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2615B1 -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 Google Patents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2615B1
KR100992615B1 KR1020100063667A KR20100063667A KR100992615B1 KR 100992615 B1 KR100992615 B1 KR 100992615B1 KR 1020100063667 A KR1020100063667 A KR 1020100063667A KR 20100063667 A KR20100063667 A KR 20100063667A KR 100992615 B1 KR100992615 B1 KR 100992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friction
intermediate plate
elastic
fricti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3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규
Original Assignee
(주)알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알티에스 filed Critical (주)알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63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26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2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2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04Bearings; Hinges
    • E01D19/041Elastomeric b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마찰을 이용해 성능을 향상시킨 탄성받침이 개시된다. 상기 탄성받침은 교량의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판,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의 이동이 제한되게 설치된 중간판, 상기 어느 하나와 상기 중간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활주 가능케 설치된 마찰부재,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다른 하나와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 및 상기 다른 하나 또는 상기 마찰판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판을 상기 다른 하나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기 다른 하나가 상기 어느 하나에 대해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마찰판을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에 따른 상기 마찰판의 마찰 저항력을 상기 다른 하나로 전달하여 상기 탄성체가 부담해야 할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감소시키는 마찰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Description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Elastic supporting device utilizing friction}
본 발명은 탄성받침에 관한 것으로, 특히 교량의 상부구조물과 교각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의 하중과 변형을 받아주는 데 사용되는 탄성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은 교각 위에 설치되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여주는 교좌장치를 가진다. 교량의 상부구조물 상으로는 차량이나 열차가 고속으로 통행하므로 교량에는 시시각각 변화되는 동 하중이 작용한다. 뿐만 아니라 교량의 상부구조물은 온도변화 등에 의해 신축되고 지진 시에는 수평방향으로 큰 충격력을 받기 때문에, 가동단에 설치되는 교좌장치는 교각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지지하여주면서도 수평방향의 상대 운동을 허용하도록 하도록 설계한다. 이러한 교좌장치로는 고무 내부에 금속판들을 다층으로 내장시킨 탄성받침이 많이 이용된다.
교량용 탄성받침과 관련하여서는 공개번호 2004-0085571호의 공개특허공보, 등록번호 20-0280413호 등록실용신안공보 등에 게재되어 있다. 종래의 탄성받침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성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받침(10)은 교각(11) 상에 고정되는 하판(12)과 상부구조물(13)의 저면에 고정되는 상판(14)을 구비한다. 이 하판(12)과 상판(14)은 앵커너트와 볼트 등을 통해 교각(11)과 상부구조물(13)에 각각 고정되어 있다.
하판(12)과 상판(14) 사이에는 상부구조물(13)의 하중을 지지하고 교축방향이나 교축직각방향으로 수평변위를 허용하는 탄성체(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체(15)는 고무(15a) 내부에 금속판(15b)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내장한 것으로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진 것이다. 하판(12)과 상판(14)의 탄성체(15) 주위로는 탄성체(15)가 옆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턱부(16)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탄성받침(10)은 수평방향의 힘을 받을 때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전단변형을 하는 데, 전단변형에 대한 강성이 약하다.
종래의 탄성받침(10)은 수평력에 저항하는 강성이 작아서 전단변형이 많이 발생되고 이 경우 유효지지면적이 줄어들어 그 지지능력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탄성받침(10)의 높이가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통상 위와 같은 탄성받침(10)에서 상시의 허용 전단변형량은 고무두께의 70%정도로 제한하고, 지진 시에는 150%정도로 제한하고 있다.
탄성받침(10)은 교량의 지간이 짧아서 전단변형량이 아주 작은 교량인 경우에는 문제가 되지 않을 수 있다. 그러나 교량의 지간이 커서 전단변형량이 증가하는 경우, 특히 고정단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 설치된 탄성받침은 전단변형량이 크게 발생되고 이 경우 높이가 많이 낮아진다. 높이가 낮아지면 분담하고 있던 하중을 다른 탄성받침으로 전가하게 되어 교량에 심각한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종래의 탄성받침은 여타의 교좌장치에 비해 높이가 상대적으로 많이 변하기 때문에 성능이 우수하고 높이에 변화가 적은 다른 교좌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다.
그 외에 탄성받침(10)의 댐핑능력은 일반 고무 탄성받침의 경우 약 5%이고, 고감쇠고무 탄성받침의 경우에도 약 15% 정도밖에 되지 않기 때문에 충격 흡수능력이 떨어진다.
위와 같은 특성들로 인해 종래의 탄성받침은 하중지지능력, 전단변형에 저항하는 강성, 충격흡수력을 증가 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고무 탄성체의 수평면적을 매우 크게 해야 한다. 이 경우 고무 탄성체가 설치되는 하판, 상판 및 관련 부속품들도 커져야 하고, 결과적으로 전체 탄성받침의 크기는 매우 커진다는 문제점도 있다.
