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967B1 -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 Google Patents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967B1
KR100992967B1 KR1020100025705A KR20100025705A KR100992967B1 KR 100992967 B1 KR100992967 B1 KR 100992967B1 KR 1020100025705 A KR1020100025705 A KR 1020100025705A KR 20100025705 A KR20100025705 A KR 20100025705A KR 100992967 B1 KR100992967 B1 KR 1009929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ob
ground
cable
outlet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2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영기
Original Assignee
문영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영기 filed Critical 문영기
Priority to KR102010002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9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9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9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일측에 소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어 케이블삽입홈과 노브동작홈이 구비되는 콘센트몸체의 일측에, 양단에 스토퍼와 탄성접지단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탄성조절공간을 갖는 접지걸이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조절공간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그 일측이 노브동작홈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접지노브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서, 외부충격에 의해 케이블이 접지걸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STRUCTURE FOR FIXING A CABLE OF A SOCKET}
본 발명은 탄성조절공간을 갖는 탄성접지단과 상기 탄성조절공간에서 삽입 및 이탈되는 접지노브를 조립하는 구성을 통하여 외부충격에 의해 케이블이 접지걸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콘센트는 건물의 바닥면이나 벽면에 설치되는 매립형 콘센트와, 가정이나 일반 사무실에서 콘센트에 연결하여 다른 전기제품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멀티콘센트 등 여러가지 구조로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콘센트는 전선 삽입구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단자 삽입부에 끼워져 나사에 의해 고정된 접속단자와, 플러그 삽입부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상부에 나사에 의해 결합되는 뚜껑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콘센트에 전선을 연결시키고자 할 경우, 몸체에 뚜껑을 결합시키는 나사를 풀어 몸체로부터 뚜껑을 분리시킨 후 접속단자를 고정시키는 나사의 일부를 풀어 그 나사의 몸체에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부위를 감은 다음 다시 조여 나사머리에 의해 접속단자상에 전선의 피복이 제거된 부위를 압착시키고, 이 상태에서 전선을 전선 삽입구내에 배치시킨 후 몸체에 뚜껑을 나사로써 다시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센트는, 접속단자에 전선을 연결시킬 시, 공구를 사용하여 몸체와 뚜껑을 결합시킨 나사를 해제하고 작업 후 다시 체결하는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배선작업이 번거롭고, 시간소모 또한 발생되어 작업능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한 한 방편으로 등록실용신안 제387831호에 콘센트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개별전선삽입공(211)은 상기 본체(210)의 저면부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전선삽입공(212)은 상기 뚜껑부(100)와 접하는 측면부에 형성된다.
상기 판스프링(220)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을 통해 삽입된 전선에 탄성접속되는 구성요소로, 상하방 및 측방향으로의 탄성을 가지는 S자형상으로 굴곡형성되어 하측으로부터 삽입된 전선과 측면부에서 접속되도록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 상측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판스프링(220)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된 전선을 상기 플러그접속단자(240)측으로 탄성압박함에 따라,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된 전선과 연결되는 안정된 전류경로를 형성할 뿐만 아니라 상기 본체(210) 상측으로 삽입되어 접속된 전선이 다시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시키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0)은 상기 개별전선삽입공(211)으로 삽입되는 전선의 상기 판스프링(220) 측면까지의 도입을 용이하게 하는 구성요소로,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에 접촉되는 가압돌기(231)를 구비하여 상기 본체(210) 외부로 돌출설치된다.
