 레일(R)의 플랜지부 일측 밑면 및 상기 플랜지부의 타측 상면과 밑면에 각각 설치된 아이들롤(24)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R)에서 수평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승하강부(26)는 버킷(140)에 연결되는 와이어(W)와, 상기 와이어(W)를 통해 연결된 버킷(140)을 승하강시키기 위해 정회전 및 역회전하는 구동모터(27)와, 상기 구동모터(27)에 연결되는 구동축(27a)에 와이어(W)를 감김 및 풀어 주는 드럼(28)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140)은 스크린(S)에서 협잡물을 긁어내는 갈퀴부(142)와, 상기 갈퀴부의 상부에 회전가능한 레이크부(144)로 구성되되, 상기 갈퀴부(142)의 상부에는 중량추부(3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버킷(140)의 양 측면 프레임에는 한 쌍의 제1,2 안내롤(42)(44)을 구비하고, 상기 스크린(S)의 양 측단에는 상기 제1,2 안내롤과 대응되는 위치에 제1,2 안내롤이 삽입되어 구름되는 안내홈(40a)이 형성된 안내레일(40)이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레일(40)의 안내홈(40a)의 폭은 상기 제1,2 안내롤(42)(44)의 직경 보다 더 넓은 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8.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차(21)의 밑면에는 하부에 위치하는 안내레일(40)의 상단까지 절첩되는 절첩부재(5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대차(21)의 하부 양측에는 버킷이 안전하게 삽입되는 안전 가이드(55)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10. 삭제
KR1020100017181A 2010-02-25 2010-02-25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KR10099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81A KR100993780B1 (ko) 2010-02-25 2010-02-25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7181A KR100993780B1 (ko) 2010-02-25 2010-02-25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3780B1 true KR100993780B1 (ko) 2010-11-11

Family

ID=434096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7181A KR100993780B1 (ko) 2010-02-25 2010-02-25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3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07B1 (ko) * 2020-04-27 2020-09-29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80A (ko) * 1993-09-20 1995-04-19 이한욱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960015898A (ko) * 1994-10-21 1996-05-22 반도체 집적회로
JPH1193114A (ja) * 1997-09-16 1999-04-06 Kobe Steel Ltd 補剛桁型吊橋における緊急制振方法
JP2004036147A (ja) * 2002-07-01 2004-02-05 Okawa Transteel Corp 除塵機
KR100717722B1 (ko) * 2006-10-19 2007-05-1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8880A (ko) * 1993-09-20 1995-04-19 이한욱 배수 처리용 제진기
KR960015898A (ko) * 1994-10-21 1996-05-22 반도체 집적회로
JPH1193114A (ja) * 1997-09-16 1999-04-06 Kobe Steel Ltd 補剛桁型吊橋における緊急制振方法
JP2004036147A (ja) * 2002-07-01 2004-02-05 Okawa Transteel Corp 除塵機
KR100717722B1 (ko) * 2006-10-19 2007-05-11 중앙종합기계 주식회사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1407B1 (ko) * 2020-04-27 2020-09-29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WO2021221251A1 (ko) * 2020-04-27 2021-11-04 한봉희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0219B1 (ko) 링크식 제진기의 협잡물 제진 방법 및 그 링크식 제진기
KR102161407B1 (ko) 스크린협잡물 제거장치
KR100855362B1 (ko) 소금 수거 및 적재 장치
KR101348988B1 (ko) 보조 부유물 수거장치가 구비된 제진기
KR100993780B1 (ko) 부유 협잡물 제거장치
CN214993590U (zh) 一种水利工程用水闸
KR101594101B1 (ko) 인/아웃 자동 제진기
KR100642977B1 (ko) 대차식 슬러지 수집장치
CN219136203U (zh) 下水道格栅板搬运装置
KR20060086578A (ko) 제진기
KR20100135470A (ko) 제진기
KR100717722B1 (ko) 부유 협잡물 제거형 부유스크린 장치
CN211472806U (zh) 泵站前池拦污系统
KR100890554B1 (ko) 제진기의 전위스크린
JP2005299293A (ja) 水路用除塵機
CN110593342B (zh) 一种带清污导槽的清污机
KR102152401B1 (ko) 보조레이크를 갖는 제진기
KR102637538B1 (ko) 전방 및 후방스크래퍼 일체형 수중대차식 슬러지수집기
JP3034404U (ja) 除塵装置
KR100376766B1 (ko) 조대 협잡물 제거장치
KR102554033B1 (ko) 게이트 전도 방지를 위한 수문
KR102419733B1 (ko) 취수구 이물질 유입방지용 2단 덤프 기능을 탑재한 트래쉬 랙 및 그를 이용한 이물질 제거방법
CN117661521B (zh) 一种方便清理的水利拦污格栅
KR101232891B1 (ko) 개폐식 스크린을 구비하는 제진기
JP5562116B2 (ja) 夾雑物の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3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