공개번호 10-2004-0085571호 공개특허공보(유지보수를 고려한 개선된 일체형 탄성받침, 공개일: 2004년 10월 08일) 등록번호 20-0280413호 등록실용신안공보(교량받침대의 프리셋팅장치, 공고일: 2002년 07월 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탄성체의 수평면적을 증가시키지 않고도 전단변형에 대한 저항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크기를 상대적으로 줄일 수 있는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단변형을 줄임으로써 수직하중에 대한 지지능력이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높이에도 변화가 적게 발생되는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단변형 강성을 증가시켜 종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신축이음 간격을 감소시킬 수 있는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댐핑능력이 우수한 탄성받침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은 교량의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판,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설치된 중간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활주 가능케 설치된 마찰부재,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 및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 또는 상기 마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대해 적어도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이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에 대해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에 따른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 저항력을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탄성체가 부담해야 할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감소시키는 마찰력전달부재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진다.
상기 마찰부재의 표면 및 이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마찰부재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력전달부재는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부는 홈, 구멍,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걸림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블록들을 구비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력전달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탄성체는 고무 내부에 금속판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내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에는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을 향해 각각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돌출부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은 종래의 일반적인 탄성받침에 비해 수평력에 저항하는 힘이 향상되어 수평력 작용 시에 전단변형이 적게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은 수평력 작용 시에 종래의 일반적인 탄성받침에 비해 수평변위가 적게 발생되기 되고, 상부구조물의 지지능력 저하가 줄어들고, 높이변화도 적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은 종래의 일반적인 탄성받침에 비해 수평력에 대한 완충능력도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을 이용하는 경우 종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교량의 상부구조물 간의 신축이음 간격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탄성받침의 일례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 탄성받침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전단변형 및 충격흡수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
도 7은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 탄성받침이 설치된 상태의 정면도이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100)은 교량의 교각 상에 설치되는 하판(110)과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되는 상판(120)을 구비한다. 이러한 하판(110)과 상판(120)은 기초너트(N)와 볼트(B) 등을 통해 교각과 상부구조물 등에 각각 고정된다. 하판(110)과 상판(120)의 고정에는 용접 등의 다른 고정수단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100)은 중간판(130)을 구비한다. 이 중간판(130)은 하판(110)과 상판(120) 사이에 배치되며 하판(110) 및 상판(120) 각각과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중간판(130)은 하판(110)에 대해 수평방향의 이동이 제한되도록 하판(110)에 설치된 돌출부(111)에 고정되어 있다. 이 돌출부(111)는 뒤에서 설명되는 마찰판(140)의 양 측방에서 상방으로 각각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부(111)에 중간판(130)의 양단이 볼트(B) 등을 통해 고정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100)은 마찰부재인 마찰판(140)을 구비한다. 이 마찰판(140)은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구성요소로서, 중간판(130)과 하판(110)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활주 가능케 설치된다. 이 마찰판(140)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홈형태의 걸림부(14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림부(141)는 뒤에서 설명되는 마찰력전달부재(150)의 일부가 삽입되어 상판(120)이 교량의 교축방향으로 움직이면 마찰판(140)도 함께 교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걸림부(141)는 상부구조물에 작용하는 동하중 등에 의해 처짐이 발생될 때 마찰력전달부재(150)가 좌우로 회동하는 것을 허용하도록 삽입된 부분의 마찰력전달부재(150)의 폭보다 조금 넓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걸림부(141)는 홈 형태 외에, 구멍이나 돌기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마찰판(140)의 상면과 하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판(143)이 각각 부착되고, 이에 대응하는 하판(110)의 상면과 중간판(130)의 저면에 PTFE판(113, 133)이 각각 부착된다. 스테인리스스틸판(143)과 PTFE판(113, 133)은 서로 위치를 바꾸어서 설치될 수 있고, 여타의 미끄럼부재들로 대체될 수 있다.
중간판(130)과 상판(120) 사이에는 탄성체(1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탄성체(160)로는 고무 내부(161)에 금속판(163)을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수 내장시킨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여타의 탄성체가 사용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판(120)에는 마찰력전달부재(1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마찰력전달부재(150)는 상판(120)에서 마찰판(140)을 향해 연장되어 있으며, 그 단부의 일부가 홈 형태의 걸림부(141)에 삽입되어 있다. 이 마찰력전달부재(150) 역시 본 발명의 일 특징을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 마찰력전달부재(150)는 마찰판(140)을 상판(120)에 대해 교축방향, 교축직각방향 또는 교축방향과 교축직각방향의 양쪽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판(120)이 하판(110)에 대해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마찰판(140)을 그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에 따른 마찰판(140)의 마찰 저항력을 상판(120)으로 전달하여 탄성체(160)가 부담해야 할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경우에 따라 마찰력전달부재(150)는 마찰판(140)에 설치되고, 상판(120)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의 일방향 가동단에 사용될 탄성받침(100)인 경우에는 양측의 마찰력전달부재(150)는 중간판(130)의 양 측면과 접촉하면서 이동할 수 있고, 이 경우 그 접촉면에는 스테인리스스틸판과 PTFE판과 같은 미끄럼부재(S)들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와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탄성받침(100)은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고, 이 경우 상판(120)과 하판(110)은 그 역할이 서로 바뀐다.