즉, 외부에서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0)을 누르면 상기 판스프링(220)의 저면부가 상측으로 더욱 휘어져 들어올려지고, 측면에 전선이 삽입될 수 있는 공간부가 확장되어 전선의 상기 판스프링(220) 측면까지의 도입이 쉽게 이루어지며, 전선의 도입 후에는 상기 전선삽입보조버튼(230)을 누른 상태를 해제하면 상기 판스프링(220)이 상기 전선을 탄성압박시키며 상기 전선 일측에 견고하게 접속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콘센트는, 전선삽입보조버튼(230)이 판스프링(220)을 압입할 때 개별전선이 용이하게 삽입되는 구성으로 개별전선이 판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하서면 지지되어 외력이 작용할 경우 개별전선이 판스프링(220)에서 이탈되어 분리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충격에 의해 케이블이 접지걸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외부에서 접지걸이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시킬 수 있도록 하며, 접지노브의 위치결정시 외부충격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일측에 소용공간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에 연결되어 케이블삽입홈과 노브동작홈이 구비되는 콘센트몸체의 일측에, 양단에 스토퍼와 탄성접지단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탄성조절공간을 갖는 접지걸이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조절공간에서 삽입 및 이탈되면서 그 일측이 노브동작홈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접지노브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접지노브는, 일단이 그 폭이 점차로 증가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탄성조절공간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구비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접지노브에 걸림돌기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접지노브에 의해 결합력을 더욱 증대시켜 외부충격에 의해 케이블이 접지걸이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케이블을 케이블삽입홈에 압입할 때 콘센트의 몸체와 뚜껑을 분리시키지 않고도 외부에서 접지걸이에 케이블을 용이하게 접속시키며, 접지노브의 위치결정시에는 외부충격에 의한 움직임을 방지하여 견고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가지고 있다.
도1은 종래의 콘센트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상태평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상태저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상태평면도이고,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분해상태저면도이며,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고, 도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콘센트의 케이블 연결상태를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본 발명은, 일측에 수용공간(R)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R)에 연결되어 케이블삽입홈(11)과 노브동작홈(13)이 구비되는 콘센트몸체(10)의 일측으로 양단에 스토퍼(21)와 탄성접지단(23)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탄성조절공간(25)을 갖는 접지걸이(20)를 장착한다.
그리고,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서 삽입 및 이탈되면서 그 일측이 노브동작홈(13)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접지노브(30)가 연결된다.
이때, 상기 접지노브(30)는, 자나 T자형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R)에서 지지되면서 그 일측에 노브동작홈(13)을 통하여 노출토록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노브(30)는, 일단이 그 폭이 점차로 증가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25-1)이 구비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접지노브(30)에 걸림돌기(30-1)가 일체로 구비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 도시한 바와같이, 콘센트몸체(10)에 일체로 형성되는 수용공간(R)에 접지걸이(20)를 장착하면, 상기 접지걸이(2O)에 형성되는 스토퍼(21)는 케이블삽입홈(11)에 대응되는 위치에, 탄성접지단(23)은 스위치노브로부터의 압력이 작용되는 위치에 각각 위치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걸이(20)의 일측으로는 접지노브(30)가 위치되어 이동가능토록 된다.
즉, 상기 접지노브(30)는, 자나 T자형으로 형성되어 일면이 수용공간(R)에서 지지되어 슬라이딩 되면서 그 일측에 노브동작홈(13)을 통하여 노출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노브동작홈(13)을 통하여 노출되는 접지노브(30)의 일측을 이동시키면 상기 접지노브(30)의 일단이 접지걸이(20)에 형성되는 탄성조절공간(25)측으로 이동하면서 접지걸이(20)에서의 스토퍼(21) 굽힘을 최소화하게 된다.
즉, S자형상으로 절곡되어 탄성력을 저장 및 복원토록 되는 접지걸이(20)에서 탄성조절공간(25)을 접지노브(30)에 의해 제거함으로써 스토퍼(21)에 걸려 지지되는 케이블(50)의 이탈을 완벽하게 방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접지걸이(20)의 탄성조절공간(25)에 밀착되는 접지노브(30)를 후퇴시키면 접지걸이(20)가 전체적으로 압축 가능토록 되어 스토퍼(21)에 의해 케이블(50)의 밀착력이 저하되어 이탈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서 삽입 및 이탈되면서 그 일측이 노브동작홈(13)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접지노브(30)는 자 또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R)에서 지지되면서 그 일측에 노브동작홈(13)을 통하여 노출토록 되어 외부에서 동작이 가능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접지노브(30)는, 일단이 그 폭이 점차로 증가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조절공간(25)에 용이하게 진입토록 된다.