도 4는 도 3의 I-I에 따른 평단면도이다.
도 4에 나타낸 탄성받침(100)은 교축방향 또는 교축직각방향의 일방향 가동단에 사용되는 것을 나타낸 것으로, 중간판(130)은 하판(110)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 돌출부(111)에 볼트(B) 등으로 고정되어 있다. 도 4에서는 화살표 방향이 교축방향이다.
양측 마찰력전달부재(150)의 내측면은 중간판(130)의 양 측면에 접촉되거나 좌우 회동을 허용할 정도의 작은 간격을 두고 있다. 이에 따라 상판에 설치된 상태로 걸림부(141)에 삽입되어 있는 마찰력전달부재(150)는 실질적으로 화살표로 나타낸 일 수평방향으로만 이동할 수 있다. 마찰력전달부재(150)가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되면 마찰판(140)도 하판(110)과 중간판(130) 사이를 따라 이동되고, 그 때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상판과 상판이 고정된 상부구조물의 수평이동을 방해하는 힘을 작용시킨다. 중간판(130)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그 하부의 마찰판(140)을 하방으로 가압하고, 이에 따라 마찰판(140)과 중간판(130) 및 마찰판(140)과 하판(110) 사이에는 큰 마찰력이 발생된다. 볼트(B)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공은 상부구조물의 하중을 고려하여 설계자가 위치를 정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변형예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쪽 마찰력전달부재(150)를 중간판(130)의 폭보다 넓게 설치하는 경우, 상판과 상부구조물은 하판(110)에 대해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교축방향 및 교축직각방향의 양 방향으로 상대적인 수평이동이 모두 허용된다. 이러한 탄성받침(100)은 양방향 가동단에 사용된다. 나머지는 도 4에서와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의 전단변형 및 충격흡수 능력을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에서, 세로축은 교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수평력(F)의 크기를 나타내는 축이고, 가로축은 수평력에 대한 전단변형량(δ)의 크기를 나타내는 축이다.
본 발명이 적용되기 전의 탄성받침의 수평력에 대한 전단변형 그래프는 점선으로 표시되어 있고, 본 발명이 적용된 탄성받침의 수평력에 대한 전단변형 그래프는 실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적용되기 전의 탄성받침에 작용하는 수평력은 모두 탄성체에서 받아주기 때문에, 크기가 작은 F1의 수평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δ1과 같은 큰 변위가 발생되기 때문에,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부구조물을 지지하는 능력이 떨어지고, 충격흡수능력도 5 ~ 15%(양 꼭지점간의 힘의 차이값 X 변위의 차이값에 대한 점선으로 나타낸 곡선 내부의 면적비) 정도밖에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높이변화가 크게 발생된다는 심각한 문제점이 생긴다.
반면에 본 발명이 적용된 탄성받침은 F1보다 큰 F2의 수평력이 작용하더라도 탄성체와 마찰판이 함께 저항하기 때문에 δ1보다 작은 δ2의 변위만 발생되고, 이에 따라 상부구조물의 지지능력이 향상되고, 높이변화가 적게 발생되며 충격흡수능력도 15% 이상으로 월등히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마찰판의 표면과 그 대응면에 설치되는 미끄럼부재들 간의 마찰계수를 조정함으로써 탄성받침의 특성도 쉽게 조정할 수 있다는 장점도 생긴다.