또한,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25-1)이 구비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접지노브(30)에 걸림돌기(30-1)가 일체로 구비되어 탄성조절공간(25)에 진입되는 접지노브(30)의 후퇴를 방지하여 견교한 결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 설명한 내용을 통해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일탈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 정하여 져야만 할 것이다.
11...케이블삽입홈 13...노브동작홈
23...탄성접지단 25...탄성조절공간
30...접지노브

Claims (3)

  1. 일측에 수용공간(R)이 형성되면서 상기 수용공간(R)에 연결되어 케이블삽입홈(11)과 노브동작홈(13)이 구비되는 콘센트몸체(10)의 일측에, 양단에 스토퍼(21)와 탄성접지단(23)이 일체로 구비되면서 탄성조절공간(25)을 갖는 접지걸이(20)가 장착되고,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 삽입 및 이탈되면서 그 일측이 노브동작홈(13)에 노출토록 설치되는 접지노브(30)가 연결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접지노브(30)는, T자형으로 형성되어 수용공간(R)에서 지지되면서 그 일측에 노브동작홈(13)을 통하여 노출토록 설치되고,
    상기 접지노브의 일단은 그 폭이 점차로 증가되는 테이퍼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조절공간(25)에는 복수의 위치결정홈(25-1)이 구비되면서 이에 대응되는 접지노브(30)에 걸림돌기(30-1)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KR1020100025705A 2010-03-23 2010-03-23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KR1009929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5A KR100992967B1 (ko) 2010-03-23 2010-03-23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25705A KR100992967B1 (ko) 2010-03-23 2010-03-23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967B1 true KR100992967B1 (ko) 2010-11-08

Family

ID=43409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25705A KR100992967B1 (ko) 2010-03-23 2010-03-23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9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3311A (zh) * 2020-07-10 2020-09-15 广州湾格岛家具有限公司 一种家庭用防脱落手摇升降智能晾衣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376A (ja) 2005-03-31 2006-10-19 Kawamura Electric Inc 速結端子
JP2007287587A (ja) 2006-04-19 2007-11-01 Kawamura Electric Inc 端子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86376A (ja) 2005-03-31 2006-10-19 Kawamura Electric Inc 速結端子
JP2007287587A (ja) 2006-04-19 2007-11-01 Kawamura Electric Inc 端子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663311A (zh) * 2020-07-10 2020-09-15 广州湾格岛家具有限公司 一种家庭用防脱落手摇升降智能晾衣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266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US6506071B2 (en) Electrical modular terminal
US20130052840A1 (en) Socket assembly
US20180366871A1 (en) Socket structure
JP6583323B2 (ja) 配線用接続器具、及び電気機器
US10381754B1 (en) Terminal block having fastening handle
CN104584336A (zh) 容易分离插头的插座单元以及利用该插座单元的多功能插座装置
KR101881107B1 (ko) 접지형 콘센트장치
KR100992967B1 (ko) 콘센트의 케이블 고정구조
KR200442350Y1 (ko) 일체형 이중 결합 커넥터
KR101346088B1 (ko) 전기 콘센트
CN109994843B (zh) 一种电气快速接线装置及电气快速接线盒
CN209786289U (zh) 一种功能盒
KR101019978B1 (ko) 조립 콘센트와 이를 이용한 배선기구
JP6819375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0666036B1 (ko) 플러그 이탈장치가 구비된 콘센트
KR200460350Y1 (ko) 가압구가 구비된 콘센트
CN209169506U (zh) 连接器和二次锁的组合件及连接器组件
AU2018101592B4 (en) Connection system and method for electrical outlets
KR101803796B1 (ko) 전원전선 연결용 커넥터
CN111384622B (zh) 用于电源插座的连接系统和方法
CN110011119A (zh) 一种功能盒
KR20100003516U (ko) 전선 연결용 단자
KR101997913B1 (ko) 버튼식 바나나 잭
KR200346211Y1 (ko) 플러그 소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