도 7은 도 3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마찰판(140)은 중간판(130)과 상판(120) 사이에 설치되고, 탄성체(160)는 중간판(130)과 하판(11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때 중간판(130)은 상판(120)에 설치된 돌출부(121)에 설치되고, 마찰력전달부재(150)는 하판(110)에 고정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8은 도 3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상판(120)에 홈형태의 걸림부(122)를 형성하고, 마찰력전달부재(150)는 마찰판(1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연장시켜 그 상단이 걸림부(122)에 삽입되어 마찰판(140)의 수평이동을 상판(120)의 움직임에 구속시킬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탄성받침(100) 역시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도 9는 도 3의 또 다른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경우에 따라 상판(120) 및 마찰판(140)에 블록(141a, 122a)들을 간격을 두고 볼트(B) 등으로 고정하여 걸림부(122, 141)를 형성할 수 있다. 두 블록들(122a, 141a) 사이에는 돌기(122b, 141b)를 형성하고, 마찰력전달부재(150)에 대응되는 홈(151)을 상하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하여 마찰력전달부재(150)를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마찰판(140)의 마찰에 의한 수평 저항력은 마찰력전달부재(150)를 통해 상판(120)으로 전달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탄성받침(100) 역시 상하로 뒤집힌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나머지는 도 2와 3을 통해 설명한 것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은 일반교량이나 철도교량의 교좌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100: 탄성받침 110: 하판
120: 상판 122, 141: 걸림부
130: 중간판 140: 마찰판
150: 마찰력전달부재 160: 탄성체

Claims (8)

  1. 교량의 교각 상에 설치하기 위한 하판;
    상기 교량의 상부구조물의 저면에 설치하기 위한 상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어느 하나에 대해 적어도 일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되게 설치된 중간판;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수평방향으로 활주 가능케 설치된 마찰부재;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과 상기 중간판 사이에 설치된 탄성체; 및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 또는 상기 마찰부재에 설치되고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대해 적어도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구속하여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이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에 대해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마찰부재를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그에 따른 상기 마찰부재의 마찰 저항력을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으로 전달하여 상기 탄성체가 부담해야 할 상기 일 수평방향으로의 힘을 감소시키는 마찰력전달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력전달부재는 상기 마찰부재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걸림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되거나,
    상기 마찰부재에는 걸림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마찰력전달부재는 상기 하판과 상기 상판 중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마찰부재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마찰부재에 형성된 상기 걸림부에 걸리는 부분을 가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찰부재의 표면 및 이 표면과 마주보는 면에는 미끄럼부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홈, 구멍, 돌기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부는 간격을 두고 설치된 블록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체는 고무 내부에 금속판이 상하로 간격을 두고 다층으로 내장되어 있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판이 설치된 판에는 상기 마찰부재의 양측에서 상기 중간판이 설치되지 않은 판을 향해 각각 돌출된 돌출부들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중간판은 상기 돌출부들에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KR1020100063667A 2010-07-02 2010-07-02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KR1009926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67A KR100992615B1 (ko) 2010-07-02 2010-07-02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3667A KR100992615B1 (ko) 2010-07-02 2010-07-02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2615B1 true KR100992615B1 (ko) 2010-11-05

Family

ID=43409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3667A KR100992615B1 (ko) 2010-07-02 2010-07-02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261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24B1 (ko) * 2021-06-24 2022-02-2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다층 마찰 면진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84Y1 (ko)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고신축 교좌장치
JP2006193932A (ja) 2005-01-12 2006-07-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すべりゴム支承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75084Y1 (ko) * 1999-10-18 2000-03-15 주식회사케이.알 고신축 교좌장치
JP2006193932A (ja) 2005-01-12 2006-07-27 Yokohama Rubber Co Ltd:The すべりゴム支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724B1 (ko) * 2021-06-24 2022-02-28 주식회사 에스코알티에스 다층 마찰 면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749B1 (ko) 구조물 면진장치
KR100660035B1 (ko) 교좌장치
KR100692956B1 (ko) 구조물 지지장치 및 이를 위한 탄성기구
CN102317548B (zh) 多向扭转滞后减震器(mthd)
US6971795B2 (en) Seismic isolation bearing
KR102263416B1 (ko) 전단보강장치
JP5302764B2 (ja) 構造物用の滑り支承
KR101103983B1 (ko) 완충기구 및 이를 갖는 구조물 지지장치
KR101198270B1 (ko) 지진 격리 장치
KR20060084173A (ko) 형상기억합금을 이용한 교량용 면진교좌장치
KR101005787B1 (ko) 높이 조절이 가능한 탄성받침
KR101232906B1 (ko) 진동감쇠 마찰기구 및 이를 이용한 면진장치
KR100283782B1 (ko) 구조물의 지진격리용 마찰감쇠형 고무받침
KR100992615B1 (ko) 마찰을 이용한 탄성받침
CN110552287B (zh) 桥梁用柔性伸缩机构和桥梁伸缩装置
KR200262491Y1 (ko) 큰 수직완충력을 갖는 교좌장치
KR101293331B1 (ko) 탄성기구 및 이를 이용한 탄성체의 분력을 이용한 수평변위 조절기구와 교좌장치
KR101386048B1 (ko) 스페리칼 받침
CN203238538U (zh) 扁弹簧板式橡胶伸缩缝
KR101205907B1 (ko) 교량용 완충 받침장치
JP2009047290A (ja) 全方向制振ダンパー
JP2008057291A (ja) 耐震建築物用スライド式アンカー
CN203346787U (zh) 扁弹簧钢板伸缩缝
KR101409400B1 (ko) 모자형 강재댐퍼를 구비한 고무탄성받침
KR101407142B1 (ko) 마찰저항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1

Year of fee payment: 9